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돼지혈액 및 간을 이용한 사료용 효모배양과 효모배양물이 육계성장에 미치는 영향

        마정숙,심관섭,박강희 한국축산환경학회 2001 축산시설환경학회지 Vol.7 No.1

        도축 후 생산되는 돼지 혈액과 간을 이용한 효모의 최적 배양조건과 효모배양물이 육계의 성장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10% 돼지 혈액 상등액에 Glucose 5%를 첨가 한 BSG 배지와 20% 간 상등액에 Glucose 5%를 첨가한 LSG배지에서 24시간 동안 효로를 배양한 결과 YEPD(Yeast Exract(DIFCO) 1%, Bacto Pepton(DIFCO) 2%, Glucose 4%)배지에서 자란 효모의 수보다 각각 4%, 10% 증가하였다. 효모수를 증가하기 위해 BSG 배지에 첨가한 Ammonium sulfate 최적 농도는 각각 24시간 배양하였을 때 100mM(1.3%)이었으며, 48시간 배양하였을 때에는 50mM(0.65%)로 나타났다. BSG 배지에서 효모배양의 최적 pH는 약 6에서 7 정도였다. LSG 배지에서 Ammonium sulfate와 Taurine을 1%씩 첨가하였을 때 첨가하지 않은 배지에 비해 효모수가 각각 18%와 9% 증가하였을 때 체중이 무첨가구에 비해 4주령에서 10% 증가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 도축부산물인 혈액과 간을 가축사료를 위한 효모배양 배지 원료로서 재활용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Optimal conditions for utilizing the slaughtered porcine blood and liver for yeast culture and the effects of the yeast cultures on the growth of broiler chicks were investigated. The quantity of yeast cultured for 24hours in the BSG medium containing blood extracts containing 5% glucose and in the LSG medium containing liver extracts containing 5% glucose were higher by 4% and 10%, respectively, than that in the YEPD medium containing 1% yeast extracts, 2% bacto pepton and 2% glucose. Optimal concentrations of ammonium sulfate supplementation to the BSG medium to increase the quantity of yeast cultured for 24 and 48 hours were 100 mM(1.3%) and 50 mM(0.65%), respectively. The optimal pH for yeast culture in BSG medium ranged from 6 to 7. One percent supplementation of either ammonium sulfate or taurine to LSG medium increased the quantity of yeast by 18% and 9%, respectively, compared to no supplementation. The body weight of chicks fed with 2% and 4% yeast culture supplementations cultivated increased at the 4th week by 10%, with relative to no supplementation. The results from this study suggest that the slaughtered porcine blood and liver can be utilized for yeast culture which is used in animal diets.

      • 파인애플과 키위 과피 추출물을 이용한 가축 혈액, 파란, 글루텐 분말의 가수분해 조건

        마정숙,심관섭,짱광친,박강희,Ma J.S.,Shim K.S.,Zhang G.Q.,Park G.H. 한국축산환경학회 2004 축산시설환경학회지 Vol.10 No.2

        The protein in the extracts from the skins of pineapple and kiwi and the optimal conditions to hydrolyze blood, egg and gluten meals with them were investigated. Protein analysis by SDS-polyacylamide gel electrophoresis showed one protein band with 22 kd molecular weight in the pineapple skin extract, and Hve protein bands with 27 kd, 22.5 kd, 22 kd, 19 kd, and 14.4 kd molecular weight in the kiwi skin extract. The 22 kd protein in the pineapple skin extract is assumed to be bromelain, and the 27 kd protein in the kiwi skin extract is assumed to be actinidin, both are pretense. The optimal conditions for hydrolysis of blood, egg, and gluten meals we: 6-24 hours in time, $60^{\circ}C$ in temperature, and pH 4-pH 7. 파인애플과 키위의 과피 추출물의 단백질분석과 이를 이용한 혈분, 파란분말 그리고 글루텐 분말의 가수분해 최적 조건을 조사하였다. 전기영동에 의하여 단백질을 분석한 결과 파인애플 과피 추출물에서는 분자량 22 kd의 단백질이 나타났으며 키위의 과피 추출물에서는 분자량 27 kd, 22.5 kd, 22 kd, 19kd 그리고 14.4 kd인 단백질 6종이 나타났다. 파인애플 과피 추출물에서 나타난 22 kd 단백질은 단백질 분해효소인 bromelain인 것으로 추정되며, 키위 과피 추출물에서 나타난 27 kd 단백질은 단백질 분해효소인 actinidin인 것으로 추정된다. 파인애플과 키위의 과피 추출물을 이용한 혈분, 파란 분말 그리고 글루텐 분말의 가수분해 최적 시간, 온도 및 pH는 각각 6에서 24시간, $60^{\circ}C$ 그리고 pH 4 에서 7의 범위인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산형과 식물의 휴면타파와 종자발아에 미치는 온도, 광, 화학물질의 영향

        이호선,이장원,김수정,이정훈,성정숙,강만정,경호 한국국제농업개발학회 2014 韓國國際農業開發學會誌 Vol.26 No.4

        산형과 식물의 종자는 형태생리학적 휴면을 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형태생리학적 휴면은 배가 미숙하고 생리적으로 휴면상태인 종자휴면중의 하나이다. 본 연구는 산형과의 세 종, 갯기름나물, 고본, 갯방풍 종자의 휴면타파와 발아에 미치는 온도, 광, 화학물질의 효과에 대하여 조사하였으며 그 결 과는 다음과 같다. 1. 본 시험에 사용된 종자의 크기는 길이 5.57 - 9.7 mm, 폭 3 - 7 mm 범위였고, 천립중은 갯기름나물 0.50 g, 고본 0.21 g, 갯방풍 17.53 g 이었다. 2. 예냉, 광, GA3, KNO3, 그리고 온도조건을 달리하여 전처리를 실시한 결과, 갯기름나물, 고본, 갯방풍의 최대 발아율은 각각 62.6%, 43.3%, 36.4%였다. 3. 갯기름나물은 4oC에서 7일 동안 예냉처리 하였을때 휴면 타파와 발아에 가장 효과적이었고 GA3의 저온 대체효과는 없었으며 20oC 항온조건에서 발아에 적합하였다. 4. 고본의 경우도 갯기름나물과 유사하게 4oC에서 7일간 예냉처리 하였을때 효과적이었으며 GA3와 KNO3 처리는 휴면타파에 효과가 없었다. 갯기름나물과 고본 두 종은 휴면타파와 발아를 위해 저온을 필요로 하였다. 5. 갯방풍은 GA3 200 mgL−1 처리가 발아에 효과적이었고 15/20oC(16/8h) 변온조건과 20oC 암조건에서 비교적 잘 발아하였다. The seeds of Apiaceae have been known as having morphophysiological dormancy (MPD). It is a class of seed dormancy in which the embryo is both underdeveloped and physiologically dormant.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the temperature, light and chemical reagent on dormancy breaking and seed germination of three species in Apiaceae (Peucedanum japonicum Thumb, Angelica tenuissima Nakai, Glehnia littoralis F. Schmidt et Miq.). Seed size of three species ranged from 5.57-9.7 mm in length and 3.7 mm in width. The 1000-seed weight ranged from 0.21 g in A. tenuissima to 17.53 g in G. littoralis. Maximum percent-germinations of P. japonicum, A. tenuissima, and G. littoralis were 62.6%, 43.3%, and 36.4%, respectively. In P. japonicum and A. tenuissima, prechilling (4˚C for 7 days) were only best effective on breaking dormancy and germination. The GA3 or KNO3 treatments were ineffective for breaking dormancy. The proper temperature for germination was constant 20oC. In G. littoralis, gibberellin treatments were effective for germination. The seeds showed relatively good germinations at alternative 15/20˚C (16/8h) and constant 20˚C (dark).

      • 맥주효모 슬러리의 급여가 육계의 성장과 혈액 성상에 미치는 영향

        김정학,심관섭,마정숙,권덕신 한국축산환경학회 2004 축산시설환경학회지 Vol.10 No.1

        맥주공장에서 얻어지는 맥주효모 슬러리를 육계사료의 첨가제로서 이용하기 위하여 8$0^{\circ}C$에서 건조하였으며, 육계사료에 0%, 2%, 4% 첨가ㆍ급여하여 육계의 성장과 장기발달 및 혈액 성상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4% 맥주효모 슬러리의 첨가시 육계의 성장률이 9% 향상되었고(P<0.05) 사료 효율은 8% 개선되었다(P<0.05). 사료섭취량은 전처리구간에 차이가 없었다. 또한 전 처리구간에서 육계의 간장, 심장 및 복강지방의 무게에는 차이가 없었으나, 체중 대비 간장 무게의 비율에 있어서는 4% 첨가구에서 감소되었다. 맥주효모 슬러리의 첨가가 혈중 glucose 농도에는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으나, 혈중 triglyceride 농도에 있어서는 4% 첨가구에서 31%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P<0.05). 특히 맥주효모 슬러리의 첨가가 육계의 혈청 중 total-cholesterol 농도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나, HDL 농도에 있어서는 2%와 4% 첨가구에서 대조구에 비하여 각각 33%와 26% 증가하여(P<0.05), HDL/TC의 비율을 향상시켰다(P<0.05). 본 연구의 결과는 맥주효모 슬러리의 첨가가 육계의 성장 및 사료효율을 개선시켜 육계의 사료 첨가제로서 이용가능성을 확인시켜 주었으며, 특히 혈중에서는 triglyceride 농도를 감소시키고, HDL 농도 및 HDL/TC의 비율을 증가시켜 체내 지방대사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보여준다. This study was conducted for a period for 5 weeks in order to evaluate effects of brewer's yeast slurry(BYS) on the growth performance, organ development and blood composition of broiler chicks. A total number of 84 one day old broiler chicks were allocated to one of three supplemented diets: 0%(control), 2% and 4% BYS. Body weight gain and feed efficiency of chicks fed the diet supplemented with 4% BYS significantly was increased by 9% and 8%, respectively, compared to the control diet(P<0.05). The BYS supplements did not affect weights of liver, heart and abdominal fat, and their ratios per body weight. However, in 4% BYS supplement group, ratio of liver to body weight significantly decreased(P<0.05) by 12%, compared to the control. The supplement of 4% BYS decreased the concentration of triglyceride by 31%, and increased the concentration of high density lipoprotein(HDL) by 26%, compared to the control(P<0.05). These results indicated that the supplementation of 4% BYS in diet can improve body weight gain as well as feed efficiency, and increased the concentration of blood HDL, and ratio of HDL to total-cholesterol of broiler chicks.

      • KCI등재

        Conservation, Use and Research Activities of Medicinal Plants in Sri Lanka

        이석영,조규택,이정로,경호,윤문섭,이영이,정숙,D.S.A. WIJESUNDARA,박기훈,곽재균 한국국제농업개발학회 2009 韓國國際農業開發學會誌 Vol.21 No.4

        스리랑카에는 전통적으로 500여종의 자생식물과 900여종의 도 입식물이 약용으로 이용되고 있다. 전체 자원중 10%는 고유종이 나 79종 정도는 멸종위기에 처해 있다. 약용식물의 멸종은 전통적 인 의료 체계인 Ayurveda (아유베다)에 의한 주요종의 과용과 채 취에 의한 것이며 약용식물의 중요성에 대한 정리는 전통지식에 기반하고 있다. 스리랑카에는 34개 정도의 아유베다 병원이 있으 며 100개 이상의 아유베다 약물생산공급시설이 있다. 자체생산 약 용식물은 자체 수요의 68% 정도이며, Solanum virginianum, Mollugo cerviana, Zingiber officinale, Anethem graveolens, Cedrus deodara, Glycyrrhiza glabra, Phyllanthus emblica, Trachyspermum roxburghianum, Withania somnifera, Piper longum 등이 주요 수입 자원이고, 류마티즘 치료를 위해서는 59과에 속하는 114종, 당료 치료를 위해서는 19과의 32종 등이 사용되고 Caesalpinia bonduc, Erythrina variegata, Indigofera aspalathoides, Cinnamomum camphora, Tinospora glabra 등이 암 치료에 사용되고 있다. 현재 스리랑카에서 중요하게 연구되는 10종의 약용식물은 Coscinium fenestratum (Menispermaceae), Salacia reticulata (Celastraceae), Munronia pinnata (Meliaceae), Rubia cordifolia (Rubiaceae), Woodfordia fruticosa (Lythraceae), Cassia angustifolia (Fabaceae), Withania somnifera (Solanaceae), Indigofera tinctoria (Fabaceae), Cardiospermum halicacabum (Sapindaceae) and Mucuna pruriens (Fabaceae) 등이다. Among the native flora of Sri Lanka, there are well over 500 species that have been and are used in traditional medicine. Apart from that there are over 900 non indigenous medicinal plants used in native medicine. This study introduces the use of medicinal plant for arthritis and rheumatism, cancer, diabetes and tonic, and information on the 10 largest imported herbal materials as well. The main areas of medicinal plant research in Sri Lanka can be categorized as phytochemistry of indigenous medicinal plants and their relatives, medical properties of indigenous medicinal plants, and conservation and sustainable use of medicinal plants. The research institutes working on medicinal plant covered governmental sector and private sector were introduced. Finally, the ten species of priority medicinal plants for further research in Sri Lanka was reviewed as Coscinium fenestratum (Menispermaceae), Salacia reticulata (Celastraceae), Munronia pinnata (Meliaceae), Rubia cordifolia (Rubiaceae), Woodfordia fruticosa (Lythraceae), Cassia angustifolia (Fabaceae), Withania somnifera (Solanaceae), Indigofera tinctoria (Fabaceae), Cardiospermum halicacabum (Sapindaceae) and Mucuna pruriens (Fabaceae) with the Medicinal Plant Conservation Area (MPCA) activity for stainable use.

      • KCI등재

        여주열매의 성숙단계 및 부위에 따른 이화학적 특성

        이장원,이호선,나영왕,강만정,전영아,정숙,경호,이석영 한국자원식물학회 2015 한국자원식물학회지 Vol.28 No.4

        Momordica charantia L. is a valuable food and medicinal plant of the gourd family (Cucurbitaceae) that is cultivated in tropical and subtropical regions of the world.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M. charantia based on cultivars, parts and growing stage were investigated. Crude protein contents of leaf were 27.5%, 26.9%, and 23.6% in native leaf (NL), cv. Erabu leaf (EL), and cv. Dragon leaf (DL), respectively. In particular, the crude protein content was the highest in leaves. The crude fat content was in the order of developmental stage 1 of cv. Erabu fruit (EF1) and developmental stage 1 of native fruit (NF1) with values of 4.0%, and 3.9%, respectively. There was also high amount of crude fiber in stem of all three cultivars. The crude ash content was in the order of cv. Erabu leaf, cv. Dragon leaf, and developmental stage 3 of native fruit (NF3) with values of 23.2%, 17.4%, and 13.6%, respectively. The major minerals found in M. charantia were K, Ca, and Mg. The potassium contents of developmental stage 3 of native fruit (NF3), developmental stage 3 of cv. Dragon fruit (DF3), cv. Dragon stem (DS), and developmental stage 2 of native fruit (NF2) were 498.37, 339.21, 314.30, and 307.34 ㎎ /100g, respectively, while the calcium contents were decreased of EL, DL, and NL with values of 513.45, 371.69, and 209.43 ㎎/100g, respectively. The calcium content was higher in leaves and stems than fruits. On the otherhand, the highest magnesium content was measured in EL (69.92 ㎎/100g). The highest contents of chlorophyll a, chlorophyll b, and total chlorophyll were found in NL (442.9 ㎎/100g dw), EL (759.6 ㎎/100g dw), and EL (1164.9 ㎎/100g dw), respectively. The vitamin C contents from developmental stage 2 of cv. Erabu fruit (EF2), NF3, developmental stage 3 of cv. Erabu on fruit (EF3), and NF2 were found with values of 2849.9, 2330.5, 1985.1, and 1844.5 ㎎/㎏, respectively, and found to be higher in Korean cultivar and Erabu fruit than in Dragon. The charantin contents of leaf were higher than the fruit found to be 547.71, 506.04 and 395.62 ㎍/g dw in DL, EL and EF2, respectively. According to the results, mineral contents, total chlorophyll and charantin contents of M. charantia were higher in the leaves (EL and DL) than the fruits. And, vitamin C content was the highest in the fruit (EF2 and EF3). Therefore, much more research needs to be undertaken to use of the leaves as well as fruits. The data showed that M. charantia can be considered a good source of nutrient for application in food system. 여주(Momordica charantia L.)는 열대, 아열대 지방에서 재배되고 있는 박과의 유용한 작물로 약리작용이 뛰어난 식물이다. 여주의 품종별, 부위별 그리고 열매의 생장단계별 이화학성분을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조단백질은 NL 27.5%, EL26.9%, DL 23.6%로 특히 잎에 가장 많이 함유되어 있었고 조지방은 EF1 4.0%, NF1 3.9% 순으로 열매가 생장함에 따라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조섬유는 세 품종 모두 줄기에 많이 함유되어 있었으며 조회분은 EL 23.2%, DL 17.4%, NF3 13.6% 순이었다. 주요 무기성분은 K, Ca 및 Mg으로 특히 K은 NF3 498.37, DF3 339.21, DS 314.30 그리고 NF2 307.34 ㎎/100g 순이었다. Ca의 함량은 EL 513.45, DL 371.69, NL 209.43 ㎎/100g 순으로열매보다 잎과 줄기에 많이 함유되어 있었으며, Mg은 EL에서69.92 ㎎/100g으로 그 함량이 가장 높았다. 엽록소 a는 NL 44.29 ㎎/㎏, 엽록소 b는 EL 75.96 ㎎/㎏ 그리고 총엽록소 함량은 EL 116.49 ㎎/㎏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여주의 비타민 C 함량은 EF2 2849.9, NF3 2330.5 EF3 1985.1 그리고 NF2 1844.5 ㎎/㎏ 순이었고, 드레곤 보다는 재래종과 에라부의 열매에 많이 함유되어 있었다. charantin의 함량은 열매보다도 잎에서 더 높게 나타났으며 그 함량은 DL 547.71, EL 506.04, EF2 395.62 ㎍/g 순으로 많이 함유되어 있었다. 이상의 결과로 보아무기성분, 총클로로필 및 캐란틴 함량은 열매보다 잎(EL, DL) 에서 , 비타민 C 함량은 열매(EF2, NF2)에서 함유량이 높았다. 따라서 여주는 훌륭한 영양성분의 공급원으로 앞으로 무기성분과 비타민 함량이 풍부한 재래종 열매뿐 아니라 잎에 대한 사용법 모색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 KCI등재

        연구보문 : 말레이시아의 약용식물 보존, 연구 및 활용현황

        이석영 ( Sok Young Lee ),고호철 ( Ho Cheol Ko ),이영이 ( Young Yi Lee ),노나영 ( Na Young Ro ),정숙 ( Jung Sook Sung ),이정로 ( Jung Ro Lee ),경호 ( Kyung Ho Ma ),허윤찬 ( Yoon Chan Huh ),김정곤 ( Chung Kon Kim ),윤문섭 ( Mun 한국국제농업개발학회 2010 韓國國際農業開發學會誌 Vol.22 No.4

        세계 12대 다양성 주요국가 중의 하나인 말레이시아는 식물의 다양성이 풍부한 나라로서 12,000여 관속 식물 중 10%인 1,200여 종이 약용식물로 분류되고 있다. 약용식물의 현지외 보존은 특성에 따라 각 기관에서 이루어지고 있으나, 말레이시아 산림연구소에서 가장 많이 보존하고 있는데 주요 약용식물 87종이 보존되고 있다. 보존 식물중에는 커리의 원료가 되는 Curcurma longa나 생강(Zingiber officinale) 등이 포함된 생강과가 10종으로 가장 많고, 그 다음이 대극과(Euphorbiaceae)로 Croton tiglium등 8종을 보존하고 있다. 보존 약용식물 중 67여 종이 이질치료에 사용되고 있으며, 37종은 열을 조절하는데, 25종은 피부병 치료에 사용되고 있는 반면 알러지, 마취제, 아메바성 이질, 항콜레라, 구토제, 괴혈병 치료에 이용되는 식물은 한 종류씩 만 보고되고 있다. 중요한 병인 류머티스 관절염에는 생강과의 Zingiber zerumbet 등 21종이 치료에 사용되고 있고, 항암에는 Leea indica 등 4종의 식물이 보고되고 있으며, 당뇨에는 Catharanthus roseus 등 6종이, 고혈압에는 Tacca integrifolia 등 2종이, 강장제로는 Zingiber ostensii 등 12종이 보고되고 있다. 현재 말레이시아에서의 약용 및 방향성 식물에 대한 연구는 약용식물의 화학성분, 생리활성 등에 강조되고 의약개발을 위한 생리활성물질연구에 중요성을 두고 있지만 실제적으로 약용식물관리의 기본이 되는 유전자원 보존, 재배, 생산물처리, 가공, 수확후 관리 기술, 표준화, 독성 및 이용성 등에 대한 연구는 많이 부족한 실정이다. Malaysia, being one of the 12 mega-diversity countries in the world, has rich plant diversity. Of the 12,000 species of vascular plants, 10% or approximately 1,200 species are reported to have medicinal properties. At the ex-situ conservation, the Forest Research Institute Malaysia(FRIM) keeps a total of 87 species of medicinal plants from the 78 genuses in 49 families. Among the 87 species of ex-situ collection at FRIM, the Zingiberaceae, which includes Cucurma longa, has the biggest collection with 10 species and the Euphorbiaceae, which includes Croton tiglium, was the second with 8 species. The other institute on ex-situ conservation is conducted in various state purposed. Among the medicinal plants conserved, a total of 67 species are used for curing dysentery, 37 species are for fever, 25 species are for skin disease while the other symptoms such as allergic, anaesthetic, anti-amoebic, anti-choleric, anti-emetic, anti-scorbutic, baldness, etc. has only one species. The majority of the current research on natural products and Medicinal & Aromatic Plants(MAP) has strengthened the basic understanding of many of the Malaysian species in terms of chemical profiles and biological activities. As well, a natural product research currently still places a lot of importance on bio-active components in relation to selected therapeutic targets and phytochemical screening. However, research is still very much lacking in MAP conservation, cultivation, product development, processing technology for raw materials, post harvest handling and technology, standardization, toxicology and efficac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