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백제의 骨族 의식과 골족 範圍

        노중국(Noh Choong-Kook) 한국고대사학회 2008 韓國古代史硏究 Vol.0 No.50

        백제의 친족집단은 혈연관계의 近遠 여부에 따라 子弟, 骨族, 宗族으로 구분된다. 골족은 중국에서는 사용되지 않은 우리나라 고대사회의 특징적인 표현이다. 初期百濟의 골족의 범위는 『駕洛國記』에 1호당 인구가 750명으로 나오는 것 등에서 미루어 同高祖8寸의 범위를 넘는 것으로 추정된다. 중앙집권체제가 갖추어진 漢城도읍기에 골족 범위는 契王과 近肖古王과의 관계에서 미루어 同高祖8寸으로 볼 수 있다. 이때부터 골족과 종족은 구분되었다. 熊津도읍기의 골족의 범위는 한성도읍기와 큰 변화는 없었다. 다만 왕족도 骨族과 非骨族으로 구분하였는데 그 경계선 역시 동고조8촌이었다. 泗?도읍기에 와서 성왕은 禮制를 재정비하고 이의 실행을 강력히 추진하였다. 건국 시조 東明을 모신 祠堂을 훼손한 것이 그 사례가 된다. 이 과정에서 골족의 범위도 축소되었다. 축소된 골족의 범위는 당에 들어가 살았던 백제 유민들의 묘지명에서 家系를 증조까지 한 것에서 미루어 同曾祖6寸으로 볼 수 있다. 골족의 범위는 喪服制와도 관계된다. 백제의 喪禮에 의하면 부모와 남편喪 때 자식과 처는 3년 服을 입었지만 나머지 친족[餘親]은 喪을 마치면 곧바로 복을 벗었다. 이 餘親이 바로 골족이다. 골족의 범위는 연좌제와도 연관된다. 죄가 가벼울 경우 처자에게만 연좌가 적용되었지만 무거울 경우 골족까지 확대되었다. Baekje’s relative group is divided into sons and brothers, goljok (restricted relative clan) and blood clan according to the degree of far and near. Goljok(骨族) is a vocabulary which was used only in the Ancient korean society. The sphere of the Goljok at the early Baekje comprises the eight degrees of kinship under one ancestor in considering the fact that the number of population of one village is 750 as is indicated at the 〈Garakgukgi〉. The sphere of the Goljok at the period of Hansung Baekje with the centralization of administrative power includes the eight degrees of kinship if we consider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King Gye and King Geunchogo. From that time, Goljok and Jongjok(宗族) was divided. The sphere of the Goljok at the period of Hansung Baekje remained without great change at the period of Woungjin Baekje. But, the royal family was divided into Goljok and non-Goljok. The dividing line is the eight degrees of kinship under one ancestor between them. At the period of Sabi Baekje, King Sung executed energetically realization of the ceremony system. A good example is the damage of the King Dongmyung shrine who is the founder of the Baekje dynasty. During the process, the sphere of goljok was reduced. The reduced sphere of goljok comprises the six degrees of kinship if we consider the names that the remained Baekje people who lived in the Chinese Tang dynasty left at their tombs. The sphere of the Goljok is related to the mourning clothes. According to the mourning ceremony at the Baekje dynasty, the son and wife of the defunct took the mourning clothes for three years, but the remained relatives took off them just after the ceremony. In this case, the remained relative is the goljok. The sphere of the goljok is related also to the gulty-by-association system. In case of the light guilt, only the son and wife of the criminal was punished as criminal. When the guilt is grave, the punishment was extended to the goljok.

      • KCI등재

        마한과 낙랑,대방군과의 군사 충돌과 목지국의 쇠퇴 - 정시 연간(240-248)을 중심으로 -

        노중국 ( Choong Kook Noh ) 대구사학회 2003 대구사학 Vol.71 No.-

        The present writer analyzed the Woo Ho statement that a leader of Mok Zi, that is, the cheif power in the confederation of Ma Han, gave to four states including Sin Woon Sin. And the writer discussed the reason that Ma Han and Nang Rand·Dae Bang conflicted, and mentioned that the conflict caused the degeneration of Mok Zi. The substance could be summarized as follows; It was possible that the statement in th Hanjeon of Dongleejeon within 《Sam Gook Zi》was cut into Sin Zi Hok Ka Woo Ho, Sin Woon Gyun Zi Bo, An Ya Cook Zi Boon, Sin Lee Ah Bool Yei, and Goo Ya Jin Zi Lyum to read. Sin Woon, An Ya, Sin Lee, and Goo Ya were state`s names, Gyun Zi, Chook Zi, Ah Bool, and Jin Zi were bureaucracy`s names, and Bo, Boon, Yei, and Lyum were person`s names, Sin Lee was indentical with Sin Mi in the Janghwa Yeoljeon within《Jinseo》. When Mok zi came into power instead of Geon Ma, Sin Woon Sin and Sin Lee gave positive support to the situation. In consequence, they established friendly relations with it. An Ya and Goo Ya, that is, the Chief powers in th confederation of Byun Han, became subjects to the king of JIn in Mok Zi, and established friendly relations with it as the cost. Ma Han kept friendly relations with Wi until the term of Kyung Cho, but was confronted with it in the term of Jeong Si. Secause Wi caused eight states of Jin Han to belong under the county of Nang Rang. The object was that when Nang Rang·Dane Bang attacked Ko Goo Lyu, Wi restrained the power of Ma Han. As the result, the military conflict between Ma Han and Nang Rang·Dae Bang arose in A.D 246. Nok Zi commanded Ma Han, but Ma Han was defeated in this battle. So the several states including Na Hae seceded from the confederation of Ma Han, and submited to the county of Nany Rang. So the international influence of Mok Zi grew weak. Finally Baek je overthrew Mok Zi, and held the chief position in the confederation of Ma Han.

      • KCI등재
      • KCI등재

        백제 무왕의 출계(出系)와 천하관

        노중국 ( Noh Choong-kook ) 백제학회 2018 백제학보 Vol.0 No.25

        파른본 『삼국유사』 王曆에 나오는 무왕의 王名, 이름, 小名은 『삼국유사』 권제2 무왕조의 내용과 일치한다. 따라서 무왕의 어릴 때의 이름은 서동임이 분명하다. 서동을 法王의 아들로 보는 견해는 서동이 마를 캐며 가난한 생활을 한 것을 설명할 수 없다. 서동은 몰락 왕족 출신이었다. 그래서 서동은 빈한하게 생활하였던 것이다. 서동 시절 무왕의 성은 鬼室氏였지만 즉위 후 本宗인 扶餘氏를 칭하였다. 서동은 왕이 되기 5년 전인 595년경에 원자 의자를 낳았다. 이때 의자를 낳은 부인은 익산지역 가문 출신으로 보인다. 즉위 이후 무왕은 왕실의 권위를 높이기 위해 신라 진평왕의 셋째 딸 선화공주와 결혼하였다. 그리고 의자를 태자로 책봉할 시기에 沙託氏 왕후를 맞이하였다. 따라서 무왕에게는 적어도 3명의 왕비가 있었다. 무왕은 익산을 경영하면서 국가사찰인 미륵사에는 9층목탑을, 왕실 사찰인 제석사에는 7층목탑을 세웠다. 이는 고려 태조가 부처님의 힘에 의해 후삼국을 통일하려는 목적에서 개경에 7층탑을, 서경에 9층탑을 세운 것과 유사하다. 이로 미루어 무왕이 익산에 9층탑과 7층탑을 세운 것은 삼국을 일통하겠다는 의식의 소산이라 할 수 있다. 왕호를 격상시킨 것이 대왕호이다. 대왕호는 천자보다는 아래지만 諸侯王 보다는 상위의 위상을 갖는다. 그런데 미륵사지 서탑에서 출토된 「舍利奉迎記」에는 무왕이 ‘대왕폐하’로 나온다. 이는 무왕이 중국과의 외교관계에서는 왕(대왕)을 칭하면서 국내에서는 황제로 군림한 것을 보여준다. 이를 外王內帝 의식이라 한다. 이때 백제의 附庸國은 탐라국이었다. 만민을 ‘撫育’하는 일은 제왕만이 할 수 있다. 그런데 「사리봉영기」에는 왕비가 만민을 무육하는 것으로 나 온다. 이는 무왕 말기에 왕비가 정치의 實權을 장악한 것을 보여준다. 여기에는 무왕이 병에 걸쳐 정사에 흥미 를 잃어버린 것이 주요 배경으로 작용하였다. 사탁씨 왕후는 무왕의 長壽를 바라는 마음에서 썩어 없어지는 목탑 대신 영구히 가는 석탑을 만들었다. 그 결과 미륵사지 석탑은 한국 최초의 석탑이 되었다. 한편 부여 정림사지오층석탑은 比例美와 均衡美를 갖춘 최고의 傑作이다. 백제의 석탑 造營은 신라에 전해지고 이후 고려와 조선을 거치면서 우리나라 석탑 문화의 원류가 되었다. The king name, name, and childhood name of King Muwang seen in the Lineage of the Kings in << Samgukyusa (semantically, the Memorabilia of the Three Kingdoms) >> which was owned by Pareun, are consistent with the contents of King Muwang in Volume 2. So, it is clear that the childhood name of King Muwang was Seodong. The view that Seodong was the son of King Beobwang cannot explain that Seodong harvested yams and lived a poor life. It is reasonable to understand that Seodong lived in poverty as a descendant of the ruined royal family. Seodong became a father of the Prince Royal Uija in around 595 AD, five years before he became the king. Seodong's wife who gave birth to Uija at that time seems to be a woman from Iksan. After the enthronement, King Muwang married Princess Sunhwa, the third daughter of King Jinpyeongwang of the Silla Kingdom to boost the royal authority. By the time when he selected his eldest son as the crown prince, he took a woman from the Sataek clan as a queen. So, it can be said that King Muwang had at least 3 queens. While King Muwang governed Iksan, he built a 9-storey wooden pagoda in Mireuksa temple, which was a national temple, and a 7-storey wooden pagoda in Jeseoksa temple, which was a royal temple. King Taejo of the Goryeo Dynasty built 7-storey pagoda in Gaegyeong and 9-storey pagoda in Seogyeong with the aim of unifying the Later Three Kingdoms through Buddha's power. This suggests that King Muwang's establishment of 9-storey and 7-storey pagodas in Iksan was based on the intention of unifying the three kingdoms. The Great king is the upgraded title of king. The Great king had a status lower than the emperor but higher than a feudal lord. However, in < Saribongyeongi >, King Muwang is expressed as ‘His Majesty and the Great King’. This shows that King Muwang called himself the (Great) King in diplomatic relations with China, and reigned as the emperor domestically. This is called the consciousness of the king for foreign affairs and the emperor for domestic affairs. Although the power to ‘care for’ all people was vested only in the emperor, < Saribongyeongi > shows that people were cared for by the queen. This suggests that, at the end of the reign of King Muwang, the queen had the de facto power of politics. The main reason for this was that King Muwang suffered from illness and lost interest in political affairs.

      • KCI등재

        백제의 救恤 · 賑貸 정책과 ‘佐官貸食記’ 목간

        노중국(Noh, Choong-Kook) 백산학회 2009 白山學報 Vol.- No.83

        To govern the country, stabilization of the country's politics, society and economy is needed. If not, there must be social unrest and then the common people easily raise a revolt or give up their nationality. For their life stability, a king promoted agriculture and the cultivation of rice fields, and improved water installations to pursue the nation's productive capacity. There was a system called the System of Zinhyul(賑恤制) to save the people who starve. According to this system, the nation distributed the harvested grains for free to starving people or reduced a tax. Recently a wooden tablet called 좌관대식기 was excavated from Ssangbikli Buyeo which proves that Baekje had the system called the System of Zinhyul (賑恤制). It is written on the Zoagwandaesikgi(佐官貸食記木簡) that a government office lent the grains to the people and collected the grains with interest. After analyzing the contents of the wooden tablet, it was found that the people who were offered the grains on loan were living in the capital of the kingdom. The government office which was in charge of this relief work was 좌관. Its superior government office which administered the Zoagwan佐官) was the Owogyungbu(外部). Around the area which the wooden tablet was found. there must be the storages which were administered by the Owogyungbu(外部).

      • KCI우수등재
      • KCI등재

        논문 : 백제의 수리(水利)시설과 김제 벽골제

        노중국 ( Choong Kook Noh ) 백제학회 2010 백제학보 Vol.0 No.4

        근래에 안동 저전리 저수지 발굴, 보성 조성리 수리시설 발굴 등은 저수지 축조 시기를 청동기시대로까지 올려볼 수 있게 하였다. 이에 따라 『삼국사기』 초기기록에 보이는 저수지 관련 기사도 그 의미를 되새겨 볼 수 있게 되었으며 『삼국지』 동이전 한조에 나오는 國名 가운데 저수지의 의미를 포함하는 국명의 경우 그 지역에 저수지가 축조되었을 가능성을 높게 하였다. 그러나 초기백제 시기에는 대규모의 노동력을 동원할 수 있는 집권력이 아직 미약하였기 때문에 저수지의 규모는 크지 않았다고 생각된다. 대규모 저수지는 중앙집권력의 성장과 궤도를 같이 한다. 백제도 중앙집권력의 강화를 위해 농업생산력을 증대시키는 것이 필요하였다. 이러한 필요성에서 대규모 저수지를 만들게 되었다. 그 대표적인 사례가 김제 벽골제이다. 벽골제의 초축 연대에 대해 『삼국사기』에는 A.D.330년으로 나오고 『벽골제발굴보고서』에서는 4세기 전반 경으로 추정하고 있지만 6세기 이후에 만들어진 것으로 보는 견해도 있어 논란이 되고 있다. 그러나 백제는 3세기 후반에 거대한 풍납토성을 축조하는 등 대규모의 노동력을 동원할 수 있는 집권력과 토목기술을 갖추고 있었고, 4세기에 들어와 전북지역을 영역으로 편입하였다. 이러한 관점에서 보면 벽골제의 초축 시기는 4세기 전반 경으로 보는 것이 타당하다고 생각한다. 벽골제의 기능에 대해 저수지로 보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최근에 방조제로 보는 견해도 제기되었다. 즉 현재 보이는 석제 수문은 만조 때에 닫아 해수의 침입을 막고 간조 때에 열어 제방 안의 불필요한 물을 배수하는 수문이며, 河□에 제방을 축조하여 개발을 진전시키는 저지대 개발 방식인 ``築堤開田``의 시설이라는 것이다. 그런데 벽골제는790년에 增築되었고 이후 고려시대에 와서도 증축되었다. 방조제설을 주장하려면 이 증축 공사가 해수면의 상승 때문에 일어났다는 것을 입증하여야 한다. 그렇지만 이에 대한 검증 작업은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이로 미루어 보면 벽골제는 방조제는 아닌 것이다. 문헌자료에 의해 修築 과정을 보면 원성왕 7년(790)의 증축, 고려 顯宗(1010~1031) 대의 修完, 고려 仁宗 21년(1143)의 修復, 조선 太宗 15년(1415)의 重修에 걸치고 있다. 여기에 510년 무령왕의 ``完固堤防`` 조치도 포함하면 모두 5번에 걸쳐 수치가 이루어진 셈이다. 한편 「벽골제중수기」에 의할 때 1415년의 수축 작업은 潮波의 奮激이 심한 大極浦 지역에는 조파를 막는 제언을 세웠고, 큰 웅덩이가 만들어진 楊枝橋 지역에는 목책을 세웠으며, 제방 위의 頹碑된 부분은 흙을 메워 평평하게 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졌다. 한편 「벽골제발굴보고서」에 의하면 A지구에서는 2번에 걸쳐, B지구에서는 4번에 걸쳐 수축이 이루어졌음이 확인되었다. 제방의 전체 높이는 4.5m 정도였는데 1차 築土의 높이는 약 2.5m였다고 한다. 발굴조사에서 얻어진 결과와 문헌 자료의 내용은 어느 정도 일치한다. 이를 종합하면 1차 축토의 높이 2.5m는 초축 당시의 제방의 높이이고, 약 1.6-l.7m의 높이의 2차 축토는 원성왕대의 대대적인 증축 사업의 결과로 파악된다. 그리고 B지구에서 빈번한 보수 작업이 이루어진 것은 이곳에 食物炭化層이 두껍게 쌓여있다는 사실과 또 石傀들이 混築되어 있다는 사실에서 보듯이 지반의 연약성 때문인 것 같다. 이로 미루어 보면 문헌 자료에 보이는 보수공사도 대개는 B지구에서 이루어졌을 가능성이 크다고 하겠다. Among the reservoirs which were built during Baekje dynasty period, Gimje Byeokgolje(金堤碧骨堤) is the most important one. It is still controversial when Byeokgolje was built; 『Samguksagi(三國史記)』documents that Byeokgolje was built in A.D. 330. 『Byeokgolje Excavation Note』 assumes that Byeokgolje was built in the early 4th century. But Some people insists that Byeokgolje was built after 6th century. Baekje dynasty had not only power to use the labor for construction but also skills in civil engineering to build massive buildings such as Pungnaptoseong(風納士城) in the late 3rd century. Baekje dynasty also occupied Jeonbuk(全北) area in the 4th century. Assuming from these facts, it is considered that Byeokgolje was built in the early 4th century. The general view is that Byeokgolje functioned as a reservoir. Recently, some people insists that Byeokgolje functioned as a sea wall. Byeokgolje was extended in 790 and Goryo(高麗) dynasty. The extension was not for the sea level rising but for the shortage of the volume of water kept in store. In Goryo and Joseon(朝鮮) dynasty, there were rice fields outside the bank. Assuming these facts, Byeokgolje functioned as a reservoir, not a sea wall. According to 『Byeokgolje Excavation Note』, the height of the Byeokgolje was about 2.5m when it was first built. After extension and repair work, the height was elevated 1.6~1.7m. The bank and sluice gate nowadays is the result of the last repair work in 1415.

      • KCI등재

        백제사의 몇 가지 문제: ≪삼국사기≫ 백제본기 역주 작업과 관련하여

        노중국(Noh, Choong-kook) 신라사학회 2013 新羅史學報 Vol.0 No.27

        본 논문은 ≪개정증보 역주 삼국사기≫의 주석 부분에 앞으로 보완해야 할 사항을 정리해 본 것이다. 초기백제가 하북위례성에서 하남위례성으로 천도하였을 때 최초의 중심지는 풍납토성 내부에서 발굴된 3중 環濠에 비정할 수 있다. 이때 백제의 국호는 十濟에서 百濟로 바뀌었다. 伯濟國과 百濟國은 동일체로서 표기상의 차이이지 발전단계를 보여주는 것은 아니다. ≪삼국사기≫에는 백제와 前秦과의 교섭 기사가 없다. 그러나 <百濟王 銅虎符>, 左賢王·右賢王, 烝土築城 기사는 백제와 전진과의 교섭과 교류를 보여준다. 따라서 백제와 전진과의 교섭은 보완하는 것이 필요하다. <미륵사지사리봉안기>를 통해 백제 무왕에게는 의자왕을 낳은 부인, 선화공주, 沙乇氏 왕후 등 복수의 왕후가 있었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大王陛下`는 백제왕이 국내에서는 황제와 같은 존재로 군림하였음을 보여준다. This thesis arranged the supplement points in the part of footnotes to A revised and enlarged edition of the Chronicles of the Three States(改正增補譯詿 三國史記). When the capital of Baekje transferred from Habukwirye Castle(河北慰禮城) to Hanamwirye Castle(河南慰禮城), the first central place was a triple enclosed lake, excavated in the inside of Poongnamtoseong(風納土城). Henceforward the name of Baekje was changed from Sipje to Baeje. And there were two meanings about Baek. The one was the first, the other was a hundred. But the expressions were the declared difference, not a stage of development. There were not the articles about the relations between Baekje and Jeonjin(前秦) in Sanguksaki. But the articles about the Jwahyeon King(左賢王), the Uhyeon King(右賢王), and Jeungtochukseong(增土築城) demonstrated a negotiation and an exchange between Baekje and Jeonjin in `Baekjewangdonghobu(百濟王銅虎符)`. Accordingly, it is necessary to complement the exchange relations between Baekje and Jeonjin. It was showed that the queen of the Mu King was born from the Sataek Clan in `Mireuksajisaribongangi(彌勒寺舍址利奉安記)`. But there were three queens on the basis of the existence of the Seonhwa Princess(善花公主) and the giving birth to a son Uija(義慈) before the accession of the MuKing(武王). And that the King of Baekje was called the Great King(大王) and his Royal Highness means that the King reigned as the emperor at hom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