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동방학지』 200집 기념 대담 <동방학, 국학, 동아시아론: 동방학을 다시 기록하다> - 백영서, 도현철, 한기형

        김성보,백영서,도현철,한기형 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 2022 동방학지 Vol.200 No.-

        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이 간행하는 종합 인문 학술지 『동방학지』가 200집 발간을 기념하게 되었다. 전쟁의 상흔이 채 가시지 않은 1954년도에 첫 1집이 나온 이래 온갖 풍상을 겪으면서도 한 번도 중단되지 않고 68년을 이어온 결과이다. 일제강점기 조선학의 전통이 없었다면, 분단과 전쟁의 소용돌이 속에서도 동방학연구소를 창립하여 인문학의 밭을 일구어낸 선학의 선견지명이 없었다면, 그리고 글 한 편 한 편을 소중히 여기는 편집진과 필자들의 인문 정신이 아니었다 영글 수 없는 수확이다. 창업보다 수성이 어렵다고 한다. 수많은 학술지가 쏟아져 나오고 논문 편 수를 연구자 평가의 기준으로 삼는 학문 시장 속에서 과연 『동방학지』는 무엇에 의미를 부여하며 어디로 항해를 떠나야 할까? 국학연구원은 그 답을 찾기 위해 <동방학, 국학, 동아시아론: 동방학을 다시 기록하다>라는 제목의 대담을 마련하였다. ‘동방학’은 창립 당시의 연구소 이름이자 학술지 이름이다. ‘국학’은 이 연구소가 1977년도에 기구 확장을 하면서 붙인 새 이름이다. 그리고 ‘동아시아’는 국학연구원이 “21세기 실학으로서의 사회인문학”을 탐구하면서 화두로 삼았던 공간 개념이다. 이 세 단어는 서로 긴밀히 연결되어있다. 그 연관성을 살피다 보면 한국인들의 전통적인 공간 감각과 정체성은 무엇이며, 그것이 어떻게 근대 국민국가의 세계 속에서 계승·전환하는지, 그리고 다시 국가의 경계를 넘어 어떻게 동아시아로 인식과 정체성이 확대되어 왔는지 파악할 수 있겠다. 대담의 주제는 크게 두 가지이다. 제 1부에는 한국발 동방학 연구의 연원과 지향점을 살펴본다. 그리고 제 2부에는 활기찼던 동아시아 담론이 남긴 성과와 한계를 진단하면서 그 논의가 어떻게 다시 새롭게 생명력을 얻을 수 있을지 진단한다. 제 1부에서 도현철은 주로 동방학연구소 창립 이래 국학연구원의 역사를 짚어보면서 동방학에 담겨진 의미를 짚어준다. ‘동방’은 중국의 동쪽인 한반도를 가리키면서 동시에 서방과 대비되는 중층적 개념이라는 지적이 흥미롭다. 백영서는 평소 지론대로 ‘동방’을 고정된 지리적 개념이 아닌 실천적 과제에 따라 계속 재규정되는 개념이라면서 ‘동방’의 의미를 더욱 풍성히 해준다. 한기형은 대동, 동양, 동아시아 등 동방과 유사한 용어들을 비교해주면서 오늘날 동아시아 담론이 오랜 한국의 전통과 현대적 전환 속에 나온 것임을 확인해준다. 대담은 학문 제도 속에서 국학과 동아시아학이 어떤 긴장 관계에 있었는지로 논의가 확대된다. 제 2부에서 백영서는 동아시아 담론이 단지 일시적 유행이 아니라 19세기 말 20세기 초에 시작되어 일제강점기와 냉전기에 복류하다가 1990년대 탈냉전기에 지상으로 다시 ‘귀환’한 것으로 파악하면서, 이제 다시 글로컬한 차원에서 이 담론이 재구성될 필요성을 제시한다. 한기형은 한국의 동아시아 담론이 국경을 넘는 공감을 얻지 못해왔음을 뼈아프게 지적하면서 그 한계의 극복이 중요함을 지적한다. 동아시아 연구의 향후 진로에 대해서 도현철은 역사 연구가 동아시아를 넘어 유라시아적인 관점으로 확장되고 있는 예를 들면서 시대와 사회의 변화에 따라 학문 연구의 문제의식과 연구내용이 계속 변화할 것임을 진단해준다. 이 외에도 다양하고 풍성한 논의가 대담 내내 이어진다. 200집이 나오기까지 『동방학지』에 실린 많은 글에는 하 ...

      • KCI등재

        일반논문 : 안축의 대책문과 이민족 대책

        도현철 ( Hyeon Chul Do ) 한국사상사학회 2011 韓國思想史學 Vol.0 No.38

        안축(1287-1348)은 1324년 원 제과에 합격하였고, 『근재집』에는 그때의 답안지로 알려진 대책문이 실려있으나, 분석 결과 대책문은 원의 殿試 문제가 아닌 모의문제로 판단된다. 그렇기는 하지만 대책문은 당시 유교지식인들에게 광범위하게 읽혔을 뿐 아니라 유교의 이민족 대책과 유교 교화에 대한 모범 답안의 성격을 가진 것이라는 점에서 원과 고려 사상계의 동향을 알려주는 귀중한 자료로서의 가치는 결코 반감되는 것은 아니다. 대책문은 원의 이민족 대책과 유교 교화를 주제로 한 것으로, 토번이 『시경』·『춘추』·『예기』를 요구하던 동일한 상황에서, 漢나라는 책을 주지 않았고 唐나라는 주었는데, 그 대응 방법이 달랐던 이유를 설명하라는 것이었다. 안축은 토번에서 요청한 유교 경전이 家道를 바르게 하고, 忠信禮義를 진작시키며 오랑캐를 교화시킬 것이라고 전제한다. 따라서, 한나라때 유교 경전을 이민족에게 주지 않은 것은 결국 경전의 大義를 알지 못하고 군사를 쓰는 전략과 교묘한 책동의 말을 만들어 선을 행하는 마음을 막는 처사였다고 비판하였다. 반면에 당나라의 경우는 책을 주어 忠信禮義를 들어 大議를 세우고 임금의 덕화가 모든 곳에 미치게 하였으니 도의 근본을 안다고 평가하였다. 吐蕃이 선을 쫓을 마음이 있다면 경전을 보고 중국을 사모하고 존경하는 마음을 갖게 될 것이고, 혹 다른 마음이 있다면, 경전에서 오랑캐를 무력으로 쳐서 응징한다는 말을 보고 복종할 것이라는 것이다. 이 글은 五經을 통하여 유교의 도를 확립하고 풍속을 변화시켜 세상을 교화시키는 교화론을 제시하고 있다. 교화를 실현하는 방법은 오랑캐의 마음을 움직여 감화시키는 것과 인의의 군대를 사용하여 이민족을 무력으로 굴복시키는 방법이 있다. 고려후기에는 성리학이 수용되면서 유학 본래의 문제의식을 궁구하게 되고, 유교 경전인 五經의 의미에 근거하여 이민족 교화를 주장하게 되는데, 안축의 대책문은 바로 그러한 사상사적 맥락에서 유교 경전과 이민족 대책에 대한 상관관계를 잘 보여주는 사례라고 할 수 있다. An Chuk(1282-1348) was a Goryeo scholar who successfully passed the Yuan Imperial state examination in 1324. The answer he submitted to the examination board contained valuable information, as we can see what kind of thoughts the intellectuals of both Goryeo and Yuan actually had at the time. As we all know, the Yuan empire fully embraced Confucianism, and made it a general policy to pursue traditional Chinese ways, in all aspects of its governance. In reflection of such policy stance, the official question that was announced to the applicants of the 1324`s Jeonshi/殿試 examination asked the students to bring forward their opinions regarding what kind of direction the imperial government`s policy should take in the future in terms of foreign tribes, and regarding the issue of ``enlightening`` them with pure Confucian teachings. The basic setting of the question was this: "Tibet requested that China provide them with 『Shi``gyeong(The Book of Odes)』·『Chun``chu(The Book of History)』 and 『Ye``gi(The Book of Ritual protocols)』, but the Han/漢 dynasty denied such request, while Dang/唐 granted it." The students were asked, why the Chinese dynasties responded very differently. Facing such question in an imperial examination, An Chuk first defined the ``Confucian classics`` that Tibet had requested as ``important material,`` which could correct and rectify the formerly loosened rules inside individual houses, which could strengthen the people`s investment in concepts like loyalty, filial piety, adherence to protocols and dedication to righteousness, and which could greatly promote their faith in them so that they could eventually enlighten the the ``barbarians.`` Regarding the reasons behind Han dynasty`s denial of such request, An Chuk defined it as a clear error which only showed that the Han leadership, blatantly unaware of the essence of Confucian teaching, obstructed the barbarians` intentions to pursue goodness out of a petty intention based upon military tactics and elaborate words of instigation. On the other hand, he praised Dang for remaining true to the ``Way of the World,`` as they gave the requested books to the Tibetans and allowed the enlightenment of the emperor to flow into those regions. An Chuk argued that if Tibet wanted to pursue goodness they would have felt extremely grateful and respectful to China for the provision of those books, and even if they initially wanted to do otherwise, they would have been persuaded not to do so anyway, after reading the contents of the books which dictated that barbarians be defeated. The intention inside his answer is firmly based upon an argument of enlightenment, which suggests that the ways of Confucianism should be established and the world`s culture and practices should be bettered, by consulting the teachings of the Five Classics(五經), with such task conducted by either a provision of cultural inspiration or a military force with a righteous banner. In the latter half of the Goryeo dynasty, people who embraced Neo-Confucianism came to learn the original questions and answers of Confucianism, and they usually argued that foreign tribes should be enlightened based upon the Five Classics. An Chuk`s voice was one of them, and his answer shows us how the classic Confucian texts were related with the foreign tribe policies.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고려후기 성리학 도입에 관한 제설의 검토와 김구의 역할

        도현철(Do, Hyeon-chul) 역사실학회 2016 역사와실학 Vol.59 No.-

        고려시대 성리학의 수용에 관한 연구를 살펴보는 가운데 김구의 역할을 살펴보는 것이 본고의 목표였다. 고려시대에는 초기 이래의 유학의 내재적 성장과 함께 송나라 유학의 수용을 통하여 유학이 발전하였다. 『중용』과 『주역』 연구가 심화되고 이를 통하여 心性化 경향이 강하고 경학이 발달하였다. 또 북송대 문물제도가 수용되었고, 특히 『太平御覽』·『資治通鑑』 등 당대 최고 수준의 신지식, 신문화이 들어왔으며, 사마광과 왕안석의 정치사상이 이해되었다. 고려후기 성리학 수용에 관한 최근 연구의 논점은 몇 가지로 구분된다. 외래사상인 성리학의 발원지인 송 원의 성리학과 관련성 문제, 성리학의 수용 배경 그리고 성리학의 고려에서의 활용문제가 그것이다. 지포 김구는 대몽전쟁이 끝나고 개경환도가 이루어지는 시기에 뚜렷한 국가의식을 바탕으로 문한 외교 활동 전개하여 고려의 체제 안정에 기여하였다. 그는 사장학에 뛰어났고 몽골과의 외교문서를 담당하여 고려 유학의 계승과 전수에 공헌하였다. 이때 그의 외교문서 작성은 문치사회를 활성화하는데 기여하였다. 외교 문서는 상대방을 인정하고 글로서 협력을 구하는 것이다. 대몽항쟁기 고려는 몽고를 가장 흉악한 오랑캐로 인정하고 전쟁 상태에 있었다. 하지만 평화 교섭이 진행되는 과정에서 몽고를 천자국으로 인정하고 이를 바탕으로 외교 문한 활동을 전개하였다. 문치는 인간의 도덕적 신뢰를 바탕에 두고 대화, 설득, 자각을 통한 합리적이고 이성적인 도덕사회를 지향하는 것인데, 김구는 원과의 상호 교섭을 통하여 평화 공존의 가능성을 열었고, 그런 점에서 김구의 활동은 문치 사회를 이루는 데 기여한다고 할 수 있다. 김구는 고려의 예제 정립 유학 본래의 선왕의 제도를 고려의 예제로 확립하는데 기여한다. 원종 14년 지공거일 때 홍자번과의 예제 논란에서, 지공거로서의 선왕의 제도를 존중함으로써 신권 중심의 유학의 예제를 존중하는 입장을 취하였다. 김구의 이러한 행동은 성리학은 익히지 않았지만 원시 유학 이래의 유학 본래의 문제의식에 충실함으로써 장차 성리학을 수용할 수 있는 사상적 배경을 마련하고 있었다. The objective of this article is to examine previous studies that had dealt with Goryeo Confucianism, as well as to discuss the role played by a renowned scholar/official named Kim Gu, who held a special status in the history of Korean Confucianism during the Goryeo period. During the Goryeo dynasty period, the general public’s level of Confucian understanding continued to rise, and it grew more developed with the embracement of Sung Confucianism. Kim Gu was a scholar and politician, who served the government in the capacity of literary writing during the Military regime period as well as subsequent periods under Yuan’s intervention. His contributions around the cease-fire in 1259 and the government’s return to Gae-gyeong city are particularly noteworthy, as he was able to serve the country well with his diplomatic writing, which was based upon firm determination to protect the dynasty’s interests. He excelled in original writing, which was a gift highly esteemed in the Goryeo Confucian environment, and also contributed to the preservation of Goryeo Confucian studies which had to be relayed to the next generation. Diplomatic communiques, which are usually drafted based upon an acknowledgement of the legitimacy of one’s opponent, with the intention of proposing mutual pursuit of cooperation, were sorely needed in the aftermath of the prolonged war with the Mongol invaders. During this period, the Goryeo people had no choice but to consider the Mongols as the most ruthless and savage enemy they had ever encountered, but when the war ended, negotiations for peace had to ensue, and the Goryeo government had no other options but accepting the Mongols as the new winner in Asia, and proceed accordingly, with people like Kim Gu as one of the point men to see the task through. Kim Gu also integrated Goryeo traditions as part of Goryeo ritual protocols. In the 14th year of Weonjong’s reign, when he was named supervisor of the dynastic exam, he had a discussion with Hong Ja-beon over the issue of ritual protocols, and in those talks he took the stance of honoring past traditions, preferring Confucian institutions that favored the idea of vassals’ taking lead in such matters. He was not trained in Neo-Confucian studies, but his attitude was of one respecting old Confucian teachings, so he was able to lay down the groundwork for embracing Neo-Confucianism.

      • KCI우수등재

        조선 건국 과정에서 역사 기록의 상이한 평가와 해석

        도현철(Do, Hyeon-chul) 역사학회 2020 역사학보 Vol.0 No.248

        Chae Hong-cheol made his efforts to carrying forward the land and census project, whose efforts were praised in his epitaph but were devaluated in the Koryosa. Yi Saek, who wanted to maintain the dynasty, affirmed Chae’s project, whereas Jeong Do-jeon, who attempted to open a new dynasty, tried to create a new legal system through denying the project. In other words, the differences of viewpoint over reality reform in the later Koryo dynasty were expressed in the divergent evaluation of Chae Hong-cheol. There is a kind of ambiguity related to the reference of quotation expressions in Jeong Do-jeon’s Kyongjemungams . It is important to note that there are not a dew references to Shih-kung chih-hsueh(사공학) in the Kyongjemungams . It is recognized that Shih-kung chih-hsueh criticized Neoconfucianism which was the mainstream political theory during the founding of the Joseon Dynasty. However, Shih-kung chih-hsueh, which put emphasis on the system and legislation was more required than Neo-confucianism which emphasizes the discipline of the mind the during change of dynasty. Thus Jeong Do-jeon had to bring Neo-confucianism to the fore, but inwardly invoke Shih-kung chih-hsueh that emphasized the system and legislation. This is why a kind of ambiguity related to the reference of quotation expressions is found in Jeong Do-jeon’s Kyongjemungams .

      • KCI등재

        고려말 유학자의 성장과 재상정치론

        도현철 한국사상사학회 2022 韓國思想史學 Vol.- No.72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background of the reform of the political system based on <Zhouli> and the search for a Confucian ideal premier image at the end of the Goryeo Dynasty. This is to understand the meaning of the Theory of Premier’s Politics by examining the loss of the effectiveness of the Three-province and Six- Ministry System at that time, the fall of the royal power, and the growth of emerging powers. At the end of the Goryeo Dynasty, the intellectuals who learned the Confucian scriptures and aimed for the gentleman grew up, the number of those who passed the civil service exam increased, and the new emerging forces emerged. Learning Neo-Confucianism at Sungkyunkwan, they consolidated their emotional and academic bonds. At the end of the Goryeo Dynasty, the sovereign power was weakened and the royal authority was undermined. The king was deposed by the person in power, and King Gongmin told his servants who disobeyed the king's orders that Taejo Wang Geon was not a descendant of the king from the beginning. The king's authority was so weakened that the living king was replaced. Thus, Neo-Confucian scholars reexamined the significance of the king's existence, suggested the roles of the monarch and subjects to rule the world instead of the heaven, and argued the Condominum of King and Ruling Elites (君臣共治) in which the monarch and the subjects work together to govern the country. Here, they argued that a blood-hereditary monarch must be educated like an ordinary person and become a saint. It means that a king must study to become a saint because a king, like an ordinary person, has a difference in being dark and bright, strong and weak. They said that the premier should correct the monarch and lead politics at this time. They also said that the premier should study the righteous way of saints to seek the subject matter of heavenly principles, and understand the unbiased view of the world to appoint a nobleman. This is intended to recruit new powers who want to become noble men. In other words, the premier should appoint new powers who are noble men, gather their opinions, and reflect them in politics. 본고는 고려말에 『주례』에 기반한 정치체제 개편과 유교적 이상적 재상상을 모색하게 된 배경을 살펴보려는 것이다. 곧 당시의 삼성육부제(三省六部制)의 효과의 상실, 국왕권 추락과 신흥세력의 성장을 살펴봄으로써 재상정치론의 의미를 파악하려는 것이다. 고려후기에는 유교 경전을 익히며 군자를 지향하는 지식인이 성장하였고, 과거 합격자가 증가하였으며 신흥세력이 등장하였다. 이들은 성균관에서 성리학을 익히고 정서적, 학문적 유대감을 공고히 하였다, 고려말에는 왕권의 약화, 왕실의 권위 실추가 이루어졌다. 권력자에 의하여 왕이 폐위되었고, 공민왕은 왕명을 거역한 신하에게 태조 왕건도 처음부터 왕의 자손이 아니었다고 하였다. 살아있는 왕의 교체를 보여줄 만큼 왕의 권위가 약화되었다. 이에 성리학자들은 국왕의 존재 의의를 재검토하였고, 하늘을 대신하는 세상을 다스리는 군주와 신하의 역할을 제시하였으며, 군주와 신하가 협력해서 나라를 다스린다는 군신공치(君臣共治)를 주장하였다. 여기에서 신하는 혈연적으로 세습된 군주가 보통 사람처럼 교육받아 성인(聖人)이 되어야 한다는 주장을 하였다. 국왕은 보통 사람처럼 어둡고 밝고, 강단 있고, 유약하고의 차이가 있으므로, 성인이 되는 학문을 공부해야 한다는 것이다. 이때 재상이 군주를 바로잡고 정치를 주도해야 한다고 하였다. 재상은 성현의 바른 도를 상고하여 천리(天理)의 소재를 구하고 천하의 공의(公議)를 파악하며 군자를 등용해야 한다고 하였다. 이는 군자가 되려는 신흥세력의 등용을 의도하는 것이다. 다시 말하면 재상이 군자인 신흥세력을 등용하여 이들의 여론을 수렴해서 정치에 반영시켜야 한다는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