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우울이 청소년의 휴대전화 의존에 미치는 영향: 성별에 따른 또래애착 및 학교 내 관계유형 요인의 조절효과 비교

        모상현 한국청소년학회 2018 청소년학연구 Vol.25 No.8

        The purposes of the present study were to explore effects of variables peer attachment, school relationship and depression on mobile phone dependence of middle school adolescents and to examine and compare moderating effects of peer attachment (communication and trust) and school relationship(friend and teacher) that influence mobile phone dependence. The present study analyzed the sixth wave data from Korean Children and Youth Panel Survey 2010 (KCYPS 2010). The subjects were 2,061 3rd grade students in middle school(male=1,090, female=971) in the whole country. The results of the present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level of mobile phone dependence and depression was significantly higher in female adolescents. Second, the moderating effects of peer attachment(communication and trust) that are related with reducing mobile phone dependence negatively were only to female significantly confirmed, whereas the moderating effects of school relationship(friend and teacher) that are related with reducing mobile phone dependence negatively were only to male significantly confirmed. The moderating effects of variables varied according to gender. Based on the results,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study were suggested. 본 연구의 목적은 우울이 청소년의 휴대전화 의존도에 영향을 미치는 관계에서 또래애착(의사소통, 신뢰)과 학교 내 관계유형(교우 및 교사관계) 요인의 효과가 성별에 따라 어떻게 조절적으로 작용하는지를 확인함으로서 청소년의 휴대전화 의존문제에 효율적으로 개입하기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는 데 있다. 자료의 분석은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의‘한국아동청소년 패널조사2010’초4패널 제6차년도 중학교3학년 청소년(n=2,061, 남자=1,090, 여자=971)자료를 대상으로 위계적 회귀분석을 사용하여 검증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휴대전화 의존도 및 우울 수준 모두에서 여자청소년이 남자청소년보다 높게 나타났다. 둘째, 휴대전화 의존도에 부(-)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또래애착유형(의사소통 및 신뢰)의 조절작용은 여자 청소년에게서만 유의하게 관찰되었으며, 남자 청소년에게서는 나타나지 않았다. 셋째, 휴대전화 의존도에 영향을 미치는 학교 내 관계유형(교우관계 및 교사관계)의 조절작용은 여자 청소년에게서만 유의하게 관찰되었으며, 여자 청소년에게서는 나타나지 않았다. 성별에 따른 조절작용에 남녀 청소년 간 차이가 관찰되었다. 해당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연구의 시사점과 제한점에 대해 논의하였다.

      • 국제기준 대비 한국 아동ㆍ청소년의 인권수준 연구 Ⅳ

        모상현,천정웅,신승배,이중섭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09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연구보고서 Vol.- No.-

        1. 연구목적 본 연구는 2006년부터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에서 연속사업으로 수행되어온 ‘국제기준 대비 한국 청소년의 인권수준 연구’의 4차년도 과제로서 아동권리협약에서 분류한 인권영역 중 생존권과 보호권 분야의 중요 정량지표를 선별ㆍ분석하여, 우리나라 아동ㆍ청소년의 전반적인 인권 환경 수준을 점검해 보고, 인권신장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을 제공하고자함. 생존ㆍ보호권영역에서의 우리나라 아동ㆍ청소년의 전반적인 인권현황을 파악할 수 있는 객관적인 자료를 제공하고 권리향상을 위한 모니터링 및 정책적 방향설정에 기여하고자 함. 설문도구를 활용한 정성지표중심의 실태조사를 행정 및 통계자료에 근거한 정량지표를 통해 보완하여, 생존ㆍ보호권영역에서의 현황파악과 아울러 권리의 실현여부나 진척정도를 평가 할 수 있는 객관적 기준을 제공하고자 함. 국제기준대비 OECD 위상에 맞는 국제적 수준의 한국 아동ㆍ청소년 인권환경 조성에 기여하고자 함. 2. 주요 연구내용 생존권 영역에서 우리나라 아동ㆍ청소년들의 생존권 관련 주요 정량지표를 선정하고 지표별 의미와 관련 통계 및 현황분석. 생존권 지표와 관련된 정책방향성 설정을 위한 발전적 대안모색. 보호권 영역에서 우리나라 아동ㆍ청소년들의 생존권 관련 주요 정량지표를 선정하고 지표별 의미와 관련 통계 및 현황분석. 보호권 지표와 관련한 정책현황을 살펴보고 발전적 정책방향 설정을 위한 대안모색. 생존권과 보호권을 중심으로 해당지표의 타당성을 분석하고 향후 개선 방향을 제시. 아동ㆍ청소년의 생존ㆍ보호권에 대한 새로운 개념적 고찰과 아동ㆍ청소년 생존ㆍ보호권 정량지표의 활용방안을 탐색. 아동ㆍ청소년 생존ㆍ보호권 신장을 위한 정책제언과 후속 연구를 위한 방향제고 및 시사점 제시. 3. 정책제언 지표의 선정에 있어 아동ㆍ청소년 정의에 보다 부합하는 영역에서의 자료원의 발굴이 요구됨. 빈곤아동ㆍ청소년에 대한 객관적 통계자료 확보가 요구됨. 빈곤의 위험에 노출된 아동ㆍ청소년의 규모가 정확히 파악 되어야 이들의 생존 및 보호권 신장을 위한 정책내용이 구체화될 수 있음. 유관 지표 간에는 동일한 연령범주를 사용하여 상호비교 및 관련성이 분석될 수 있도록 하여야 함. 유사 중복적인 지표항목의 조정 및 통계 자료수집과 현황분석이 어려운 지표의 재조정이 필요함. 아동ㆍ청소년 권리지표는 인권지표(rights indicators)로서 결과에 대한 측정뿐만 아니라 실현가능한 권리 정책 활동에 대한 구체적 평가지표로서의 의미를 지녀야 함. 국제 기준과의 비교를 위한 지표항목의 선정 시 다른 나라에서 이미 지표화된 항목들을 찾아내어 우리의 지표체계에 포함하는 노력을 통해, 국제비교 지표로서의 실질적인 의미를 갖도록 개발해 나갈 필요가 있음. 국제비교 지표를 중심으로 해당 관련 지표의 수준을 지속적으로 향상시키기 위한 당사국으로서의 의무이행을 위한 지속적인 노력이 요구됨.

      • KCI등재

        Modeling and Simulation of New Encoding Schemes for High-Speed UHF RFID Communication

        모상현,배지훈,박찬원,방효찬,박형철 한국전자통신연구원 2015 ETRI Journal Vol.37 No.2

        In this paper, we present novel high-speed transmission schemes for high-speed ultra-high frequency (UHF)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communication. For high-speed communication, tags communicate with a reader using a high-speed Miller (HS-Miller) encoding and multiple antennas, and a reader communicates with tags using extended pulse-interval encoding (E-PIE). E-PIE can provide up to a two-fold faster data rate than conventional pulse-interval encoding. Using HS-Miller encoding and orthogonal multiplexing techniques, tags can achieve a two- to three-fold faster data rate than Miller encoding without degrading the demodulation performance at a reader. To verify the proposed transmission scheme, the MATLAB/Simulink model for high-speed backscatter based on an HS-Miller modulated subcarrier has been designed and simulated. The simulation results show that the proposed transmission scheme can achieve more than a 3 dB higher BER performance in comparison to a Miller modulated subcarrier.

      • KCI등재후보
      • KCI등재
      • KCI등재

        멘토링 효과성 측정영역 및 지표 구인을 위한 탐색적 연구

        모상현,박정배,진은설 한국청소년학회 2012 청소년학연구 Vol.19 No.12

        This study as basic research for the development of mentoring effectiveness measurement tool aims to offer the empirical foundation through pilot on measurement areas and indicators of mentoring effectiveness. The development of mentoring effectiveness scale based on measurement indicators provides a basis to identify various aspects of the development of mentees in a situation where a growing demand for the activation of a mentoring program and measuring mentoring effectiveness. For the construct of measurement tools were conducted survey for mentoring field staffs and opinion survey(delphi) for mentoring experts. As a result of surveys, we have founded 6 mentoring effectiveness areas; ​​psychological area, social area, area of ​​academic achievement, problem behavior areas, career areas, service satisfaction area and 57 measurement indicators. Based on the results was proposed effectiveness measurement tool. Hereupon, this study results are aimed at helping to utilize of the effectiveness measurement tool in the field by presenting the key indicators in each area. 본 연구는 멘토링 효과성 측정도구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로서 효과성 영역과 지표에 대한 탐색을 통해 멘토링 효과성 도구개발을 위한 경험적 토대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이는 최근 멘토링 프로그램의 활성화와 함께 효과성 측정에 대한 요구가 증가하고 있는 상황에서 지표에 기초한 척도의 개발과 활용을 통해 다양한 멘티의 발달양상을 파악할 수 있는 근거를 마련할 수 있기 때문이다. 측정요인 구인을 위해 멘토링 실무자에 대한 설문조사와 전문가 대상 의견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심리적 영역, 사회적 영역, 학업성취 영역, 문제행동 영역, 진로 영역, 서비스 만족도 영역 등 6개 효과성 측정영역과 57개의 측정지표를 중심으로 멘토링 효과성 측정도구 구성안을 제안하였다. 또한 각 영역별 중요 지표를 제시함으로 현장에서 효과성 측정도구 활용에 대한 이해를 돕고자 하였다.

      • KCI등재후보

        청소년 학업스트레스 유발변인에 대한 조절효과 분석: 자아존중감과 의사결정 자율성을 중심으로

        모상현 미래를 여는 청소년학회 2010 미래청소년학회지 Vol.7 No.2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explore arousing variables affecting the academic stress of adolescents and to examine effects of moderating factors on academic stress. The subjects were 2,650 regular public high school students in the whole country. It was found that moderating effects of self-esteem and autonomy in opinion decision on factors arousing academic stress, social utility of education level and perception level in friendship as competition, were confirmed among groups with different academic grade partially. The effect of arousing factors on academic stress was related with its increasing positively, whereas the effect of moderating factors was related with its increasing negatively. The findings suggest that moderating factors modify academic stress intermediating arousing variables and affect psychological and social adjustment of adolescents positively. 본 연구에서 학업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유발변인에 작용하여 스트레스를 보호할 수 있는 조절변인을 탐색해 보고 그 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학업스트레스의 유발에 영향을 미치는 유발변인으로 학력의 사회적 유용성과 경쟁성 지각변인을 상정하였으며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자아존중감과 의사결정 자율성의 조절효과를 검증해 보았다. 본 연구의 검증을 위한 분석틀은 전국의 인문계 고등학교에 재학 중인 2,650명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결과 학력의 사회적 유용성과 경쟁성지각에 대한 자아존중감과 의사결정 자율성에 의한 학업스트레스 조절효과가 확인되었으며, 그 효과가 성적집단에 따라 다른 양상을 보여주었다. 학업스트레스 유발변인인 학력의 사회적 유용성과 경쟁성 지각변인은 스트레스에 정적(+)방향으로 영향을 미쳐 학업스트레스를 증가시켰으며, 자아존중감과 의사결정의 자율성은 학업스트레스 유발요인에 부적(-)으로 작용하여 이를 감소시키는 방향으로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자아존중감과 의사결정 자율성은 학업스트레스 유발변인을 조절하여 학업스트레스 수준을 감소시키는 작용을 할 수 있으며, 청소년의 심리·사회적 적응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 청소년의 온/오프라인 정치참여/비참여에 영향을 미치는 예측변인 탐색

        모상현,이창호 한국시민청소년학회 2012 시민청소년학연구 Vol.3 No.1

        본 연구를 통해 청소년들에게 사회·정치적인 문제를 공유하고 공론 화 장으로서의 역할을 수행하고 있는 인터넷이 청소년의 사회·정치참여 를 예측하는지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인터넷 변인(인터넷 정보 활용 도와 인터넷 정보에 대한 신뢰도) 이외에 청소년의 온·오프라인 정치참 여를 예측하는 변인으로 정치관심도 정치효능감, 부모 및 또래 집단과의 대화 변인 등을 투입하였다. 전국의 고등학교 청소년 3,443명이 피험자 로 선정되었으며, 온·오프라인 정치참여3)에 영향을 미치는 예측변인을 파악하기위해 로지스틱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온라인 참여유형 I, II, 오프라인 참여유형 III, IV 모두에서 청소년의 참여와 비참여를 유의 하게 예측해 주는 변인으로 친구·선배와의 대화변인과 인터넷을 통한 정 보활용변인이 확인되었다. 아버지와의 대화변인은 오프라인 참여유형 III (Wald=3.735, p=.053)을 제외한 모든 참여유형을 예측해 주었다. 어머 니와의 대화변인은 온라인 참여유형 I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으며, 정치효 능감은 온라인 유형 II의 정치참여와 비참여에 유의하게 영향을 미치는 예측 변인으로 검증되었다. 정치관심도와 인터넷 정보에 대한 신뢰도는 어떠한 유형의 청소년 정치참여·비참여를 유의하게 예측하지 못하였다. 연구결과는 인터넷 같은 미디어 플랫폼과 부모(아버지)와의 사회·정치적 대화는 청소년들에게 중요한 문제가 공론화 될 수 있는 소통공간을 제공 함으로써 참여역량을 증진시키는 중요한 수단임을 시사하고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