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일반논문 : 「대승기신론」에 비추어 본 교과학습과 사회화의 관련

        노철현 ( Cheol Hyeon Roh ) 한국교육철학회 2010 교육철학 Vol.41 No.-

        As is already known, the `Learning of Subject-Matters` and `Socialization` as two modes of education are the central concepts of education, but the relation between those concepts is not clear to u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relation between two concepts with reference to The Awakening of Faith(literally, The Discourse on the The Awakening of Mahayana Faith, hereafter `the Discourse`). The general thesis of the Discourse may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Mind is one entity with two aspect, the Suchness(眞如, Reality) and the Illusions/Thoughts(妄心/想念, Phenomenon). Second, The movements between the Suchness and the Illusions can lead a man to wisdom that is the aim of Buddhism. And the movements from the Illusions to the Suchness come about through two ways. One is through the Attributes of Suchness(眞如自體相), another is through the Influences of Suchness(眞如用). From the viewpoint of this study, these ways of the movements correspond to the Learning of Subject-Matters and Socialization. For the Attributes and the Influences of Suchness designate, in effect, the forms of knowledge and institutional activities. Therefore the relation between the Attributes and the Influences may be suggestive of the relation between two concepts of education. According to the Discourse, the Attributes and the Influences are not only two ways by which the belief in the Suchness is awaken, but also internal and external conditions of that awakening. In other words, the Attributes and the Influences are not two `ways` but two `aspect` of awakening. In respect of this, we can say that the Learning of Subject-Matters and Socialization that are two representative concepts of education designate two aspects of education. Education is only one activity. The one aspect of it is the Learning of Subject-Matters by which we can understand the forms of knowledge, the another aspect of it is Socialization by which we can acquire the institutional activities. In conclusion, the Learning of Subject-Matters and Socialization as two concepts of education are constitutive elements of education.

      • KCI등재

        2009 개정 초등교육과정의 특징과 향후 과제

        노철현 ( Cheol Hyeon Roh ) 한국초등교육학회 2011 초등교육연구 Vol.24 No.3

        본 연구의 목적은 2009 개정 초등교육과정의 특징을 교육과정 자율화, 교과군, 그리고 학년군이라는 세 가지 개념에 비추어 살펴보고 그에 따른 실제적 함의를 고찰하는 데에 있다. 개정 교육과정의 인식론적 측면과 심리학적 측면의 특징을 보여준다고 말할 수 있는 교과군과 학년군은 자율화로 대변되는, 개정 교육과정의 사회철학적 이념을 실현하기 위한 구체적인 방안에 해당한다. 그러나 개정 교육과정에서의 자율화는 무엇보다도 경제적 의미에서의 자율화를 의미한다는 점에서 교육과정의 운영원리로서 결함을 가지고 있으며, 교과군과 학년군 또한 논리적, 실제적 근거를 가지고 있지 않다는 점에서 그 실현 방안으로서 결함으로 가지고 있다. 본 연구의 관점에서 볼 때, 교육과정 운영원리로서의 자율화는 원칙상 ``교육적`` 의미를 지니지 않으면 안 되며, 교과군과 학년군의 의미도 이 점에 비추어 재규정되지 않으면 안 된다. The aim of this study is to reexamine the characteristics and their implications of the National curriculum 2009 for elementary school based on the concept of autonomy in curriculum, grades cluster, and subjects cluster. The grades cluster and subjects cluster, which show the epistemological and psychological aspects of the National curriculum 2009, are the practical strategies for realising autonomy in curriculum that is the socio-philosophical ideal in the National curriculum. The autonomy as the principle of curriculum implimentation in the National curriculum 2009 has, however, a fundamental problem in a sense that it means an economical autonomy, and the grades/subjects cluster as the strategies for realising it have a same problem in a sense that they don`t have the logical and practical reasons for curriculum implimentation. From the point of view of this study, the autonomy as the principle of curriculum implimentation has to be understood as the pedagogical concept, and that the grades/subjects cluster also have to be reinterpreted based on this concept.

      • KCI등재

        초등 수업 관찰 사례 분석 : 수업정상화를 위한 시사 탐색

        노철현 ( Roh Cheol Hyeon ) 서울敎育大學校 初等敎育硏究所 2017 한국초등교육 Vol.28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 수업 사례를 분석하고 현장 교사들과의 면담을 통하여 수업정상화를 위한 시사를 탐색하는 데에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를 위하여 서울 소재 3곳의 초등학교, 그 중에서도 특히 이른바`혁신학교`로 불리는 초등학교의 8개 수업을 참여 관찰하고 현장 교사에 대한 심층면담을 진행하여 그 결과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 대상이 혁신학교에서 이루어지는 수업이기는 하지만, 그렇다고 해서 본 연구 자체가 혁신학교에 대한 연구라고는 볼 수 없다. 본 연구에서는 종래의 학력주의를 탈피하고자 하는 수업의 실제를 분석 대상으로 삼고 있는 것이며, 오직 이 관점에서 수업이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고, 향후 어떤 방향으로 이루어져야 하는지를 분석하고자 한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본 연구 사례의 수업은 적극적인 교과통합 및 교육과정 재구성, 교과교육과 체험활동의 유기적 통합, 미적ㆍ감성적 체험 및 활동의 심화, 적응적 수업을 통한 개별화 수업 지향, 학습활동의 상관성을 통한 놀이와 학습의 공존, 과정지향 평가방식 적용을 통한 학생평가의 다각화 노력 등을 주된 특징으로 하고 있다. 본 연구의 관점에서 볼 때, 이 특징들은 그 자체로 초등학교 수업이 지향해야 할 방향으로 간주될 수 있지만, 또한 그 속에 개선되어야 할 점을 포함하고 있다. 그것은 다음의 다섯 가지로 요약될 수 있다. 첫째, 교과통합 및 교육과정 재구성의 실효와 효과성 제고, 둘째, 미적 경험의 질적 제고, 셋째, 수렴적 사고를 촉발할 수 있는 교수설계 담론의 활성화, 넷째, 블록형 수업의 효과성과 일괄 적용에 관한 숙고, 다섯째, 교육과정 운영에 적합한 평가방안 모색의 필요성이 그것이다. The aim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lassroom lessons in elementary school and look for suggestions about the normalization of them through the interview with elementary school teachers. The characteristics of the classroom lessons observed in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ctively carry out curriculum integration and reconstruction of subject-matters, second, organically integrate curriculum and experiential activities, third, to perform aesthetic and emotional activities, forth, to aim for individualizes classes through adaptive instruction, fifth, to coexist with play and learning through correlation of learning activities, finally, effort to diversify student assessment through process-centered evaluation. And the suggestions about the normalization of classroom lessons are as follows; first, efforts to improve the effectiveness of curriculum integration and reconstruction of subject-matters, second, efforts to improve the quality of aesthetic and emotional experiences, third, activating discourses on curriculum design that can trigger convergent thinking, forth, try to increase the effectiveness of block time-based instruction, and finally, to find the evaluation methods suitable for the curriculum operation.

      • KCI등재후보

        칸트와 듀이 예술이론의 메타프락시스적 해석

        노철현 ( Cheol Hyeon Roh ) 서울敎育大學校 初等敎育硏究所 2012 한국초등교육 Vol.23 No.2

        이 글의 목적은 칸트와 듀이의 예술이론의 핵심이 되는 "취미판단"과 "하나의" 경험이 지니는 교육학적 의미를 드러내고, 여기에 기초하여 칸트와 듀이의 예술이론이 반영하는 일반적인 교육적 관점을 제시하는 데에 있다. "메타프락시스"라는 개념은 그러한 관점이 무엇인지를 해석하는 거점이 된다. 잘 알려져 있다시피, 듀이의 "하나의" 경험은 질성을 그 조건으로 하여 성립하며, 질 성적 사고는 이러한 질성을 파악하는 데에 동원되는 마음의 능력을 가리킨다. 그러나 그에 의하면, 질성적 사고는 반성적 사고를 통해서 획득된다기보다는 일상적 경험, 즉 실제적 문제사태와의 관련에 의하여 획득된다. 반면에, 반성적 판단으로서의 취미판단은 이념을 추구하는 판단이지만, 이 경우에 이념(즉, 취미)은 개념과 결코 무관한 것이 아니다. 이념은 개념에 논리적 가정으로 붙박혀 있으며, 그런 만큼 이념은 개념을 획득하는 과정에서 그것과 함께 획득된다. "실천의 실천"을 의미하는 메타프락시스의 의미에 비추어 볼 때, 듀이는 교육과 교육이론을 모두 이익추구의 실천으로 규정하는 것과는 달리, 칸트는 양자를 모두 심성함양의 실천으로 규정한다. The aim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ducational meaning that "judgment of taste" and "an experience" as the core conceptions of I. Kant and J. Dewey`s theories of art may have, and show the educational viewpoints in general which are implied in them. I think that the concept of "metapraxis" provides a clue of what these viewpoints mean. As well known, Dewey`s concept of an experience is based on aesthetic "quality" as the condition of it. The so-called qualitative thought refers to ours capacity of mind used to that quality. According to Dewey, however, qualitative thought is not acquired by reflective thought but common experience, that is, the situation of practical problem-solving. In contrast to that, judgment of taste aims ideas, but it does not unrelated to concepts. Ideas is presupposed in concepts, and therefore we can say that Ideas is acquired through the process of concepts acquisition According to the meaning of metapraxis, the practice of practice, Dewey thinks that education and educational theory are determined by the practice of (private) interest-pursuit, but Kant thinks they are determined by the practice of mind-cultivation.

      • KCI등재

        서울형 혁신학교 교육과정 운영에 관한 교사인식 분석: 초등학교를 중심으로

        노철현 ( Roh Cheol Hyeon ),류형선 ( Ryu Hyung Sun ),이승철 ( Lee Seung Chul ) 서울敎育大學校 初等敎育硏究所 2016 한국초등교육 Vol.27 No.4

        본 연구는 서울 소재 초등혁신학교에 근무하는 교사들에 대한 설문조사를 통해 학교운영 및 교육과정 운영에 대한 교사인식을 분석하고, 이로부터 제기되는 시사점을 검토함으로써 혁신학교의 발전적 지속 방안에 관한 몇 가지 제언을 다루고 있다. 연구결과 혁신학교 교사들은 혁신학교 운영에 있어 단위학교 및 교사의 자율성 확보, 혁신학교 정책의 성과주의화와 양적 확대에 대한 경계를 현안으로 제기하고 있으며, 교육과정 운영상의 현안으로는 교과통합 및 교육과정 재구성에 대한 실제적 방안, 그리고 학생평가 기준에 대한 논의가 제기되고 있음이 드러났다. 이에 따라 향후 혁신학교는 교육 제주체간 관련 논의는 다음과 같은 세 가지 쟁점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첫째, 단위학교와 교사의 재량을 지속적으로 보장할 수 있는 원론적 논의와 함께 그 실제적 방안이 제시되어야 한다. 여기에는 단위학교 및 교사 재량의 정도, 정책추진기관과의 관계 설정, 그리고 행정 및 재정적 지원방안 등이 포함될 필요가 있다. 둘째, 혁신학교 교육과정 운영의 질적 제고를 위해 교과통합 및 교육과정 재구성에 관한 실제적인 지원방안이 제시되어야 한다. 여기에는 교육과정 재구성에 취약한 학교군 및 교사군을 지원하기 위하여 숙련된 혁신학교 교사인력의 재배치 방안, 연수 및 세미나, 교과통합에 대한 가이드 라인 등이 포함될 필요가 있다. 셋째, 향후 혁신학교의 교육적 지향과 교육과정 운영에 부합하는 다양한 학생평가 기준에 대한 연구와 보급 방안이 시급히 모색될 필요가 있다. The aim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eachers`s perception about curricula organization and implementation in Seoul-type innovation schools, and look for suggestions about sustainable development of them.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generally speaking, teachers put emphasis on the autonomy of individual school and teacher, risk of meritocracy in Seoul-type innovation school policy and quantitative expansion of it, practical methods about curriculum integration and implementation, and setting for student evaluation criteria. And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necessity of theoretical and fundamental study and practical methods about the autonomy of individual school and teacher, necessity of experienced teachers-rearrangement for curriculum integration & implementation, teacher training and seminar etc., necessity of research and diffusion of student evaluation criteria.

      • KCI등재

        루소「에밀」해석의 한 관점: 교육에서의 개인의 위치

        노철현 ( Cheol Hyeon Roh ) 서울敎育大學校 初等敎育硏究所 2013 한국초등교육 Vol.24 No.3

        본 연구의 목적은 루소의 교육이론이 나타낸다고 하는 ‘코페르니쿠스적 혁명’의 일단을 개인과 사회(또는 제도)의 관련에 비추어 해명하고, 여기에 기초하여 교육에서의 개인의 위치를 해명하는 데에 있다. 이 점을 해명하는 데에 있어서 한 가지 중요한 고려사항은 루소가 언급한 이른바 자연’이 두 가지 상이한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는 점이다. 즉, 자연은 사실적, 시간적 의미와 논리적 의미로 이해될 수 있는 것이다. 전자의 경우, 교육에서 개인과 개인이 가진 본성이 사회나 학문 또는 그것을 내용으로 하는 교과교육과 유리된 채 교육이 추구해야 할 목적으로 간주되는 것과는 달리, 후자의 경우에 개인의 본성은 우리 각자가 가지고 태어나는 것이면서 그와 동시에 사회나 교과교육의 논리적 가정으로서, 교과교육을 통해서 획득해야 할 목적으로 간주된다. 전자의 경우와는 달리, 후자의 경우에 교육에서의 개인의 위치에 관한 루소의 견해는 이중의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파악될 수 있다. 개인은 한편으로 사회나 교육 이면에 가정되어 있는 목적(즉, ‘자연’)을 내면화하는 존재이지만, 또 한편으로 자연으로서의 교육의 목적을 자신의 마음에 실현함으로써 스스로 그 목적을 능동적으로 만들어가는 존재이다. The aim of this study is to show one kind meaning of so-called Copernican Revolution represented in J. J. Rousseau`s theory of education based on the relation between ``individual`` and ``society``, and to examine the significance of individual in Rousseau`s theory. In relation to this, we must have consideration for the one important thing―technological term ``nature`` in his theory holds two different meanings. The one is factual, the other logical. In the case of the former, individual and his nature being separated from society and ``subject-matter education`` are regarded as the aim of education, in the case of the latter, individual`s nature regarded as the ``given`` to him, and at the same time as something that ``subject-matter education`` and society aim at. According to the latter interpretation, we can say that Rousseau`s idea about the place or significance of individual in education has two different, intimately connected, meanings. Individual is a being internalizing nature which is presupposed in society and education, and further more he himself makes nature by the realization of it as educational aim in his mind.

      • KCI등재

        쉴러의 유희충동 개념 연구: 현대 인성교육에 주는 시사

        노철현 ( Cheol Hyeon Roh ) 서울敎育大學校 初等敎育硏究所 2016 한국초등교육 Vol.27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쉴러의 ‘미적 교육론’의 핵심 주장을 인성(또는 인격)과 관련지어 해석하고 그것이 현대 인성교육에 주는 시사를 탐색하는 데에 있다. 쉴러의 미적 교육론은 흔히칸트 철학에 바탕을 둔 것으로 알려져 있지만, 그는 또한 칸트의 미비점을 극복하고자 하였다. 칸트의 경우, 도덕적, 심미적 행위에서 개인이 지닌 ‘욕구’나 ‘동기’를 배제하고 순수한 ‘이성’을 강조한 반면에, 쉴러는 개인의 욕구나 동기를 배제하고서는 완전한 인격을 함양한다는 것은 불가능하다고 생각하였다. 그에 의하면, 인간 존재는 불변하는 본모습으로서의 ‘인격’과 상황적 ‘조건’이라는 두 측면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여기에 상응하여 ‘감각충동’과 ‘형식충동’이라는 마음의 힘을 가지고 있다. 전자는 대상을 현실화하는 충동인 반면에, 후자는 불변의 자아를 보존하고자 하는 충동을 의미한다. 쉴러가 보기에, 완전한 인성이라는 것은 이 두 가지 충동이 자신의 힘을 최대한 발휘함으로써 어느 하나도 손상되지 않은 채 보존된 마음의 상태를 가리킨다. ‘유희충동’은 이러한 마음의 상태를 역동적 관점에서 규정한 용어이다. 쉴러에 의하면, 유희충동은 미를 표현하는 ‘미적 가상’을 접합으로써 함양될 수 있다. 그 것은 단순히 예술작품을 감상하고 그것을 모방하고자 하는 노력 이상으로, 인류 문화의 정수 에 해당하는 다양한 기예, 즉 수학, 과학, 철학 등, 이른바 학문을 모방하고자 하는 ‘모방형성 충동’을 함양함으로써 가지게 된다. 이 점에 비추어 보면, 현대 인성교육에서 중요한 것은 교과교육 이외에 여타의 실천방안을 모색하는 것이 아니라, 교과교육과 유희충동 사이의 역동적 기제를 확립하는 것이라고 말할 수 있다. The aim of this study is to examine J. C. Friedrich von Schiller``s theory of aesthetic education of man in relation to the concept of character and show its implications in the contemporary character education. According to Schiller``s theory, human beings have the aspect of unchangeable ``Person`` and that of changeable ``Condition``, and two kinds of the power of mind; sensuous drive and formal drive. The one is a power to actualize a thing, the other is a power to preserve our unchangeable ``self``. In Schiller``s view, the ideal of human nature means that sensuous drive and formal drive exert their functions to the fullest and are in harmony in human mind. So called ``play drive`` signifies this state of mind. According to Schiller``s theory, that state of mind is cultivated by ``aesthetic semblances`` representing the beauty. The aesthetic semblances are composed of fine arts, I.e. mathematics, science, philosophy, etc. as the essence of human culture, and then we can say that play drive or the state of mind in play drive is cultivated by the essence of human culture, developing ``shaping spirit of imitation`` of human culture. In this respect, Schiller``s theory is full of suggestions to contemporary character education.

      • KCI등재

        교육학 이론 및 실제 : 2009 개정 초등 통합교과 교육내용 구성방식에 관한 비판적 고찰: 특징과 향후 과제

        노철현 ( Cheol Hyeon Roh ) 서울敎育大學校 初等敎育硏究所 2014 한국초등교육 Vol.25 No.1

        본 연구의 목적은 2009 개정 초등 통합교과 교육과정의 특징을 ‘통합의 거점’, ‘통합의 요소’,그리고 ‘통합교과와 분과교과의 차이와 관련’이라는 세 측면에 비추어 규정하고, 그와 관련된 향후 과제를 제시하는 데에 있다. 2009 개정 초등 통합교과 교육과정은, 제7차 교육과정 및 2007개정 교육과정이 교과간 통합과 탈교과적 통합의 불완전한 결합 형태를 띠고 있는 것과는 달리, 문자 그대로 탈교과적 통합을 지향한다. ‘대주제’, ‘소주제’, ‘활동주제’의 연쇄로 이루어지는 통합교과 교육내용 구성방식은, 첫째로, 종래 통합교과 교육과정이 기대고 있던 교과 사이의 구분을 없애는 기폭제로 작용하며, 둘째로, 학문으로서의 교과가 배제된 ‘활동’을 통합의 요소로 전면에 내세운다. 마지막으로, 이 관점은 초등학교 교육과정에서 언제나 쟁점이 되어온 통합교과와 분과교과 사이의 관련 문제를 원칙상 무효화한다. 그러나 본 연구의 관점에서 볼 때, 개정 초등 통합교과 교육과정의 주제체계는 통합교과의 통합을 떠받치는 논리적 근거의 문제, 통합의 요소인 활동 주제의 성격에 관한 문제, 그리고 초등학교 저학년군과 그 이후 학년군 사이의 교과간 연계에 관한 이론적 문제를 제기하며, 그에 상응하는 실제적 조치를 요청한다. The aim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elementary integrated subjects curriculum in the National Curriculum 2009 based on ``standard of integration``, ``elements of integration``, ``relation between integrated subjects and separated subjects``, and propose the tasks in relation to integrated subjects curriculum. In contrast with the 7th educational curriculum and 2007 revised curriculum, elementary integrated subjects curriculum in the National Curriculum 2009 aims for trans-disciplinary integration in the literal sense of the word. The method of organizing the subject-matters in integrated subjects curriculum, which is characterized by a chain of themes(main-themes, sub-themes, activity-themes), show us that 1) it breaks away from the idea of the academic distinction between subject-matters, 2) it proposes mere activities as the elements of integration, and 3) it negates relationship between integrated subjects and separated subjects. From the viewpoint of this article, however, we must give some answers to the following questions; 1) what is the rationale behind the integration of integrated subjects, 2) what is the characteristic of activity-themes as the elements of integration, 3) what does the relation between subject-matters in lower-level and higher-level grades cluster mean?

      • KCI등재

        지식 기원론의 형이상학적 측면: 선험적 지식의 의미를 중심으로

        노철현 ( Cheol Hyeon Roh ) 서울敎育大學校 初等敎育硏究所 2016 한국초등교육 Vol.27 No.1

        이 글의 목적은 지식의 기원에 관한 함린의 인식론적 견해를 선험적 지식의 의미에 비추어 비판적으로 고찰하는 데에 있다. 지식의 기원과 관련하여 함린의 견해가 지니는 문제는 크게 두 가지로 대별된다. 지식의 획득과정에 관하여 경험론에서 말하는 것 이상의 의미 있는 발언을 하지 못한다는 것, 그리고 지식의 공적 성격을 자신의 의도와는 달리 올바르게 확립하지 못한다는 것이 그것이다. 함린의 견해가 지니는 이러한 난점은 지식의 의미를 현상수준에서의 개념으로 한정하고, 본체 수준의 이념을 도외시했다는 데에서 빚어진다. 우선, 지식의 의미를 개념과 이념으로 구분하여 규정하고 지식의 획득과정을 양자 사이의 상호관련으로 설명하는 칸트의 견해는 지식의 획득과정에 관한 형이상학적 설명이라는 것이 있을수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이와 함께, 이념은 현상 수준의 지식의 원천이며, 따라서 우리가하는 모든 생각과 말과 행동의 원천이 된다는 점은 지식의 공적 성격을 온전하게 확립하는 데에도 마찬가지로 중요한 시사점을 제공할 것으로 생각된다. 지식이 공적, 사회적 성격을 가진다고 할 때 ‘공적’, ‘사회적’이라는 개념은 ‘이념’과의 관련에 비추어 해석될 때 비로소올바른 의미를 지니게 된다. 함린이 말하는 사회는 이념의 경험적 대응물이며, 이념은 사회의 형이상학적 대응물에 해당한다는 점이 정당하게 존중될 때 지식의 공적 성격은 온전한 의미를 지니게 된다고 말할 수 있을 것이다. 사회와 이념은 서로서로를 지지하면서 각각의 존립근거를 마련해 준다. 요컨대, 이념은 우리 마음의 형이상학적 측면을 보여주는 것으로서, 지식을 추구하는 일이 외적인 강요나 강제에 의하여 부과된 것이 아니라 우리 자신의 자발적이고 자유로운 행위라는 점을 보여준다. The aim of this study is to examine D. W. Hamlyn``s arguments of the origins of understanding based on the concept of a priori knowledge. In my view, Hamlyn``s arguments have two kinds of problems; the one is that his view of the acquisition of knowledge is not different from empiricism, the another is that his view of the public character of knowledge is not valid. According to this study, these problems involved in his arguments may be stemmed from the following; he limits the meaning of knowledge to ``concepts`` on the level of phenomenon, and excludes ``transcendental ideas`` on the level of noumenon with regard to the meaning of knowledge. As regards these problems, it seems that I. Kant``s epistemological view, in which ``concepts`` and ``ideas`` are two different and correlated constituents of knowledge, and our cognition can be explained by interaction between two constituents, shows the metaphysical aspects of knowledge acquisition. Furthermore, Kant``s view that ``ideas`` are supposed to be origins of our knowledge, understanding, that is our all thoughts, words, behaviour implies the fact that knowledge is not private but public; it is by definition ``the social``. I thinks that if, and only, Hamlyn``s conception of ``the social`` is supposed to be the empirical counterpart of ``ideas`` and ``ideas`` are supposed to be the metaphysical counterparts of ``the social``, his view of the origins of understanding can be valid. In short, we can say that ``transcendental ideas`` represent the metaphysical aspects of our knowledge and mind, and the acquisition of knowledge is based on these ideas, our mind``s spontaneous activit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