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 대중음악에서 나타나는 문화적 민족주의의 혼종성: “사의 찬미”에서 “정통 힙합”까지

        김필호(Pil Ho Kim) 한국대중음악학회 2016 대중음악 Vol.- No.18

        이 논문은 한국 대중음악사에서 민족과 민족 문화 개념이 전면에 두드러지면서 쟁점이 되었던 세 국면에 초점을 맞춘다. 첫째는 1920∼ 1930년대 식민지 시대 유행가, 둘째는 1960~1970년대 청년 문화의 록과 포크, 셋째는 1990년대 이래 한국 힙합이다. 정치 이념으로서 민족 주의는 대중음악을 문화적 표현으로 삼기도 하지만, 동시에 민족주의 이념 자체가 대중음악의 전 지구적인 본성에 의해 변형되기도 한다. 좀더 구체적으로 말해 한국의 전통적 요소와 일본 및 미국의 음악적 형식이 뒤섞여 있는 식민지 시대 가요, 권위주의 시대의 민족 문화론에 의한 록과 포크 음악의 탄압, 그리고 힙합 음악의 정통성을 둘러싼 언어와 국적의 문제는 모두 한국 대중음악에서 민족주의의 혼종성을 드러내는 사례들이다 .This paper focuses on three instances of Korean popular music history – colonial popular songs in the 1920-30s, the “youth culture” of rock and folk music in the 1960-70s, and Korean hip-hop since the 1990s – in which the meaning of nation and national culture came forward and was hotly contested. Nationalism as a political ideology finds its cultural expression in popular music, but at the same time nationalist ideology can be transformed by the global nature of the music. Specifically, the hybridization of traditional, Japanese and Western musical forms in colonial pop songs, the repression of rock and folk by the authoritarian national culture doctrine, and the question of language and nationality in hip-hop are all illustrative of the hybridity of cultural nationalism in Korean popular music.

      • KCI등재후보

        강남의 역류성 젠트리피케이션

        김필호(Kim, Pil Ho) 도시사학회 2015 도시연구 Vol.14 No.-

        불과 30년 전 대규모 도시개발을 통해 탄생한 신흥 중산층 주거지역이 최근에서야 젠트리피케이션을 겪고 있다는 말은 어불성설이 아닌가? 이는 서양의 도시화 경험에 근거한 젠트리피케이션 개념의 외연을 확장하고 그 역사적 단계론을 해체 및 재구성함으로써만 어느 정도 의미가 통하게 된다. 즉 1960년대 말부터 개시된 강남 개발을 국가 주도형 ‘신개발’ 젠트리피케이션으로, 그리고 1997년 IMF 경제위기 이후 사적 자본이 주도한 아파트 재건축 및 초고층 주상복합 건설을 초(super-)젠트리피케이션으로 본다면, 강남에는 이른바 젠트리피케이션의 제 2파, 제 3파가 먼저 도착한 셈이다. 제 1파인 고전적 형태의 젠트리피케이션은 부동산 투기의 광풍이 휩쓸고간 일률적인 고층 아파트 단지의 틈새 공간으로 새로운 스타일의 보헤미안, 코스모폴리탄 문화를 추구하는 ‘창의적’ 자영업자 및 문화생산자들이 스며 들어온 일종의 역조현상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강남은 공간적 전치(spatial displacement)보다는 시간적 전이(temporal displacement)라는 측면에서 독특한 젠트리피케이션의 사례들을 낳았는데, 대표적인 것이 신사동의 가로수길과 방배동의 사이길이다. How can one gentrify a relatively new, affluent upper-middle class district that came as a result of massive urban development less than three decades before? Such is the conundrum of gentrification in Gangnam, which starts making some sense only if we consider the three waves of gentrification in a different order: first came the state planning of Gangnam, a case of new-build gentrification that pushed the old city limit far down south; there emerged the real estate El Dorado of high-rise apartments the upper-middle class moved in en mass; then some would-be gentrifiers found out pockets of space left untouched by the suffocating uniformity of the apartment complex, and began their activity that fits neatly into the classical pattern of gentrification. This study will take on two prominent cases of such rip current gentrification in Gangnam: Garosu-gil in the Sinsa-dong and Saigil in the Bangbae-dong neighborhood. Even though their rise as gentrified neighborhoods only began in the new millennium, the overall context of Gangnam development within which they are nested cannot be overlooked. Therefore, I will combine policy analysis and urban sociological research to connect the dots from the 1970s’ large-scale infrastructure development to the middle-class mass migration in the 1980-90s to the contemporary ‘neo-classical’ gentrification centered around the two narrow formerly residential-area streets of Gangnam.

      • KCI등재

        ‘Little Chang, Big City’: 미국 인디 록의 아시아계 이산 공동체

        김필호(Kim, Pil Ho) 한국대중음악학회 2010 대중음악 Vol.- No.6

        미국 사회에서 세 번째로 큰 소수인종 집단이지만 짧은 이민 역사와 다양한 민족적 구성으로 인해 아시아계는 정치, 사회, 문화적 영역에서 자기 정체성과 목소리를 확보하는 데 상대적으로 뒤떨어진 편이다. 그러나 점증하는 글로벌 문화 경관과 더불어 이민 2세대 이후부터 나타나는 새로운 아시아계 이산 공동체의 가능성은 1990년대 중반부터 인디 록 음악에서도 나타나기 시작했다. 이 논문에서는 민속지학적 접근법을 통해 세 명의 아시아계 음악인 박수영, 마이크 박, 제니 최의 활동을 추적하고, 그로부터 아시아계 인디 록의 문화적, 사회적 정체성과 지향을 분석한다. 아시아계 인디 록은 음악 스타일, 그리고 각각의 민족 언어 및 문화에 대한 태도 등에서 다양한 차이를 보이지만, 미국 내에서 음악인들 간의 연대활동을 추진하고 나아가 아시아 청중들과의 연계를 확보하려 노력하는 점에서 공통성을 띤다. Asians constitute the third largest racial minority group in the USA next to the Latino and the black community. Due to their relatively short immigration history and ethno-linguistic variety, they are yet to find a collective voice and identity in political, social, and cultural arenas. With the advance of increasingly global cultural landscapes, however, the second and later generations of Asian immigrants have been showing signs of a newly emerging pan-Asian diaspora; Asian-American indie rock movement, which marked its beginning in 1995, is one of them. This paper is an ethnographic study on three key musicians in the Asian-American indie rock movement, Sooyoung Park, Mike Park, and Jenny Choi. From their music and social activism, I seek for the clues of cultural and social identity of the new Asian diaspora. Despite the diversity of musical styles and contrasting attitudes toward ethnic languages and cultures, Asian-American indie rock musicians find their common ground in building solidarity among themselves as well as in connecting with their ‘ethnic’ audiences in Asia.

      • KCI등재

        장애인가정 결혼이민자의 생활만족에 미치는 영향요인

        김필호(Kim Pilho),류주현(Ryu Juhyun) 숙명여자대학교 아시아여성연구원 2020 다문화사회연구 Vol.13 No.3

        본 연구의 목적은 장애인가정 결혼이민자의 생활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는 것에 있다. 연구자료는 여성가족부에서 2018년 전국 다문화가족을 전수 조사한 자료인 2018년 다문화가족실태조사의 데이터를 분석 자료로 활용하였으며, 장애인가정에 속한 결혼이민자 1,066명을 최종 분석 대상으로 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장애인가정 결혼이민자의 개인 체계요인 중, 주관적 건강상태, 우울정도(정신건강)는 결혼이민자의 생활만족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장애인가정 결혼이민자의 가족 체계 요인 중, 배우자와의 관계, 자녀와의 관계는 생활만족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장애인가정 결혼이민자의 사회적 지지는 생활만족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장애인가정 결혼이민자의 생활만족에 관한 정책적·실천적 함의를 제시하였다. This study analyzes the factors influencing the immigrant spouses’ life satisfaction of immigrant spouses in the households with disabled members. For research and analysis, the data of a survey conducted by the 2018 Ministry of Gender Equality and Family’s National Survey on the Multi-Cultural Families conducted by the Ministry of Gender Equality and Family with and the census method for data analysis, and an analysis was conducted 1,066 immigrant spouses in the living in households with disabled members are the subject of to the final analysis.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results found that subjective health status and the degree of depression[mental health] among personal system variables hav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life satisfaction of the immigrant spouses; Second,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relationships of the immigrant spouses with spouses and children among family system variables hav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the life satisfaction of the immigrant spouses; Third,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social support h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the life satisfaction of the immigrant spouses. This study suggests the policy and practical implications based on the analysis of the immigrant spouses regarding their life satisfaction.

      • KCI등재

        한국의 전쟁 후 경제 재건에 미친 미 군사원조의 효과에 대한 연구

        김필호(Pil Ho Kim) 국제개발협력학회 2017 국제개발협력연구 Vol.9 No.1

        1953-1960년의 전후 재건기 동안 한국 경제는 미국 원조에 크게 의존하고 있었다. 미국의 시각에서는 군사원조든 경제원조든 간에 한국의 국가안보를 유지 하는 것이 대한 원조의 일차적 목적이었는데, 이 점은 미국 상호안보법에 의거해 공여된 재건기 원조에서 가장 뚜렷이 드러난다. 정전 직후 전체 원조액의 40%를 넘어섰던 군사원조는 이 시기에 전반에 걸쳐 20%를 상회했으며, 공법 480조에 의거 도입된 미국의 식량 및 농산물 현물 원조 또한 대충자금을 거쳐 상당부분 한국 국방예산으로 전용되었다. 이러한 국방 우선 정책은 1950년대의 경제 재건 및 발전을 위축시켰다는 비판을 받아왔다. 그러나 이 논문에서는 가용한 역사적 자료를 토대로 국방 목적으로 전용된 경제원조의 규모를 군사원조가 경감시킨 측면이 있음을 보여줌으로써, 경제 재건에 군사원조가 간접적인 기여를 했음을 주장한다. South Korean economy was heavily dependent on US aid throughout the post-war reconstruction period. From the American perspective, the primary purpose of aid was to sustain South Korea’s national security state whether it was nominally military aid or civilian economic aid. At no time this intention was clearer than the reconstruction period of 1953-1960, when all American aid was subsumed under the purview of the Mutual Security Act. Aid to the military proper started as high as 40% of the total aid volume in the immediate aftermath of the war and never dipped below 20%. Moreover, the foodstuffs and agricultural products delivered as grants-in-kind under Public Law 480 were largely diverted to the South Korean military budget via the counterpart fund. This policy of guns over rice has received much criticism for dragging economic recovery and development in the 1950s despite its important role in maintaining the large military forces for national security. Analyzing available data for US military aid to South Korea, I argue that military aid might have lessen the diversion of economic aid to defense spending, making an indirect contribution to the economic reconstruction.

      • KCI등재
      • KCI등재후보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