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준수 또는 설명 방식에 따른 기업지배구조 핵심지표 미준수 사유의 설명과 기업가치 간 관계

        두서영,윤성수 한국회계정보학회 2023 회계정보연구 Vol.41 No.3

        [연구목적] 기업지배구조 모범규준의 핵심적인 원칙인 준수 또는 설명(Comply or Explain, CoE) 방식은 각 기업에 적절한 지배구조를 선택할 수 있는 재량권을 부여하고 기업의 지배구조 선택을 자본시장에서 평가받도록 함으로써 지배구조의 개선을 기대한다. 본 연구는 기업지배구조 공시제도가 CoE 방식의 취지에 맞게 이루어지고 있는지를 살펴보고자 기업지배구조핵심지표 준수 현황의 공시와 기업가치 간 관계를 분석한다. [연구방법] 2019년부터 2021년까지 기업지배구조보고서를 공시한 유가증권시장 상장기업을대상으로 기업지배구조 핵심지표의 준수 여부 및 미준수 사유의 공시와 기업가치 간 관계를회귀분석하고, 미준수 사유의 공시 현황을 분석한다. [연구결과] 기업지배구조 핵심지표의 준수 여부 및 미준수 사유의 공시와 기업가치 간 관계를 분석한 결과, 핵심지표의 준수는 기업가치와 유의한 양(+)의 관계가 있으나 미준수 항목에대한 설명은 전반적으로 기업가치와 유의한 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핵심지표 중 미준수율이 높은 항목에 대해 기업이 공시한 설명의 내용을 분석한 결과, 다수의 기업이 해당 항목을 미준수하였다는 사실만 기재하였으며, 미준수 이유 및 향후 계획을 기재한 경우에도 대부분 가이드라인 및 모범사례에서 예시한 일반적인 내용을 서술하거나 형식적으로 기재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의 시사점] CoE 방식의 기업지배구조보고서 의무공시제도는 기업지배구조의 효과적인공시가 기업경영의 투명성과 중장기 기업가치의 제고에 기여할 것을 기대하고 도입되었으며, 의무공시대상의 단계적 확대를 통해 2026년에는 전체 상장기업으로 확대될 예정이다. 핵심지표의 미준수에 관해 기업이 제공하는 설명이 구체적이지 않고 기업가치와 유의한 관련성이 없다는 본 연구의 결과는 기업과 정보 이용자들의 CoE 원칙, 특히 설명(E) 요소에 대한 이해도를 높이고 기업의 공시품질을 제고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Purpose] The Comply or Explain (CoE) approach, a core principle of the Corporate Governance Code, encourages an improvement in corporate governance by affording each firm the discretion to choose an appropriate governance structure and by allowing capital market participants to assess the firm’s governance choice. In order to investigate whether the corporate governance disclosure system works in accordance with the spirit of the CoE approach, this study analyzes the relationship between disclosure of the status of compliance with the key indicators of corporate governance and firm value. [Methodology] Using a sample of listed firms that disclosed corporate governance reports from 2019 to 2021, we perform regression analysi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disclosure of compliance or explanations for non-compliance with key corporate governance indicators and firm value. Additionally, we analyze the content of the explanations for noncompliance. [Findings] We find that compliance with key indicators has a positive relationship with firm value, while explanations for non-compliance do not exhibit a significant relationship with firm value. We also find that the majority of non-compliers state only the fact that they do not comply with the key indicators or provide general explanations exemplified in guidelines and best practices for their non-compliance. [Implications] The mandatory disclosure system for corporate governance reports, under the CoE approach, is intended to enhance transparency and the long-term value of the firm through effective disclosure of corporate governance and will apply to all listed firms in 2026. We find that the explanations provided by non-compliers are neither specific nor significantly related to firm value. These findings suggest the need for a discussion on ways to enhance the understanding of the essence of the CoE principles, particularly the Explanation (E) element, among both firms and information users and to improve the quality of corporate disclosures.

      • KCI등재

        감사위원 선임방식이 감사위원회 구성에 미친 영향

        두서영,윤성수 한국공인회계사회 2022 회계·세무와 감사 연구 Vol.64 No.3

        The 2020 amendment of the Commercial Act stipulates that a company should appoint at least one member of an audit committee separately from other directors (Article 542-12 (2)). In order to limit the influence of large shareholders in the appointment of audit committee members, voting rights are restricted for shares exceeding 3% of the total number of issued shares with voting rights. Before the 2020 amendment of the Commercial Act, firms appointed audit committee members through a combined election which appoints directors first and then appoints audit committee members from among directors appointed in the previous stage. In a separate election, audit committee members are appointed separately from directors who are not audit committee members. The difference between the two methods is whether the restriction on the voting rights of large shareholders is actually applied in the appointment process of audit committee members. This study investigates the impact of the separate elections of audit committee members on the composition of the audit committee. Specifically, we compare the characteristics of candidates for audit committee members whose appointment agenda is proposed according to two methods of elections, namely, combined and separate elections. We also analyze how much the voting rights of major shareholders are restricted according to the Commercial Act when voting on the appointment agenda of audit committee members, and compare whether the effect of voting rights restriction differs according to the two election methods using the approval rate of the agenda. For our empirical test, we use listed firms that disclose corporate governance reports and vote on the agenda for the appointment of audit committee members from 2019 to 2021. The main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in the case of candidates for separate elections, the ratio of newly appointed candidates is high and the ratio of certified public accountant (CPA) or those with a master’s degree or higher in accounting or finance is high. This suggests that companies tend to select candidates with relatively high independence and financial expertise as candidates for separate elections. Second, on average, 41% of the voting rights of major shareholders are restricted when voting on the appointment agenda of audit committee members, which indicates that a significant portion of major shareholders’ holdings is unable to exercise their voting rights. However, considering that the agreement rate is over 90% and the approval rate reaches 98%, the voting rights restriction does not seem to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whether the appointment agenda is passed. Third, in firms with a high voting rights restriction rate, the agreement rate for candidates for separate elections is rather high. This seems to be the result of selecting candidates with relatively high independence and financial expertise as candidates for separate elections. In firms with a high voting rights restriction rate, there is also a large difference between the agreement rate in the first and second stages of the combined election. This suggests that if there is a big difference of opinion between major shareholders and minority shareholders about candidates for audit committee members, the combined election can be used to select candidates preferred by major shareholders. This study provides preliminary evidence on the application status of the mandatory separate election of audit committee members. In addition, it presents evidence on whether the effect of voting rights restrictions differs across election methods. Our results provide policy implications for the current debates on the ways audit committee members are appointed. 본 연구는 2020년 12월 29일 상법 개정에 따른 감사위원 1인의 분리선임 의무화가 기업의 감사위원회 구성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한다. 구체적으로, 감사위원 선임을 위한 두 가지 방식인 일괄선임과 분리선임 방식에 따라 선임 안건이 상정된 감사위원 후보자의 특성을 비교한다. 또한, 감사위원 선임 안건 결의 시 상법에 따른 대주주의 의결권 제한 효과를 분석하고, 의결권 제한의 실질적 효과가 선임방식에 따라 차별적인지를 안건 찬성률을 기준으로 비교한다. 2019년부터 2021년까지 기업지배구조 보고서를 공시한 기업 중 감사위원 선임 안건을 결의한 기업을 대상으로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분리선임 후보자는 신규선임 비율이 높고 회계사 및회계・재무분야 학위 보유자의 비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기업이 독립성과 전문성이 상대적으로 높은 자를 분리선임 후보로 선택하는 경향이 있음을 시사한다. 상법에 따른 의결권 제한율은 평균 41%로 대주주 지분의 상당수가 의결권이 제한되나, 선임방식과 무관하게 안건 찬성률은 90%를 상회하고 가결률은 98%에 달했다. 의결권 제한율이 큰 경우 분리선임 안건의 찬성률이 다소 높게 나타났는데, 이는 의결권 제한율이 큰 기업이 독립성과 전문성이 상대적으로 높은 후보를 분리선임 후보로 선택한 결과로 보인다. 한편, 의결권 제한율이 큰 경우 일괄선임의 단계별 찬성률 차이가 크게 나타났으며, 이는 감사위원 후보자에 대한 대주주와 소수주주 간 의견 차이가 큰 경우 대주주가 선호하는 후보자를 선임하기 위해 일괄선임방식을 활용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본 연구는 감사위원 분리선임 의무화의 적용 현황에 대한 예비적 증거를 제시하고, 상법에 따른 대주주의 의결권 제한의 정도 및 선임방식별 실질적 효과에 관한 실증적 증거를 제시함으로써 감사위원선임방식에 대한 정책적 시사점을 제공한다.

      • KCI등재

        연결범위의 현황 및 공시에 관한 연구

        두서영,윤성수 한국국제회계학회 2022 국제회계연구 Vol.- No.101

        [연구목적]본 연구는 국내 상장기업이 작성한 연결재무제표에 포함되는 종속기업의 현황과 해당 종속기업에 대한 공시내용을 분석하고, 기업의 연결범위 판단에 관한 공시 정보의 유용성을 높이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방법]2000년부터 2019년까지 연결재무제표를 작성한 16,869 기업-연도의 패널 데이터를 이용하여 이들이 작성한 연결재무제표에 포함된 종속기업의 현황을 분석하며, 2019년도 말 현재 연결총자산 기준 상위 10개사를 선정하여 해당 기업의 사업보고서와 연결감사보고서상 연결대상 종속기업에 관한 공시내용을 분석한다. [연구결과]연결대상 종속기업에 대한 현황을 분석한 결과, K-IFRS 도입 이후 연결대상 종속기업의 범위가 확대되었으며, 특히 지분율이 과반에 미달하지만 실질 지배력이 있는 것으로 판단되어 연결범위에 포함된 종속기업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종속기업에 대한 공시내용을 검토한 결과, 규정 및 지침 준수를 위한 목적으로 공시내용이 작성되어 정보이용자들이 기업의 연결범위 판단 과정을 이해하고 그 적정성을 평가하기에는 한계가 있었다. [연구의 시사점]연결범위의 결정을 위해서는 사실과 상황을 종합적으로 고려한 판단이 요구되며, 이 과정에서 경영자의 전략적 선택이 개입될 수 있다. 본 연구는 연결범위와 관련된 견해 차이를 해소하기 위해서는 기업의 연결범위 결정 과정을 더욱 상세하고 효과적으로 공시할 필요가 있음을 지적하고, 연결범위 관련 공시의 유용성을 높이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 KCI우수등재
      • KCI등재

        기업수명주기, 시장경쟁과 투자효율성 간 관계에 관한 실증연구

        두서영 ( Seo Young Doo ),윤성수 ( Sung-soo Yoon ),송길성 ( Kil Sung Song ) 한국회계학회 2016 회계저널 Vol.25 No.4

        본 연구는 기업의 현금흐름을 기준으로 구분한 기업수명주기(firm life cycle)에 따라 투자효율성이 차별적으로 나타나는지를 살펴보고, 기업이 속한 산업의 경쟁 정도가 투자효율성에 영향을 미치는지, 그리고 이러한 경쟁의 효과가 기업수명주기에 따라 차별적으로 나타나는지 분석한다. 2006년부터 2013년까지 유가증권시장 및 코스닥시장에 상장된 12월 결산 비금융업 기업을 대상으로 실증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기업수명주기의 단계별로 기업의 투자효율성이 상이한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성숙기 기업의 경우 과잉투자가 완화됨에따라 다른 단계에 비해 투자효율성이 개선되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둘째, 산업 내 경쟁이 치열할수록 기업의 과잉투자 및 과소투자 성향이 완화되어 투자효율성이 향상되며, 특히 도입기 기업의 과잉투자와 성숙기 기업의 과소투자가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시장경쟁이 기업의 경영을 규율하는 메커니즘의 역할을 하며, 이때 기업의 현재 발달단계에 따라 경쟁이 투자효율성을 향상시키는 방식이 차별적일 수 있음을 의미한다. 본 연구는 현금흐름 양상을 기준으로 구분한 기업수명주기에 따라 기업의 투자효율성이 달라지고, 시장경쟁이 이 관계에 영향을 미친다는 실증결과를 제시함으로써 선행연구를 확장하였다. 산업 내 경쟁이 기업의 투자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는 연구결과는 기업의 투자효율성 증진을 위한 정책 마련에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is study investigates (1) whether firms`` current economic status, named firm life cycle, influences their investment efficiency and (2) whether and how market competition alters the relation between firm life cycle stages and investment efficiency. Corporate investment decisions are affected by both firm-level and industry-level factors. Prior literature on firm life cycle suggests that firms are likely to experience distinct stages of development, and that management decisions are influenced by firms`` economic characteristics reflected in these stages. Applying the concept of firm life cycle to investing activities, we examine whether investment efficiency is systematically related to firm life cycle stages. Another line of research finds that product market competition is an important driver of managerial decisions. We provide empirical evidence on the relation between the intensity of product market competition and corporate investment efficiency, and extend prior literature by examining the differential role of market competition across life cycle stages. Following Dickinson(2011), we use the combinations of the signs of firms`` operating, investing, and financing cash flows to classify individual firm-years into one of the following five life cycle stages: an introduction stage, a growth stage, a mature stage, a shake-out stage, and a decline stage. An introduction stage is where both operating and investing cash flows are negative while financing cash flows are positive. In a growth stage, operating cash flows turn positive while investing (financing) cash flows remain negative (positive). Firms in a mature stage have positive cash flows only in operating activities. A shake-out stage encompasses diverse patterns of cash flows: all positive, all negative, or negative only in financing activities. Finally, a decline stage is where operating (investing) cash flows are negative (positive) as firms exit the market. We use Herfindahl-Hirschman index (HHI) as a proxy for the degree of product market competition. Regarding investment efficiency, we adopt the model of McNichols and Stubben(2008) to estimate the extent of over- or under-investment. Our sample consists of 7,920 firm-year observations for the period from 2006 to 2013. Of these, 1,426 firm-years fall into the introduction stage while 2,333 firm-years have cash flow patterns of the growth stage. Mature and shake-out firm-years are 2,575 and 905, respectively. Finally, 681 firm-years belong to the decline stage. Empirical results confirm that corporate investment efficiency differs across life cycle stages. On average, our sample firms appear to under-invest. When we partition the entire sample into individual life cycle stages, we find that the firms in both the introduction stage and the growth stage over-invest while those in the mature and subsequent stages under-invest. The absolute value of inefficient investment decreases significantly in the mature stage, and such improvement appears to stem from the reduction of over-investment in earlier stages. We also find that market competition generally improves investment efficiency by lessening over- and under-investments. Intense market competition reduces the over-investment of firms in the introduction stage and the under-investment of firms in the mature stage. These results support the governance role of product market competition: market competition works as a disciplinary mechanism by decreasing managerial overconfidence in the introduction stage and managerial entrenchment in the mature stage. We also conduct several sensitivity analyses and find that our results hold. For example, when we use average cash flows in two years (current and the past year) to classify firm-years into one of the five life cycle stages, we get qualitatively the same results as those in the main test. The primary results are generally robust when we use alternative proxies for investment efficiency and market competition and when we consider alternative model specifications. This study contributes to the extant literature in multiple ways. First, we extend the literature on firm life cycle and investment efficiency by analyzing the systematic relation between the two factors. Prior research on corporate investment decisions paid little attention to the impact of firms`` economic status captured by life cycle on investment efficiency. Investors might gain insights on corporate investment efficiency by focusing on the pattern of cash flows. Second, this study provides policy implications to regulators by demonstrating that market competition has a positive impact on corporate investment efficiency. Our results suggest that policy makers need to consider the role of competition and firms’ development stages when preparing for investment stimulus packages.

      • KCI등재

        연구논문 : 산업 내 선도기업의 선(先)공시이익이 후(後)공시기업의 결산일 이후 이익조정 및 시장반응에 미치는 영향

        두서영 ( Seo Young Doo ),최우석 ( Woo Seok Choi ),윤성수 ( Sung Soo Yoon ) 한국회계학회 2015 회계저널 Vol.24 No.2

        기업은 이익기준점을 달성하기 위하여 보고이익을 조정하려는 유인을 가지고 있으며, 기업의 이익기준점 달성에 대한 시장의 기대는 동일산업 내 다른 기업의 이익기준점 달성 여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즉, 투자자들이 기업에 대한 투자의사결정을 하는 과정에서 다른 기업의 성과를 고려하고 그 결과 기업의 보고이익에 대한 시장기대치가 달라진다면, 기업이 보고이익을 조정하고자 하는 유인 또한 다른 기업의 보고이익에 따라 달라질 것이다. 이에 본 연구는 이익을 먼저 공시하는 동일산업 내 대규모 기업(선공시기업)의 보고이익이 당해 기업(후공시기업)의 보고이익 결정과정 및 보고이익에 대한 시장반응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분석한다. 2007년부터 2012년까지의 기간 동안 재무분석가 이익예측치를 가지는 상장기업 중 82개의 선공시기업-연도, 1,825개의 후공시기업-연도를 대상으로 실증 분석한 결과, 선공시기업의 보고이익이 재무분석가 이익예측치에 부합 또는 초과하는 경우 후공시기업의 경영자는 자본시장의 이익압력 증가에 대응하여 재량적 발생액을 이용하여 이익을 상향조정하는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선공시기업의 보고이익이 재무분석가 이익예측치를 달성(미달)하는 경우 후공시기업의 비기대이익에 대한 시장반응은 약화(강화)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산업선도기업의 선공시이익이 기업의 이익조정 행태 및 투자자의 반응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실증함으로써 기업의 이익조정 동기와 산업 내 정보이전 효과에 대한 선행연구를 확장하였다는데 그 공헌점이 있다. Corporate manager has an incentive to meet or beat earnings thresholds and is willing to manage earnings to achieve target earnings. The investor’s expectation on firm performance can be affected by another firm’s performance. If the investor revises expected earnings of a target firm based on another firm’s earnings news within the same industry, the manager’s incentive to manage earnings is also likely to be affected by another firm’s performance. Especially, early announced earnings performance of a leading firm in the industry may be useful for the investor to analyze industry trends and to revise expectation of target firm that have not yet announced. In this study, we focus the effect of a leading firm’s (“early announcing firm”) earnings performance on management and investor behavior of the firm (“late announcing firm”) in the same industry and investigate two research questions. First, we examine the association between one firm’s financial reporting behavior, specifically, discretionary earnings management, and other firm’s early reported earnings. Second, we examine the association between market response to one firm’s earnings announcement and other firm’s early reported earnings. When early announcer meets or beats earning target, managers of late announcers have incentives to engage in upward earnings management in response to increased earnings pressure from market participants. On the other hands, when early announcer fails to meet earnings target, managers of late announcers may expect a lower market penalty for bad news. In this case, managers of late announcers are likely to reduce the extent of upward accruals or to reserve accruals to a future period. Based on this reasoning, we examine late announcer’s earnings management behavior after fiscal year-end and stock market participant’s expectation revise in response to leading firms’ early reported earnings. We use listed firms with analyst forecasts for the period from 2007 to 2012 to test our research questions. Based on Bratten et al.(2013), early announcing firm is defined as the first firm to report earnings and in the first quartile of market capitalization within each industry. Late announcing firm is defined as the firm that reports earnings at least five days subsequent to early announcer’s earnings announcement. We use consensus of analysts’ earnings forecasts as earnings threshold. The sample consists of 82 early announcing firm-year observations and 1,825 late announcing firm-year observations. We find that early announcer’s reported earnings affect late announcer’s earnings management behavior after fiscal year-end. Specifically, late announcing firm is more likely to report higher discretionary accruals in response to increased earnings pressures when early announcing firm reports earnings that meet or beat analyst forecasts. However, there is no significant relation between late announcer’s tax expense management and early announcer’s reported earnings. These results imply that late announcing firm is more likely to engage in upward after-tax earnings management by reporting higher pre-tax discretionary accruals rather than lowering tax expense. We also find that stock market response to late announcing firm’s unexpected earnings is weaker(stronger) when early announcing firm’s reported earnings beat(miss) analyst forecasts. These results indicate that investors may expect good news of target firm when early announcing leading firm reports good news, therefore market premium(penalty) for positive(negative) earnings surprise of the target firm decreases(increases). These results give an empirical evidence for prior research’s assumption that investor evaluates future performance of the target firm on a relative basis. This study extends the prior literature on the determinants of earnings management and information transfer within the industry by providing evidence that early reported earnings of the leading firm within the industry affect financial reporting behaviors of managers and earnings expectations of investors. Our study has an implication to external auditors and investors by showing empirical evidence for information effect of reported earnings of the leading firm in the industry.

      • KCI등재

        Voluntary Audit Committees and Financial Reporting: Korean Evidence

        윤성수,두서영 한국증권학회 2020 Asia-Pacific Journal of Financial Studies Vol.49 No.5

        This study investigates whether and how a regulatory change in the appointment procedure of audit committees affects firms’ choice of an auditor or a voluntary audit committee. It also investigates whether voluntary audit committees improve earnings quality. We find that relatively larger medium-sized firms with high ownership concentration establish voluntary audit committees to reinforce the control of major shareholders and that these audit committees do not improve financial reporting. Our result that audit committees do not necessarily improve financial reporting calls for policymakers and capital market participants to devote greater attention to audit committee appointments.

      • KCI등재

        회계이익의 미래현금흐름 및 미래이익 예측능력이 가치관련성에 미치는 영향

        권수영,두서영 한국공인회계사회 2014 회계·세무와 감사 연구 Vol.56 No.3

        Prior research document the usefulness of earnings for explaining contemporaneous stock prices has been declining over time (Collins et al. 1997; Francis and Schipper 1999; Kim and Kross 2005). Collins et al.(1997) shows that the incremental R2 of earnings for explaining stock prices over book values (a proxy for earnings usefulness) declined from a high of 30 percent to approximately seven percent. Kim and Kross(2005) find the relation has further deteriorated to 5.7 percent during 1992-2000 while the ability of current earnings to predict future operating cash flows more than doubled during the same period. Because a stock price is the present value of future cash flows, the intertemporal decline in earnings usefulness is called “puzzling” (Kim and Kross 2005). Bandyopadhyay et al.(2010) provides a temporal increase in accounting conservatism as one possible reason for “Kim and Kross(2005) puzzle”. They first show that accounting conservatism is positively related to earnings’ future cash flow predictability (defined as “relevance”), but negatively related to earnings’ future earnings predictability (defined as “reliability”). They then show that earnings usefulness is positively related to earnings’ future earnings predictability, not related to future cash flow predictability. Their results indicate that accounting conservatism leads to trade-off between relevance and reliability; as a result, declining in earnings’ usefulness may be observed with increasing earnings’ future cash flow predictability due to decreasing earnings’ future earnings predictability. Although Bandyopadhyay et al.(2010) link earnings’ future earnings predictability to reliability, this is also proxy for earnings’ predictive ability to future firm performance. Even though their notion is admitted, their results that earnings usefulness is positively related to earnings’ reliability only are inconsistent with the conceptual framework for financial reporting, which represent relevance and faithful representation as fundamental qualitative characteristics of useful financial information. Their results are also inconsistent with Barth(2006) asserting that predictability of future cash flow rather than that of future earnings is important for financial statement users. In this paper, we extend Bandyopadhyay et al.(2010) and investigate cross-sectional and time-series variation in the relation between the value relevance of earnings and the ability of earnings to predict future firm performance. Similar to Bandyopadhyay et al.(2010), we link the usefulness of earnings to the ability to predict future cash flows and the ability to predict future earnings. Second, we explore whether the relationship between earnings usefulness and its ability to predict future cash flows and/or future earnings varies with the properties of earnings such as the variabilities of earnings. Third, we examine the intertemporal tren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earnings usefulness and earnings predictabilities of future cash flows and/or future earnings. We first provide empirical evidence that both predictabilities of future cash flows and/or future earnings enhance earnings usefulness. Second, under a high degree of earnings variabilities, earnings predictability of future cash flows is more important. Third, the relationship of earnings usefulness with earnings ability to predict future cash flows became stronger in recent years while the relationship with earnings ability to predict future earnings remained or became weaker. Taken together, the more current earnings contain information about future firm performance, such as future earnings or future cash flows, the more investors use current earnings in their investment decisions. Especially, the recent trend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earnings’ value relevance and earnings’ predictabilities of future cash flows becomes stronger shows that the primary information for investment... 본 연구는 이익의 미래현금흐름 및 미래이익 예측능력이 이익의 가치관련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실증분석 결과, 첫째, 이익의 주가관련성은 이익의 미래현금흐름 예측능력과 미래이익 예측능력에 의해 강화되었다. 둘째, 이익의 미래예측능력과 가치관련성 간 관계는 이익의 변동성 크기에 따라 횡단면적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관찰되었는데, 구체적으로 이익의 변동성이 높은 경우에는 미래이익보다는 미래현금흐름 예측가능성이 높은 이익의 유용성이 보다 강화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이익의 미래예측능력과 가치관련성 간 관계는 횡단면적 차이뿐만 아니라 시계열적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과거에는 미래현금흐름보다는 미래이익의 예측가능성이 높은 경우 이익의 주가관련성이 강화되었으나, 회계환경이 변화함에 따라 이익의 주가관련성을 강화시키는데 있어 미래현금흐름의 예측가능성의 중요성이 상대적으로 커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종합하면, 이익이 미래이익과 미래현금흐름에 관한 예측정보를 많이 포함할수록 이익의 가치관련성은 향상되며, 이러한 관계는 이익의 변동성 정도와 시간의 경과에 따라 달라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투자자의 경제적 의사결정에 유용한 회계정보의 속성이 기업별로 그리고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상이함을 나타낸다.

      • KCI등재

        감사보고서 매출 공시 수준과 재무분석가 이익예측

        허경선,두서영,윤지웅,유승원 한국회계정보학회 2015 회계정보연구 Vol.33 No.2

        Disaggregated sales information in footnotes plays an important role to provide useful information with respect to understand firms’ current revenue sources and to predict future performance. Since the analysts’ forecast process start from forecasts of sales, segmented sales information might be useful to improve predictive power of consolidated earnings for financial statement users. This study examines the impact of the sales disclosure levels in annual report on analysts’ forecast accuracy and forecast dispersion. We employ two measures of sales disclosure level to examine its effect on analyst forecasts: One is to count sub-entity numbers of sales and the other is whether functional disaggregated information of sales is disclosed in footnotes. Main empirical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 sales disclosure level in footnotes is positively associated with the accuracy of analyst’s earnings (sales) forecasts. Specifically, we find that the accuracy of analyst’s earnings (sales) forecasts is significantly positively associated with the disclosed segmented numbers of sales. Second, the sales disclosure level in footnotes is negatively related with the forecast dispersion among individual analysts. These findings suggest that useful information in footnotes has not only an impact on improving the predictive power of entity earnings for financial analysts but also contributes to reduce information asymmetry among individual analysts. 감사보고서의 주석 상 매출의 세부 정보는 기업의 주요 수익 창출과 관련하여 성격별 또는 부문별 원천을 파악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재무분석가의 이익예측 과정이 매출액의 예측으로부터 시작되는 것을 감안하면 감사보고서의 매출 공시 정보는 이익의 예측가능성을 높이는 유용한 정보일 것이다. 본 연구는 기업의 매출액 공시에 초점을 맞추어 감사보고서 상 정보의 공시수준이 기업정보의 주된 이용자이자 전문가 집단인 재무분석가의 이익예측 정확성 및 예측 분산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하였다.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매출관련 영업부문 정보의 공시 수준이 높을수록 또한 매출관련 성격별·기능별 세분화 정보의 공시 수준이 높을수록 개별 재무분석가의 이익예측 정확성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감사보고서의 매출 세분화 정보 제공이 기업의 미래 성과에 대한 예측 가능성을 높임에 따라 재무분석가의 차기 이익예측 정확성을 높인 것으로 해석된다. 둘째, 감사보고서 상 매출관련 영업부문 정보 공시 수준이 높을수록 개별 재무분석가들 사이의 이익예측 분산이 줄어드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미래의 예측가능성에 영향을 미치는 유용한 공적 정보의 제공 수준이 높을 때 재무분석가들 사이의 정보비대칭의 정도가 낮아지며 이에 따라 이익예측의 분산이 감소한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하지만 매출관련 성격별·기능별 세분화 정보는 재무분석가 사이의 예측분산을 줄여주지 못하였다. 결론적으로 본 논문의 실증분석 결과는 매출관련 세분화 정보가 그 성격에 따라 유용성 측면에서 차이가 있으며, 재무분석가의 예측가능성 및 재무분석가들 사이의 정보비대칭에 차별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결과를 제시한다.

      • KCI등재

        배당소득 증대세제와 기업의 내재자본비용

        김단비,윤성수,두서영 한국세무학회 2020 세무와 회계저널 Vol.21 No.2

        본 연구는 「가계소득 증대세제」 중 하나인 배당소득 증대세제가 배당을 늘려 세제혜택 요건을 충족한 기업의 내재자본비용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하고, 이러한 효과가 기업의 지분구조에 따라 차별적인지를 분석한다. 또한 세제혜택을 적용받고자 배당을 증가시킨 기업이 배당소득 증대세제의 종료 후에도 증가된 배당금을 유지하는지를 분석한다. 유가증권시장 및 코스닥시장에 상장된 12월 결산 비금융업 기업을 대상으로 배당소득 증대세제가 적용된 2015년에서 2017년까지의 기간을 그 전․후 기간과 각각 비교하여 실증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배당소득 증대세제 적용기간에 세제혜택을 받은 기업의 내재자본비용이 감소하였다. 이는 세제혜택에 따른 투자자의 세부담 감소 효과가 내재자본비용에 반영된 것으로 보인다. 둘째, 대주주지분율이 높을수록 내재자본비용 감소효과가 완화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대주주의 이익 실현을 위한 배당 증가를 투자자들이 부정적으로 평가하거나, 적용기간 중 세법개정에 따라 대주주에 대한 세제혜택이 감소하여 배당을 증가시킬 유인이 감소하였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추가분석에서 배당소득 증대세제의 종료 후 고배당기업의 배당 행태를 살펴본 결과, 배당소득 증대세제의 시행기간 동안 세제혜택을 받은 횟수가 많은 기업일수록 동 제도의 종료 후에도 증가한 배당을 유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업의 수익성을 비교해 본 결과, 수익성이 높아 배당을 늘릴 여력이 있는 기업은 세제혜택을 위해 배당을 증가시키고 이후 기간에도 이를 유지한 것으로 나타나 배당소득 증대세제의 도입 취지와 일치하는 반면, 수익성이 낮은 기업의 경우 세제혜택을 위해 배당을 일시적으로 증가시키나 과도한 배당이 오히려 기업의 투자를 감소시켜 기업가치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을 가능성도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배당소득 증대세제의 적용기간 동안 고배당기업의 내재자본비용을 분석함으로써 배당소득 증대세제의 경제적 효과를 직접적으로 검증하였다. 한시적인 세제혜택도 기업의 내재자본비용에 영향을 미칠 수 있고 그 효과는 기업의 지분구조에 따라 차별적이며, 세제혜택을 위해 증가한 배당이 과세특례제도가 종료된 이후에도 유지되는지 여부가 기업의 수익성에 따라 다르게 나타난다는 연구 결과는 정부가 세제혜택을 통해 기업의 배당을 유도하고 자본시장을 활성화하기 위한 정책을 수립하는 데 시사점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한다. This study investigates whether dividend income tax incentives affect the implied cost of equity capital of high-dividend companies and whether these effects depend on the ownership structure of the companies. We also analyze whether companies that increased dividends for tax benefits maintain high dividends without these tax benefits. For empirical tests, we use ex ante measures of the cost of equity capital as a dependent variable and identify high-dividend companies following tax law. Our main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cost of equity capital of high-dividend firms decreases during the period of tax incentives. This indicates that investors lower the required rate of returns by reflecting the reduced tax burdens, which supports the dividend tax capitalization hypothesis. Second, the higher the ownership of the largest shareholders, the less the effect of the dividend tax capitalization. This result suggests that high dividend decisions for the tax benefits of the largest shareholders are negatively evaluated in the capital market or that the dividend tax capitalization is mitigated because the tax benefits of the largest shareholders are reduced due to the 2016 revision of tax law. We also find that companies with high profitability can afford to increase their dividends for tax benefits and maintain increased dividends, which is consistent with the purpose of the tax incentives. In the case of low-profitability companies, dividends are temporarily increased in order to receive tax benefits, and there is a possibility that these excessive dividends lower the capacity to invest.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temporary tax benefits affect the cost of equity capital of high-dividend companies, and that this effect depends on the ownership structure and profitability of the companies. These results imply that the policy makers need to closely consider the ownership structure and profitability of companies when they intend to encourage firms to increase dividends through tax benefi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