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유아사 카츠에의 『노도의 보 (怒濤の譜)』론 : 『나의 자서전(私の自敍傳)』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私の自敍傳』との比較を中心に

        노영희 韓國比較文學會 2002 比較文學 Vol.29 No.-

        世界的な舞踊家崔承喜の生涯を描いた湯淺克衛の『怒濤の譜』を、崔承喜が25歲になった1936年日本語で書いた『私の自敍傳』と比較檢討してみた.湯淺は崔承喜の『私の自敍傳』が出刊されてから4年後『怒濤の譜』という作品を發表し、當時崔承喜という存在の意味を小說を通じて見せている.『怒濤の譜』は時代的な背景が崔承喜の『私の自敍傳』とほぼ同じであり、また登場人物も、モデルがだれであるかすぐ分かるぐらい『私の自敍傳』の中の人物たちと類似している.しかし湯淺が主人公の白聖姬を描寫する觀点は主人公の舞踊に對する自覺と韓國民族としての苦悶が稀薄な感じがする.小說の最初の部分で「胡茄歌」という漢詩を通じてあたかも當時の韓國人の立場が詩の中に登場する胡國人と同じ立場であることを暗示していた.しかし主人公が自から獨創的な踊りの世界を開發するために苦悶する樣子よりは師匠の死と社會的な狀況の變化によって踊りが變化することとなっている. しかし自敍傳の中で崔承喜は幼い時より父親の踊りを見ながら育ち、自然に身にしみていた韓國人の傳統的な踊りを通じて獨創的な舞踊世界に次第に眼覺めつつあったことを『私の自敍傳』ではっきりしていた.作家湯淺が主人公の舞踊の世界よりは彼女が當面した民族的な狀況に重点を置いている点は主人公の生涯を時代の中に稀釋してしまったような感じさえする.『私の自敍傳』が自敍傳という性格上、崔承喜の實際的な話しが主になっているが、『怒濤の譜』は湯淺が夢見た小說世界であったろう.その小說の世界の中には主人公の怒濤のように燃え上がる踊りの世界は描かれているが、そのような踊りが生じるまでの過程が稀釋されているのはこの作品の獨創性が問題視される結果を生じたと思われる.

      • KCI등재

        BRM기반 국정과제와 정책정보콘텐츠 연계 및 구축방안에 관한 연구

        노영희,장인호,심효정,곽우정 한국정보관리학회 2022 정보관리학회지 Vol.39 No.4

        기존 국립세종도서관 정책정보포털(POINT)의 국정과제 서비스를 뛰어넘는 고품질 정책정보서비스 제공을 위하여, 새로운 국정과제 이행에 필요한 정책자료를 효과적으로 서비스할 수 있는 방안이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BRM기반 국정과제와 정책정보콘텐츠 연계 및 구축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첫째, 新정부 120대 국정과제를 중심으로 국정과제 유형과 정부기능분류체계 분야․영역별 콘텐츠를 분석하였다. 또 이전 정부의 국정과제와 현 정보의 국정과제를 비교․분석하여 국정과제 관련 콘텐츠 구축 시 중점적으로 반영해야 할 내용을 파악하였다. 둘째, 정책정보 및 국가 정보 포털의 현황 분석 등을 통해 정책 정보의 연계 및 수집 방안을 모색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국정과제의 1단계 BRM을 보면, 사회복지 21개, 통일외교 14개, 산업통상중소기업 17개, 일반공공행정 12개, 재정세제금융이 8개, 문화체육관광과 과학기술, 교육이 각 6개, 통신과 공공질서및안전이 5개, 보건, 교통및물류, 환경이 각 4개, 농림 3개, 국방, 지역개발이 각 2개, 해양수산이 각 1개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新정부의 경우 과학기술과 IT를 중시하는 것을 알 수 있어 핵심 국정과제 정보서비스 구축 시에도 이를 고려할 필요가 있다. 둘째, 외부 기관과의 데이터베이스 연계를 위해서는 연계운영협의회를 구성하고, 국정과제 정보의 연계 및 수집, 국정과제 관련 정보 POINT 연계 및 제공이 필요하다.

      • KCI등재

        충청북도교육청 공동보존자료관 설립타당성에 관한 연구

        노영희,곽승진,장인호,강봉숙 한국비블리아학회 2023 한국비블리아학회지 Vol.34 No.4

        본 연구에서는 충청북도 지역에 공동보존관 설립을 제안하고 있으며, 충청북도 각 도서관의 이용률이 저조한 자료를 공동보존자료관으로 이관 후 기존 공간의 효율성을 확보하고, 학교도서관의 교육과정의 적극적 지원을 도모하기 위하여 공동보존자료관 구축 타당성과 운영방법 등을 연구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문헌분석 방법과 현황조사, 그리고 실태조사 방법을 진행했다. 연구결과, 보존서고 공간 적정 수용 장서량 기준이 ㎡당 280권을 적용․산정했다. 즉, 공공도서관 초기 이관 장서는 45,580권, 학교도서관 이관 장서는 121,894권으로 산정하여 총 167,474권을 제안했다. 충청북도교육청 소속 공공도서관 및 학교도서관의 포화도에 따라 초기 장서량은 총 167,477권이며 매년 10% 증서를 기준으로 개관 이후 30년, 50년까지 측정한 것이다. This study proposes the establishment of a joint preservation library in the Chungcheongbuk-do region. It aims to transfer low-utilization materials from various libraries in Chungcheongbuk-do to the joint preservation library, thereby improving the efficiency of existing spaces and actively supporting the educational curriculum of school libraries. To achieve this, the study conducted document analysis, a status survey, and case analysis. The research results indicate that a reasonable standard for the accommodating capacity of the preservation library space is calculated at 280 volumes per square meter. Specifically, an initial transfer of 45,580 volumes for public libraries and 121,894 volumes for school libraries is proposed, totaling 167,474 volumes. Depending on the saturation levels of Chungcheongbuk-do Office of Education-affiliated public libraries and school libraries, the initial volume is determined to be 167,477 volumes, with an annual increase of 10% calculated over 30 to 50 years after the library’s opening.

      • KCI등재

        인문사회기반 융합연구자들의 인력양성 성과활용현황 연구

        노영희,김진희 인문사회 21 2022 인문사회 21 Vol.13 No.3

        A Study on the Status of Manpower Cultivation of Humanitiesand Social Sciences-based Convergence ResearchersYounghee Noh & Jinhee Kim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tried to analyze the current status of Manpower Cultivation that is actually being created through the interdisciplinary convergence research support project and the general joint research support project. The sample of this study was analyzed based on the DB and research results submitted by the lead research institute using the online research project integration support system of the Cultural Convergence Foundation of the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 As for manpower cultivation performance, the status of department program opening, the status of domestic and foreign training support and the status of manpower with degrees were analyzed. Therefore, in the convergence research support project, it will be necessary to encourage research outcomes by stage, such as setting performance goals for convergence researchers to manage their promoting research performance registration. Key Words: Convergence Research,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based Convergence Research, Convergence Researchers, Manpower Cultivation, Research Performance 인문사회기반 융합연구자들의 인력양성 성과활용현황 연구노 영 희*ㆍ김 진 희** 요약: 본 연구에서는 융합연구의 필요성이 점점 높아짐에 따라 한국연구재단에서 지원하고 있는 학제간융합연구지원사업과 일반공동연구지원사업(융복합)을 통해 실제 창출되고 있는 인력양성성과 활용현황을 조사 및 분석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표본은 한국연구재단 문화융복합단의 온라인 연구사업통합지원시스템을 활용하여 주관연구기관 및 연구책임자가 제출한 DB 및 연구결과를 토대로 조사 및 분석을 진행하였다. 학제간융합연구지원사업과 일반공동연구지원사업(융복합)의 인력양성성과로는 관련 강좌프로그램 개설현황, 국내외 연수지원현황, 학위배출인력 현황으로 분석되었다. 따라서 추후 융합연구지원사업에서는 융합연구자들의 연구성과관리를 위한 성과목표설정, 성과목표를 효과적으로 달성하기 위한 모니터링 지원, 연구성과등록 홍보 등 단계별 연구성과 독려와 적극적인 참여를 독려한다면 융합연구의 체계적인 성과관리를 통해 보다 의미 있는 융합연구 인력양성성과 창출을 도모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핵심어: 융합연구, 인문사회기반 융합연구, 융합연구자, 인력양성, 연구성과 □ 접수일: 2022년 5월 12일, 수정일: 2022년 6월 10일, 게재확정일: 2022년 6월 20일* 주저자, 건국대학교 문헌정보학과 교수(First Author, Professor, KonKuk Univ., Email: irs4u@kku.ac.kr** 교신저자, 건국대학교 지식콘텐츠연구소 선임연구원(Corresponding Author, Researcher, KonKuk Univ., Email: wlslwlsl07@kku.ac.kr)

      • KCI등재

        공공도서관 사서대상 소비자건강정보(CHI) 관련 교육전후의 인식변화 연구

        노영희,Noh, Younghee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과학기술정보센터 2012 Journal of Information Science Theory and Practice Vol.43 No.4

        헬스리터러시(Health Literacy)는 적절한 건강진단을 위한 기본적인 건강정보 및 서비스를 획득하고 처리하고 이해할 수 있는 능력으로서, 사서들은 이용자뿐만 아니라 자신들의 헬스리터러시도 향상시켜야 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국내 공공도서관 사서에게 적합한 건강정보활용교육 프로그램 개발에 기여하고자 건강관련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이를 사서교육에 적용하였으며, 그 효과를 측정하고 개선사항도 발견하였다. 그 결과, 공공도서관 사서의 CHI(Consumer Health Information) 관련 용어에 대한 친숙도 증가, 교육후 이용자에 대한 교육증가 및 내용의 다양화, CHI관련 서비스를 수행하기 위해 활용하는 정보원의 다양화 및 전문화, 참고서비스에 걸리는 시간 절감 및 전문지식 부족의 한계에 대한 부담 감소 등의 부분에서 효과가 있었던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본 연구는 사서대상 CHI관련 교육과 관련하여 국내에서 최초로 수행된 연구로 교육강사 및 주제의 다양성, 방법론 부분에서 많은 한계가 있었으며, 향후 보다 발전된 CHI관련 교육 프로그램의 개발이 요구된다고 할 수 있다. Health literacy is the degree to which individuals have the capacity to obtain, process, and understand basic health information and services needed to make appropriate health decisions. Librarians should improve their health literacy as well as that of their users' in order to help library users make well-informed decisions. In this study, we developed educational programs related to CHI (Consumer Health Information) suitable for Korean public librarians' professional development. We measured the effectiveness of the training after its administration and found areas in which improvement was necessary. As a result, this study found the following effects on public librarians after they completed the training: improved the public librarians' familiarity with CHI-related terms; increased education for users and diversification of resources; diversification and specialization of information sources which librarians used to perform CHI-related services; reduced time for reference services; increased professional knowledge in this area. However, this research represented the first time CHI-related education for public librarians was performed in Korea, and therefore many limitations were present in the education instructor, the diversity of subjects, and the methodology. Development of more advanced CHI-related education programs is required.

      • KCI우수등재

        실습기관 인식조사 기반 표준현장실습의 도입논의 연구

        노영희 한국문헌정보학회 2022 한국문헌정보학회지 Vol.56 No.3

        본 연구에서는 표준현장실습학기제의 도입의 가능성과 무급운영이 가능한 자율 현장실습학기제 운영가능성에 대해서 살펴보고, 현장실습기관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함으로써 이들의 인식조사를 기반으로 한 대응전략을 제안해 보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실습기관의 직무관련 교육시간의 배정시간을 포함하여 운영시간 및 운영방식에 대해서는 매우 낮은 인식을 보여주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둘째, 표준현장실습의 도입상황에 대해서 매우 낮은 인지도를 보여 주었고, 표준현장실습의 내용, 표준현장실습 운영서 및 협약 내용, 표준현장실습 내용 변경 사실, 표준현장실습 수행시 실습 지원비, 표준현장실습 근로계약에 관한 구체적인 내용, 실습기관의 요건 충족도 등에서 매우 낮은 인식도를 보여 주었으며, 다만 표준현장실습의 도입 배경에 대해서는 이해하고 공감하는 것으로 보인다. 이를 기반으로 본 연구에서는 설문조사를 포함한 문헌연구를 기반으로 표준현장실습 도입시 고려 사항으로, 표준현장실습학기제 적용제외 대상으로 법개정, 표준현장실습학기 또는 자율현장실습학기제 채택 고민, 현장실습기관의 충분한 확보 및 공유, 그리고 현장실습매뉴얼의 개발과 공동활용 등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and understand the possibility of introducing a standard field training semester system and the possibility of operating an autonomous field training semester system that can be operated without payment and propose a response strategy based on their perception survey conducted with the field training institutions. As a result of the study, first, it is apparent that the practice institution shows a very low perception of operating hours and operating methods, including the allocation of job-related training hours. Second, the introduction status of standard field practice turned out to be very low, while the introduction status of standard field practice, operation and agreement, change of standard field practice, specific details of standard field practice contract, and satisfaction of standard field practice turned out to be very low. Based on which, this study considers the introduction of standard field practice based on the reference research including surveys, such as the amendments of the relevan laws, adoption of standard field practice semesters or autonomous field practice semesters, securing and sharing sufficient field practice manuals, among others.

      • KCI등재
      • KCI등재SCOPUS

        도서관용품 권장기준과 관리지침 개발에 관한 연구

        노영희,안인자,박미영,Noh, Young-Hee,Ahn, In-Ja,Park, Mi-Young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과학기술정보센터 2011 Journal of Information Science Theory and Practice Vol.42 No.3

        본 연구에서는 도서관 현장의 용품 구매 및 관리업무의 효율화, 물품관리예산의 절감, 친환경적이고 디지털 친화적인 도서관용품의 발전 도모, 도서관용품 규격에 대한 표준적인 지침을 마련하기 위하여 도서관용품 권장기준과 관리지침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도서관용품을 6개 영역 117개의 용품으로 구분하여 각 용품에 대한 권장기준과 관리지침을 개발하였으며, 각 기준과 지침을 제공할 규격표 항목을 결정하여 통일된 표를 작성하였다. 규격표 항목은 각 용품명, 용품분류코드, 나라장터 물품 분류번호, 각 용품에 관한 '정의', '사용범위 및 용도', '용품규격', '종류와 치수', '구조', '비치장소', '관리요령', '비고'의 총 11개 항목이다. 본 연구가 도서관관련 법령, 도서관기준, 도서관편람에 반영되어 국가적인 차원에서의 도서관용품 표준화가 이루어질 수 있기를 바란다. This research tries to develop standards of library goods and managerial guidance. It is developed to make buying and managing library goods efficient in promoting environmental and digital-friendly library, and to set a standard guidance of library goods. The research divides 117 library goods into 6 categories, and develops a table of recommended standard and managerial guidance of library goods. The table has 11 indicators of information, which includes the name of each library goods, classification code, identification number of 'Narajangteo', definitions of the goods, purpose and usage, type and size, structure, place to install, goods management, and note. The research hopes to be reflected in library related laws, standards, and manuals, and finally to standardize library goods in the national level.

      • 日本 近代文學 속의 家族

        노영희 동덕여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03 人文科學硏究 Vol.9 No.-

        日本近代社會の急激な變化は家族と家族制度の變化を同伴した。この家族制度の變化は文學作品の中でも重要な關心と主題を成しており、近代の家族制度に對する反撥と家父長制に對する悶みは作品を通じてリアルに表出されていた。特に近代家族制度の中で家父長制の象徵でもあった父權は傳統の象徵であると同時に、反開化,反西洋化の象徵として表象されたりした。これら父權は新しい時代である子供たちにとっては超えるべき大きな壁であったりした。しかし父權は新しい時代の挑戰に無力であって、立場を失なった父權の行方が小說を通じて摸索されたりした。結局父權の弱化は家族制度の崩壞を招來せざるを得なくなった。このような現狀が日本近代小說の中によく表われている。 一方、家族制度の崩壞の中で當然あるべき父權の倫理が『食卓のない家』を通じて提示されている。また、在日僑胞作家柳美里が描いた父親像が他の日本作家たちが描いた父親像との差別性が提示されていた。また筒井康隆の『家族ハ景』では父權の弱化のみならず超能力者の七瀨の眼を通じて導出された八つの家族の話は現代日本家族が抱いている多樣な精神的葛藤を提示している。これは家族形態の多樣化に伴って家族が抱いている問題点も-つの景色のように變化し、また樣樣であることを提示している。これは、變化しつつある世代には新しい多樣な家族の問題が登場しつつあることを予告していることでもあろう。

      • KCI등재SCOPUS

        미래사서의 역할 및 교과목 개발에 관한 연구

        노영희,안인자,최상기,Noh, Young-Hee,Ahn, In-Ja,Choi, Sang-Ki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과학기술정보센터 2012 Journal of Information Science Theory and Practice Vol.43 No.2

        본 연구에서는 디지털시대에 요구되는 교과목, 현장 사서들의 미래기술 응용능력을 개발하는데 도움이 되는 교과목을 해외대학 교과목 조사 및 설문조사방법을 통해서 개발하고 제안하였다. 연구결과 디지털시대에 요구되는 신규과목은 '웹정보원 조직 및 관리실습', '도서관 기획.마케팅 및 평가', '디지털 장서관리를 위한 정보기술이해', '디지털시대의 정보 및 커뮤니케이션' 순으로 나타났으며, 위 교과목을 핵심과목으로 지정하는 것을 제안한다. 또한 신규교과목 요인분석 결과 정보소외계층서비스 영역 및 웹정보자원의 조직과 활용 영역이 문헌정보학의 새로운 세부학문 영역으로 도출되었다. 그 외 관종별 및 담당업무별로 요구하는 과목에 대한 차이가 있음을 발견하였다. This study seeks to propose and develop library science courses required in the digital age by investigating overseas LIS courses and surveying field librarians. Such courses must help the future librarian develop familiarity and skill with emerging technologies. As a result, required courses in the digital era were found to be: 'Design and Management of Databases', 'Library Planning, Marketing, and Assessment', 'Understanding Information Technology for Managing Digital Collections', and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in a Digital Age' in that order, and should therefore be offered as core courses. In addition, 'Service for Information Disadvantaged Users' and 'Organization and Utilization of Web resources' were derived. The study also recommends different required courses based on different librarian types and dut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