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성주풀이>와 <문전본풀이>에 나타난 가정관

        류정월 시학과언어학회 2015 시학과 언어학 Vol.0 No.29

        Sungjupuri and Munjeonbonpuri, the two representative myth of home, tell the orientation of several gods who protect home. They sit in a column, a kitchen, gates, a toilet and so on. Sungjupuri has been recited by Shamans in Gyeonggi Province, Munjeonbonpuri in Jeju island. These myths represent the experience about traditional home. The word, “home” has two levels of meanings. One means material place which comprise a house, or room, toilet, kitchen, yard so on. The other means family relationship between father(mother) and son(daughter), sister and brother, husband and wife. I refer the first level of meaning to the thought on house, the second to the thought on family. I study the interactions between two kinds of thought. For the purpose, the narrative is divided in to the following stages, or narrative schemata: contractㆍmanipulation, competence, performance, sanction. According the stage, I examinate the difference and common ground of the two myths. Finally I found defensive and useful thought on home in Munjeonbonpuri, and generative and moral thought in Sungjupuri. Although they have different thought on home, they have common ground. The stories all exclude a middle zone and a mediator. Finally this paper supposes the reason in the shaman culture where the two myths are based.

      • KCI등재

        『어린이』 소재 차상찬 역사동화 연구 - 자료와 서술방식을 중심으로

        류정월 한국 리터러시 학회 2020 리터러시 연구 Vol.11 No.1

        Although Cha Sang-chan (1887-1946) has a Chinese-language foundation, he is considered a pioneer of modern journalism and publishing, but research on him is insufficient. By examining Cha Sang-chan’s historical fairy tales published in the Eolin-I magazine, this discussion aims to find out how he described historical fairy tales to modern (children) readers, who studied traditional Chinese literature. First, this study listed all articles that Cha posted in the magazine and the historical fairy tale, and confirmed that his historical fairy tale was written around the Choseon Dynasty and the famous generals but accommodated various historical figures. Cha Sang-chan’s historical fairy tale consists of a creative opening and ending and a traditional middle part. The main textbook suggests that in Cha Sang-chan’s historical fairy tale, the unconscious framework that dictates where the subject and creativity should be involved is the Chon[ 傳 ] mode. Cha Sang-chan’s historical fairy tale was designed to keep the child’s attention, while delivering difficult and complex traditional mythos in the middle and, at the same time, keeping in mind the children readers’ interests and curiosity in the opening and ending. Finally, the study analyzed the implicit and timeless message that such a style of opening and ending sends to children readers. 청오(靑吾) 차상찬(車相瓚, 1887-1946)은 근대 언론·출판의 선구자로 평가받는 인 물이지만 그에 대한 연구는 미비하다. 본 논의는 『어린이』에 게재한 차상찬의 역사동 화 자료를 목록화 하고 그 특징을 살펴봄으로써 한문학을 토대로 공부한 그가 ‘어린 이’라는 근대 독자를 상대로 역사를 서술한 방식을 알아보고자 한다. 먼저 본고는 차상찬이 『어린이』에 게재한 글의 전체와 역사동화의 목록화 작업을 시도하였다. 그의 역사동화는 조선시대-명장을 주 대상으로 기술하면서도 다양한 역 사적 인물들을 수용하고 있다. 차상찬 역사동화는 창조적인 서두와 결말, 전통적인 중간 부분으로 이루어져있다. 본고는 차상찬 역사동화에서 주관과 창조성을 개입시 켜야 하는 지점을 지시하는 무의식적 틀이 전통적인 전(傳) 양식이었다고 본다. 차상 찬의 역사동화는 서두와 결말에서 아동독자를 분명하게 인식하고 그들의 관심사와 호기심을 염두에 두었기에, 중간에서 어렵고도 복잡한 전통적 미토스를 거의 그대로 전달하면서도 아동의 주의를 유지할 수 있도록 고안되었다. 마지막으로 본고는 그러 한 서두와 결말의 방식이 어린이들에게 전달하는 메시지에 대해 고구한다.

      • KCI등재

        문헌 소화의 의미 작용에 관한 일고찰 : 이야기부와 논평부의 상호 작용을 중심으로

        류정월 한국구비문학회 2005 口碑文學硏究 Vol.0 No.20

        본고는 문헌 소화 각 편을 이야기부와 논평부로 구성된 것으로 보고 논의를 진행한다. 많은 문헌 소화들은 이야기부와 그에 첨부된 논평부로 구성되어 있다. 이야기부와 논평부가 어떤 관계 속에서 의미를 만들어내는가에 대한 논의가 부재한 가운데 대부분의 기존 논의들은 이야기부에만 초점을 맞추는 경향이 있었다. 본 논의는, 이야기부와 논평부를 함께 고려할 때 나타나는 의미는 이야기부만을 고려할 때 생성되는 의미와는 다를 수 있음을 전제하며 시작한다. 본 논의는 문헌 소화집 가운데 이야기부와 논평부가 함께 나타나는 각편이 가장 많은 &#985172;명엽지해&#985173;를 중심으로 이루어지며 필요할 경우 다른 문헌 소화집을 참고한다. 이야기부와 논평부는 서로 이질적인 양식이지만 소화 텍스트 한 편 안에서 상호 관련을 가지며 의미 작용을 한다. 여기에는 반복적으로 나타나는 상호 작용이 있을 수 있고 일회적으로 나타나는 상호 작용이 있을 수 있다. 상호 작용은 크게 구조적인 것과 비구조적인 것으로 나누어 살필 수 있는 것이다. 본고에서 전자를 살펴보기 위해 ‘의미 층위’라는 용어를, 후자를 살펴보기 위해 ‘인물 평가’라는 용어를 사용한다. 대표적인 구조적 의미 작용으로 본고에서는 알레고리적 관계를 다루었다. 이 관계는 이야기부에서 만들어진 의미 층위와 논평부에서 만들어진 의미 층위가 서로 다른 것이 특징이다. 이때 논평부는 이야기부와의 어떤 유사성을 통해 현실 세계에 대해 언급한다. 대표적인 비구조적 의미 작용으로 본고에서는 대립적 인물 평가를 다루었다. 이야기부의 서술자가 긍정적(부정적)으로 평한 인물을 논평부의 논평자는 부정적(긍정적)으로 평가하는 것이 이 관계의 특징이다. 알레고리적 관계와 대립적 관계는 의미를 생산하는 서로 다른 메커니즘이지만, 공통적인 작용을 한다. 그 공통점은 논평부가 이야기부에 미치는 역방향의 영향 속에서 언급 가능하다. 논평부는 이야기부에 영향을 미쳐 이야기부에서 일차적으로 만들어졌던 웃음의 성격을 변형시키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본고의 논의는 이야기부와 논평부의 상호 관계를 염두에 두면서 소화를 분석하는 시각이 가지는 방법론적 효용성을 강조한다. 이러한 관점은 단지 웃음의 성격 변형에 대한 논의에서만 끝나는 것이 아니다. 이야기부와 논평부의 관계를 염두에 두는 이러한 논의는 이야기 요소의 변형을

      • KCI등재

        「세경본풀이」와 제주도 농업관-신화의 특수성에 관한 시론(試論)-

        류정월 한국여성문학학회 2013 여성문학연구 Vol.30 No.-

        This paper studies Segyengbonpuri, one of the myths of Jeju island and focuses on the view of agriculture. The text whichrepresents the origin of three gods who are in charge of farm is performed only in Jeju island. The studies about this text dealt with the general aspects of the main character, Jacheongbi, but this paper focuses on the relationship and special aspects of three gods. For this purpose, I use a structuralist approach to investigate the elements of texts. I applied a syntagmatic relation to study individual sequences, which found that the narratives of Jengsunam's death and second birth are inserted into the narratives of Mundoryeong and Jacheongbi's meeting and marriage. So I called this "a double structure". I appled a paradigmatic relation to study symbolic meanings of the characters, which found that their relationship are all instable. Mundoryeong fails to keep his promise with Jacheongbi and their relation is characterized by one-sideness. Jeongsunam has a tendency to gulosity and savage. Jacheongbi tries to feed him. They can cooperate only on condition that Jengsunam must be subjected to Jachengbi. Furthermore this paper explains how the instability operate withthe context of agriculture in Jesu island: The soil is poor, which isrelated to the fact that Jachengbi has no child. Climatic condition frustrates the farmers, which is related to Mundoryung's irresponsibility. And the stock-farming has a decided advantage, which is related to Jengsuman's dangerous power. This study infers meaning on the view of agriculture: The farming in Jeju island artificially prolong the life: The farmers are exhausted by the work in Jeju island. This awareness is reinforced by the text, Segyengbonpuri. 본고에서는 「세경본풀이」가 제주도의 신화라는 점을 염두에 두면서, 텍스트에 나타나는 농업관(농경관, 농업의식, 농업에 대한 인식)을 중점적으로 분석하고자 한다. 지금까지 「세경본풀이」에 대한 연구는 자청비가 가진 일반 농업신적 면모를 설명하는 데 할애되었다. 그러나 「세경본풀이」에는 자청비 외 두명의 신이 더 있으며 이들의 관계를 체계적으로 볼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본고에서는 텍스트의 지엽적 사실이나 모티프보다는 구조에 초점을 두면서, 개별 사건을 전체 속에 위치시키는 통합적 구조와, 인물들의 상징적 의미를 탐구하는 계열적 구조를 살펴보았다. 통합적 구조의 특징은 문도령과 자청비의 만남-혼인의 서사에 정수남의 죽음-재생의 서사가 삽입되어 있다는 것이다. 문도령과 자청비의 만남, 반복되는 이별-재회, 혼인의 서사 즉 결연담은 탄생-좌정의 중심 서사이다. 자청비와 정수남의 서사는 문도경과 자청비의 이별-재회의 중심 서사이다. 따라서 「세경본풀이」의 통합적 구조는 문도령-자청비 서사와 자청비-정수남의 서사로 이루어진 이중적 구조로 볼 수 있다. 계열적 구조에서는 이들 관계가 상징하는 바를 탐구하였다. 이들 관계는 모두 불안정성에 기초하는데, 문도령-자청비 관계는 소통의 일방성으로, 자청비-정수남의 관계는 조건적 상호성으로 인해 그러하다. 나아가 본고는 그러한관계들이 제주도의 농업 현실에서 환기하는 의미를 살펴보았다. 「세경본풀이」는 제주도 농업의 특수성에 대한 담론이기도 하다. 기질적 척박함, 기후조건의방해, 목축의 번성 가능성 등 현실적 의미들이 활성화되는 것은 「세경본풀이」에서 주체들의 분리와 이들 관계의 불안정성에 기인한다. 하늘의 일방성과 야생의 전복 가능성 등 신들 관계의 불안정성은 제주도에서 농사에 대한 문제적상황을 환기시킨다. 이 상황에서는 일방성을 상호성으로, 야생의 전복가능성을복속가능성으로 만들려는 인간의 노력이 지속적으로 필요하다. 이는 하늘과땅, 목축과 농업의 부조화를 조화롭게 만들려는 인간의 노력이기도 하다. 「세경본풀이」를 통해 구성되는 제주도 농업관에는 농업 환경의 “인위성(人爲性)”혹은 “작위성(作爲性)”과 그로 인한 농사의 “고단함”이 나타난다.

      • KCI등재

        손진태 역사동화 연구

        류정월 한국고전연구학회 2019 한국고전연구 Vol.0 No.44

        This paper examines the combination of ‘history’ and ‘fairy tale’ in Historical fairy tales written by Son Jin-tae’. I want to look at the characteristics of historical fairy tales focusing on the strategies and effects that Son Jin-tae has taken to communicate historical information to children. To do this, I first selected the texts, which are historical fairy tales, among the stories written by Son Jin-tae and examined how they relate to the original texts. Nam-chang created historical fairy tales by borrowing realistic folk tales, fantastic folk tales and myths. As a result, not only are they realistic or real stories, but also fictional or fantastical stories. Nonetheless, his historical fairy tales do not include proper nouns, years, and war situations which do not match the original text. The new discourses in his history fairy tales are the personality of characters. The characters are portrayed as persons with individual qualities such as masculine/feminine gender and strength/weakness. Nam-chang uses a supplementary means to convey history in an objective way. And he assumes the children as readers who are members of a family and have intellectual curiosity. In this sense, the historical story fairy tales of Son Jin-tae are cognitive ones that utilize communion functions to indicate history exactly. 본고에서는 손진태 역사동화에서 ‘역사’와 ‘동화’의 결합 방식을 살펴봄으로써, 손진태가 아동에게 역사적 정보를 용이하게 전달하기 위해 취한 전략과 그 효과를 중심으로 역사동화의 특징을 살피고자 한다. 이를 위해 먼저 손진태가 『어린이』 잡지에 기고한 이야기들 가운데 역사동화라고 할 만한 대상 텍스트를 선정하고, 그것들이 원천 텍스트와 어떤 관련을 가지고 있는지를 고찰하였다. 남창은 사실적 민담과 환상적 민담, 신화를 차용하여 역사동화를 창작하였다. 그 결과 여기에는 사실적이거나 실재했다고 생각되는 이야기뿐 아니라, 허구적이거나 환상적인 이야기도 등장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의 역사동화에 원천 텍스트와 다른 고유명사, 연도, 전쟁 상황 등은 나오지 않는다. 그의 역사동화에서 새로 담화화된 부분은 등장인물의 개성이다. 인물들은 남성적/여성적인 젠더적 특징과 강인함/유약함 등 개인적 자질을 가진 인물로 묘사된다. 남창은 역사를 객관적으로 잘 전달하기 위한 보조적 방안으로 가족의 구성원이자 지적 호기심을 가진 아동을 독자로 상정하였다. 이런 점에서 손진태 방식의 역사동화는 역사에 대한 정확한 지시를 위해 친교적 기능을 활용하는 인지적 역사동화라고 할 수 있다.

      • KCI등재

        동해안 〈광인굿〉에서 돌봄과 치유

        류정월 한국여성문학학회 2022 여성문학연구 Vol.56 No.-

        This paper aims to reveal the interdependent and dynamic relationship between shamans, patients, and ghosts who participate in the Gawangingut, which was one of several disease exorcisms. Assuming that it is difficult to reveal the mechanism of mental illness through formal procedures or functions such as Gwangingut, I would like to examine how care and healing are performed in Gwangingut through the relationship of the subjects. The primary purpose of this paper is to promote understanding of Gwangingut and examine the possibility that a shift in perspective centered on care can give a new meaning to good research. In Gwangingut, an ontological transition between shaman and patient, shaman and ghost, and ghost and patient is possible, which presupposes the narrative of shaman, the narrative of the sick and expands the syntactic chain to the past or the future, activating a kind of “imagination of care”. This is different from simply sympathy for the patient or consideration for the weak because it is based on the potential identity of the self and the other. Therefore, the fact that the sick ghost is not the object of hate and ouster but of duty and consideration is regarded as a special point of this exorcism. The homologous relationship between the subjects of Gwangingut stems from the fact that they are all human beings with bodies that can get sick-that is, it stems from human vulnerability. This discussion looked a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ubjects in the gut as a reciprocal relationship in that it is possible to convert ontologically. This reveals the dynamic and inevitable dependence between each subject, which is difficult to grasp when reflecting on the physical procedure or shaman-centered function of the gut. It can be said that Gwangingut embodies the fact that humans are all vulnerable beings, and, therefore, they are not permanently fixed as caregivers and caregivers. 이 논문은 치병굿 가운데 〈광인굿〉을 중심으로 이 굿에 참여하는 주체인 무당, 환자, (귀)신들 사이의 상호의존적이며 역동적 관계를 드러내고자 한다. 〈광인굿〉과 같은 치병굿에서 치병의 메커니즘은 형식적 절차나 기능을 통해 남김없이설명하기는 어렵다는 것을 전제하면서 〈광인굿〉에서 돌봄과 치유가 어떤 방식으로 이루어지는가를 각 주체들의 관계를 통해 살펴보고자 한다. 본고는 〈광인굿〉 에 대한 이해를 도모하는 데 일차적 목적이 있으며, 그것을 통해 돌봄을 중심으로 하는 시각의 전환이 굿 연구에 새로운 의미를 부여할 수 있는 가능성을 부수적으로 타진하고자 한다. 〈광인굿〉에서는 무당과 환자, 무당과 귀신, 귀신과 환자 사이에 존재론적 전환이 가능한데, 이러한 전환은 무당의 서사, 병자의 서사, 잡신의 서사를 전제하며 그 통사적 연쇄를 과거나 미래로 확장하면서 일종의 돌봄의 상상력을 작동시킨다. 이는 단순히 환자에 대한 동정이나 약자에 대한 배려와는 다른데, 자아와 타자의 잠재적 동일성에 기반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병인인 귀신이 미움과 축출의 대상이 아니라 위무와 배려의 대상이 된다는 점을 이 굿의 특수한 지점으로본다. 〈광인굿〉 제 주체들의 상동적 관계는 이들이 모두 병에 걸릴 수 있는 육체를 가진 인간이라는 점, 즉 인간의 취약함에서 비롯된다. 본 논의는 굿 안에서 이루어지는 제 주체들의 관계를 존재론적 전환이 가능하다는 점에서 상호적인 것으로 살펴보았다. 이는 굿의 물리적 절차나 무당 중심의 기능을 성찰할 때에는 파악하기 어려운, 각 주체 간의 역동적이면서도 필연적인 의존성을 드러내준다.〈광인굿〉은 인간이 모두 취약한 존재이기 때문에 돌보는 자와 돌봄을 받는 자로영원히 고착되지 않는다는 사실을 치료의 메커니즘으로 구현한 것이라고 할 수있다.

      • KCI등재

        동해안 손님굿의 패러다임과 세계관 연구

        류정월 한국고전연구학회 2020 한국고전연구 Vol.0 No.51

        This paper attempts to examine the paradigm maintained by Sonimgut to position it in relation to reality as well as narrative. To this end, the study first examines the overall syntactic flow of Sonimgut, which is a cumulative structure that conveys and affirms the importance of welcome- hospitality-farewell to guest gods in stages. This structure has one paradigm, which can be called a kind of social(goodwill) paradigm, as it sees the guest god as an object of welcome, hospitality, and farewell. In order to examine the specificity of such a paradigm, we explore what this paradigm aims for in the society and culture in which the Gut is performed. Reinterpreting smallpox from a biological or medical point of view emphasizes that the social modeling of diseases built by this text is cultural and special rather than inherent and essential. These paradigms are repeated, reaffirmed, and rebuilt at every Sonimgut, driving some attitude toward the disease in its audience: a particular worldview. It is a human-made worldview that sees that human behavior and choice can lead to disease and recovery from disease. Finally, this paper recognizes that in the Pandemic-era, the source and result of Sonimgut can introduce recognizesmeaningful questions and answers to this worldview. 이 논문은 손님굿을 서사와 제의뿐 아니라 현실과의 관계에 위치시키기 위해 이 굿이 유지하는 패러다임을 살핀다. 이를 위해 먼저 본 연구에서는 손님굿의 전체 통사적 흐름을 살피는데, 손님굿은 누적적 구조로, 손님신에 대한 환영-환대-환송의 중요성을 단계별로 잘 전달하고 잘 각인하는 구조이다. 이러한 구조는 하나의 패러다임을 가지는데, 그것은 손님신을 환영, 환대, 환송의 대상으로 본다는 것으로 일종의 사회적 혹은 사교적 패러다임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한 패러다임이 가지는 특수성을 살피기 위해 굿이 행해지던 사회와 문화에서 이 패러다임이 지향하는 바를 탐색한다. 생물학적 혹은 의학적 관점에서 손님굿을 재해석하면 이 텍스트가 구축해낸 질병의 사회적 모델화가 본연적이고 본질적인 것이라기보다는 문화적이고 특수한 것임을 강조한다. 이러한 패러다임은 손님굿을 할 때마다 반복되고, 재확인되고, 재구축되면서 그 관객들에게 질병에 대한 어떤 태도 즉, 특정한 세계관을 견인한다. 그것은 인간의 행위와 선택을 통해 질병에 걸리기도 하고 질병에서 낫기도 한다고 보는 조명론적 세계관이다. 마지막으로 이 논문은 팬데믹의 시대에 손님굿이 유의미한 질문과 답을 던질 수 있는 근원이자 결과가 바로 이 조명론적 세계관이라고 본다.

      • KCI등재
      • 무대에서의 전래 동화 구연에 관한 연구 -언어적/비언어적 요소와 콘텍스트를 중심으로-

        류정월,윤인선 시학과언어학회 2011 시학과 언어학 Vol.0 No.20

        This paper studies the Korean traditional children's stories which are performed by members of a volunteer organization. These performances have two levels. One consists of verbal factors and the other nonverbal factors. Most of communication studies and performance studies focus on the verbal factors but this paper focuses on the other factors, too. The analysis of the performances has to consider not only text but also context. The stage of the performances is a library for children in Seoul. There are several volunteer organizations. Doggaebi gamto is one of them. It has thirteen members and they are over age 60. We choose two female tellers. Children responded very positively to their stories. They tells Korean traditional children's stories every Saturday in a room which is located in the library. The room is their stage. Goffman is known for stage metaphor to convey his thoughts about social interactions. We divided the "front" and "backstage" and investigated their relations according to Goffman. Frist, this paper studies environmental and visual signs in the stage to analyse nonverbal factors. Second, this paper focuses on meta-narrations which reveal the teller-audience relations to analyse verbal factors. Finally, this paper explores the religious context and traditional context. And to conclude, the two teller's performance have different code. One is vertical code and the other is horizontal cod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