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Ebb and flow 저면관수 시스템에서 칼랑코에(Kalanchoe blossfeldiana ‘New Alter’) 생육단계별 배양액 농도에 따른 생육, 양분흡수 및 배지 양분 집적

        노은희(Eun Hee Noh),손정익(Jung Eek Son) 한국원예학회 2010 원예과학기술지 Vol.28 No.6

        Ebb and flow저면관수 시스템에서 배양액 농도에 따른 칼랑코에(Kalanchoe blossfeldiana ‘New Alter’)의 생육단계별 생육특성, 양분흡수율 및 배지의 양분집적 상태를 조사하였다. 생육단계별 배양액 농도 처리(EC 0.8, 1.6, 2.4, 3.2 dS?m<SUP>-1</SUP>)에 따른 작물 생육은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1, 3, 5, 8, 11주 처리 후에 작물 생육을 조사한 결과, 5주 후부터 처리 별 차이가 매우 컸고, 각 생육단계에서 생장이 가장 양호하였던 처리구는 EC 1.6dS?m<SUP>-1</SUP>이었으며, 엽면적, 초장, 건물중은 EC 2.4dS?m<SUP>-1</SUP>을 지나 EC 3.2dS?m<SUP>-1</SUP>에서 급격히 감소하는 현상을 보였다. 칼랑코에 각 생육단계에서 생장이 가장 양호하였던 EC 1.6dS?m<SUP>-1</SUP>처리구에 대해 양분흡수 특성을 조사한 결과 무기이온의 흡수율은 생육단계별 다소 차이가 있었으나 NO₃-N가 가장 크고 Mg<SUP>2+</SUP>가 가장 낮게 나타났다. 배양액 농도 처리구에서 배지 위치 별 EC를 조사한 결과 배지 상층부의 EC는 하층부 EC보다 1-3배 높았고 또한 생육이 진행됨에 따라 배지 상층부 및 하층부에서 집적되는 무기양분의 누적량이 증가되었으며 집적량이 많은 EC 3.2dS?m<SUP>-1</SUP>처리구에서는 작물의 생장을 억제시키는 효과가 나타난 것으로 분석되었다. 따라서 EBB저면관수 시스템에서는 배양액의 EC에만 의존할 것이 아니라 배지 내 양분집적을 고려하여 배양액 공급 시 조성 및 농도를 결정할 필요가 있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effect of electrical conductivity (EC) of nutrient solution on the growth, nutrient uptake of potted kalanchoe plants (Kalanchoe blossfeldiana ‘New Alter’) and the nutrient accumulation at the growing media with growth stage in ebb and flow subirrigation systems. Significant differences in leaf area, plant height, and dry weight of the plants were found among the different ECs of nutrient solution of 0.8, 1.6, 2.4, and 3.2 dS?m<SUP>-1</SUP>. Particularly the difference in plant growth became significantly greater from 5 weeks after treatment. The overall growth was the highest at EC 1.6 dS?m<SUP>-1</SUP>. Leaf area, plant height, and dry weight were maintained higher when EC increased to 2.4 dS?m<SUP>-1</SUP>, but rapidly decreased after EC 3.2 dS?m<SUP>-1</SUP>. The uptake of NO3-N was the greatest while that of Mg<SUP>2+</SUP> was the lowest at EC 1.6 dS?m<SUP>-1</SUP>, even though small differences were found among macro elements. The EC at the top layer of the growing media was 1 to 3 times higher than that at the bottom layer. Nutrient accumulation was accelerated in both the top and bottom layers with growth stage. At EC 3.2 dS?m<SUP>-1</SUP>, the growth of the plants was suppressed due to higher nutrient accumulation at the growing media. From the results, the strength and composition of nutrient solution should be determined by considering nutrient accumulation at the growing media in addition to EC of nutrient solution in ebb and flow subirrigation systems.

      • KCI등재
      • KCI등재

        한국어 문장 수준 서답형 문항 자동채점 적용 가능성 탐색

        노은희(Noh Eun hee),성경희(Sung Kyung hee),임은영(Lim Eun Young) 한국교육평가학회 2015 교육평가연구 Vol.28 No.2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어 문장 수준 서답형 문항 자동채점 프로그램의 성능을 검증하여 대규모 평가에서의 적용 가능성을 탐색하기 위한 것이다. 2013년 학업성취도 평가 국어 9문항, 사회 2문항의 각 1000개 답안을 대상으로 시범 적용한 결과, 채점 정확성과 효율성을 중시하는 고부담 대규모 평가에 적정한 것으로 나타났다. 먼저, 채점 처리 과정의 간결성(simplicity) 측면에서, 1차로 답안을 군집화한 결과 답안 유형 수가 3.1%~37.5%로 감소한다. 이를 바탕으로 고빈도 답안을 채점하면 평균 55.9%의 답안이 채점되어 군집화가 답안 유형 수를 줄이고 동시에 기계학습에 필요한 충분한 수의 답안을 확보하게 함으로써 자동채점의 효율성에 기여한다. 다음으로 채점 결과의 정확성(accuracy) 분석을 위해, 기준점수와 자동채점 점수 간 상관관계와 일치도를 살펴본 결과 적정하게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두 점수 간의 평균제곱근편차는 0~0.55, 표준화된 평균제곱근편차는 0~0.2로나타나 자동채점 점수가 기준점수와 크게 다르지 않았다. 또한 두 점수 간 완전일치도는 91.5~100%, 카파계수는 0.8~1.00, 상관계수는 0.82~1.00으로 나타나, 대체로 모든 문항에 대한 계수가 0.8 이상으로 높은 수준의 일치도를 보여주었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explore the possibility of using an automatic scoring system for sentence-level responses in large scale to enhance the efficiency of scoring constructed response items for large scale assessment. In order to enhance the simplicity of the scoring process, the answers were grouped based on similarity of meaning, and the grouped answers were scored with the automatic scoring program. These scored answers were used for machine-learning, to update the similarity in meaning for the next grouping of answers. This process is intended to decrease the number of grouped answers and to accumulate scoring results. Upon implementing the program using 11 social studies constructed response items in the Korean language from the NAEA 2013, the types of answers for each question diminished by 3.1%-37% for the initial grouping stage, and an average of 55.9% of the answers were scored at the first stage of grouping. Grouping answers by similarity in meaning enhanced simplicity of scoring while also contributing to improved accuracy. Next, in order to examine the program 's scoring accuracy, we calculated the exact agreement,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kappa coefficients between the criterion scores and the scores from the automatic scoring program for the sentence level, and it was revealed that the exact agreement between the two scores was 91.5-100%, the correlation coefficient was 0.82-1.00 and the Kappa coefficient was 0.8-1.00, which is fairly remarkable.

      • KCI등재

        미국 SAT 문항 분석을 통한 수능 언어 영역 개선 방향 탐색

        노은희 ( Eun Hee Noh ),박기범 ( Ki Beom Park ) 국어교육학회 2009 國語敎育學硏究 Vol.34 No.-

        본고는 우리나라 대학수학능력시험 언어 영역의 개선 방향을 탐색하고자 미국의 SAT에서 언어 영역 관련 시험의 문항을 분석하여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SAT는 오랜 역사와 전통을 가지고 있으며 대다수 미국의 대학들이 입학전형 자료로 활용하는 대표적인 시험으로서 우리 수능의 틀을 형성하는 데 큰 영향을 주었으며 사고력을 지향하는 평가 목표가 수능과 유사하기 때문에 분석 대상으로 삼게 되었다. SAT 언어 영역 시험을 분석한 결과, 수능과 비교하여 얻을 수 있었던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지문의 길이가 다양했으며, 기존의 글을 수정하지 않고 그대로 발췌함으로써 독해 자료의 실제성과 분야별 특성을 중시하였다. 둘째, 평가 목표 및 요소가 사실적 사고와 추론적 사고에 치중되었으며, 어휘·어법을 중심으로 표준적인 영어 사용 능력의 측정에 초점이 맞춰져 있었다. 셋째, 문항 유형과 형식이 단순하고 반복적이며 간결하여 수험생의 편의를 도모하였다. 넷째, 난이도 면에서 지문은 고교 졸업생 수준에 적합한 반면 문항은 다소 쉬운 편이었고, 문제은행을 통해 적정한 난이도를 안정적으로 유지하였다. 다섯째, 에세이 쓰기를 통해 실제적인 서술식 평가를 하고 있었다. 여섯째, 시험을 추론능력검사와 교과학력검사로 이원화하여 실시하고 있었다. SAT(Scho1astic Aptitude Test) is one of the requirements of admissions to the U.S.A. and Korea colleges. SAT is the standardized examination similar to Korea`s SA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suggestions for the Language Section of SAT in Korea, on the basis of comparing those of U.S.A. In order to achieve the aim of this study, we particularly analyzed the critical reading items, the writing items on the SAT Reasoning Test and the literature items on the SAT Subject Test.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passages vary in length and are taken from a variety of fields, not revising the original texts. Second, the critical reading items measure a student`s literal and inferential comprehension ability, and the writing item focus on a student`s vocabulary and grammar proficiency. Third, the questions are stereotyped, repetitive, and simple. Therefore most of the students are accustomed with these types of questions and come to feel easy understanding the questions. Forth, passage difficulty is appropriate for high school students, but item difficulty is low for them. Because all of items are selected from the Item Bank according to item difficulty, the SAT can constantly maintain the degree of difficulty. Fifth, writing section includes multiple-choice questions and an essay. The essay tests students` ability to articulate a coherent argument, supporting a point of view on an issue specified on the test. Sixth, the SAT is divided into The Reasoning Test and The Subject Test. The Reasoning Test assesses the critical thinking skills students need for academic success in college-skills that students learned in high school. The Subject Test measures students` knowledge and skills in particular subject areas, as well as their ability to apply that knowledge.

      • KCI등재
      • KCI등재

        국어 표준 화법의 현황과 개선 방안 ; 국어 교육에서 표준 화법 관련 내용의 수용 방향

        노은희 ( Eun Hee Noh ) 한국화법학회 2009 화법연구 Vol.0 No.15

        본고는 국어 교육의 장에서 `표준 화법`의 내용이 다루어지는 양상을 점검하고 이에 대한 교육적 수용 방향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제7차와 2007년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표준 화법`과 관련한 내용의 제시 양상을 살펴보았다. `표준 화법` 관련 내용에서 `호칭어·지칭어` 항목은 7차 교육과정의 `국어 생활`, `화법` 선택 과목에서 다루어졌으나 개정 교육과정에서는 전면에 나타나지 않았다. `경어법` 항목은 문법 영역에서 초등 과정부터 주요하게 다루고 있었으며, `인사말` 항목은 듣기·말하기를 포함한 화법 영역에서 초등 과정에 집중하여 제시하고 있었다. 그런데 각 항목이 일정한 방향성을 갖고 체계적으로 안내되지는 못하고 있었다. 교과서에서도 `표준 화법`과 관련한 내용을 살필 수 있었다. 우선 6차와 7차의 `화법` 교과서를 보면, `표준 화법`과 관련하여 별도 단원을 마련한 교과서는 그리 많지 않았으며 주로 부록으로 제시하고 있었다. `국어 생활` 교과서에서도 `표준 화법`의 항목을 소개하는 정도의 모습을 보였다. 이를 통해 `표준 화법`을 국어 교육에서 다루고자 한다면 교육적 안목에서 재구성할 필요성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국어 교육에서 `표준 화법`의 내용을 재구성할 때는 1) 청소년의 생활과 밀접하게 제시할 것, 2) 관련 항목을 나열하지 말고 체계적으로 안내할 것을 주문하였다. 나아가 화법 교육에서 `표준 화법`을 다룰 때에는 1) 호칭어·지칭어, 경어법, 인사말의 일부 항목으로 제한하지 말 것, 2) 다른 규범과는 달리 탄력적으로 적용할 것, 3) 도덕과, 문법 영역과의 공조 속에 화법 교육만의 초점화를 시도할 것을 제안하였다. 따라서 화법 영역에서는 표준 화법을 일부 언어적 항목의 제한에서 벗어나 `언어 예절`로 좀 더 포괄적으로 확대할 필요가 있으며, 언어 예절과 관련한 윤리적, 문화적, 지식적, 소통적 요소를 통합적으로 제시하되 궁극적으로는 소통적 요소로 수렴하여 안내할 수 있도록 해야 함을 주장하였다. This study aims to suggest the directions for adopting `the standardized speech manners` in korean education. In Chapter 2, I examine the contents of the speech manners in the 7th and the 2007 revised korean curriculum and textbooks. In Chapter 3, I present some directions for adopting the standardized speech manners` in speech education. In order to readjust the direction of the current speech manners education to more desirable one, it is necessary to reconstruct the standardized speech manners contents for the purpose of korean education, to select and organize the contents well reflecting the students` experience and developmental levels. In the respect, I suggest that the standardized speech manners should not be merely some honorific expressions. Therefore speech manners education should be related to various aspects of the speech manners.

      • KCI등재후보

        말하기와 쓰기의 통합에 대한 일고찰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에 나타난 말하기와 쓰기의 연계 양상을 중심으로-

        노은희 ( Eun Hee Noh ) 한국작문학회 2009 작문연구 Vol.0 No.8

        최근 국어교육계는 총체적 언어 교육론, 매체의 수용과 문식성 범위 확장, 실제성을 강조하는 사회구성주의적 접근 등의 동향에 힘입어, 듣고 말하고 읽고 쓰는 능력의 상호 연계를 직간접적으로 요구하고 있다. 특히 말하기와 쓰기 영역은 표현 행위라는 공통성으로 인해 표현 교육이 라는 통합된 역할을 수행할 것을 요구받는다. 이에 본고는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말하기와 쓰기 영역에 나타난 성취 기준 간 연계 양상을 통해 말하기와 쓰기의 통합과 그 방향성을 탐색해 보고자 하였다.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에서 ‘교수·학습 방법’, ‘평가’ 항목을 살펴보면, 언어 활동의 총체성, 국어 사용의 실제성에 대한 인식에 따라 영역간 통합을 강력히 권고하고 있다. 이러한 권고가 실질적인 차원에서 구안될 수 있도록 영역 간 ‘내용 체계’도 마련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더불어 담화 / 텍스트 중심의 성취 기준과 내용 요소도 영역 간 통합의 기반을 구체화할 수 있도록 마련되어 있다. 제7차 교육과정까지는 통합에 대한 당위성을 주장하는 데 머물고 있다면, 개정 교육과정은 통합을 교수·학습 전략의 차원을 넘어서 교육과정 전체 틀 속에 작은 하나의 유기체적 범주로서 받아들이고 있다. 또한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 해설서는 성취 기준을 설명하면서 영역간 연계를 명시적으로 제안하고 있다. 여기서 말하기와 쓰기의 연계는 동일 목적의 담화 / 텍스트를 주축으로 동학년에서 공통적으로 상호 연계를 밝힌 경우가 많았다. 이는 말하기와 쓰기가 비교적 균형을 이루면서 실질적으로 통합할 수 있는 토대를 마련한 것으로 평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글과 글쓰기 속성이 필요한 담화, 말과 말하기 속성이 필요한 텍스트에서 말하기와 쓰기의 상호 연계 단서를 살필 수 있었다. 말하기와 쓰기의 통합은 그것이 언어 사용의 실제에 부합해야 한다. 그리고 말하기와 쓰기를 통합함으로써 각각의 담화 / 텍스트를 생산하는 능력에 필수적이거나 중요한 도움이 되어야 한다. 이러한 방향성을 주시 할 때 말하기와 쓰기 교육이 각자의 본질을 모색하면서도 효과적인 통합방안을 마련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organizational relationship between speaking contents and writing contents in the 2007 revised korean curriculum. Speaking and writing is to express one`s thoughts and senses. In our modern society, the need of clear idea presentation is required, therefore, integrative education of speaking and writing is also required. The 2007 revised Korean curriculum is constructed through a discourse/text base. This study confirms that speaking contents and writing contents in the discourse/text based curriculum are closely related one another, it is important to connect them appropriately. The 2007 revised Korean curriculum commentary suggests the possibility of connection between speaking contents and writing contents. In the ``contents`` section, for each unit it provided (1) content explanations, (2) notes for teaching, and (3) connections between contents. In the ``connections between contents` part, content connections between the grades and units are presented. There should be much integration among the domains, among the standard, among the elements of contents. In conclusion, the study deals with the integration of speaking contents and writing contents based on their connections, but it mostly explores the possibility of such integration.

      • KCI등재

        진의류의 상표충성도에 따른 점포선택행동과 정보원사용의 차이

        노은희(Eun Hee Noh),황춘섭(Choon Sup Hwang) 한국복식학회 1999 服飾 Vol.49 No.-

        The present study was conducted to analyze (1) if there are any differences in jeans brand royalty according to the age·sex·educational background and income of consumers, (2) the criteria for store choice by jean`s brand royalty of consumers, (3) the use of information sources by jean`s brand royalty of consumers. The research method employed was normative-descriptive survey and questionnaires were main instrument to gather research materials. The survey was implemented from July 1st 1998 to the end of July 1998. The sample of this study was consisted of 512 subjects including students of 3 high schools and two colleges and those who work at a computer-related company and at a trade company. The data gathered was analyzed by mean, standard deviation, t-test, ANOVA and Duncan -multiple range test.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1) 58.6% of the respondents were categorized as the brand loyalty group that was bigger than the non-brand loyalty group(41.4%). People in their late 20`s were inclined to have the highest brand loyalty for jeans. People in university and above had relatively higher brand royalty than to people with a high school or lower. (2) Brand royalty group paid more attention on the quality of the fabric used: the trands of the products: brand name of the product: the distance of the store location: and the comfortable atmosphere of the store. Pleasant and kind services of the salesperson was considered as more important factor for store selection by the non-brand royalty group than by brand royalty group. (3) Almost all the information sources were used more often by brand royalty group than non-brand royalty group. For both groups, their own experiences is most important information sources. The results shows that consumers have high brand loyalty for jeans product and also have many differences not only in the usage of information sources but also in the store selection criteria according to the level of jeans brand loyalty, Therefore, those industries carrying jeans should reflect these points on their marketing strategies.

      • KCI등재

        본격적인 화제 전환을 위한 담화 표지 연구 -``다름 아니라``, ``그건 그렇고``를 중심으로-

        노은희 ( Eun Hee Noh ) 한국화법학회 2012 화법연구 Vol.0 No.20

        본 연구는 대화의 국면 변화와 화제의 전환 지점에서 불완전한 결속을 보완하기 위해 참여자들이 의도적으로 사용하는 담화 표지 가운데, ``다름 아니라``, ``그건 그렇고``를 중심으로 화제 전환 양상을 살펴보았다. 화제 전환을 위한 담화 표지는 화제 전환 지점을 중심으로 그 전후에서 발생한다. 화제 전환은 이전 화제를 마무리하거나 새로운 화제를 도입함을 표시함으로써 그 양상을 드러낼 수 있으며, 그것을 복합적으로 표현하기도 한다. 화제 전환이 급격할수록, 화제 전환의 의도가 분명할수록 화자는 분명히 이를 상대에게 명시적으로 알려 주어야 한다. 이때 화자는 감탄사, 접속어, 간투사 같은 간단한 미시 표지보다 비교적 형식이 긴 전환 표지를 전략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이에 본고는 그 동안 담화 표지로서 조명 받지 못한 ``다름 아니라``와 ``그건 그렇고``와 같이 구 형태의 거시 표지에 주목하였다. ``다름 아니라``, ``그건 그렇고``는 여타 화제 전환의 담화 표지와 비교하여 그 쓰임에 있어서 차별적인 양상을 드러낸다. 이 두 담화 표지는 각각 화제의 마무리와 도입을 표시하지만 동시에 화제 전환에 공통적으로 기여하는데, 특징적으로 새로운 화제로의 전환 의도를 강력히 보여주면서 그 화제는 화자가 본격적으로 언급하고 싶어 하는 것임을 전달한다. 이와 함께 화자는 ``다름 아니라``를 통해 시간을 지연하여 다음 화제에 대한 청자의 관심을 고조시키고 새로운 화제로 초점화하는 효과를 복합적으로 거둘 수 있는데, ``그건 그렇고``는 화제의 마무리를 강조하며 화제 전환을 유도하기 때문에 화제 도입을 통한 ``다름아니라`` 보다 청자와의 교섭적 양상이 잘 드러나지 않음을 살필 수 있었다. 이밖에, 화제의 마무리를 표시하며 화제 전환을 이끄는 담화 표지로 ``각설하고``를 더불어 고찰하였다. 이러한 담화 표지의 전략적 사용에 대한 이해는 화법 교육에 유용한 이론적 자원을 마련해 줄 것으로 기대한다. This article seeks to demonstrate that ``tareumanira(다름 아니라)`` and ``keugeongeureuhko(그건 그렇고)`` function as discourse markers in conversation. Since discourse markers express speaker`s psychological attitudes and the intention of utterance, ``tareumanira`` and ``keugeongeureuhko`` play a role in reducing discord in conversation and letting listener know speaker`s intention. Especially they signal that speaker wants to change the topic and that a new topic is what speaker really wants to communicate with listener. When context shift and topic change are fast and sudden, speaker should let listener follow the conversation. At this time, ``tareumanira`` and ``keugeongeureuhko`` indicate context shift and topic change, playing a role in leading smooth conversations as discourse strategies. The discourse functions of these makers, including mitigation of losing face, focusing are examined along with examples in TV drama conversation. ``Kakseolhago(각설하고)`` is similar in the discourse functions. It is expected that the information about the discourse markers of topic change in conversation for Korean language learners shall become the foundation for the specific and systematic education of discourse markers, which can be utilized in an actual field of speaking-listening education, and that research on this area will be done more vigorously in future.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