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일본에서 부분위헌결정에 관한 논의

        류지성(RYU Ji Sung) 유럽헌법학회 2015 유럽헌법연구 Vol.17 No.-

        우리나라에서는 일반적으로 일본에는 위헌결정이 없거나 극히 드물다고 인식되고 있다. 그러한 인식은 법령의 전체를 무효로 결정하는 것만을 위헌결정으로 바라보기 때문이다. 한국과 같은 헌법재판소제도를 취하지 않고 통상의 사법법원에서 위헌심사를 행사하는 일본은 법령전체에 대한 위헌결정을 매우 신중히 해 왔다는 것은 주지의 사실이다. 위헌심사 70여년의 역사 가운데 법령을 단적으로 위헌으로 선언한 것은 단9건에 불과하다. 이를 두고 최고재판소의 사법소극주의라는 비판이 계속되어 온 것도 사실이다. 그러나 사법소극주의는 부수적 위헌심사제와 서로 상응하는 것은 아니다. 일본은 부수적 위헌심사제를 취함으로써 헌법소송을 제기할 적격을 가지는 것은 사건성과 쟁송성을 만족할 것을 요구함에 지나지 않는다. 이를 두고 사법소극주의와 결부시키는 것은 타당하지 않다. 사법소극주의는 여러 가지 측면에서 논할 수 있겠지만 일본의 위헌심사를 사법소극주의라고 말할 수 있기 위해서는 가급적 법령전체에 대한 위헌판단을 신중하고 소극적으로 행사한다는 차원에서 말할 수 있는 성질의 것이다. 우리나라에서는 이러한 점을 두루뭉술하게 이해하고 있어, 일본의 위헌심사제가 단지 법령위헌에만 그치는 것이 아니라는 점을 논하기 위해 본 논문이 작성되었다. 일본 최고재판소는 위헌심사 초기부터 법령의 전체를 무효로 판단하는 것만을 우선시 하였는지도 모른다. 그러나 최고재판소 뿐만 아니라 하급재판소에서도 위헌심사가 적지 않게 이루어져 오고 있고 위헌결정의 방식에 있어서 일찍이 적용위헌이라는 결정방식도 채용되어 오고 있었다는 점을 지적하고자 한다. 적용위헌 뿐만 아니라 처분위헌이나 운용위헌이라는 방식도 일찍이 사용되었다. 그러나 최고재판소가 주지의 사루후츠사건 상고심에서 적용위헌을 부정해 버리면서 적용위헌의 사용이 위축되었다. 적용위헌에 관한 많은 논의가 있기는 하지만 최고재판소가 그것을 채용한 것으로 명확히 받아들일 수 있을 만한 판례는 존재하지 않는다. 적용위헌은 우리나라의 한정위헌과 매우 유사하다. 한정위헌의 필요성이 우리나라에서도 인식되어 이미 더 이상은 변형결정이 아니라고 주장되기에 이를 정도로 보편화 되었다고 할 수 있다. 일본에서도 마찬가지로 우리의 한정위헌에 해당하는 의미상의 부분위헌과 양적 부분위헌에 해당하는 문언상의 부분위헌이 최고재판소에 의해 최근 다용되기 시작했다. 숫자로는 많지 않으나 최고재판소가 낸 위헌결정의 과반수에 이를 정도이고 최근에 그 채용이 늘었다는 점은 주목할 만하다. 우리의 위헌결정에 있어서 법령을 부분적으로만 부정해야 할 필요가 있음이 인식되었듯 일본 최고재판소도 스스로 부정한 적용위헌 대신에 부분위헌을 채용하기 시작했음을 알리고자 하는 시도로서 본 논문을 작성하였다. 이에 관련 판례를 제시하고 각 판결 속에서 나타난 쟁점에 대한 일본 학계의 논의를 소개하였다. 이에따라 한국에서 인식되고 있는 일본의 위헌결정방식 중에서 특히 부분위헌을 중심으로 소개하여 관련 논의에 있어서 한국과의 차이를 드러내기 위한 시도를 하였다. In Republic of Korea, it is generally regarded that there are few cases considered as unconstitutional in Japan. This recognition has been made, since people in Republic of Korea regard the unconstitutionality decision is applied only to the invalidity of the entire legislations. In Japan, the examination regarding the unconstitutionality has been done in the ordinary court of justice, not has been made in the constitutional court, as it is the case of Republic of Korea. And the procedure has been very carefully in Japan. Out of the 70 years` history of the unconstitutionality examination, only 9 cases have been unquestionably declared to be unconstitutional. In regard to this, it has been continuously criticized as the judicial restraint of the Supreme Court. However, the judicial restraint does not correspond with the incidental unconstitutionality examination system. In Japan, it is not more than demanding to meet the requirements for being regarded as cases and disputes to have the eligibility for litigating the constitutional lawsuit, by taking the incidental unconstitutionality examination. It is not plausible to associate the Japan`s case with the judicial restraint. The judicial restraints can be discussed from various aspects, however, it is necessary to proceed the unconstitutionality decision of the entire legislations carefully and passively, to regard the unconstitutionality examination of Japan as the judicial restraints. In Republic of Korea, this has been understood ambiguously, so that this thesis was written to discuss that Japan`s unconstitutionality examination system is not limited to the unconstitutionality of legislations. The Supreme Court of Japan may have regarded judging the entire legislations as invalid from the initial stage, as a prior step to be taken. However, it should be pointed out that the unconstitutionality examination has been occasionally done from the base-court, not only from the Supreme Court; moreover, the decision making method of the applied unconstitutionality has been implemented from the early stage of the unconstitutionality examination. Not only the applied unconstitutionality, but also the dispositional unconstitutionality and the operational unconstitutionality have also been used from early. But when the Supreme Court denied the applied unconstitutionality from the trial at the Supreme Court of the well-known Saruucheu case, so that the usage of the applied unconstitutionality has been reduced. There are many discussions regarding the applied unconstitutionality, but there is not any judicial precedent which clearly shows the adaptation of the applied unconstitutionality by the Supreme Court. The applied unconstitutionality is very similar to the limited unconstitutionality of Republic of Korea. The necessity of the limited unconstitutionality has been already recognized in Republic of Korea, so that it is being insisted that the limited unconstitutionality is not a modified decision anymore, which indicates that it is already generally adapted. In Japan, likewise, the notional partial unconstitutionality which corresponds to the limited unconstitutionality of Republic of Korea and the wording`s partial unconstitutionality which corresponds to the quantitative unconstitutionality of Republic of Korea have recently been used by the Supreme Court again. Though not many when counted by number, the majority of the unconstitutionality decisions of the Supreme Court has applied the partial unconstitutionality stated above, which is worth paying attention. Regarding the unconstitutionality decision of Republic of Korea, the necessity of the partial denial of the legislations has been recognized. Likewise, the Supreme Court of Japan started to implement the partial unconstitutionality instead of the applied unconstitutionality that had been denied by the Japanese Supreme Court itself. This thesis has been written for notifying this. Thus, the judicial precedents related

      • SCIESCOPUSKCI등재
      • KCI우수등재

        Composting 타당성 조사를 위한 Bench-Scale System

        정규혁(Kyu Hyuck Chung),류지성(Ji Sung Ryu) 한국환경보건학회 1998 한국환경보건학회지 Vol.24 No.4

        Composting is an emerging remediation technology for soils contaminated with hazardous chemicals. Bench-scale composting system is an essential tool for researchers and engineers to study biochemical pathways for target contaminants and for preliminary feasibility and optimization studies. Sucessiful design and operation of the remediation composting requires careful consideration of numerous factors affecting the process. The factors can be devided into four classes; physical, chemical, biological and thermodynamical factors. Physical factors define the structure of compost matrix. Chemical factors consider the adequacy of substrates and the toxic effects of contaminants on the compost biomass. Biological factors define biodegradability and the biodegradation rate. Careful choice of a composting system with proper thermodynamical properties ensures the optimal thermophilic conditions. Our bench-scale composting system is 10l acrylic composting reactor with 30cm styroform insulation. This system could be enough to raise and maintain the heat generated from degrading organic substrates. The compost temperature, CO₂ generation and VS/NVS were useful as a tool for determining and evaulating the process of composting. We evaluated and selected the best combination of locally available amendments, bulking agents, and soils to be utilized in the composting technology for remediating contaminated soils.

      • KCI등재
      • KCI등재

        Improving Applicability of Incident Event and Frequency Analysis for Off-site Risk Assessment and Safety Enhancement in Korea

        Sol Lim Kwak(곽솔림),Jin Seon Lee(이진선),Jung Kon Kim(김정곤),Chuntak Phark(박천탁),Seungho Jung(정승호),Ji Sung Ryu(류지성) 위기관리 이론과 실천 2018 Crisisonomy Vol.14 No.9

        장외영향평가의 위험도 분석기법에는 LOPA(Layer of Protection Analysis)와 OGP(Oil&Gas Producer)가 적용되고 있으나 OGP 방식은 완화장치가 설치되어 있다고 가정되어 있는 빈도이기 때문에 LOPA 방식보다 낮게 산정되는 경향이 있다. 또한, 현재 장외영향평가에서 적용하고 있는 LOPA의 개시사건의 정의가 명확하지 않고 일부 개시사건은 중복되거나 다른 방법론들에 비교하여 보수적으로 평가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위험도 분석 시 객관적인 근거를 마련하기 위하여 OGP의 사고발생 빈도, LOPA 위험도평가 기법, FRED(Failure Rate of Equipment Data) 빈도 기법, TNO Purple book 위험성평가의 특성을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장외영향평가에 적용되는 LOPA의 개시사건 빈도를 조정하였다. 또한, 현재 장외영향평가서에서 적용할 수 있는 완화장치가 제한적이기 때문에 CCPS(Center For Chemical Process Safety) 가이드라인과 FRED, RIVM(Netherlands National Institute for Public Health and the Environment)을 분석하여 적용 가능한 완화장치 10개와 향후 고려해볼 수 있는 완화장치 10개를 제시하였다. Both the Layer of Protection Analysis (LOPA) and the Oil & Gas Producer (OGP) have mainly been used to calculate the incident frequencies in ORA (Off-site Risk Assessment). Because the incident frequencies in OGP are calculated under the assumption of well-equipped safety devices, they are a lot lower than those of LOPA. Furthermore, the definition of incident event is not clear and the incident frequencies of LOPA used in ORA are conservatively evaluated compared to other methods. In order to solve these problems, we investigated the incident frequencies of FRED (Failure Rate of Equipment Data) and TNO Purple book and compared them with the incident frequencies of the current domestic ORA. Following that, we adjusted the incident events in the domestic method using LOPA incident events to reduce the gap with other methods. In addition, because the currently-used IPLs are limited, we suggested ten IPLs (Independent Protection Layers) for current applications and ten IPLs for future applications based on the analysis of CCPS guidelines, FRED, and RIVM manual.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