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러일전쟁 종군기 연구 -고스기 미세이(小杉未醒)의『진중시편(陣中詩篇)』을 중심으로-

        노윤지 한국일본어문학회 2024 日本語文學 Vol.101 No.-

        이 논문은 반전문학가로 알려진 고스기 미세이(小杉未醒)의 러일전쟁 종군 기록인『진중시편(陣中詩篇)』을 분석한다. 미세이는 1904년 1월부터 7월까지 『전시화보(戰時画報)』의 특파원으로 종군하며 전쟁의 상황을 구체적으로 묘사한 화보와 삽화를 그렸다. 그는 귀국한 뒤 전쟁의 경험을 소재로 쓴 시 26편을 포함하여「조선일기(朝鮮日記)」라는 조선 체험기가 수록된 『진중시편(陣中詩篇)』을 간행했다. 본 논문은 특히 「조선일기」에 기록된 러일전쟁과 조선과 조선인에 대한 인식을 중심으로 고찰하였다. 이를 통해 미세이가 전쟁이라는 시대적 문제에 대한 깊이 있는 성찰을 하고 있지는 않았으며 조선에 대해서도 피상적인 인상만을 나열하고 있음을 확인했다. 그러나 그는 또한 조선인에 대해 멸시적인 시선을 보이지 않았음을 파악할 수 있었고 러일전쟁 당시 일본의 국가주의가 팽배했던 시기에 조선의 풍경, 조선인, 조선과 일본의 역사와 관계, 전쟁에 대한 어려움 등을 솔직하게 표현하면서 조선을 바라본다는 점에서는 기존의 기록들과는 다른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This paper analyzes Jinchusihen by Kosugi Misei, an anti-war literary figure. Misei served as a special correspondent for Senjigahofrom January to July 1904, during which time he depicted the war through detailed illustrations and drawings. Upon returning to Japan, he published Jinchusihen, which includes 26 poems inspired by his wartime experiences, and Chosennikki, an account of his experiences in Korea. In particular, this paper focuses on the Russo-Japanese War and the perception of Joseon and Koreans recorded in the Chosennikki, confirming that Misei did not reflect in-depth on the issues of the war and only recorded superficial impressions of Joseon. However, he viewed and honestly expressed the landscape of Joseon, the history and relationship between Koreans, Joseon, and Japan, and the difficulties of war during the period of the Russo-Japanese War when Japanese nationalism was most prevalent.

      • KCI등재

        대학생의 진로장벽과 진로준비행동의 관계에서 적응유연성의 매개효과

        노윤지,김장회 한국상담학회 2019 상담학연구 Vol.20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of adjustment resilienc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areer barriers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of undergraduates. The survey was conducted on 300 students from universities and colleges, and 247 data were utilized for the final analysis. For the analysis of the data, structural equation model was performed using SPSS 21.0 and Amos 18.0.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goodness-of-fit of structural model of career barriers, career preparation behavior, and adjustment resilience of undergraduates showed favorable, which was suitable for predicting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of the variables. Secondly, the career barriers of undergraduates had negative effects 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and adjustment resilience. Also, adjustment resilience had positive effects 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Third, the partial mediating effects were identified in the relationships between career barriers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of undergraduates. Based on these results, the meaning of career barriers and career resilience on the career preparation behavior level of undergraduates and the role of adjustment resilience in career education and career counseling were discussed.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이 지각하는 진로장벽과 진로준비행동의 관계에서 적응유연성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데 있다. 일반대학생과 전문대학생 3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247건의 자료가 최종 분석에 사용되었다. 자료는 SPSS 21.0과 Amos 18.0을 사용하여 구조적 관계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대학생의 진로장벽과 진로준비행동 및 적응유연성의 구조모형은 적합도가 양호하게 나타나 변인 간의 구조적 관계를 예측하기에 적합하였다. 대학생의 진로장벽은 진로준비행동과 적응유연성에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적응유연성은 진로준비행동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진로장벽과 진로준비행동의 관계에서 적응유연성의 부분매개효과가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대학생의 진로준비행동 수준에 대한 진로장벽과 적응유연성의 의미와 진로교육 및 상담에서 적응유연성의 역할 등이 논의되었다.

      • KCI등재

        다야마 가타이(田山花袋)의 국가주의 이상 연구 - 「일병졸(一兵卒)」과 『시골선생(田舎教師)』을 중심으로 -

        노윤지 동국대학교 일본학연구소 2020 일본학 Vol.52 No.-

        The current study reviews the nationalitic ideals of Katai Tayama, a modern Japanese writer, by analyzing his postwar works, 「Ippeisotsu」(1908) and 「Inaka-kyoshi」(1909). After the forced opening of the country by Western powers, the Japanese modern era had continuously transformed and developed within the nationalist ideology. Especially with the victory of the Russo-Japanese War, Japan's sense of national community had assumed the aspect of militarism linked to nationalist fascism. When the Russo-Japanese War broke out in 1904, Katai, who is a well-known naturalist writer, joined the 2nd Military Seminary, which was dispatched by Hakubunkan. The experience of war was like practicing literary modernization for Katai, and served as an opportunity to establish a firm theory in literature. During the six-month war period, Katai had left many records in magazines such as <Real History of the Russo-JapaneseWar>(19041905) and <Photography of the Russo-Japanese War>(1904-1905). About three years after the war, Katai released several works on the war based on his experience. 「Ippeisotsu」 and 「Inaka-kyoshi」 are the most representative of these. This study has developed the argument based on the fact that these two works could be regarded as War Positive literature. Through this, we were able to examine the desire for attribution to the national community and the heightened nationalism as a citizen of the imperial kingdom through the biographical review and analysis of the works of Katai. 본 연구에서는 근대 일본 작가인 다야마 가타이의 전후 작품 「일병졸」(1908)과 『시골선생』(1909)을 분석하여 그가 가진 국가주의적 이상에 대해 고찰했다. 서구 열강에 의한 강제적인 개국 이후 일본 근대는 국가주의 이데올로기 속에서 변혁과 발전을 거듭했다. 특히 러일전쟁의 승리로 일본이 서구 제국주의의 열강에 합류하게 되면서 일본의 공동체 의식은 민족주의 파시즘과 연결되어 군국주의로 이어지는 양상을 띠게 된다. 자연주의 작가로 알려진 가타이는 1904년 러일전쟁이 발발하자 하쿠분칸(博文館)에서 파견하는 제2군 사설사진반 소속으로 종군했다. 전쟁의 체험은 가타이에게 있어 문학적 근대화를 실천하는 것과도 같았고, 문학에 있어 확고한 이론을 성립하게 되는 계기로도 작용했다. 가타이는 약 6개월의 종군기간 동안 『러일전쟁실기(日露戦争実記)』(1904-1905), 『러일전쟁사진화보(日露戦争写真画報)』(1904-1905) 등의 잡지에 많은 기록을 남겼다. 전쟁이 끝나고 약 3년 후 가타이는 전쟁의 경험을 소재로 한 여러 작품을 발표하게 되는데 가장 대표적인 작품이 바로 「일병졸」과 『시골선생』이다. 본 연구에서는 두 작품을 전쟁옹호문학으로 볼 수 있다는 점에 착안하여 논지를 전개하였다. 가타이의 전기적 검토와 작품 분석을 통해 국가공동체에 대한 귀속 열망과 황국신민으로서의 고양된 국가주의를 살필 수 있었다.

      • KCI등재

        대학생의 단절 및 거절 도식과 자기개념 명확성, 진로신념, 진로적응성의 구조적 관계

        노윤지,김장회,김미점 한국열린교육학회 2024 열린교육연구 Vol.32 No.1

        The aim of this study is to clarify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between college students' perceived disconnection and rejection schema, self-concept clarity, career belief, and career adaptability. In pursuit of this goal, a survey was conducted with 356 college students, and ultimately, data from 349 participants was analyzed. Firstly, the research findings indicate that the structural model fit of college students' perceived disconnection and rejection schema, self-concept clarity, career belief, and career adaptability is satisfactory, suggesting the model's suitability for predicting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variables. Secondly, in relation to college students' career adaptability, self-concept clarity had a negative impact, while career belief had a positive impact. Thirdly, a complete mediating effect of career belief was confirme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disconnection and rejection schema and career adaptability. Additionally, a partial mediating effect of career belief was verifie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concept clarity and career adaptability. Based on these results, the significance of perceived disconnection and rejection schema, self-concept clarity, and career belief for college students' career adaptability was discussed, and future implications for career counseling and education were considered.

      • KCI등재

        메이지 일본의 종군기 연구 : 마쓰바라 이와고로(松原岩五郎)의 『정진여록(征塵餘録)』(1896)을 중심으로

        노윤지 한국정치사회연구소 2024 한국과 국제사회 Vol.8 No.1

        본 논문은 청일전쟁기 『국민신문(国民新聞)』의 특파원으로 종군한 마쓰바라 이와고로(松原岩五郎)의 『정진여록(征塵餘録)』(1896)에 대해 분석하고 작품 속에 나타난 19세기 후반 조선에 대한 작가의 인식을 살펴본다. 식민지 조선의 여행과 관련된 대부분의 연구에서 여행의 기록물들은 제국주의의 산물이자 식민주의의 프로파간다 전략으로 읽혀왔다. 본 논문은 청일전쟁 종군기를 분석함에 있어 종군기자의 문학가로서의 양심이나 개인의 신념에 따른 독자적인 인식이 담겨있을 것이라는 점과 청일전쟁 시기 조선에 대한 다양한 정보가 대중화되지 않았던 까닭에 조선의 이질적인 문화를 접하는 데 가치중립적인 시선이 있었을 것이라는 점을 전제로 하여 텍스트를 분석한다. 분석의 결과 마쓰바라는 하층민의 생활상에 대한 개인적인 관심과 식민지 탐험에 대한 사명감 등으로 조선과 조선인을 바라보는 시선에 있어서도 일종의 연민의 인식이 있었다는 점과 그가 사실적인 내용을 기록하되 미개나 야만성, 낙후성과 연관 지어 문화 지체의 척도로 삼지 않았고 우열이나 멸시와 같은 시선을 배제하였다는 점에 대해 알 수 있었다. This paper analyzes Matsubara Iwagoro's Seijin-yoroku(1896) who served as a correspondent for the Kokumin-sinbun during the Sino-Japanese War. In most studies related to the travel and tourism of colonial Joseon, the records of travel have been read as a product of imperialism and a propaganda strategy of colonialism. This paper analyzes the text on the premise that in analyzing the end of the Sino-Japanese War, it will contain the independent perception of the war correspondent's conscience and personal beliefs as a literary figure, and that there must have been a value-neutral view of encountering the heterogeneous culture of Joseon because various information about Joseon during the Sino-Japanese War was not popularized.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t was found that Matsubara Iwagoro had a kind of perception of compassion in his view of Joseon and Koreans due to his personal interest in life of the lower classes and his sense of mission to explore the colonies, and that he recorded realistic content, but did not use it as a measure of cultural delay in connection with barbarism, and backwardness, but excluded gazes such as superiority or contempt.

      • KCI등재

        다이쇼 시대 대중적인 여행의 발달과 조선 공간 인식 -『신일본구경(新日本見物)』을 중심으로

        노윤지 한국일본문화학회 2023 日本文化學報 Vol.- No.98

        This study aims to examine Japanese intellectuals’ colonial tour records published in the Taisho period travel collection “Sinnihon Kenbutsu: Taiwan, Karafuto, Joseon, Manchuria and Qingdao” (1918). The Taisho period was a new era during which the Meiji era— which achieved successful results of war victory and territorial expansion—ended and the new order and civilization were centered on the country’s economic stability. From the Taisho period to the mid-Showa era’s wartime period, many travel guides and records introducing “outside Japan” were published. This study aims to discuss how colonial utopian fantasies and ideologies were implemented in various colonial spaces. Recalling the utopian concept that Japan has drawn, it seeks to grasp how colonial space as a heterotopia of the Taisho era is implemented through travel documents. Heterotopia, a world that is different from the one you live in, is a space where you have completely different experiences and consciousness. From this perspective, the colonial territory seen by modern Japanese intellectuals during the Taisho period functions as a real utopia or heterotopia. By reading new travel guides, this study attempts to understand Joseon, which had only been viewed from the fragmentary perspective of the ruled country, as a new space with multi-layered and complex aspects. 本研究は大正時代紀行文集『新日本見物:台湾·樺太·朝鮮·満州·青島之卷』(1918)に掲載された日本人知識人の植民地旅行記録を考察することを目的とする。大正時代は戦争の勝利と領土拡張という成功的な結果を収めた明治時代が終わり、国家の経済的安定によって新しい秩序と文明が中心となる新しい時代だった。大正時代から昭和半ばの戦時体制期に至るまで、「外地」日本を紹介する多くの旅行案内書や紀行文が刊行された。これらは新しい領土に対する肯定的な認識を目標として普及された。 本研究はユートピア的植民地幻想と理念が植民地の様々な空間でどのように具現されるのかを考察する。帝国日本が描いてきたユートピア的観念を想起し、紀行文を通じて大正時代のヘテロトピアとしての植民地空間がどのように具現されているかを把握しようとする。 ヘテロトピアは日常的に生きていく世界とは異なる異質な世界であり、全く違う体験、全く違う意識を持つようになる空間である。このような観点から、大正時代において日本の知識人たちが見た植民地の領土は現実の中のユートピア、すなわちヘテロトピアとして機能することになる。したがって植民地旅行案内書と紀行文などはユートピアへの通路であり、どこかに存在する理想郷に対する想念が続く契機として作用する。このような観点から旅行案内書と紀行文を新しく読むことで、被支配国という断片的な視線の中だけで眺望されてきた朝鮮を多層的複合的な面貌を持つ新しい空間として把握することを試みた。

      • KCI등재

        식민지 조선 후기 국경기행 연구 ― 《관광조선(観光朝鮮)》을 중심으로 ―

        노윤지 한국일본학회 2021 日本學報 Vol.- No.128

        본 논문은 1940년대 전후 국경기행문에 구현된 북선(北鮮) 표상에 대해 살펴본다. 국경기행문은 압록강에서 백두산과 두만강으로 이어지는 조선 접경지역을 중심으로 한 기행문을 말하며 근대에 이르러 등장한 국경은 식민지 영토의 구분선이자 그 너머의 새로운 가능성을 보여주는 경계이다. 1920년대 중후반 철도 및 도로망의 설비와 함께 점차 국경을 향해 이동한 국경 기행 담론에 대해 고찰하고, 1940년을 전후로 어떤 모습으로 변모하는지 그 특징과 양상에 대해 잡지 《관광조선(観光朝鮮》을 중심으로 분석해보고자 한다. 《관광조선》은 1939년 6월부터 1944년 12월까지 조선총독부 산하기관인 일본여행협회(日本旅行協会) 조선지부에서 간행했다. 표면적으로는 관광과 문화를 중심으로 일본과 조선 간의 상호 이동과 교류를 지향하는 것이었지만 이면적으로는 조선에 관심이 없는 일본인에게 조선을 알리고 식민지 전후 새롭게 변모하는 조선의 모습이 어떠한 것인지를 홍보하기 위한 것으로, 관광을 통해 내선일체(内鮮一体)를 강화하고자 하는 식민지 문화 전략의 일환이었다. 이에 본 논문은 《관광조선》에 나타난 국경 일대의 기행문을 살펴보고 1940년대 전후 총동원체제기라는 시대 속에서의 북선 국경 기행과 조선 문화의 표상에 대해 논구하고자 한다. The present paper explores Joseon representations which were implemented in post-1940s border travel journal. The border travel gate refers to the travel gate centered on the border of Joseon, which runs from the Yalu River to Mount Baekdu and the Tumen River. The border, which emerged with the establishment of a modern sovereign state, was originally considered as a dividing line that determined the territory of the colony and as a real boundary that confirmed the presence of another area on its other side. In the mid-1920s, with railway and road network facilities, we would like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and aspects of the border travel discourse that gradually moved toward the border around 1940s. The “Tourism Joseon” was published by the Joseon Branch of the Japan Travel Association, an affiliated organization of the Japanese Government-General to Korea, from June 1939 to December 1944. On the one hand, it aimed at mutual movement and exchange between Japan and Joseon, but on the other hand, it was a part of colonial cultural strategy to promote Joseon to Japanese who were not interested in Joseon and to strengthen its extension through tourism. The current research seeks to examine the travel documents of the border area in the “Tourism Joseon” and to discuss the North Korean border travel and Joseon culture during 1940s, the era of the total mobilization system.

      • KCI등재

        무로 사이세이(室生犀星) 연구 -1930년대 만·선기행과 식민지 인식을 중심으로-

        노윤지 경희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22 인문학연구 Vol.- No.50

        Murō Saisei, a poet representing Taisho, travels to Manchuria and Joseon from mid-April 1937 to early May of the same year. This was the first and last overseas trip in Saisei’s life, and through this travel, he published his essay collection, Rakudakō(1937), novels Tairikunokoto(1937), and poetry collection Harbinsisyū(1957). It was a trip for the purpose of reporting commissioned by Asahi newspaper, but Saisei had the purpose of writing works that broke the pure literary framework and actively linked it to the national society. The two-week travel not only inspired Saisei a lot of literature, but also served as a decisive opportunity for him to pursue poetic change since he declared an end to poetry in 1934. This paper attempted to examine the sense of responsibility and reflective attitude as a literary scholar under the War, focusing on Rakudakō and Harbinsisyū, which contain Murō saisei’s travel to Manchuria and Joseon. Through the analysis of specific works, it was possible to examine Saisei’s unique colonial awareness of “intended indifference” and “romantic gaze.” In addition, through records of the experience of Joseon left by Saisei and interest in art of Joseon, we were able to examine various views of colonial Joseon. 다이쇼(大正)를 대표하는 시인 무로 사이세이는 1937년 4월 중순부 터 동년 5월 초순까지 만주와 조선을 여행한다. 이것은 사이세이 생애에 있어 처음이자 마지막인 해외여행이었는데 이 여행을 통해 그는 수필집 『낙타행 (駱駝行)』(1937)과 소설 『대륙의 거문고(大陸の琴)』(1937), 시집 『하얼빈시집(哈爾賓詩 集)』(1957)을 상재했다. 『아사히 신문』의 위촉을 받아 떠난 취재 목적의 여행이었지만 사이세이 스스로에게는 순수문학의 틀을 부수고 국가와 적극적으로 결부시켜가는 작품 을 쓰고자 하는 목적이 있었다. 2주간의 여행은 사이세이에게 많은 문학적 영감을 주었 을 뿐만 아니라, 그가 1934년 시작(詩作)의 중단을 선언한 이후로 시적 변화를 추구하게 되는 결정적인 계기로도 작용했다. 본고에서는 무로 사이세이의 만주·조선 기행이 담긴 『낙타행』과 『하얼빈시집』을 중 심으로 식민지 여행의 영향은 물론 전시 하의 문학자로서의 책임 의식과 성찰적 태도에 대해 고찰하고자 했다. 이에 구체적인 작품의 분석을 통해 사이세이의 ‘의도된 무관심’ 과 ‘낭만적 시선’이라는 독특한 식민지 인식을 살필 수 있었다. 뿐만 아니라 사이세이가 남긴 조선 체험에 대한 기록과 조선 예술에 대한 관심을 통해 식민지 조선을 바라보는 다양한 시선도 파악할 수 있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