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결혼이주여성의 거주 분포와 민족적 배경에 관한 소고

        류주현(Ju Hyun Ryu) 한국지역지리학회 2012 한국지역지리학회지 Vol.18 No.1

        결혼이주자는 외국인 근로자나 유학생보다 지역사회에 미치는 영향이 크고 그 영향은 결혼이주자들의 자녀로 인해 계속 증가하게 될 것이므로 중요한 지역연구 대상이다. 그러므로 본 연구는 결혼이주자들의 차별적인 거주지 형 성을 가져오는 근본적인 원인을 알아보고자 한다. 외국인 근로자나 유학생의 경우 처음에는 주거지 선택과정이 외생 적 비자발적으로 이루어졌을지라도 점차 이주의 시간이 흐름에 따라 자생적 자발적으로 거주지 선택하는 방향으로 변화하는 반면에, 결혼이주자들의 주거지 분리과정은 자발적인 선택이 거의 어려운 상황에서 이주할 뿐만 아니라 이 주 후에도 주거지 변동 혹은 선택이 자유롭지 못한 것이 특징이다. 그러므로 결혼이주자들의 차별적 주거지 분리패턴 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을 지역사회가 선택한 결혼이주자들의 민족적 배경과 관련지어 설명하고자 한다. 국적별 결혼 이주자의 주거지 분포 경향과 분리정도를 고찰한 후 베트남계와 필리핀계 결혼이주여성의 분포패턴을 중심으로 그 민 족적 배경과 집중 분포지역의 관계를 알아보고자 한다. Marriage Immigrants have greater impact on local communities than migrant workers and foreign students, all the more because their children are relatively more important.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inquire into the fundamental cause on the choice of residential location of marriage immigrants. Residential segregation is often considered to be one of the social problems that intensify locality of residential district. Although migrant workers and foreign students cannot freely decide their residential location at the outset, they could change their residence later on. However marriage immigrants are not free from the residential location choice continuously. The intentional (involuntary) residential segregation brings differential residence of marriage immigrants. The residential segregation of marriage immigrants is concerned with the close relationship of their ethnic background and the community characteristic with focus on Vietnamese and Filipino. The results of this study could be used basic guideline for community development policy for marriage immigrants.

      • SCOPUSKCI등재
      • KCI등재

        특수교육 접근 기회의 지역적 불균등에 대한 기초 연구 -특수학교를 중심으로-

        류주현 ( Ju Hyun Ryu )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 2014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지 Vol.22 No.2

        본 연구는 특수교육 대상 학생들의 학교 선택 기회가 지역적으로 불균등하게 분포되어 있는 현실을 정확히 인식하여, 선택 기회의 지역적 균형을 위한 기초(토대) 연구라 할 수 있다. 특수학교와 특수학급, 일반학급(통합교육)의 규모 증가로 우리 사회 전반의 특수교육 기회가 늘어나고 있는 것은 사실이다. 그러나 기초 연구한 결과, 첫째 긴 통학 소요시간은 특수교육 대상 학생들에게 (일반 학생들에 비해) 더욱 부담되지만, 현실적으로는 ‘통학 소요시간’을 우선 고려한 특수 학교를 선택할 가능성은 희박하였다. 둘째, 일반학생과 특수교육대상 학생들의 근거리 통학비율(30분 이내)를 비교해 본 결과, 일반 학생에 비하여 특수교육대상 학생들의 근거리 통학비율이 지역적 편차가 높게 나타나고 있다. 즉, 특수학교 분포 자체가 매우 제한된(한정된) 입지를 나타내므로, 지역별 교육기회 차이를 나타날 수 밖에 없다. 그러나 이 문제점을 제대로 인식하고 개선하고자 한다면, 점차 특수교육 대상자들이 자기 지역에서 제한적 선택이 아닌 어떤 선택도 가능한 열린 선택을 할 수 있는 교육 환경이 조성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recognizes the regional imbalance of the educational opportunities for students with special education need and aims to provide the basic research on the regional inequity in the opportunity of selection. Although the opportunities for special education have arisen due to the increased numbers of special education schools, special classes, and general(integrated) classes, there are regional distribution difference among the regions at various levels. According to the study results, first, despite the fact that the longer commuting time gives more difficult time to the students with special education need compare to the general students, the possibility to have choices for school selection was rare for them. Second, regional variation of short-distance commuter ratio (within 30 minutes) was remarkably higher for the students with special education need to the general students. The regional distribution difference on the educational opportunities for the students with special education need is considered as unavoidable because of the limited locations of special education schools. However, the correct understanding of the regional disparity problem and willingness to improve the problem will create an educational environment providing the open choice rather than limited choice within the residence for the students with special education need in their residence.

      • KCI등재

        가축분뇨액비의 길항미생물에 의한 토양전염성 병원균의 생육억제 효과

        류주현(Ju Hyun Ryu),심규열(Gyu Yul Shim),김기선(Ki Sun Kim) 한국원예학회 2014 원예과학기술지 Vol.32 No.6

        가축분뇨액비의 토양전염성 잔디병해들의 억제능력을 알아보고자 군위, 논산, 무안, 여주, 이천, 익산, 합천, 횡성 등 8개 지역의 가축분뇨액비생산시설에서 생산된 액비를 이용하여 기내에서 수행하였다. 가축분뇨액비와 병원균주들과의 대치배양을 통해 총 110종의 길항미생물을 선발하였으며, 각 병원균주별로 길항능력이 우수한 한 종씩을 선발하였다. 선발된 각각의 미생물은 16s rRNA 서열분석을 통해 brown patch에 길항력을 보인 ICIIIB60은 Alcaligenes sp., large patch에 길항력을 나타낸 GWIV70은 Bacillus licheniformis Ab2, dollar spot에 길항력을 보인 ISSH20은 B. subtilis C7-3으로 동정되었다. 이들의 최적배양조건은 NB 배지(ICIIIB60)와 TSB 배지(GWIV70, ISSH20)에서 온도는 29.5℃-31.4℃의 범위에서, pH는 6.5-7.3의 범위에서 잘 자라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각 균주를 5종의 살균제와 혼용한 결과, ICIIIB60 균주는 테부코나졸 제제, GWIV70와 ISSH20 균주는 토클로포스메틸 제제에서 생존율이 높아 혼용처리가 가능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가축분뇨액비는 비료로서의 역할뿐만이 아니라 잔디병해를 줄일 수 있는 친환경적인 소재로 이용이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test in vitro the antagonistic effect of composted liquid manure (CLM) against soil-borne turfgrass pathogenic fungi, Rhizoctonia solani AG-2-2 (IIIB) (brown patch), R. solani AG-2-2 (IV) (large patch), and Sclerotinia homoeocarpa (dollar spot) for environmentally friendly turfgrass management. CLMs were collected from 9 livestock excretion treatment facilities around the country including Gunwi (GW), Hapcheon (HC), Hoengseong (HS), Icheon (IC), Iksan (IS), Muan (MA), Nonsan (NS), and Yeoju (YJ). CLMs of IC, GW, and IS showed s ignificant (p < 0.05) mycelium growth inhibition that was 17.8%, 20.4%, and 48.0% against R. solani AG-2-2 (IIIB), R. solani AG-2-2 (IV), and S. homoeocarpa, respectively. A t otal of 110 bacterial isolates were obtained from the CLMs that showed antagonistic effects. Among them, 5, 4, and 10 microbe isolates showed promising antifungal activity against mycelium growth of R. solani AG-2-2 (IIIB), R. solani AG-2-2 (IV), and S. homoeocarpa, respectively. The bacterial isolates ICIIIB60, GWIV70, and ISSH20 effectively inhibited the mycelial growth of three soil-borne turfgrass pathogens. Selected bacterial isolates were identified as Alcaligenes sp., Bacillus licheniformis Ab2, and B. subtilis C7-3 through 16s rDNA gene sequence analysis. Among 5 fungicides, the most compatible fungicide with ICIIIB60, GWIV70, and ISSH20 was tebuconazol, toclofos-methyl and toclofos-methyl, respectively. These findings suggested that CLMs could be effectively used not only as organic liquid fertilizer sources but also as biological control agents for soil-borne turfgrass diseases such as brown patch, large p atch, and d ollar spot.

      • KCI등재

        발달장애인 자조모임 조력자 경험 연구

        류주현(Ryu, Ju Hyun),김필호(Kim, Pil Ho),문현주(Moon, Hyun Ju) 한국장애인복지학회 2020 한국장애인복지학 Vol.50 No.50

        본 연구의 목적은 발달장애인 자조모임 조력자 경험을 알아보는 것이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A법인이 시행한 2019년 발달장애인 자조모임지원사업에 선정된 자조모임의 조력자 7명을 대상으로 심층면접을 실시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방법은 연구자가 탐구하고자 하는 현상을 참여자의 관점에서 파악할 수 있도록 하는 Glaser(1998)의 반복적 비교분석법을 활용하였다. 분석결과, 발달장애인 자조모임 조력자의 경험은 ‘지원기관과의 관계’, ‘발달장애인 자조모임과의 관계’, ‘발달장애인당사자 부모와의 관계’ 3개 범주로 나타났고 6개 상위주제와 9개 하위주제가 도출되었다. 논의에서는 연구결과의 함의와 함께 발달장애인 자조모임과 조력자를 지원하기 위한 실천적 제언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experience of facilitators in self-help groups for the developmental disabilities by focusing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facilitator and support organizations, self-help groups, the developmental disabilities themselves, and the parents of the developmental disabilities.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the data were collected through in-depth interviews with seven facilitators of self-help groups who were selected for the self-help group support project for the developmental disabilities conducted by A corporation in 2019. The Glaser’s(1998) constant comparison method, which allows the researcher to understand the phenomenon that they would like to study from the perspective of the participant, was utilized as the research methodology for this study. The results of the analysis derived 6 themes and 9 sub-themes in the 3 categories of ‘relationship with support organizations’, ‘relationship with self-help groups of developmental disabilities’ and ‘relationship with the parents of the developmental disabilities’. In addition to implications from the research results, this study provided practical suggestions to support developmental disabilities self-help group and facilitators.

      • KCI등재

        성인장애인의 박탈경험과 삶의 만족에 대한 연구 : 지체장애와 그 외 기타장애와 비교

        류주현(Ryu, Ju Hyun) 한국장애인복지학회 2021 한국장애인복지학 Vol.52 No.52

        본 연구의 목적은 성인장애인의 박탈경험이 장애집단(지체장애, 기타장애)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보고, 박탈경험이 삶의 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한국복지패널조사 14차조사 데이터(2019)를 활용하여 등록장애인 1,279명(지체장애 660명, 기타장애 619명)의 분석에 사용하였다. 분석방법은 SPSS 25.0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t-test,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식생활은 영향력이 나타나지 않았으나, 주거와 사회적박탈은 두 집단 모두에서 부정적 영향을 미쳤다. 사회보장과 건강 및 의료는 지체장애 삶의 만족에 정적 영향을, 직업경제는 기타장애 삶의 만족에 부적 영향을 나타냈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장애집단에 따른 박탈경험을 낮추고 삶의 만족을 높이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analyzed a difference in the deprivation experience of adults with disabilities according to groups (physical disabilities, others disabilities) of adults with disabilities. It also verified the effects of the deprivation experience of adults with disabilities on their life satisfaction. To this end, it used data from the 14th survey conducted by the Korea Welfare Panel Study in 2019 to analyze data of 1,279 adults with registered disabilities (660 adults with physical disabilities and 619 adults with other disabilities). As for an analysis method, SPSS 25.0 was used to perform descriptive statistics, the t-test, and a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The analytic results showed that the experience of adults with disabilities in deprivation of their dietary lives did not affect their life satisfaction. On the other hand, their experience in social and housing deprivation had negative effects on their life satisfaction regardless of groups. The experience of adults with physical disabilities in deprivation of social security, health, and medical service had positive effects on their life satisfaction. Moreover, the experience of deprivation of jobs and economic resources suffered by adults with other disabilities had negative effects on their life satisfaction. Based on the analytic results, this study suggested a measure for lowering the deprivation experience of adults with disabilities and increasing their life satisfaction according to groups of adults with disabilities.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