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UAV를 이용한 산사태 피해지역 모니터링 방법에 관한 연구
김성보,Kim, Sung-Bo 한국산업융합학회 2020 한국산업융합학회 논문집 Vol.23 No.6
In this study, a study was presented on the monitoring technique of landslide area using UAV. In the case of disaster investigation using drone mapping, it can be used at various disaster sites. The mission can be carried out at various disaster sites, including surveys of damage to mountainous areas caused by landslides, building collapses surveys of flood damage, typhoons, earthquakes. The damage investigation plan using drone mapping is expected to be highly utilized at disaster sites where investigators cannot access it like in mountainous areas and where it is difficult to conduct direct damage investigations at the site. Drone mapping technology has many advantages in terms of disaster follow-up, such as recovery. Compared to the existing survey system, which was mainly carried out manually, the investigation time can be drastically reduced, and it can also respond to disaster sites that are difficult to carry out or are difficult to access directly.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establish and guide spatial data at the disaster site based on accurate mapping data from the time of the disaster, which has considerable strength in managing the situation of the disaster site, selecting priority areas for recovery, and establishing recovery plans. As such, drone mapping is a technology that can be used in a wide range of sites along with natural disasters and social disasters. If a damage investigation system is established through this, it is believed that it will contribute significantly to the rapid establishment of recovery plans along with the investigation of disaster response time and extent of damage recovery.
비대칭 선형 변단면을 갖는 박벽 공간 보의 안정성 해석
김성보,구봉근,한상훈,정경섭 한국전산구조공학회 1998 한국전산구조공학회논문집 Vol.11 No.4
전단변형 효과를 무시하는 경우에 비대칭 선형 변단면을 갖는 박벽 공간 보의 안정성 해석을 위한 일반이론을 유도한다. 비대칭 선형 변단면의 임의점을 통과하는 부재축과 단면의 주축의 방향과 무관하고 부재축과 직각을 이루는 두 개의 좌표축을 도입하여 직각좌표계를 정의한다. 정의된 좌표축을 기준으로 유한한 회전각의 2차항을 고려하는 변위장을 도입하여 연속체에 대한 가상일의 원리로부터 탄성변형에너지, 그리고 초기응력에 의한 포텐셜에너지를 유도한다. 이를 이용하여 비대칭 선형 변단면을 갖는 박벽 공간 보의 안정성해석을 위한 평형방정식을 제시한다. 3차 Hermitian 다항식을 변위파라미터의 형상함수로 사용하여 박벽 공간 보의 탄성강도 및 기하강도행렬을 상정할 뿐만 아니라, 단면의 좌표축에 상관없이 임의의 위치에 작용하는 하중에 대한 하중보정강도행렬(load-correction stiffness matrix)을 제시한다. 본 이론 및 방법의 타당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수치해석을 수행하고 문헌의 결과 및 쉘요소를 사용한 해석결과와 비교하여 본 이론의 정당성을 입증한다.
루이제 린저의 동양 호기심과 ‘밝은 독재’ 국가 북한, 그리고 윤이상
김성보 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 2023 동방학지 Vol.202 No.-
Using Louise Rinser's Nord-Koreanisches Reisetagebuch as the primary text, this study examines the mutual "entanglement" between Germany's critical intellectual society, the Korean community in Germany, and the North Korean government. Yi-sang Yun appealed to L. Rinser for international solidarity to unify the Korean Peninsula. The North Korean government invited her to promote their regime and strengthen international anti-fascist and anti-imperialist solidarity by bringing in renowned West German intellectuals for political purposes. She accepted the invitation, but her main objective was to explore whether North Korea had a distinct socialist aspect beyond the Soviet-style socialist system. L. Rinser's perception of North Korea was not entirely free from orientalism. However, by utilizing the East as a space to explore alternative possibilities of Western civilization, rather than treating it as a "real other," she subverted the Western belief in superiority over the East that orientalism fosters. What she encountered during her travels in North Korea was not an authentic socialism, but rather an idealized version with a human face. She witnessed the totalitarian nature of North Korea, but also noted the absence of overt suppression, which she expressed through the paradoxical term "bright dictatorship." Rinser recognized that the North Korean people were living in self-reflection, not because of coercion, but due to their dedication to leader Kim Il-sung, which she attributed to Confucian tradition. This perspective aligns with Masayuki Suzuki's "leader system socialism" theory and Bruce Cumings' "socialist corporatism" theory. 이 글은 루이제 린저(Luise Rinser)의 북한 여행기를 텍스트로 하여 독일의 비판적 지식인 사회와 재독 한인사회·북한 정부 3자의 상호 ‘얽힘’을 살펴보고, 그 속에서 북한이 어떻게 서구 문명의 한계를 넘어서는 동양적 사회주의의 모델로 탐구의 대상이 되었는지 국제 지성사의 맥락에서 파악하는 데 초점을 맞춘다. 재독한인 윤이상은 박정희 정부의 독재를 비판하고 한반도 통일을 위한 국제적 연대를 위해 린저를 끌어들였다. 북한 정부는 서독의 명망 있는 지식인을 초대하여 북한 체제를 선전하고 반파쇼 반제국주의 국제연대를 강화하려고 하는 국제정치적 맥락에서 린저를 환영하였다. 린저는 그 초대에 응하면서도 주된 관심은 과연 북한이 소련식 사회주의체제를 넘어서는 대안적 사회주의의 면모를 지니는지 눈으로 확인해보는 데 있었다. 린저의 북한 이해는 동양을 서양의 타자로 설정하는 오리엔탈리즘에서 자유롭지 않았다. 다만 그는 동양을 실재하는 타자가 아니라 서구 문명의 대안적 가능성을 탐색하는 사유의 장으로 활용함으로써, 오리엔탈리즘이 내포하고 있는 동양에 대한 서양의 우위성을 역으로 뒤집었다. 린저가 북한을 여행하면서 본 것은 실재하는 북한 사회라기보다는 그가 북한을 통해 보고자 원했던 그 자신이 꿈꾸는 인간의 얼굴을 한 사회주의였다. 린저는 북한의 전체주의적인 성격과 비억압성을 함께 목도하면서, 그 모순성을 ‘밝은 독재’라는 은유적인 단어로 표현했다. 북한의 인민들은 강압에 의해서가 아니라 지도자 김일성이라는 초자아 속에서 자기검열을 하며 살아가고 있다고 보았으며, 여기에는 유교적 전통이 작동하고 있다고 이해하였다. 이러한 이해 방식은 스즈키 마사유키의 수령제 사회주의론과 브루스 커밍스의 사회주의적 조합주의 국가론과 일맥상통한다.
풀무학교와 홍동의 지역교육공동체 만들기 - 공동체의 형성과 서사, 남겨진 갈등
김성보 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 2022 동방학지 Vol.198 No.-
Hongdong-myeon, Hongseong-gun, Chungcheongnam-do has been attracting attention as an exemplary example of a local education community. As the case of Pulmu in Hong-dong has been widely promoted, the narrative about it now forms an authentic history. However, as an authentic history is being established, various trials and errors and conflicts have been excluded from the narrative. This study aims to draw a full picture of the different aspects of the community by restoring not only the mainstream discourse, but also marginalized perspectives. In the early days of its foundation, the founders of Pulmu School aimed for an intangible "truth community" based on their non-churchism. However, this resulted in isolation from the local community. As a credit cooperative was created in schools in the 1960s and organic agriculture was pioneered after the 1970s, Pulmu School escaped isolation and created organic relations with the local community. In Hong-dong, graduates, teachers, and students of Pulmu School played a leading role in the activities of the Farmers' Association in the 1980s and of the Green Party in the 2010s. In the process, conflicts escalated, and political activities at Pulmu School were thereafter banned. Conflicts still remain as to whether the realm of "politics" should be excluded from the local education community. 충청남도 홍성군 홍동면은 지역사회와 교육기관이 유기적으로 협력하는 지역교육공동체의 모범적인 사례로 주목받고 있다. 풀무와 홍동의 사례가 널리 홍보되면서 이제 그에 대한 서사는 하나의 정사를 이루고 있다. 그렇지만 하나의 정사가 구축되면서 그로 인해 그 내부의 다양한 시행착와 갈등은 서사에서 제외되고 있다. 이 연구는 지역교육공동체 형성과정에서 전개된 시행착오와 갈등을 살펴보면서 오늘날 주류 담론이 된 쪽만 아니라 중심에서 벗어난 다양한 흐름들도 복원하여 그 공동체의 면모를 온전히 그려내는 것을 목표로 한다. 창립초기 풀무학교의 설립자들은 무교회 신앙을 바탕으로 무형의 ‘진리 공동체’를 지향했으나 이는 지역사회에서 고립되는 결과를 낳았다. 1960년대에 학교에 신용협동조합을 만들고 1970년대 이후 유기농업을 개척하면서 풀무학교는 고립을 벗어나 지역사회와 유기적 관계를 만들어내었다. 그 이후 정규고교화 추진과정의 갈등, 풀무생활협동조합의 파산 위기 등을 겪으며 풀무-홍동은 작은 학교와 작은 마을을 지향하는 초기 정신으로 회귀하였다. 홍동에서 1980년대 농민회 활동과 2010년대 녹색당 활동에 주도적인 역할을 한 인물들은 풀무학교의 졸업생 또는 교사, 학생들이었다. 그 과정에서 갈등이 고조되었으며, 그 이후 풀무학교에서 정치적 활동은 금기시되었다. 과연 지역교육공동체의 존속을 위해 ‘정치’의 영역은 배제되어야 하는가는 여전히 풀기 어려운 질문으로 남는다.
김성보,김두표,백기석 중소기업융합학회 2021 융합정보논문지 Vol.11 No.1
산림 개발은 대규모의 지형변화와 환경 훼손이 나타나기 때문에 이는 지속적인 관리가 필요하다. 또한 토공량 산출 과정에서 사람이 직접 현황측량을 수행하게 되면 사고 발생의 위험이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사람이 직접 접근하지 않아도 공간정보를 취득할 수 있는 드론 사진측량을 산림개발지역에 적용하여 정확도 및 토공량, 산지복구 계획 여부를 분석하여 적용 가능성을 판단하고자 하였다. 드론 사진측량으로 정사영상 및 DSM(Digital Surface Model)을 제작하여 검사점 정확도 를 분석한 결과 RMSE(Root Mean Square Error)가 평면에서 0.120 m, 표고에서 0.150 m로 나타나 1:1,000 수치지도 묘사 허용오차 범위를 만족하였다. 또한, 토공량 비교결과 드론 사진측량이 기존의 측량방법보다 13.0% 더 많은 토공량을 산출하였는데 이는 드론 사진측량이 더 세밀한 지형을 나타내기 때문으로 분석되어 검증자료로 활용 가능성이 있다고 판단되 었다. 공간정보를 이용한 산지복구 수행여부 판단 결과 낙석 방지망 및 식생의 존재 여부를 판단할 수 있어 활용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향후 주기적으로 영상을 취득하여 지형변화에 대한 모니터링이 이루어진다면 산림 개발에 드론 사진 측량의 활용성이 증대될 것으로 보인다. Open-pit mine development requires continuous management because of topographical changes and there is a risk of accidents if the current status survey is performed directly in the process of calculating the earthwork. In this study, the application of UAV photogrammetry, which can acquire spatial information without direct human access, was applied to open-pit mines development area and analyzed the accuracy, earthwork, and mountain restoration plan to determine its applicability. As a result of accuracy analysis at checkpoint using ortho image and Digital Surface Model(DSM) by UAV photogrammetry, Root Mean Square Error(RMSE) is 0.120 m in horizontal and 0.150 m in vertical coordinates. This satisfied the tolerance range of 1:1,000 digital map. As a result of the comparison of the earthwork, UAV photogrammetry yielded 11.7% more earthwork than the conventional survey method. It is because UAV photogrammetry shows more detailed topography. And result of monitoring mountain restoration showed possible to determine existence of rockfall prevention nets and vegetation. If the terrain changes are monitored by acquiring images periodically, the utility of UAV photogrammetry will be further useful to open-pit mine development.
김성보,조정훈,장준복,이경섭 대한한방부인과학회 2004 大韓韓方婦人科學會誌 Vol.17 No.2
Objectiv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Jeoje( 蹄) and Tongyu-tang except Chunsangap on lactation in postpartum rat. Material and Method: We used 18 weeks pregnant Spraque Dawley rats and administered the decotions of Jeoje and Tongyu-tang except Cheonsangap to rats (treated group) and normal saline to control group once in a day for 4days and 8days. Then we observed the changes of the body weight changes of postpartum rats and pup rats, level of serum prolactin, -casein m-RNA, WAP m-RNA and mammary gland tissue of postpartum rats. Result: We found that the body weight changes of postpartum rats and pup rats and the level of serum prolactin in Jeoje treated group and Tongyu-tang except Chunsangap treated group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level of -casein and WAP gene, Jeoje treated group and Tongyu-tang except Chunsangap treated group increased than control group. Mammary gland tissue of Jeoje treated group and Tongyu-tang except Chunsangap treated group showed significantly increased angiogenesis of blood vessle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 Conclusion: This study shows that Jeoje and Tongyu-tang except Chunsangap have an effect on lactation in postpartum rat. But the mechanism of it may be other way than the hormon pathwa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