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홍삼 사포닌의 항불안 효과

        류성민,박형배,이종범,하정희,박진규,Ryu, Sung-Min,Park, Hyung-Bae,Lee, Jong-Bum,Ha, Jeoung-Hee,Park, Jin-Kyu 대한생물정신의학회 1997 생물정신의학 Vol.4 No.1

        Ginseng root, as a folk medicine, has been used in far eastern countries for thousands of years. Ginseng extract has been shown to have a variety of effects on the activity of the central nervous system, promoting stimulation as well as inhibition of the cortical activity. A survey of the relevant literatures has indicated that the putative anxiolytic activity of red ginseng has not been scientifically investigated. Therefore, the present study was designed to assess anxiolytic effect of gingseng total saponins(GTS). The putative anxiolytic effects of several fractions of GTS were investigated in mice using an elevated plus maze paradigm. Single dose administration of TS Fr.-I showed anxiolytic action in mice. Anxiolytic effect induced by TS Fr.-I was similar to that induced by diazepam. TS Fr.-II, TS Fr.-III and TS Fr.-IV did not show the anxiolytic action compared with that of TS Fr.-I. It was suggested that regulation of GABAergic neurotransmission may be important in the action of GTS. The Interaction of GTS fractions with benzodiazepine receptor was performed using rat cortical membranes. GTS inhibited the binding of [3H] Ro 15-1788 on the benzodiazepine receptor. Among from TS fractions, the binding activity of GTS in the TS Fr.-IV was highest, which did not show the anxiolytic activity. From these results, we conclude that GTS has anxiolytic action, and this is not related to benzodiazepine receptor binding activity. 홍삼사포닌분획의 항불안작용의 양상을 검색하고자 사포닌분획을 사용하여 실험 동물에서 항불안작용을 검색하고 이들의 작용을 benzodiazepine의 대표적 약물인 diazepam의 효과와 비교하여 보았다. 실험동물에서 항불안효과의 검정을 위하여 생쥐에게 각각 상이 한 단일성분 함량을 지닌 여러분획들을 투여 후 elevated plus maze법을 사용하여 항불안효과를 비교, 관찰하였다. 실험결과 홍삼 ginsenoside Rg1, Rf 및 Re 등의 함량이 보다 높은 TSI 분획에서 항불안 효과를 관찰하였다. 중추신경계에 작용하여 진정효과를 나타내는 약물 중 특히 항불안제의 작용에 관여하는 신경전달물질 수용체로 현재까지 가장 주목을 받고 있는 것은 GABA A-benzodiazepine 수용체-chloride통로 복합체에 있는 benzodiazepine 수용체이다. 본 실험결과 관찰한 홍삼 사포닌의 항불안작용의 기전 규명을 위한 접근방법으로 홍삼 사포닌의 benzodiazepine 수용체에 대한 수용체 결합력을 관찰하고자, 흰쥐의 대뇌 피질을 검체로 하여 benzodiazepine 수용체에 대한 [$^3H$] Ro15-1788 결합 실험을 실시하였다. 홍삼 사포닌 분획들은 benzodiazpine 수용체에 결합하는 반응성을 보였으며, ginsenoside Rb, Re 및 Rd등의 함량이 높은 TSIV 분획이 가장 높은 결합력을 나타내었는데, 이 분획에서는 항불안 작용을 관찰할 수 없었다. 이상의 결과에서 볼 때 홍삼사포닌은 항불안작용을 나타내었으며, 이 항불안작용과 benzodiazepine 수용체에 대한 결합력과의 연관성은 관찰되지 않았다.

      • KCI등재후보
      • KCI등재후보

        교회의 책, 성경 멜란히톤의 시편 주석을 통해 본 그의 성경관

        류성민 ( Seong Min Ryu ) 한국복음주의조직신학회 2017 조직신학연구 Vol.27 No.-

        멜란히톤에게 하나님의 말씀은 인류를 향한 일반적 성격과 교회를 향한 특별한 성격을 가지고 있다. 그의 시편 주석에서 하나님의 말씀은 주로 특별한 성격으로 기록된 말씀인 성경을 가리키는데 사용된다. 성경은 구약과 신약으로 구분되는데, 멜란히톤은 이 둘을 그리스도의 오심을 기준으로 시간에 따라 구분되는 것으로 이해한다. 그러나 그 대상과 내용에 있어 둘은 사실상 동일한 한 하나님의 말씀이다. 이러한 구별과 통일성은 율법과 복음에 대한 멜란히톤의 견해를 통해 잘 설명될 수 있다. 멜란히톤은 시편 주석에서 주로 성경을 교회와 관계하여 이해한다. 성경은 교회를 규정하고, 교회는 성경을 소유한다. 그리고 무엇보다 교회는 성경을 자신에게 적용해야 한다. 그렇게 멜란히톤에게 성경은 교회를 향한 하나님의 매우 실제적인 말씀이다. To Melanchthon, the word of God has a general character for mankind and a special character for the church. In his psalm commentary, God’s word is used primarily to refer to the Bible, which is a word written with a special character. The Bible is divided into the Old Testament and the New Testament, which Melanchthon understands as being separated over time based on the coming of Christ. But in both the object and the content, they are virtually the same God’s word. This distinction and unity can be well explained by Melanchthon’s view of the law and the gospel. Melanchthon mainly understands the Bible in relation to the Church in the psalm commentary. The Bible defines the church, and the church owns the Bible. And above all, the church should apply the Bible to itself. So to Melanchthon the Bible is God’s very practical word for the church.

      • KCI등재
      • KCI등재

        인사관리부문의 전략적 역할이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

        류성민(Seongmin Ryu) 한국산업경영학회 2013 경영연구 Vol.28 No.2

        본 논문은 전략적 인사관리의 보편론적 접근법과 상황론적 접근법을 적용하여 인사관리부문의 전략적 역할수행이 독립적으로, 그리고 전략변화가 있는 기업에서 전략변화와의 상호작용을 통해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였다. 연구 자료는 상시근로자 100인 이상을 고용하고 있는 우리나라 기업의 인사담당자(팀장급)와 기획담당자(팀장급)에게 설문조사를 수행하여 획득하였다. 분석결과, 인사관리부문의 전략적 역할수행은 보편적으로 조직성과를 향상시키며, 전략변화와의 상호작용을 통해서도 조직성과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세부적으로, 전략변화 시기에 인사관리부문의 전략적 역할을 크게 수행하면 조직성과가 향상되는 것으로 관리자들이 지각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방어형 전략에서 공격형 전략으로의 변화가 있을 때 인사관리부문의 전략적 역할이 크게 수행되면 계량적인 성과지표가 향상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전략적 인사관리의 보편론적 접근법과 상황론적 접근법을 모두 만족시키는 결과이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연구의 의의, 한계 및 추후연구과제에 대해서도 논의하였다. We investigated the impact of HR department's strategic role on organizational performance, based on universalistic approach and contingency approach of strategic human resource management. We used contingency variable as strategic change. We collected data from a HR manager and a strategic planning manager in 300 firms, which had above 100 full-time workers. Results of the study showed that HR's strategic role increased organizational performance universally, and that the interaction between HR's strategic role and strategic change also improved organizational performance. We also discussed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our study, and suggested the direction for future research.

      • KCI등재

        자유의지는 아무것도 아니다 : 루터의 노예의지론에 대한 분석과 신학적 윤리적 평가

        류성민 ( Ryu Seong Min ) 아세아연합신학대학교 신학연구소 2021 ACTS 신학저널 Vol.50 No.-

        에라스무스의 “자유의지에 대하여”는 개신교 신학의 신학적, 윤리적 문제를 제기했다. 루터는 “노예의지에 대하여”를 작성함으로 이에 대응하였다. “자유의지에 대하여”의 순서를 따라 루터는 하나하나 반박하는 방식으로 글을 작성했다. 그 과정에서 성경해석의 문제가 주로 다루어졌다. 루터는 에라스무스의 성경해석방법을 비판하고, 자신의 해석을 제시하였다. 그 결과 개신교의 성경관, 성경해석방법, 자유의지, 예정, 구원론에 대한 풍성한 신학적 진술들이 이루어졌다. 루터는 이런 방식으로 에라스무스에게 신학적 대응을 했다. 루터의 신학적 반응의 특징은 한마디로 성경해석을 통한 접근이라고 할 수 있다. 에라스무스의 성경해석을 비판하고, 자신의 해석을 설득적으로 제시함으로 신학적 분석과 비판에 집중했다. 그러나 에라스무스의 윤리적 문제에 대해서 적절하게 대응하지 않았다. 루터는 신자의 삶에서 겪는 현세적 부조리와 고통에 대한 내세적, 종말론적 대응의 인식만을 보였다. 루터의 윤리적 대응은 부족했다. 결국 개신교의 윤리적 이해는 루터에게서 마무리되지 않고, 발전의 여지를 남겨두었다. Erasmus’s “Free Will” raised the theological and ethical issues of Protestant theology. Luther responded by writing “Slavery Will”. Following the sequence of “Free Will,” The Bondage of the Will refutes Erasmus’ arguments in the same sequence he presents them. In the process, the topic of biblical interpretation was mainly dealt with. Luther criticized Erasmus’ method of interpreting the Bible and presented his own interpretation. As a result, abundant theological statements were made on the Protestant view of the Bible, methods of interpreting the Bible, free will, predestination, and soteriology. Luther responded theologically to Erasmus in this way. The characteristic of Luther’s theological response is, in a word, an approach through biblical interpretation. He focused on his theological analysis and critique by criticizing Erasmus’s interpretation of the Bible and presenting his own interpretations persuasively. However, Luther did not adequately respond to Erasmus’ ethical issues. Luther showed only the recognition of the afterlife and eschatological responses to the temporal absurdity and suffering experienced in the life of believers. Luther’s ethical response was lacking. Ultimately, the ethical understanding of Protestantism did not end with Luther, leaving room for development.

      • KCI등재

        한국과 중국의 종교학과: 현황과 전망

        류성민 ( Sung-min Ryu ) 한신대학교 종교와문화연구소(구 한신인문학연구소) 2014 종교문화연구 Vol.- No.23

        본 논문의 목적은 한국의 서울대, 서강대, 한신대, 중국의 베이징대, 푸단대등 5개 대학의 종교학 관련 학과의 교육목표, 교과과정, 교수진, 졸업생의 진로 등을 중심으로 종교학 관련 학과의 현황을 분석하고 발전적인 방향을 모색하는 데 있다. 전반적으로 5개 대학의 종교학 관련 학과의 교육목표가 인문학으로서의 종교학을 지향하고 있다는 점이나 종교전통을 중시한 교과과정의 편성 등에서 일정한 공통점을 찾을 수 있고, 대학별로 특성화된 교과과목 개설 등은 세계의 여러 대학 종교학과들과 크게 다르지 않음을 확인할수 있다. 그렇지만 한국의 대학들에서는 교수진과 전공학생의 부족과 개설과목의 제한, 학생들의 졸업 후 진로 등에 문제가 있으며, 중국의 경우 사회주의 체제 관련 교과과정의 편성, 종교학 이론과 방법론에 대한 강좌 및 교수진의 부족 등의 문제가 있다. 그렇지만 다양한 종교의 역사와 현실 등 주요종교전통에 대한 많은 연구 자료가 축적되어 있어 종교학 교육이 용이하고, 대학별로 특화된 교육 목표의 설정 등 두 나라의 종교학 관련 학과의 장점도 있는바, 양국 사이에서 학과 교류를 통해 발전적 방향을 모색할 여지가큼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문제점을 극복하면서 인문학으로서의 종교학으로 발전해 나가기 위한 노력이 양국에 모두 절실히 요구된다. This paper puts its purpose on the analysis of present situation of the department or a major of religious studies in universities of Korea and China. And I would think of the future for study of religion in two countries through its results. The objects of research are the aims of department establishment, courses of study, faculty, and career opportunities of graduates. There are five universities that this study concerns mainly: Seoul National University, Sogang University and Hanshin University in Korea, and Peking University and Pudan University in China. There are little differences in the academic aims and courses of five universities that are oriented for humanities and place a great importance on understanding of religious traditions of the world, provided that two universities in China include a lot of subjects about Marxism and Chinese socialism. I could find that the study of religion in Korea and China already became the one of interdisciplinary fields from the academic concerns of faculties of the department or major of religious studies. There is something in common with the career opportunities for graduates among Universities that they are recommended to go to graduate school or set a work place in the line of tourism, religious fields, cultural sectors, and etc. But two universities in China have a distinguishing remark in them. In China, working at a government organization is the most desirable job and that is probably because the Chinese government organization has departments that manage religious policies. The departments or majors of religious studies of universities in Korea and China have established the institutional frame and conditions for teaching and learning for last three decades. But they are confronted by the reorganization of academics that in order to reform the universities, many students and professors need to cut down in number. In a word, the prospects of religious studies in universities are discouraging. So I suggest that the politics should establish policies for religious studies and the department of religious.

      • KCI등재

        일-가정 균형에 대한 지원환경, 일-가정 균형에 대한 만족도, 종업원의 철회행위 및 맥락성과 간의 관계에 대한 연구

        류성민(Seongmin Ryu),안성익(Seongik Ahn) 한국산업경영학회 2012 경영연구 Vol.27 No.2

        본 연구에서는 일-가정 균형을 지원하는 기업의 가정친화 업무환경(조직지원 및 상사지원)에 대한 종업원의 인식과 업무에 대한 통제권, 일-가정 균형에 대한 만족도, 종업원의 행동(부정적 행위로서 철회행위 및 긍정적 행위로서의 맥락성과) 간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실증분석을 위해서 12개 기업의 종업원들과 그들의 직속상사로 구성된 230쌍으로부터 수집된 자료를 활용하였다. 구조방정식모형 분석을 활용하여 수집된 자료를 분석한 결과, 가정친화 업무환경 중 조직지원에 대한 인식은 종업원들의 업무에 대한 통제권 인식과 일-가정 균형에 대한 만족도에 정(+)의 유의한 영향을 나타냈다. 가정친화 업무환경 중 상사지원에 대한 인식은 종업원들의 업무에 대한 통제권 인식에는 정(+)의 유의한 영향을 나타냈지만 일-가정 균형에 대한 만족도에는 유의한 영향을 나타내지 않았고, 업무에 대한 통제권 인식은 일-가정 균형에 대한 만족도에 정(+)의 유의한 영향을 나타냈다. 이런 관계를 통하여 가정친화 업무환경에 대한 인식은 업무에 대한 통제권 인식을 매개하여 일-가정 균형에 대한 만족도에 간접적으로도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일-가정균형에 대한 만족도는 종업원의 철회행위에는 부(-)의, 맥락성과에는 정(+)의 유의한 영향을 나타냈다. 이런 관계를 통하여 가정친화 업무환경에 대한 인식은 업무에 대한 통제권 인식과 일-가정균형에 대한 만족도를 매개하여 종업원의 행동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연구의 의의, 한계 및 추후연구과제에 대해 논의하였다. We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s among employees’ perception of the family supportive work environment, perception of control over work, satisfaction with work-family balance and two behavioral outcomes. We collected data from 230 supervisor-subordinate dyads in 12 organizations and analyzed the data with structural equation model. The perceived organizational family support of the family supportive work environment showed a positive effect on satisfaction with work-family balance. The perceived supervisor’s family support of the family supportive work environment was proved to have positive relationship with control over work but not with satisfaction with work-family balance. The results of further analysis showed that perception of control over work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ption of family supportive work environment and satisfaction with work-family balance. Furthermore, satisfaction with work-family balance showed a negative effect on withdrawal behavior and a positive effect on contextual performance. In all, the relationship between family supportive work environment and behavioral outcomes was mediated by perception of control overwork and satisfaction with work-family balance. On these results, we discussed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our study and suggested the direction for future research.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