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충전선로를 이용한 Damped Sinusoidal 전자기펄스 발생장치

        류지헌,Ryu, Ji-Heon 한국군사과학기술학회 2006 한국군사과학기술학회지 Vol.9 No.2

        A damped sinusoidal electromagnetic pulse generator was designed, fabricated and tested. The pulse generator consisted of an oscillator(a spark gap switch and an initially charged low impedance line) and a high impedance antenna. This generator was capable of producing damped sinusoidal pulses at closure of the spark gap switch. A Marx generator was employed to supply the Pulse generator with high voltage pulses. While the pulse generator was provided with the high voltage pulses of 200kV from the Marx generator, its output power was maximized by controlling the pressure of the gas contained in the spark gap switch. The output power of the damped sinusoidal electromagnetic pulse oscillator was 1.3GW and the amplitude of electric field radiated from the pulse generator was 4kV/m at the range of 25m.

      • KCI등재후보

        리튬 이차전지의 음극재료인 천연흑연의 충방전 속도에 따른 충방전 용량

        류지헌,오은영,오승모,Ryu Ji Heon,Oh Eun Young,Oh Seung M. 한국전기화학회 2004 한국전기화학회지 Vol.7 No.1

        리튬 이차전지의 음극재료로서 천연흑연의 충방전 속도에 따른 용량특성을 조사하였다 정전류 조건에서 $0.0-2.0V(vs. Li/Li^+)$의 범위에서 충방전 하였을 때, 충전전류가 증가할수록 충전반응의 과전압이 증가하여 $Li^+$이온이 충분히 삽입되지 못한 상태에서 컷오프 전압(0.0 V)에 도달하기 때문에 충전용량은 충전전류의 크기가 클수록 감소하였다. 한편, 방전전류가 증가함에 따라 방전반응의 과전압도 증가하여 0.0-0.3V범위에서 방전반응이 일어나나 방전 컷오프 전압(2.0 V)과는 격차가 커서 $Li^+$이온이 탈리되지 못한 상태에서 방전 컷오프에 도달하는 현상은 없기 때문에 방전용량이 방전전류의 크기에 영향을 받지 않았다. 충전전류가 증가함에 따라 부반응인 리튬 전착반응의 과전압도 증가하므로 충전 컷오프 전압을 0.0V 이하로 낮출 수 있었다. 그러나 $Li^+$이온의 삽입반응에 비해 전착반응의 저항이 적어 충전전류에 따른 전착반응의 과전압 증가에는 한계가 있었다. 1C조건에서 -0.04V까지 충전 z컷오프 전압을 낮추었을 때 리튬의 전착반응은 없었고, 이로부터 약 $11\%$의 방전용량을 증가시킬 수 있었다. The charge/discharge capacity of natural graphite anode in lithium secondary batteries was examined as a function of charge/discharge rate. When the natural graphite anode was galvanostatically cycled in the range of 0.0-2.0V $(vs.\;Li/Li^+)$, the charging capacity decreased with an increase in the charging rate, which is caused by an earlier approach to the charging cut-off (0.0 V) before the complete charging that is in turn caused by an ever-increasing overpotential at higher rates. Even if the overpotential of discharging reaction also increased at higher discharge rates, the discharging reaction took place in the range of 0.0-0.3 V that is far below the discharge cut-off (2.0 V). As a result, the discharge capacity was not affected by the discharge rate because all the lithium ions once intercalated are fully discharged even at high current condition. As the overpotential of lithium deposition reaction also increased at high current condition, the charge capacity of natural graphite could be enlarged by lowering the charging cut-off voltage below 0.0 V, There is, however, a limitation for the lowering of cut-off voltage because the resistance for lithium deposition is smaller than that of lithium intercalation into graphite. When the charge cut-off voltage was lowered down to -0.04 V under IC condition, lithium ions were inserted into graphite without lithium deposition such that the discharge capacity could be raised up to $11\%$.

      • KCI등재

        인지부하 측정을 위한 구인의 탐색 및 타당화

        류지헌 ( Jee Heon Ryu ),임지현 ( Ji Hyun Yim )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 2009 교육정보미디어연구 Vol.15 No.2

        이 연구의 목적은 인지부하 측정을 위한 구인을 도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문헌분석을 통하여 5개의 요인을 도출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인지부하 측정설문을 개발하였다. 이 연구에 참여한 연구대상은 대학생 217명이었으며 컴퓨터 기반의 학습활동을 실시한 다음에 인지부하 설문에 응답하도록 하였다. 우선 탐색적 요인분석(KMO=.89, Bartlett 검정=2393.58, p<.01)을 실시하였으며 요인추출 방법은 최대우도법(maximum likelihood method)을 적용하여 모형의 적합도를 평가했다. 또한 요인의 회전을 위해서는 사교회전 방법을 적용하였다. 최종적으로 5요인모형이 적합한 것으로 평가되었으며, 설명된 총분산은 61.45%이었다. 최종적으로 도출된 5요인은 자기 평가(self evaluation), 신체적 노력(physical effort), 정신적 노력(mental effort), 자료 설계(material design), 과제 난이도(task difficulty)였으며, 총 20문항으로 구성되었다. 탐색적 요인분석의 결과에 대한 타당화를 위하여 확인적 요인분석이 실시되었다. 확인적 요인분석의 결과에 따르면 카이검증(x2=330.68, p<.05)과 GFI(=.87)는 수용기준에 미치지 못했으나, CMIN/DF=2.07, IFI=.93, CFI=.93, TLI=.91, RMSEA=.07인 것으로 나타나 적합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또한 각 구인별 측정문항의 개념타당도, 개념신뢰도, 분산추출지수, 문항의 내적 일관성에 대한 검토가 진행되었다. 전체적으로 개념타당도, 개념신뢰도, 문항의 내적 일관성에서는 수용수준에 이른 것으로 평가되었다. 그러나 분산추출지수는 최저기준에 이르지 못했기 때문에 수렴타당도를 형성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를 통하여 다음과 같은 논의를 제시하였다. 첫째, 인지부하를 위한 고차요인 모형의 형성 가능성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둘째, 학습자의 지식수준에 따라서 내재적 인지부하가 변화될 수 있기 때문에 이러한 변화가능성을 반영한 요인모형을 연구할 필요가 있다. 셋째, 학습자의 동기수준이나 정서상태에 따라서 인지할당의 효율성이 달라질 수 있다. 넷째, 학습자의 작업기억 용량에 따라서 인지부하의 효율성이 달라질 수 있기 때문에 작업기억과 인지부하와의 역동적 속성을 반영해야 한다. 다섯째, 인지부하에 대한 연구에서 생리신호와 같은 행동적 특성을 반영한 심층적 연구가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measurement constructs of cognitive load theory and validate the factor model derived from the exploratory study. In an effort to meet the purposes literature review was conducted to establish initial factors, and it turned out 5 factors(self-evaluation, physical efforts, mental efforts, material design, and task difficulty). The total numbers of questionnaire items were twenty, which each category contained four items. With the given initial factor model, an exploratory factor analysis was conducted. The extraction method was maximum likelihood method, and oblique technique was applied for the factor rotation. The total explained variance were estimated as 61.45%, and five factor model was selected. Also an confirmative factor analysis was conducted to validate the five factor model. The overall goodness-of-model fit was evaluated as acceptable: CMIN/DF, IFI, CFI, TLI, and RMSEA met with the minimum requirements. Once the model estimation was acceptable, construct validation, composite reliability, variance extraction, and Cronbach`s α were evaluated. All the questionnaires were evaluated to meet the requirement for construct validation, composite reliability, and Cronbach`s α. However, variance extractions of each latent variables did not meet the minimum requirement except for mental effort. This result indicated that the five factor model extracted from this study established constructs, which were acceptable for construct validation, but the factor model could not establish a sound convergent validation to measure the cognitive load. First, this study suggested that constructs of cognitive load may form a higher-oder structure rather than a single factor model. Second, there could be a moderate effect by learner`s knowledge level. Third, motivation aspect should be added to measure cognitive load because affective factor may have an impact on learner`s cognitive load. Fourth, the learner`s working memory capacity (WMC) may affect the cognitive load because the efficiency of cognitive process will be relied on the WMC. Last, behavioral feature such as physiological factor should be included for the further study. In this study, physical effort was extracted one of the constructs of cognitive load.

      • KCI등재

        전해액 첨가제가 흑연 음극의 저온특성에 미치는 영향

        박상진,류지헌,오승모,Park, Sang-Jin,Ryu, Ji-Heon,Oh, Seung-Mo 한국전기화학회 2012 한국전기화학회지 Vol.15 No.1

        표준 전해액에 2중량%의 VC(vinylene carbonate)와 FEC(fluoroethylene carbonate)를 각각 첨가한 전해액으로부터 흑연 음극 표면에 SEI(solid electrolyte interphase) 층을 형성시키고, SEI 특성에 따른 흑연 음극의 저온($-30^{\circ}C$) 충방전 특성을 조사하였다. 흑연의 충 방전 용량은 FEC를 첨가한 전해액, 표준 전해액, 그리고 VC를 첨가한 전해액의 순서로 감소하였고, 충 방시 발생하는 과전압은 반대경향을 보이며 증가하였다. 이는 첨가제의 종류에 따라 생성된 SEI 층의 저항과 전하전달저항에 차이가 있음을 설명하는데, 이를 SEI 층의 화학 조성과 두께를 비교하여 확인하였다. 표준 전해액으로부터 생성된 SEI 층은 C-O 성분을 포함하는 고분자 형태의 화합물과 리튬 염의 환원분해로 생성된 $Li_xPF_yO_z$ 등으로 구성되었다. VC를 포함한 전해액으로부터 생성된 SEI 층은 C-O 화합물 비율이 높고 조밀하여 리튬 염의 분해가 억제되어 얇은 피막이 생성됨에도 불구하고 가장 큰 저항 값을 보였다. 반면에 FEC로부터 생성된 SEI 층은 C-O 성분의 비율이 VC를 첨가한 전해액의 경우보다는 작으면서도 리튬 염의 분해가 크지 않아서, 리튬 이온의 이동이 가장 용이한 피막을 형성하고 있어 가장 낮은 피막저항 및 전하전달 저항을 나타내었다. 결론적으로 FEC를 첨가제로 사용한 경우 생성된 SEI 층의 저항이 가장 작아서 흑연 음극의 저온특성이 가장 우수하였다. SEI (solid electrolyte interphase) layers are generated on a graphite negative electrode from three different electrolytes and low-temperature ($-30^{\circ}C$) charge/discharge performance of the graphite electrode is examined. The electrolytes are prepared by adding 2 wt% of vinylene carbonate (VC) and fluoroethylene carbonate (FEC) into a standard electrolyte solution. The charge-discharge capacity of graphite electrode shows the following decreasing order; FEC-added one>standard>VC-added one. The polarization during a constant-current charging shows the reverse order. These observations illustrate that the SEI film resistance and charge transfer resistance differ according to the used additives. This feature has been confirmed by analyzing the chemical composition and thickness of three SEI layers. The SEI layer generated from the standard electrolyte is composed of polymeric carbon-oxygen species and the decomposition products ($Li_xPF_yO_z$) of lithium salt. The VC-derived surface film shows the largest resistance value even if the salt decomposition is not severe due to the presence of dense film comprising C-O species. The FEC-derived SEI layer shows the lowest resistance value as the C-O species are less populated and salt decomposition is not serious. In short, the FEC-added electrolyte generates the SEI layer of the smallest resistance to give the best low-temperature performance for the graphite negative electrode.

      • KCI등재

        리튬이온 이차전지용 고로딩 LiCoO<sub>2</sub> 양극의 전극설계에 따른 전기화학적 성능연구

        김해빈,류지헌,Kim, Haebeen,Ryu, Ji Heon 한국전기화학회 2020 한국전기화학회지 Vol.23 No.2

        고에너지 밀도의 리튬이온 이차전지를 구성하기 위하여 고로딩 LiCoO<sub>2</sub> 양극을 구성하였으며, 이의 전극설계를 다르게 하며 전기화학적 특성을 비교하였다. 기준로딩을 적용한 전극의 경우 약 2.2 mAh/㎠의 로딩값을 가지도록 하고, 고로딩 전극의 경우 약 4.4 mAh/㎠의 로딩값을 가지도록 전극을 제조하였다. 이때 도전재인 카본블랙의 함량과 전극의 기공도를 다르게 구성하여 전극 내의 전자전도도와 이온전도도가 고로딩 전극의 성능에 주는 영향을 비교하였다. 도전재의 함량이 증가할수록 전기화학적 성능이 향상될 것으로 기대하였으나, 도전재의 함량이 7.5 질량%까지 증가하게 되면 오히려 성능의 저하가 발생하였다. 이는 도전재가 충분히 제공된 경우에는, 동일한 로딩의 전극구성에서 활물질인 LiCoO<sub>2</sub> 구성비의 감소로 인해 전극두께가 증가하기 때문에 이로 인한 분극증가가 원인으로 판단된다. 그리고 전극의 기공도를 증가시키게 되면 이온전달의 경로는 확장될 수 있으나, 입자들 간의 접촉이 저하되고 전극의 두께가 증가하기 때문에 전극 내 전자전달은 불리하게 된다. 따라서, 전극의 압착을 강하게 하여 기공도를 낮출수록 전자전달이 개선되어 전지의 성능이 향상되었다. 고로딩 전극의 제조에 있어서는 전자전달의 경로를 충분히 확보하면서 전극두께를 감소시키는 전극설계가 필요하다. Highly loaded LiCoO<sub>2</sub> positive electrodes are prepared to construct high-energy density lithium-ion batteries, their electrochemical performances are evaluated. For the standard electrode, a loading of about 2.2 mAh/㎠ is used, and for a high-loading electrode, an electrode is manufactured with a loading level of about 4.4 mAh/㎠. The content of carbon black as electronic conducting additive, and the porosity of the electrode are configured differently to compare the effects of electron conduction and ionic conduction in the highly loaded LiCoO<sub>2</sub> electrode. It is expected that the electrochemical performance is improved as the amount of the carbon black increases, but the specific capacity of the LiCoO<sub>2</sub> electrode containing 7.5 weight% carbon black is rather reduced. When the conductive material is excessively provided, an increase of electrode thickness by the low content of the LiCoO<sub>2</sub> active material in the same loading level of the electrode is predicted as a cause of polarization growth. When the electrode porosity increases, the path of ionic transport can be extended, but the electron conduction within the electrode is disadvantageous because the contact between the active material and the carbon black particles decreases. As the electrode porosity is lowered through the sufficient calendaring of the electrode, the electrochemical performance is improved because of the better contact between particles in the electrode and the reduced electrode thickness. In the electrode design for the high-loading, it is very important to construct the path of electron conduction as well as the ion transfer and to reduce the electrode thickness.

      • KCI등재

        리튬 이차전지 음극용 Cu<sub>3</sub>Si의 고온에서의 전기화학적 특성

        권지윤,류지헌,김준호,채오병,오승모,Kwon, Ji-Y.,Ryu, Ji-Heon,Kim, Jun-Ho,Chae, Oh-B.,Oh, Seung-M. 한국전기화학회 2010 한국전기화학회지 Vol.13 No.2

        DC magnetron 스퍼터링을 이용해 구리(Cu) 호일 위에 실리콘(Si)을 증착한 후 $800^{\circ}C$에서 열처리하여 $Cu_3Si$를 얻고, 이의 리튬 이차전지용 음극으로서 특성을 조사하였다. $Cu_3Si$는 Si 성분을 포함하고 있으나 상온에서 리튬과 반응하지 않았다. 선형 주사 열-전류(linear sweep thermammetry, LSTA) 실험과 고온 충방전 실험을 통하여, 상온에서 비활성인 $Cu_3Si$가 $85^{\circ}C$ 이상에서는 활성화되어 Si 성분이 전환(conversion)반응에 의해 리튬과 반응함을 확인하였다. $Cu_3Si$에서 분리된 Si는 $120^{\circ}C$에서 Li-Si 합금 중에서 리튬의 함량이 가장 많은 $Li_{21}Si_5$ 상까지 리튬과 반응함을 유사 평형 조건(quasi-equilibrium)의 실험으로부터 알 수 있었다. 그러나 정전류 조건($100\;mA\;{g_{Si}}^{-1}$)에서는 리튬 합금반응이 $Li_{21}Si_5$까지 진행되지 못하였다. 또한 $120^{\circ}C$에서 전환반응에 의해 생성된 Li-Si 합금과 금속 상태의 Cu는 충전과정에서 다시 $Cu_3Si$로 돌아감, 즉 $Cu_3Si$와 리튬은 가역적으로 반응함을 확인하였다. $120^{\circ}C$에서 $Cu_3Si$ 전극은 비정질 실리콘 전극보다 더 우수한 사이클 특성을 보여 주었다. 이는 비활성인 구리가 실리콘의 부피변화를 완충하여 집전체에서 탈리되는 현상을 완화하고 결과적으로 전극이 퇴화하는 것을 억제하기 때문인 것으로 설명할 수 있다. 실제로 비정질 실리콘 전극은 충방전 후에 실리콘 층의 균열과 탈리가 관찰되었으나, $Cu_3Si$ 전극에서는 이러한 현상이 관찰되지 않았다. A $Cu_3Si$ film electrode is obtained by Si deposition on a Cu foil using DC magnetron sputtering, which is followed by annealing at $800^{\circ}C$ for 10 h. The Si component in $Cu_3Si$ is inactive for lithiation at ambient temperature. The linear sweep thermammetry (LSTA) and galvano-static charge/discharge cycling, however, consistently illustrate that $Cu_3Si$ becomes active for the conversion-type lithiation reaction at elevated temperatures (> $85^{\circ}C$). The $Cu_3Si$ electrode that is short-circuited with Li metal for one week is converted to a mixture of $Li_{21}Si_5$ and metallic Cu, implying that the Li-Si alloy phase generated at 0.0 V (vs. Li/$Li^+$) at the quasi-equilibrium condition is the most Li-rich $Li_{21}Si_5$. However, the lithiation is not extended to this phase in the constant-current charging (transient or dynamic condition). Upon de-lithiation, the metallic Cu and Si react to be restored back to $Cu_3Si$. The $Cu_3Si$ electrode shows a better cycle performance than an amorphous Si electrode at $120^{\circ}C$, which can be ascribed to the favorable roles provided by the Cu component in $Cu_3Si$. The inactive element (Cu) plays as a buffer against the volume change of Si component, which can minimize the electrode failure by suppressing the detachment of Si from the Cu substrate.

      • KCI등재

        겹층구조의 LMO-NCM 복합양극을 통한 고온 사이클 수명개선 연구

        유성태,류지헌,Yoo, Seong Tae,Ryu, Ji Heon 한국전기화학회 2022 한국전기화학회지 Vol.25 No.4

        Spinel LiMn<sub>2</sub>O<sub>4</sub> (LMO) and layered LiNi<sub>0.5</sub>Co<sub>0.2</sub>Mn<sub>0.3</sub>O<sub>2</sub> (NCM) are widely used as positive electrode materials for lithium-ion batteries. LMO and NCM positive electrode materials have a complementary properties. LMO has low cost and high safety and NCM materials show a relatively high specific capacity and better cycle life even at elevated temperature. Therefore, the LMO and NCM active materials are blended and used as a positive electrode in large-size batteries for electric vehicles (xEV). In this study, the cycle performance of a blended electrode prepared by simply mixing LMO and NCM and a bi-layer electrode in which two electrode layers aree sequentially coated are compared. The bi-layer electrode prepared by composing the same ratio of both active materials has similar capacity and cycle performance to the blend electrode. However, the LN electrode coated with LMO first and then NCM is the best in the full cell cycle performance at elevated temperature, and the NL electrode, in which NCM is first coated with LMO has a faster capacity degradation than the blended electrode because LMO is mainly located on the top of the electrode adjacent to electrolyte and graphite negative electrode. Also, the LSTA (linear sweep thermmametry) analysis results show that the LN bi-layer electrode in which the LMO is located inside the electrode has good thermal stability.

      • KCI등재

        구리 프탈로시아닌으로 표면처리된 흑연 음극의 속도특성 및 저온성능 개선

        정선형,박상진,류지헌,오승모,Jurng, Sunhyung,Park, Sangjin,Ryu, Ji Heon,Oh, Seung M. 한국전기화학회 2015 한국전기화학회지 Vol.18 No.3

        흑연 분말을 프탈로시아닌 또는 구리 프탈로시아닌과 함께 비활성 분위기에서 각각 열처리하여 표면처리를 진행하였고, 이의 속도특성과 저온 작동특성을 조사하였다. 표면처리 후 흑연 분말의 표면에 비정질 탄소와 구리의 코팅 층이 균일하게 형성되었다. 표면처리를 통하여 흑연 전극의 속도특성이 개선되는 것을 확인하였는데, 특히 구리 프탈로시아닌으로 처리한 경우 속도특성의 향상이 두드러졌다. 흑연 전극의 저항을 교류 임피던스와 펄스 저항측정법을 활용하여 조사하였는데, 구리 프탈로시아닌으로 처리된 흑연 전극의 경우가 저항이 가장 작았다. 프탈로시아닌으로 부터 유도된 비정질 탄소 층이 리튬이온의 확산을 용이하게 하고, 구리 프탈로시아닌으로부터 유도된 금속상태의 구리는 전자 전도도를 증가시키기 때문에 저항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판단된다. The rate capability and low-temperature characteristics of graphite electrode are investigated after surface treatment with copper phthalocyanine (CuPc) or phthalocyanine (Pc). Uniform coating layers comprising amorphous carbon or copper are generated after the treatment. The rate performance of graphite electrodes is enhanced by the surface treatment, which is more prominent with CuPc. The resistance of the graphite electrode estimated from electrochemical impedance spectroscopy and pulse resistance measurement is the smallest for the CuPc-treated graphite. It is likely that the amorphous carbon layer formed by the decomposition of Pc facilitates $Li^+$ diffusion and the metallic copper derived from CuPc improves the electrical conductivity of the graphite electrode.

      • KCI등재

        결정화도에 따른 Li<sub>3</sub>V<sub>2</sub>(PO<sub>4</sub>)<sub>3</sub> 음극의 전기화학적 특성

        구준환,박경진,류지헌,오승모,Ku, Jun-Whan,Park, Kyung-Jin,Ryu, Ji-Heon,Oh, Seung-Mo 한국전기화학회 2012 한국전기화학회지 Vol.15 No.1

        열처리 온도를 $600^{\circ}C$와 $800^{\circ}C$로 다르게 하여 비정질 및 결정질구조의 탄소를 포함하는 $Li_3V_2(PO_4)_3/C$분말을 각각 합성하였으며, 결정성에 따른 리튬 이차전지용 음극으로의 특성을 비교하였다. 결정질 $Li_3V_2(PO_4)_3/C$은 추가반응에 의하여 리튬이 저장되기 때문에 260 mAh $g^{-1}$의 제한된 용량만을 지니고 있음에 비하여, 비정질 $Li_3V_2(PO_4)_3/C$는 3가의 바나듐이 금속상태에 근접할 정도로 가역적으로 반응되어 460 mAh $g^{-1}$의 큰가역용량을 발현함을 확인하였다. 이는 비정질 구조에서 기인하는 특성으로 유연한 구조로 인한 새로운 리튬의 저장공간이 확보되는 것 때문이라 할 수 있다. 또한, 비정질 $Li_3V_2(PO_4)_3/C$는 비정질 구조에 기인하는 선형적인 충방전 곡선을 지니고 있어 정확한 충전심도의 예측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결함구조에서 유발된 리튬이온의 향상된 확산성으로 인하여 우수한 속도 특성도 나타내고 있다. $Li_3V_2(PO_4)_3$/carbon composite materials are synthesized from a sucrose-containing precursor. Amorphous $Li_3V_2(PO_4)_3/C$ (a-LVP/C) and crystalline $Li_3V_2(PO_4)_3/C$ (c-LVP/C) are obtained by calcining at $600^{\circ}C$ and $800^{\circ}C$, respectrively, and electrochemical performance as the negative electrode for lithium secondary batteries is compared for two samples. The a-LVP electrode shows much larger reversible capacity than c-LVP, which is ascribed to the spatial $Li^+$ channels and flexible structure of amorphous material. In addition, this electrode shows an excellent rate capability, which can be accounted for by the facilitated $Li^+$ diffusion through the defect sites. The sloping voltage profile is another advantageous feature for easy SOC (state of charge) estimation.

      • KCI등재

        표면코팅을 통한 LiMn<sub>2</sub>O<sub>4</sub> 양극의 고온성능 개선

        이길원,이종화,류지헌,오승모,Lee, Gil-Won,Lee, Jong-Hwa,Ryu, Ji-Heon,Oh, Seung-M. 한국전기화학회 2009 한국전기화학회지 Vol.12 No.1

        리튬 이차전지의 양극 활물질인 스피넬 망간산화물(${LiMn_2}{O_4}$, LMO) 표면에 ITO(indium tin oxide)를 코팅하여, 고온($55^{\circ}C$)에서 사이클 수명과 속도특성을 조사하였다. 정전류 정전압 충방전 실험의 결과, ITO가 코팅되지 않은 LMO 전극의 표면에서 고온 고전압 조건에서 전해질이 분해하여 피막이 형성되고, 이 피막의 저항으로 인하여 분극현상(polarization)이 심하게 발생하였다. 그러나, ITO가 2 mol% 이상 코팅된 LMO의 경우 양극 활물질과 전해질과의 직접적인 접촉 면적이 줄어들어, 전해질의 분해가 감소하였고 내부저항에 의한 분극 현상 또한 현저히 감소하였다. 이러한 결과, ITO가 코팅된 전극의 충방전에 따른 가역성이 코팅되지 않은 LMO에 비해 크게 향상되었다. 적외선 분광기를 이용하여 ITO가 코팅된 LMO 표면에서 피막형성이 감소함을 확인하였다. ITO의 코팅으로 LMO 전극의 속도특성도 크게 향상되었는데, 이는 저항이 큰 피막형성이 억제된다는 점과 ITO의 전기전도도가 크다는 사실로 설명할 수 있다. An indium-tin oxide (ITO) coated spinel manganese oxide (${LiMn_2}{O_4}$, LMO) is prepared and its high-temperature ($55^{\circ}C$) cycle performance and rate capability are examined. A severe electrolyte decomposition and film deposition is observed on the un-coated ${LiMn_2}{O_4}$ cathode, which leads to a significant electrode polarization and capacity fading. Such an electrode polarization is, however, greatly reduced for the ITO-coated (> 2 mol%) LMO cathode, which leads to an improved cycle performance. This can be rationalized by a suppression of electrolyte decomposition, which is in turn indebted to a decrease in the direct contact area between LMO and electrolyte. The suppression of film deposition on the ITO-coated LMO cathode is confirmed by infra-red spectroscopy. The rate capability is also improved by the surface coating, which may be resulted from a suppression of resistive film deposition and high electric conductivity of ITO itself.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