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백제의 冠制와 그 性格

        노중국(Noh Jung-Guk) 계명사학회 2006 계명사학 Vol.17 No.-

        A coronet system formed under a central government. because it displayed the upper and lower ranks when the ruling classes assembled at an official meeting. The period that a coronet system was enforced in Baek - Je was during the rule of the King of Go - I when the system of five departments was realized. When the King of Go - I made newly a coronet system for strengthening the centralization of power, he might use feathers and glass beads in accordance with customs and notion at that time. The centralization of power strengthened and the custom, taking a serious view of gold and silver, formed during the rule of Han-Seong. At that time, a gilt bronze coronet made newly. Since it connected a bureaucratic system, the wearers of it would be the aristocrats who got the favor of a King. A royal household received positively the Chinese culture from the transfer of the capital to Ung-Jin to the rule of Sa-Bi, in oder to raise the authority and improve the political system. In the process of that, the bureaucratic system reequipped fully in the form that a coronet made of metal changed into a coronet made of cloth, and that the standing of officials classified according to the quality and color of the cloth. And a coronet made of cloth was adorned with gold and silver. The coronet made of silver that the aristocrats used could distinguish ranks according to figures of flower buds.

      • KCI등재

        백제의 고대동아시아 세계에서의 위상

        노중국 ( Choong Kook Noh ) 공주대학교 백제문화연구소 2009 백제문화 Vol.40 No.-

        백제의 세계관을 가시적으로 보여주는 것이 칠지도와 미륵사이다. 칠지도는 백제가 왜왕을 제후왕으로 인식한 것을 보여준다. 삼탑-삼금당으로 이루어진 미륵사의 가람구조는 백제를 중심에, 좌우에 신라, 고구려를 두고 공존하겠다는 세계관을 표현한 것이다. 백제 시조 온조는 졸본부여 계통이다. 그는 고구려 시조 주몽의 첫 번째 아들한테 밀려나 나라를 세웠기 때문에 고구려와의 대결 과정에서 부여의 정통성을 이어받았다는 의식을 강하게 가지고 있었다. 이러한 백제 문화의 기반은 중국 문화와는 다른 북방문화였다. 북방문화를 대표하는 것이 중국에서는 현재까지 발견된 사례가 없는 금동으로 만든 冠과 신발이다. 백제에서 다수 확인되고 있는 금동제관과 신발은 백제문화가 북방문화와 계보를 같이 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주서』 백제전에 의해 무령왕-성왕대에 백제가 북위와 교섭한 사실을 확인할 수 있다. 부여의 정림사가 북위의 낙양 영녕사의 영향을 받은 것이 그 증거가 된다. 성왕 때의 사비도성 또한 남조뿐 아니라 북조의 도성 구조에서 영향을 받은 것이다. 한편 백제는 인도로부터 계율과 관련되는 불경을 직접 가지고 와서 백제 계율을 만들었다. 백제는 중국의 선진문화를 받아들여 발전시켰을 뿐만 아니라 이를 신라, 가야, 왜에 전수해 주었다. 이는 백제 문화의 국제성을 잘 보여주는 것이다. 따라서 백제는 중국 대륙과 한반도 및 일본열도가 共有文化圈을 형성하는데 핵심적인 역할을 하였다. The Weltanschauung of Baekjae is visibly seen through Chiljido and Mireuk Temple. Chiljido shows that Baekje recognised the King of Wa as one of the feudal lords. The structural characteristic of Mityuk Temple, the three pagodas-three main buildings of the temple, reflects the Weltanschauung of Baekje which pursues the coexistence with Shila and Goguryeo while Baekje plays a leading role in it. Onjo, the founder of the Baekje dynasty, is of Buyo party. After Jumong, the founder of the Goguryeo dynasty, passed away, Onjo competed with the eldest son of him for the throne and failed. Onjo founded the new nation and claimed a direct descent of the Buyo family. The cultural basis of Baekje is Northern Culture which is different from the cultural basis of China. The coronets and shoes made of gilt bronze are representative of Northern Culture. None of them have been found in China while many of them have been excavated in Baekjae. Juseo shows that there were cultural exchanges between Baekje and Wi during King Muryung and King Seong period. The influence of Yeongnyung Temple in Nakyang, Capital of Northern Wi, on Jeonglim Temple in Buyeo also proves this cultural exchange. The structural characteristics within the Sabi Castle constructed by King Seong were also influenced by not only the style of Yang Dynasty but also Wi Dynasty`s. Gyumik, a monk from Baekje, brought Buddhist precepts from India to his country. King Seong let learned priests translate and annotate it. This work was called `The New Commandments of Baekje`. Baekje not only accepted and developed a high level of culture of China, but also diffused it to Shila, Gaya and Wa. It shows the internationality of Baekjae Culture. Therefore Baekjae played a leading role in forming a common cultural area among the Chinese Continent, the Korean Peninsula, and the Japanese Islands.

      • 삼국시대의 인문 정신과 세계관

        노중국(Noh, Choong-Kook) 계명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4 동서인문학 Vol.0 No.48

        Three Kingdom Period in Korean history is the period of turbulence. In the period, three kingdoms flexibly operate their kingdoms and apply rules. The cultural characteristic of the period is diversity which allows various religious thoughts and ideas to coexist. Three kingdoms selected the traditional shamanism as state religion and also adopted Confucianism, Taoism, and Buddhism from China. The spirit to allow those religious thoughts and ideas to coexist with one another is called "Tolerance Spirit toward Three Religion" and it indicates religious diversity of the period. Three kingdoms tried to reign over people by sanctifying and worshiping certain birds or trees. The is a kind of goods which represents aristocratic class´ dignity and the coffin was decorated with certain birds or trees which are regarded as sacred in Three Kingdom Period. Three kingdoms established centralized states and enhanced the position of royal family by changing, king of a sovereign ruler, to great king. By using the title, great king, sovereign rulers of three kingdoms had the same authority of an Chinese emperor, so-called a son of Heaven. It indicates three kingdoms autonomously have outlooks on the world like Sinocentrism.

      • KCI등재

        포항중성리비를 통해 본 麻立干시기 신라의 분쟁처리 절차와 六部체제의 운영

        노중국(Noh Choong-Kook) 한국고대사학회 2010 韓國古代史硏究 Vol.0 No.59

        본비의 건립연대의 기준은 辛巳年이라는 干支이다. 그리고 1행 6번째 글자는 ‘只’자가 아니라 ‘中’자라는 사실과 2행 11번째 글자는 ‘德’자로 확정하기 어렵다는 사실 및 六部에 壹伐이라는 새로운 관명이 보인다는 사실 등에 근거하면 본 비의 건립 연대는 441년이 된다. 본 비의 내용은 분쟁을 해결하는 절차를 보여준다. 먼저 중앙에서 교를 내리자 몇 사람이 분쟁의 당사자가 누구인지 밝힌 후 중앙에서는 使人을 파견하여 분쟁 지역 출신자들의 증언을 토대로 빼앗은 자인 豆智沙干支宮 등에게 빼앗은 것을 빼앗긴 자인 牟旦伐喙 作民沙 干支에게 되돌려주라는 판결을 내리고 차후 이 판결에 이의를 달지 못하도록 하였다는 것이 중심 내용이다. 중성리비는 마립간 시기에 신라의 육부체제 운영 모습을 보여준다. 육부체제는 나물마립간대에 성립되었고 눌지마립간대에 오면 왕권의 강화와 더불어 탁부와 사탁부 중심의 운영이 이루어졌다. 그 결과 아간지, 사간지 등의 관등은 탁부와 사탁부 출신자만이 지닐 수 있었고 나머지 4부의 長은 干支를 칭하였다. 본 비에는 부 간지 휘하에 두어진 일벌이 보이는데 이를 외위 조직과 연계시켜 보면 일벌 이외에도 일척, 피일, 아척 등도 두어졌던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이 관명은 외위가 아니기 때문에 여기서는 部官으로 부르기로 한다. 부의 내부 분화의 진전은 부의 유력자들의 수를 증가시켰고 이들 상호간의 서열을 정하기 위해 4부에 한해 간지를 분화시켰다. 이 과정에서 간지는 重간지, 三干支등으로 분화ㆍ격상되었으며 봉평비에서 보듯이 오간지까지 분화되었다. 마립간 시기 신라의 영역은 왕의 직할지와 부의 干支가 주관하는 지역으로 크게 구분된다. 왕의 직할지와 부의 간지가 주관하는 촌에는 村干支-壹金知라는 지배조직이 설치되어 있었다. 이를 村干으로 부를 수 있다. 왕은 자신의 직할지에는 도사를 파견하여 지배하였고 여타 지역은 부의 간지가 部官을 통해 그 지역의 일을 처리하였다. 이때 촌간은 도사나 부관이 각 지역을 지배하는데 보좌역할을 하였다. 봉평비단계는 신라의 관등이 경위와 외위로 정비된 것을 보여준다. 경위는 종래의 아간지, 나마, 사지 등을 분화ㆍ격상시키는 방법과 육부의 장 아래에 두어졌던 일벌, 일척, 피일 등에 간지를 붙여 격상시키는 방법으로 정비되었다. 외위 역시 두 방향에서 정비되었다. 하나는 육부 간지 아래에 있던 일벌-일척-피일 등을 지방민이 지니는 관등으로 바꾸어 격하시킨 것이고 다른 하나는 수장을 지칭하는 간지를 분화ㆍ격상시킨 것이다. 이리하여 경위 17관등과 외위 11관등이 정비된 시기는 521년의 사실을 전하는 『양서』, 신라전에 子賁旱支(이벌찬)와 齊旱支(잡찬)가 보이고 있는 사실과 연계시켜 볼 때 냉수리비가 만들어진 503년에서 521년 사이로 볼 수 있겠다. Pohang Jungseongribi(浦項中城里碑) was erected in Sinsa Year(辛巳年). The age of the erection has been assumed as A.D.501 by many scholars. However, the age of the erection also can be assumed as A.D. 441. The reasons following provide the evidence; the sixth letter of the first line is not ‘只’ but ‘中’. There is no definite proof that the eleventh letter of the second line is ‘德’. A new official title, Ilbeol(壹伐), appeared in Capital’ Six Bu(王京六部). The contents of the Pohang Jungseongribi is about the process of settling disputes. The process is as follows; After clarifying who was directly involved in the affair, the person in charge dispatched from the central government delivered a judgement. The defendant was ordered to return the property which he took away from the plaintiff. The judgement delivered based on the testimony. After retrial, it is prohibited filing protest petitions. It shows that the trial system at the time was the second trial. Silla Capital’ Six Bu(新羅六部), which was established in the Maribgan(麻立干) period, was operated with Takbu(喙部) and Satakbu(沙喙部) as the center. The status of the rest of Bu(部) fell. Therefore, the people from Takbu and Satakbu were given preferential treatment; they were given official ranks such as Aganji(阿干支) and Saganji(沙干支). The people from the rest of Bu(部) only could be given Ganji(干支) or Jungganji(重干支)~Oganj(五干支) which are differentiated and elevated from Ganji. Ilbeol(壹伐) appears in Pohang Jungseongribi which is the official rank below Ganji, the head ofModanbeoltak(牟丹伐喙) and Bonpatak(本波喙). It show that men of influence had management systems directly belonging to them. It consists of Ilcheok(一尺)-Piil(彼日)-Acheok(阿尺) including Ilbeol. The area of Silla in the Maribgan period were classified into two groups - one which is under the direct control of the King, another which is under the control of Ganji from Bu. Each village(村) had management systems called Chonganji(村干支)-Ilgeumji(壹金支). The King dispatched an administrator called Dosa(道使) to the area under the direct control to govern. Chongan(村官) performed a role of assisting Dosa(道使). The rest of the area were in charge of Ganji from Bu.

      • KCI등재

        마한과 낙랑,대방군과의 군사 충돌과 목지국의 쇠퇴 - 정시 연간(240-248)을 중심으로 -

        노중국 ( Choong Kook Noh ) 대구사학회 2003 대구사학 Vol.71 No.-

        The present writer analyzed the Woo Ho statement that a leader of Mok Zi, that is, the cheif power in the confederation of Ma Han, gave to four states including Sin Woon Sin. And the writer discussed the reason that Ma Han and Nang Rand·Dae Bang conflicted, and mentioned that the conflict caused the degeneration of Mok Zi. The substance could be summarized as follows; It was possible that the statement in th Hanjeon of Dongleejeon within 《Sam Gook Zi》was cut into Sin Zi Hok Ka Woo Ho, Sin Woon Gyun Zi Bo, An Ya Cook Zi Boon, Sin Lee Ah Bool Yei, and Goo Ya Jin Zi Lyum to read. Sin Woon, An Ya, Sin Lee, and Goo Ya were state`s names, Gyun Zi, Chook Zi, Ah Bool, and Jin Zi were bureaucracy`s names, and Bo, Boon, Yei, and Lyum were person`s names, Sin Lee was indentical with Sin Mi in the Janghwa Yeoljeon within《Jinseo》. When Mok zi came into power instead of Geon Ma, Sin Woon Sin and Sin Lee gave positive support to the situation. In consequence, they established friendly relations with it. An Ya and Goo Ya, that is, the Chief powers in th confederation of Byun Han, became subjects to the king of JIn in Mok Zi, and established friendly relations with it as the cost. Ma Han kept friendly relations with Wi until the term of Kyung Cho, but was confronted with it in the term of Jeong Si. Secause Wi caused eight states of Jin Han to belong under the county of Nang Rang. The object was that when Nang Rang·Dane Bang attacked Ko Goo Lyu, Wi restrained the power of Ma Han. As the result, the military conflict between Ma Han and Nang Rang·Dae Bang arose in A.D 246. Nok Zi commanded Ma Han, but Ma Han was defeated in this battle. So the several states including Na Hae seceded from the confederation of Ma Han, and submited to the county of Nany Rang. So the international influence of Mok Zi grew weak. Finally Baek je overthrew Mok Zi, and held the chief position in the confederation of Ma Han.

      • KCI등재
      • KCI등재

        금석문ㆍ목간 자료를 활용한 한국고대사 연구 과제와 몇 가지 재해석

        노중국(Noh Choong Kook) 한국고대사학회 2010 韓國古代史硏究 Vol.0 No.57

        1970년 후반 이후 低濕地에 대한 발굴이 본격적으로 이루어지면서 많은 목간들이 발굴되었다. 또 최근에는 미륵사서탑 사리봉안기나 포항중성리비와 같은 새로운 금석문도 출토되었다. 새로운 자료들의 출현은 한국고대사 연구에 활기를 불어넣어 주고 있다. 본고는 이러한 금석문이 보여주는 중요한 내용 몇 가지를 새로운 시각에서 재해석해 본 것이다. 금석문은 금속이나 돌에 새긴 글자를 말한다. 그러나 현재 우리 학계에서는 金文과 石文 이외에 토기나 기와 및 전돌에 새긴 글자, 나무 조각에 쓴 木簡, 고분의 벽과 漆器에 쓰인 글씨 등도 금석문의 개념 속에 모두 포괄시키고 있다. 이는 금석문의 본래의 의미를 모호하게 한다. 필자는 금속이나 돌에 새긴 것만 금석문으로, 나무에 쓴 것은 목간으로, 붓으로 쓴 것은 墨書로 부를 것을 제안하는 바이다. 우리나라에서 논농사는 청동기시대부터 시작되었고 삼국시대에 와서 더욱 확대되었다. 백제와 신라는 논에 대한 표기를 달리 하였다. 백제는 水田로 표기한 반면 신라는 畓으로 하였다. 답자는 신라가 만들어낸 글자이다. 이 답자는 통일신라 이후 논을 나타내는 글자로 보편화되었다. 영천청제비는 저수지 축조와 수리에 관련한 내용을 보여준다. 삼국이 저수지를 표기하는 방법은 달랐다. 7세기 이전 신라는 塢로, 고구려는 吐로, 백제는 池로 표기하였다. 7세기 이후에는 堤(?)로 표기하는 것이 일반화되었다. 한편 논에 물을 대는 시설은 洑라 하였고, 저수지의 물을 밖으로 빼내는 시설을 배굴리하였다. 이 배굴리는 고려시대 이후에는 水桶 또는 木桶으로 표기되었다. 영일냉수리신라비에는 ‘此七王等’이 나온다. 이를 ‘7명의 왕들’로 해석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그러나 필자는 ‘等’은 복수의 의미로, ‘왕’은 ‘님’으로 읽어야 한다고 본다. 이렇게 읽으면 ‘此七王等’은 ‘이 일곱님들’로 해석되어 이들은 왕이 아닌 것이다. 미륵사지西塔에서 출토된 사리봉안기에는 무왕의 왕비는 사탁적덕의 딸로 나온다. 이를 근거로 하여 『삼국유사』에 나오는 선화공주를 허구의 존재로 보는 견해가 제기되었다. 그러나 고대사회에서는 2명 이상의 왕비가 동시에 존재하기도 하였다. 필자는 선화공주가 허구의 존재가 아니라 선화공주와 사타씨 왕후 모두를 왕비로 보는 것이 타당하다고 생각한다. 561년에 만들어진 창녕비에는 大一伐干이 나온다. 대일벌간은 특별한 공로를 세운 유력한 귀족들에게 주어지는 非常의 관등이다. 이 비상위가 만들어진 시기는 법흥왕이 대왕으로 격상된 535년 이후 진흥왕이 활발하게 정복활동을 한 551년 사이로 추정해 볼 수 있다. 〈울진봉평신라비〉에는 지방세력에게 준 관등인 外位의 하나로 下干支가 나온다. 종래의 연구에서는 봉평비가 만들어진 524년 당시에는 하간지가 가장 높은 외위라는 전제 위에서 신라의 外位制는 524년 이후 561년 이전의 어느 시기에 완성된 것으로 파악하였다. 그러나 524년 당시 울진 지역은 신라 사회에서 차지하는 정치적 비중이 낮았다. 따라서 울진지역보다 위상이 높은 지역의 지방 세력들은 하간지보다 높은 외위를 받은 것으로 보아야 한다. 필자는 봉평비가 만들어진 시기에 외위제가 완성된 것으로 보는 것이 타당하다고 생각한다. 5~6세기에 신라와 고구려는 자국의 왕을 대왕이라는 존칭으로 불렀다. 백제의 경우 2009년에 발굴된 사리봉안기에 무왕을 대왕으로 표기한 내용이 나왔다. 이로써 삼국이 모두 자국의 왕을 대왕으로 불렀음을 알 수 있게 되었다. 왕의 칭호가 대왕으로의 격상됨에 따라 고구려와 신라는 독자적인 연호를 사용하였다. 또 신라와 백제는 대왕 아래에 제후왕을 설치하였다. 신라의 경우 울주 천전리서석 追銘에 갈문왕을 왕으로 표기한 것과 七支刀 명문에 백제가 왜왕을 侯王으로 표현한 것이 그 사례가 된다. Nowadays, besides the inscriptions engraved on metals and stones, the inscriptions engraved on earthenwares, lacquerwares, wood, and tile are also generally defined as an epigraph by the learned circles of Korean history. This blurs the original definition of an epigraph. Therefore, the writer suggests being careful about wording; only the inscriptions engraved on metals or stones should be called an epigraph. The inscriptions on wood should be called Mokgan(木簡), and the inscriptions written with a brush should be called Mukseo(墨書). Baekje dynasty used the term 'Sujeon(水田)' to call a rice paddy. Shilla used the term 'Dab(畓)'. Dab, the letter which had been made in the period of the Three States, had become generally used in the unified Shilla period. To call a reservoir, Shilla used the term '0h(塢)'. Goguryeo used the term 'To(吐)', and Baekje used the term 'Zi(池)'. However, the term 'Je(堤, ?)' had replaced all these terms after 7th century. Generally, '此七王等', the inscriptions engraved on Naengsuribi(冷水里碑), is considered that it means seven kings. However, the writer insists that ‘Deung(等)’ functions as plural form, and Wang(王) means 'an honorific title(님)'. Therefore, according to his opinion, ‘此七王等’ means 'these seven great men', not 'seven kings'. Saribongangi(舍利奉安記) excavated from Mlreugsazi(彌勒寺址) shows that Satajeokdeok(沙?積德)'s daughter was the wife of King Mu(武王). Based on this fact, Some scholars suggest that Princess Seonwha(善花) is a fictitious figure. However, there are historical documents about the kings who had more than two wives at the same time in the ancient Korean society. Therefore, the writer insists that Princess Seonwha is not a fictitious figure; she was also the wife of King Mu, like Queen Sata(Satajeokdeok's daughter). Daeilbeolgan(大一伐干) from Changnyeongbi(昌寧碑) is a special official rank to confer the noblemen who made great contribution. Changnyeongbi was made in 561 a.d.; however, it is still unknown when Daeilbeolgan was made. The writer insists that Daeilbeolgan might be made between 535 and 551a.d.. In 535a.d., King Beupheung(法興) was called Beupheung the Great. In 551a.d., King Jinheung(眞興) widely expanded Shilla's territory. Many noblemen in Shilla supported the kings in these processes. Therefore, it is presumable that Daeilbeolgan was a kind of a reward program for them. In the period of Shilla dynasty, the political influence of Uljin(蔚珍) area was not much considerable. Thus, the potentates of other areas, which had more political influence than those of Uljin, usually won higher official ranks than Haganji(下干支); These ranks were only for local potentates. Therefore, the system of official ranks, which is only for local potentates, is presumed to be made in the same period that Bongpyungbi(鳳坪碑) was made.

      • KCI등재

        백제 무왕의 출계(出系)와 천하관

        노중국 ( Noh Choong-kook ) 백제학회 2018 백제학보 Vol.0 No.25

        파른본 『삼국유사』 王曆에 나오는 무왕의 王名, 이름, 小名은 『삼국유사』 권제2 무왕조의 내용과 일치한다. 따라서 무왕의 어릴 때의 이름은 서동임이 분명하다. 서동을 法王의 아들로 보는 견해는 서동이 마를 캐며 가난한 생활을 한 것을 설명할 수 없다. 서동은 몰락 왕족 출신이었다. 그래서 서동은 빈한하게 생활하였던 것이다. 서동 시절 무왕의 성은 鬼室氏였지만 즉위 후 本宗인 扶餘氏를 칭하였다. 서동은 왕이 되기 5년 전인 595년경에 원자 의자를 낳았다. 이때 의자를 낳은 부인은 익산지역 가문 출신으로 보인다. 즉위 이후 무왕은 왕실의 권위를 높이기 위해 신라 진평왕의 셋째 딸 선화공주와 결혼하였다. 그리고 의자를 태자로 책봉할 시기에 沙託氏 왕후를 맞이하였다. 따라서 무왕에게는 적어도 3명의 왕비가 있었다. 무왕은 익산을 경영하면서 국가사찰인 미륵사에는 9층목탑을, 왕실 사찰인 제석사에는 7층목탑을 세웠다. 이는 고려 태조가 부처님의 힘에 의해 후삼국을 통일하려는 목적에서 개경에 7층탑을, 서경에 9층탑을 세운 것과 유사하다. 이로 미루어 무왕이 익산에 9층탑과 7층탑을 세운 것은 삼국을 일통하겠다는 의식의 소산이라 할 수 있다. 왕호를 격상시킨 것이 대왕호이다. 대왕호는 천자보다는 아래지만 諸侯王 보다는 상위의 위상을 갖는다. 그런데 미륵사지 서탑에서 출토된 「舍利奉迎記」에는 무왕이 ‘대왕폐하’로 나온다. 이는 무왕이 중국과의 외교관계에서는 왕(대왕)을 칭하면서 국내에서는 황제로 군림한 것을 보여준다. 이를 外王內帝 의식이라 한다. 이때 백제의 附庸國은 탐라국이었다. 만민을 ‘撫育’하는 일은 제왕만이 할 수 있다. 그런데 「사리봉영기」에는 왕비가 만민을 무육하는 것으로 나 온다. 이는 무왕 말기에 왕비가 정치의 實權을 장악한 것을 보여준다. 여기에는 무왕이 병에 걸쳐 정사에 흥미 를 잃어버린 것이 주요 배경으로 작용하였다. 사탁씨 왕후는 무왕의 長壽를 바라는 마음에서 썩어 없어지는 목탑 대신 영구히 가는 석탑을 만들었다. 그 결과 미륵사지 석탑은 한국 최초의 석탑이 되었다. 한편 부여 정림사지오층석탑은 比例美와 均衡美를 갖춘 최고의 傑作이다. 백제의 석탑 造營은 신라에 전해지고 이후 고려와 조선을 거치면서 우리나라 석탑 문화의 원류가 되었다. The king name, name, and childhood name of King Muwang seen in the Lineage of the Kings in << Samgukyusa (semantically, the Memorabilia of the Three Kingdoms) >> which was owned by Pareun, are consistent with the contents of King Muwang in Volume 2. So, it is clear that the childhood name of King Muwang was Seodong. The view that Seodong was the son of King Beobwang cannot explain that Seodong harvested yams and lived a poor life. It is reasonable to understand that Seodong lived in poverty as a descendant of the ruined royal family. Seodong became a father of the Prince Royal Uija in around 595 AD, five years before he became the king. Seodong's wife who gave birth to Uija at that time seems to be a woman from Iksan. After the enthronement, King Muwang married Princess Sunhwa, the third daughter of King Jinpyeongwang of the Silla Kingdom to boost the royal authority. By the time when he selected his eldest son as the crown prince, he took a woman from the Sataek clan as a queen. So, it can be said that King Muwang had at least 3 queens. While King Muwang governed Iksan, he built a 9-storey wooden pagoda in Mireuksa temple, which was a national temple, and a 7-storey wooden pagoda in Jeseoksa temple, which was a royal temple. King Taejo of the Goryeo Dynasty built 7-storey pagoda in Gaegyeong and 9-storey pagoda in Seogyeong with the aim of unifying the Later Three Kingdoms through Buddha's power. This suggests that King Muwang's establishment of 9-storey and 7-storey pagodas in Iksan was based on the intention of unifying the three kingdoms. The Great king is the upgraded title of king. The Great king had a status lower than the emperor but higher than a feudal lord. However, in < Saribongyeongi >, King Muwang is expressed as ‘His Majesty and the Great King’. This shows that King Muwang called himself the (Great) King in diplomatic relations with China, and reigned as the emperor domestically. This is called the consciousness of the king for foreign affairs and the emperor for domestic affairs. Although the power to ‘care for’ all people was vested only in the emperor, < Saribongyeongi > shows that people were cared for by the queen. This suggests that, at the end of the reign of King Muwang, the queen had the de facto power of politics. The main reason for this was that King Muwang suffered from illness and lost interest in political affairs.

      • KCI등재

        백제의 救恤 · 賑貸 정책과 ‘佐官貸食記’ 목간

        노중국(Noh, Choong-Kook) 백산학회 2009 白山學報 Vol.- No.83

        To govern the country, stabilization of the country's politics, society and economy is needed. If not, there must be social unrest and then the common people easily raise a revolt or give up their nationality. For their life stability, a king promoted agriculture and the cultivation of rice fields, and improved water installations to pursue the nation's productive capacity. There was a system called the System of Zinhyul(賑恤制) to save the people who starve. According to this system, the nation distributed the harvested grains for free to starving people or reduced a tax. Recently a wooden tablet called 좌관대식기 was excavated from Ssangbikli Buyeo which proves that Baekje had the system called the System of Zinhyul (賑恤制). It is written on the Zoagwandaesikgi(佐官貸食記木簡) that a government office lent the grains to the people and collected the grains with interest. After analyzing the contents of the wooden tablet, it was found that the people who were offered the grains on loan were living in the capital of the kingdom. The government office which was in charge of this relief work was 좌관. Its superior government office which administered the Zoagwan佐官) was the Owogyungbu(外部). Around the area which the wooden tablet was found. there must be the storages which were administered by the Owogyungbu(外部).

      • KCI우수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