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블렌디드 러닝 설계원리에 기반한 개별화된 긍정적 행동 지원이 중도 지적장애 초등학생의 수업 방해 행동에 미치는 효과

        류규태,박경옥 한국통합교육학회 2022 통합교육연구 Vol.17 No.1

        This study observed behavioral change of 2 elementary students with severe intellectual disability, who showed classroom disruptive behavior during inclusive class. It aimed to learn the change and maintenance of classroom disruptive behavior after individualized positive behavior support based on design principles of blended learning, both online and offline. The experiment for classroom disruptive behavior support applied multiple baseline design, where 3 class sessions of different subjects are observed. As a result of the experiment, the individualized positive behavior support based on design principles of blended learning consistently decreased the average rate of classroom disruptive behavior of elementary students with severe intellectual disability, the immediacy after intervention and the average rate between sessions. Also, it showed 100% Nonoverlaping Date Points between basic line and intervention, 100% Improvement Rate Difference and maintenance effect after the intervention is finished. These results prove that some of the design principles of BL classes, such as technical support and psychological support, have been applied as necessary class design principles for positive behavior support for children. Moreover, it can be inferred that they have positively affected students’ task avoidance behavior. Based on the result of the experiment, the study discusses the usefulness of design principles of blended learning in individualized behavior support and suggests further developmental measures. 본 연구는 통합교육 상황에서 수업 방해 행동 문제를 보이는 2명의 중도 지적장애 초등학생의 행동 변화를 살펴보고자 실시하였다. 온·오프라인의 블렌디드 러닝 설계원리에 기반하여 개별화된 긍정적 행동 지원을 한 후 수업 방해 행동의 변화와 행동 유지 여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수업 방해 행동 지원을 위한 실험 설계는 3개 교과 시간을 관찰하는 상황 간 중다(복수) 기초선 설계를 적용하였다. 연구 결과, 블렌디드 러닝 설계원리 기반 개별화된 긍정적 행동 지원은 중도 지적장애 초등학생의 수업 방해 행동의 평균, 중재 후 즉각성, 회기 간 평균의 일관된 감소와 기초선 기간과 중재 간의 비중복비율 100%, 개선율 차이 100%, 중재 종료 후 유지효과를 보였다. 이와 같은 결과는 블렌디드 러닝 설계원리 중 기술적 지원과 심리적 지원 등의 원리가 아동의 긍정적 행동 지원 중재에 필요한 수업 설계원리로 적용되었음을 방증하며, 아동의 과제 회피 행동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음을 추론해 볼 수 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토대로 개별적인 행동 문제를 지원하는데도 블렌디드 러닝 설계원리가 유용할 수 있다는 점에 대해 논의하고 후속적인 발전적 방안을 제언하였다.

      • KCI등재

        중도․중복장애 학생의 개별화교육계획 작성 및 실행과정에 대한 일반교사의 인식과 지원요구

        류규태,박경옥 한국통합교육학회 2016 통합교육연구 Vol.11 No.2

        본 연구는 중도·중복장애 학생 개별화교육계획에 대한 일반교사의 인식을 1) 개별화교육계획 수립 이전 2) 개별화교육계획 작성 및 실행 과정 3) 발전적 요구 및 지원방향을 중심으로 알아보고 향후 발전 방향을 제시하기 위함이다. 이를 위해 중도‧중복장애 학생의 담임경력교사 10명을 대상으로 핵심 집단 면담을 하고 분석하였다. 면담 결과 첫째, 개별화교육에 대한 방관자적 인식은 개별화교육계획에 의거한 교수활동이 아니었고, 행정 업무의 가중으로 개별화교육계획, 실행에 대한 시간적인 여유가 없다고 인식하였다. 둘째, 개별화교육에 대한 협력적 실행자로서의 인식은 개별화교육계획에 대한 이해도가 낮고 복잡했으며, 개별화교육지원팀 주체자간의 협력적 지원 부족을 지적하였다. 셋째, 발전적 요구 및 지원방안으로 교과에 맞는 보조공학 지원, AAC에 대한 연수를 희망하였고, 중도‧중복장애 학생을 위한 교과별 가이드북이 필요하다고 인식하였다. 이와 같은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성공적인 개별화교육을 위한 일반교사의 인식에 관한 논의와 함께 적절한 방안을 개별화교육계획 및 실행을 중심으로 제언하였다. This research was to recognize general education teachers’ perception for successful inclusion of students with severe and multiple disabilities, in terms of 1)writing plans for IEP and implementation process 2)developmental need and support direction, and to suggest direction of development in the future. For this, 10 general education teachers who have experienced of teaching students with severe and multiple disabilities were analyzed through group interviews. First of all, as a result, teachers’ recognition like bystanders on IEP section is not about teaching and learning activities by IEP, but about their shortage of time to perform IEP due to an increase of administrative work. Second, teachers’ recognition as collaborative performers was low in terms of their understanding and complex, and they pointed out that collaborative support between IEP subjects of the support teams is lacking. Third, as developmental need and support method, teachers hoped assistive technology suited for the different subjects and teaching training opportunity about ACC. Also, they recognized that guidebooks of each subject for students with severe and multiple disabilities are needs. Based on these analyzed results, general education teachers’ perception and support needed on IEP plan, and appropriate implementation process have been properly proposed.

      • KCI등재

        고교학점제 업무 담당 일반교사가 인식하는 중도지적장애 학생의 정당한 고교학점제 참여 방안

        류규태,박경옥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 2022 지적장애연구 Vol.24 No.2

        This study aims to confirm and analyze suggestions from teachers who are in charge of high school credit system model school, to encourage students with severe intellectual disability to successfully participate in a high school credit system in regular schools. To meet the study’s objectives, we conducted a focus group interview to 10 teachers who are in charge of high school credit system and working in schools where students with severe intellectual disability attend. Suggestions of the teachers can be categorized into 3 primary themes, 8 subthemes and 13 sub sub-themes. As a result of the interviews, first of all, they suggested that during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design stage, there needs to be preparation to include students with severe intellectual disability in a student subject demand survey, a guideline of subject selection for 3 years easy enough for them to understand, and an analysis of suitability of the elective courses from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support team. Second, they suggested that while operating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there needs to be specific roles of subject teachers, special education teachers and people in charge and preventive and complementary measures to minimize failing classes regarding evaluation, in order to guarantee students’ right to take elective classes properly. Third, to seek sustainability, they suggested various changes in class management such as coordination of major and vocational subjects, reestablishment of teacher resources which expands special education teacher roles by strengthening their teaching competence of different subjects and various changes of teaching environments such as using on and offline common curriculum with flexble teaching environment. Based on the study result, we have suggested discussion and further study about solutions for effective application of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in the 2022 special education curriculum. 본 연구는 일반 학교에 재학 중인 ‘중도지적장애’ 학생의 정당한 고교학점제 참여를 위한고교학점제 연구(선도)학교 담당 교사의 제안을 확인하고 분석하고자 실시되었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중도지적장애’ 학생이 포함된 학교에서 고교학점제 업무를 담당한 교사10명을 대상으로 포커스 그룹 면담하였다. 교사들의 제안은 3개의 대주제, 8개의 중주제, 13 개의 소주제로 요약되었다. 면담 결과, 첫째, 고교학점제 설계과정에서, 선택 과목 개설 희망수요조사에서 배제가 없도록 하는 등의 준비과정, 지적 능력에 맞게 수정된 3개년 과목 설계가이드북 제공 등의 안내 과정, 고교학점제 지원팀에서 선택 과목의 적합성 분석과 같은 신청과정이 필요함을 제시하였다. 둘째, 고교학점제 운영과정에서는, 선택 과목에 대한 정당한수업권 확보 노력으로 교과 교사, 특수교사, 업무 담당자의 세부 역할과 평가 차원에서 미이수를 최소화하기 위한 예방적 조치와 보충적 조치 등을 제안하였다. 셋째, 내실화를 다지는제안으로는, 기본교육과정의 교과와 전문교과를 연계하는 등의 교과 운영방식의 다변화, 다과목 지도 역량 강화로 특수교사 역할을 확장하는 교수자원의 재정립, 수업 장소가 유연한 온· 오프라인 공동교육과정 등을 활용하는 교수 공간의 다변화를 제안하였다. 연구 결과를 토대로 2022 개정 특수교육 교육과정에서 고교학점제의 실효성 있는 적용 방안에 대한 논의와 향후 과제를 제시하였다.

      • 정착수업을 통한 장애이해교육 프로그램 개발

        류규태,박경옥 大邱大學校 師範大學 附設 敎育硏究所 2014 學校敎育硏究 Vol.9 No.-

        성공적인 통합교육은 통합교육환경에서 비장애 학생들의 장애학생에 대한 올바른 인식과 긍정적 태도에 달려 있다. 이러한 통합교육의 성패를 결정짓는 장애학생에 대한 바른 인식과 긍정적 태도변화를 위해 장애이해교육은 반드시 필요하다. 본 연구의 목적은 비장애 학생들에게 정착 수업을 활용하여 적절한 장애인식 및 이해를 돕는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함이다. 이 교육 프로그램을 적용한 수업으로 비장애 학생이 장애에 대한 올바른 태도 및 긍정적 지식을 습득하게 한다. 장애와 관련한 다양한 문제를 해결하고 통합학급 환경에서 만나는 장애 학생에 대한 사회 친화적으로 어울려 지낼 수 있는 기술을 습득도록 하는데 초첨을 두고 논의하였다. The success of integrated education depends on whether students without disabilities have a proper understanding of and a positive attitude towards students with disabilities in an integrated learning environment. Disabilities understanding education is essential to encouraging a proper understanding of and a positive attitude towards student with disabilities, upon which the success of integrated education relies. The aim of this study is to develop educational programs that help students without disabilities develop a proper understanding of and attitude towards disabilities through anchored instruction. Through instruction where such programs are applied, students without disabilities can build a positive attitude towards and proper knowledge about disabilities. In additon, through this instruction, those students are expected to learn more about disabilities. The focus of the study lies on helpiing develop the skills of solving a variety of disability-related ploblems and socializing with students with disabilities that other students encounter in an integrated learning environment.

      • KCI등재

        특수학급 고교학점제 운영 절차 모형 개발

        류규태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 2024 지적장애연구 Vol.26 No.2

        본 연구는 특수학급 고교학점제 운영 절차와 하위요소가 담긴 절차 모형을 도출해, 추후 학사 운영 과정과 연계한 고교학점제 교사 실행 지침으로 활용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 방법은 첫째, 일반교육 선행문헌 등에서 확인된 고교학점제 운영 절차를 분석해 절차 모형 초안을 추출하였다. 둘째, 선행문헌에서 추출된 절차 모형에 대해 ‘적절성’ 등을 검증하는 전문가 델파이 조사를 3차례 진행했고, 핵심 운영 절차와 운영 요소가 담긴 최종 절차 모형을 도출하였다. 결과적으로, 선행문헌 검토와 전문가 델파이 조사 과정에서 제안된 특수학급 고교학점제 운영을 위한 절차 모형은 ‘교육과정 편제’, ‘규정 정비’, ‘정보 제공’, ‘요구 조사’, ‘수강 신청과 점검’, ‘수업 실행 기반 조성’, ‘성취 수준 보장’, ‘미이수 예방’, ‘평가와 기록’을 포함한 12개 절차와 ‘수강 신청 지원 절차의 규정 명시 필요’ 등을 포함한 23개의 운영 요소로 구성하였다. 연구 결과에 토대로, 일반교육 고교학점제와의 연계 가능성과 본 연구만의 차별성 등을 논의 및 제언하였다. This study aims to derive a procedural model including the operational procedure of high school credit system in special classes and their sub-elements, which can be utilized as guidelines for high school credit system teachers, integrated with future academic operation processes. The research methodology involved, to start with, constructing a preliminary procedural model by analyzing the operational procedures of high school credit systems identified from general education literature. Secondly, a Delphi expert review was conducted three times to validate the appropriateness and other aspects of the procedural model produced from the literature. In the end, the final procedural model, containing key operational procedures and operational elements, was derived. As a result, the procedural model for operating high school credit systems in special classes, developed through literature review and Delphi expert review processes, includes 12 procedures such as 'curriculum planning,' 'regulation maintenance,' 'information provision,' 'needs assessment,' 'course registration and verification,' 'establishment of basis for class operation' 'guaranteeing the achievement levels,' 'prevention of getting ‘incomplete’ level,' 'evaluation and record,' and 23 operational elements including 'need for specification of regulations of course registration support procedures.' Based on the research findings, the possibility of integration with general education high school credit systems and the distinctivenes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and proposed.

      • KCI등재

        통합학급교사의 개별화교육에 대한 인식 및 과제

        류규태,박경옥 한국통합교육학회 2016 통합교육연구 Vol.11 No.1

        The purpose of this review was to analyze studies on individual education recognized by general teachers, verify their recognition and suggest appropriate alternatives. A total of 16 studies were reviewed to year published, classify the objective of the study, the method of the study, and the subject of the study and to investigate the recognition of general teachers. The findings indicated that the participants in most studies were it has been most studied in 2010~2012, and teachers in kindergartens and elementary schools, and the studies were proceeded mostly based on survey research. The subject in most studies were about the individual education courses run. Based on the studies, the recognitions of the general teachers on individual education were categorized into 3 types : (a) responsibility on IE(Individual Education), (b) setting up the plans for IEP(Individual Education Plan), (c) procedures of IE. More specifically, they realized the responsibility on IE while proceeding setting up the IEP, general recognition and participation marked a low rate. The bottom line is that during the procedure, they realized the necessity but showed the difficulty in communication or cooperation among them. Based on this analysis, the discussion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provided. 본 연구의 목적은 통합학급교사가 인식하는 개별화교육에 대해 학술지 논문을 통해 분석하고, 그들이 가지고 있는 개별화교육에 대한 인식을 확인하여 그것에 대한 적절한 대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선정된 총 16편의 연구에서 게재 연도, 연구 대상, 연구 방법, 연구 주제별로 분류해보고 통합학급교사의 인식을 종합하여 제시하고자 한다. 개별화교육에 대한 논문 중 통합학급교사의 인식에 대한 연구의 전반적 특성은, 2010년~2012년에 가장 많이 연구 되었으며, 연구의 대상은 유·초등학교가 많았고, 연구방법으로는 조사연구가 많았으며, 연구 주제로는 개별화교육 실행 과정에서의 협력에 관한 주제가 가장 많았다. 내용 분석을 통해 살펴본 바로는 통합학급교사의 개별화교육에 대한 책무성, 개별화교육계획 작성, 개별화교육 실행 과정에 대한 인식으로 나누어볼 수 있었다. 각 영역에 대한 내용을 분석한 결과, 통합학급교사들은 개별화교육계획과 실행에 책무성은 인식하고 있었으나 개별화교육계획 작성 과정에 대한 전반적인 내용 인지, 회의 참여율이 낮았다. 그리고 개별화교육 실행 과정에서 역시 통합학급교사들이 장애학생의 개별화교육을 위해 필요하다고는 인식하였으나 소통이나, 구성원 간 협력에 어려움이 있다는 결과가 도출되었다. 이와 같은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통합학급교사의 개별화교육 인식에 관한 논의와 함께 적절한 대안을 모색하여 제언하고자 한다.

      • KCI등재

        발달장애인의 문제행동 중재에 관한 단일대상연구 분석

        류규태,윤주연 한국정서행동장애학회 2023 정서ㆍ행동장애연구 Vol.39 No.3

        This study aims to explore appropriate intervention strategies for Problem behaviors exhibited by individual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by systematically analyzing single subject study. For this purpose, a total of 45 articles published in domestic academic journals from 2012 to 2022 were selected. First, frequency analysis was conducted on the general characteristics such as the main academic research field, intervention subjects, and intervention environments. Next, the independent variables such as the interventionists of the single subject studies, design techniques, types of interventions were analyzed using frequency analysis. Lastly, the dependent variables such as destructive and aggressive behaviors and disruptive behaviors were also analyzed using frequency analysis and the extent of the effect of decreasing Problem behaviors of each dependent variable was analyzed using PND. The research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in terms of general characteristics, the majority of intervention studies were conducted in the field of special education and focused on students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attending secondary schools. The interventions were mostly implemented in school settings. Second, regarding independent variables, studies on special education teachers working as interventionists and utilizing positive behavior support based on the multiple baseline design were the most prevalent. Third, in terms of dependent variables, research on interventions targeting self-injurious behaviors and mouthing behaviors, which are categorized as destructive and aggressive behaviors, were the most numerous. By categorizing the intervention programs used in the analytical paper by problem behavior and evaluating their size of the intervention effect, it was revealed that most of the intervention types had a significant effect in reducing destructive and aggressive behaviors and disruptive behaviors. Based on these analysis results, the necessity of an interdisciplinary approach to interventions was discussed and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 on the selection and development of tailored intervention programs for specific Problem behaviors were suggest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