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프랑스 문학 : 초현실주의의 혈통

        노시훈(Shi Hun Noh) 한국프랑스학회 2000 한국프랑스학논집 Vol.31 No.-

        Gnalogie du surralisme? Si Andr Breton a vit d`utiliser le mot nalogie il tait inevitable pour lui de la mentionner pour assurer la lgitimit du mouvement surraliste. Nous pouvons la voir apparaitre dans les ouvrages suivants: le jeu de la otation scolaire1921), Manifeste du surrdalisme(1924), (surrealism yesterday, to-day. to-morrow(1932), Quest-ce que le surrEalisme?(1934). Dictionnaire abrgd du surralisme(1938). La liste des nctres ne montre pas un grand changement. Les ancetres surralistes entrs dans le dictionnaire de 1938 sont des personnalits qui ont dj obtenu un score Iv dans le repertoire de 1921. Notamment, Arnim. Baudelaire. Carrol, Chirico, Lautramont, Duchamp, Heraclite, Huysmans. Jarry, Lewis, Nerval, Picasso. Rabbe. Rimbaud. Roussel, Sade. Swift. Vach et Young y sont mentionns plus que trois fois. Mais la liste des surralistes a ete modifiee dans chaque phase. La liste du dictionnaire de 1938 est le dernier bilan et nous pouvons appeler: rres de la gnologie du surralisme, ceux qui y sont entrs.

      • KCI등재

        생태박물관과 문화경관의 보존 - 목포 목화문화경관을 중심으로

        노시훈 ( Noh Shi-hun ) 전남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16 용봉인문논총 Vol.- No.49

        최근 문화경관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이 높아지면서 그 보존을 위한 노력이 늘고 있는데, 세계유산 문화경관처럼 인류의 탁월한 유산으로서의 경관을 보존하는 한편으로 빼어나지는 않더라도 지역적 의미를 가지고 있는 경관을 보존할 필요가 있다. 생태박물관은 연구소이자 보존기관이자 학교이며 문화적 다양성을 존중하기 때문에 보잘것없더라도 중요한 지역 경관을 보존하기에 적합한 수단이다. 일제강점기 동안 식민지수탈 기지였던 목포에 형성된 목화문화경관 사례를 들어 생태박물관을 통해 문화경관을 보존하고자 할 때 필요한 과정과 방법에 대해 고찰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첫 번째 단계에서는 문화경관과 그것을 구성하는 문화유산을 상세하게 조사하고 그것들이 구성하는 문화경관의 특징을 분석한다. 두 번째 단계에서는 첫 번째 단계의 상세 조사와 특징 분석을 토대로 경관 보존의 방법을 결정하여야 한다. 세 번째 단계에서는 경관 보존에 적합한 형태로 생태박물관을 건립하고 유산을 확보하여 관리·활용하여야 한다. 네 번째 단계에서는 전시 개최와 교육 프로그램 실시로 문화경관을 통한 주민의 지역 정체성 이해를 돕고 문화경관 보존 참여를 유도하며, 지역 활성화 프로그램 실시로 생태박물관이 경관 보존을 통해 지역 발전에 기여하도록 한다. The efforts for the cultural landscape conservation have recently increased as the awareness about the importance of that landscape is raised. When putting conservation efforts, it is necessary to preserve not only the landscapes as humankind’s outstanding heritages like world heritage cultural landscapes but also the landscapes although not outstanding but having regional significances. The ecomuseum is a good tool for the preservation of the latter regional landscapes because it is a ‘laboratory’, a ‘conservation centre’ and a ‘school’, and it respects the cultural diversity (Georges-Henri Riviere). From the research in the process and the methods of the cultural landscape conservation with the tool of ecomuseum, through the case of the cotton landscape created in Mokpo, colonial plunder base during the Japanese Occupation, we got results as follows: 1) to investigate in minute detail the cultural landscapes and the cultural heritages which form those landscapes and to analyze their characteristics; 2) to decide the emphasis of the landscape conservation on the basis of the detailed investigation and the analysis; 3) to establish an ecomuseum with a form appropriate to the landscape conservation and to manage and utilize the obtained heritages; 4) to help the local residents understand the regional identity through exhibitions and educational programs, to lead them to participate in the cultural landscape conservation and to make the ecomuseum contribute to the regional development through region revitalization programs.

      • KCI등재

        프랑스 언어학 , 지역학 : 프랑스 문헌에 나타난 한국 ( 1600 - 1999 )

        노시훈(Shi Hun Noh) 한국프랑스학회 1999 한국프랑스학논집 Vol.27 No.-

        Le thyme de notre article est de se demander partir de quand, sous quels aspects, combien de fois notre pays (la Core) a t mentionn sur diffrents supports en France. Nous pouvons trouver une solution relativement suffisante, via Internet avec FRANTEXT, base de donnes de la littrature frn~aise du XVIau XXsicle (plus de 3,500 units textuelles), tablie par INaLF (Institut National de la Langue Franaise) / CNRS. On slectionne tous Ies textes de FRANTEXT comme corpus pour chercher la premiere parution des mots concernant la Core dans les livres franais, leurs frquences d`apparition jusqu` nos fours. Les mots de recherche dans ce corpus : ore` (cinq graphies). La frquence est trs basse (208 fois) en comparaison des deux autres pays voisins, la Chine (8.917 fois) et le Japon (3,630 fois). La premi8re parution : durant la seconde moiti du XVIIsicle, et plus exactement, dans le Journal du voyage de Siam (1687) de 1`abb de Choisy. Bien sGr, la frquence est la plus leve au XXsi8cle. La frquence relativement haute pendnt la seconde moiti du XVIIIsi8cle peut Gtre explique par les mentions frquentes dans le Voyage de la Pesrouse (1797) (36 fois) et dans les oeuvres de Voltaire (16 fois). Les vocabulaires concernant notre pays sont trouvs le plus frquemment daps les textes discursifs, traits ou essais. En second lieu daps les rbcits de voyage et troisi~mement dans les romans. Dans les autres genres, la parution est rare. Sur quels themes? L`tude de la cooccurrence des mots concerns laisse apparaitre les themes dominants suivants : la gographie, la politique et la guerre. Les auteurs qui mentionnent Ia Core le plus souvent dans FRANTEXT sont, par ordre d~croissant de frquence : 1`auteur du Voyage de la Prouse, P. Billotte (Consideration strattgiques (1957)) (20 fois) et Voltaire.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지역문화자원의 문화콘텐츠화 과정과 방법 - 광주광역시를 중심으로 -

        노시훈 ( Noh Shi-hun ) 조선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17 인문학연구 Vol.0 No.53

        오늘날 문화콘텐츠를 지역 발전에 활용하고자 하는 시도들이 늘고 있지만 우리 나라에서는 이에 관심을 갖게 된 것이 지방자치제가 다시 시작된 1995년부터이기 때문에 짧은 역사로 인한 방법론의 부재가 그 장애요인이 되고 있다. 따라서 지역문화자원의 문화콘텐츠화의 과정과 그 방법을 연구할 필요가 있는데, 그 단계는 크게 네 개로 나누어진다. 첫 번째 단계에서는 지역문화자원을 조사하고 종류별로 분류한 뒤 이들 가운데 특히 풍부하게 나타나는 자원 종류가 있는지를 파악한다. 두번째 단계에서는 지역문화자원이 문화콘텐츠로 활용된 사례를 조사하고 그 결과를 토대로 콘텐츠화하기 적절한 대상 자원을 선정한다. 세 번째 단계에서는 콘텐츠로 활용할 때 유의해야할 대상 자원의 특성을 파악하여 콘텐츠화 과정에서 이 특성이 콘텐츠에 반영되도록 한다. 네 번째 단계에서는 유사 콘텐츠화 사례를 조사하여 시사점을 도출하고 벤치마킹한 뒤 최종적으로 콘텐츠화 방향을 결정한다. 이러한 과정에 따라 광주광역시 지역문화자원의 문화콘텐츠화에 대해 고찰해보면 우선 광주의 자원은 그 종류가 다양하고 선사농경문화자원처럼 풍부하고 특색 있는 자원을 포함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반면 그것을 소재로 한 문화콘텐츠 개발이 매우 빈약하고 개발된 경우에도 5.18광주민주화운동자원과 같은 특정 소재와 영화와 같은 콘텐츠에 치우쳐있으므로 광주의 마한문화(선사농경문화자원)와 같이 콘텐츠화가 전혀 이루어지지 않은 신선한 소재를 활용할 필요가 있다. 광주의 마한문화를 가장 잘 보여주는 광주신창동유적의 특성은 그 유물.유적이 우리나라 최고.최초의 것인 데다 그 수도 많아 세부 소재 개발 가능성이 매우 크며, 활발한 국제 교류가 있었음을 알려주는 중국.낙랑.왜와 관련된 유물이 많아 콘텐츠의 공간적 배경을 넓혀 흥미를 높일 수 있다는 것이다. 유사 콘텐츠화 사례인 프랑스 만화 <아스테릭스>(1961-2013) 등을 분석해보면 선사문화자원이 여러 콘텐츠에 활용하기에 효과적인 소재임을 알 수 있으므로 광주의 마한문화를 만화로부터 시작하여 다양한 디지털콘텐츠와, 테마파크와 같은 오프라인 콘텐츠로 개발할 필요가 있다. The process of creating cultural contents with regional cultural resources consists of four stages : 1) Investigation and Classification of Regional Cultural Resources : investigate and classify regional cultural resources to find especially rich kinds of resources; 2) Investigation of Utilization Cases in the Cultural Contents Industry and Selection of Object Resources : select appropriate resources on the basis of the results of utilization cases investigation; 3) Specificity Analysis of Object Resources : analyze the specificities of object resources to make them reflected in the contents; 4) Investigation of Similar Contents Cases, Benchmarking and Decision of Utilization Directions : after investigating similar cases to find thoughtprovoking points and to benchmark, then finally decide utilization directions based on its results. Considering in this process the utilization of the regional cultural resources of Gwangju, we can find the followings : the kinds of the resources of Gwangju are various, and abundant and peculiar ones are included in them; but their utilization in the cultural contents industry is hardly seen and concentrated on specific resources (May 18 Gwangju Democratization Movement) and genres (film).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use new resources such as Mahan culture of Gwangju; as the plentiful excavations of Sinchangdong Sites, one of the Mahan sites of Gwangju, are mostly the oldest or the first in our country and include ones proving cultural exchanges among this area, China, Lelang and Japan, we can develop deeply the details of contents and widen their backgrounds; the French comics Asterix (1961-2013), one of the similar contents cases, shows that prehistoric culture resources are appropriate to various contents and it is desirable to develop the Mahan culture resources of Gwangju from comics to diverse digital contents and offline contents such as a theme park.

      • KCI등재

        일반논문 : 초등학교 교가에 나타난 광주광역시의 경관요소

        노시훈 ( Shi Hun Noh ) 전남대학교 호남학연구원 2014 호남학 Vol.0 No.56

        본고에서는 광주광역시의 150개 초등학교 교가 가사를 분석하여 광주광역시가 가진 경관요소와 그 특징에 대해 연구하였다. 그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첫째, 교가에는 자연경관과 문화경관 모두가 나타나지만 자연경관의 수가 압도적으로 많다. 둘째, 자연경관은 지형(224회), 날씨(60회), 물(51회), 하늘(42회), 식물(39회), 동물(6회), 토양(3회)의 순으로 많이 나타난다. 하위 경관에서는 “산” (지형, 162회), “빛”(날씨, 50회), “하천”(물, 45회), “들”(지형, 29회)이 출현 빈도가 높아 이것들이 광주의 중요한 경관요소임을 알 수 있으며, 특히 “빛”은 차별성을 갖는 경관요소라고 할 수 있다. 셋째, 지명 등 의 고유명사를 통해 구체적인 경관요소를 언급하는 경우는 지형과 물에 국한되었는데, 그 가운데 “산”, “하천”, “들”이 출현 빈도가 높았다. 넷째, 가장 수가 많은 “산”의 경우 “무등산”(115회)이 매우 빈번하게 출현하여 이 산이 광주광역시에서 가장 중요한 경관요소임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무등산이 “해”나 “빛”이라는 경관요소와 함께 나타나는 경우(17회, 25회)가 많으므로 “무등산에 솟는 해”나 “무등산을 비추는 빛”이 광주를 대표하는 경관 이미지라고 할 수 있다. 다섯째, “하천”의 경우에는 광주 안을 흐르다가 영산강에 합류하는 하천들 (“극락강”, “황룡강”, “풍영정천”)의 출현 횟수가 많았으나 도심을 관통하는 “광주천”은 잘 나타나지 않았다. 여섯째, 들의 경우 한 번씩만 출현하는 들 이름이 대부분이어서 학교 바로 앞의 들이 경관요소로 중요함을 알 수 있다. By studying the landscape elements and their characteristics represented in the school songs of 150 elementary schools in Gwangju, this article has obtained the following results. 1) Both natural landscapes and cultural landscapes appear in these songs, but the number of the former is overwhelmingly great. 2) The appearance frequency of the various natural landscapes is as follows : geographical features (224), weather (60), water (51), sky (42), plants (39), animals (6), soil (3). As their subordinate elements such as mountain (geographical features, 162), light (weather, 50), river (water, 45) and field (geographical features, 29) frequently appear, we can consider them as important landscape elements of Gwangju. It is noted that the light is its distinctive landscape element among them. 3) Proper nouns (place names) are only related to the geographical features (mountain, field) and the water (river). 4) Among mountains, Mudeungsan (115), the most important landscape of Gwangju, shows the highest appearance frequency. This element also frequently appears with the sun (17) and the light (25), and makes representative landscape images of Gwangju as “the sun risen on Mudeungsan” or “the light flashing on Mudeungsan.” 5) Among rivers, Gwangjucheon (2) is not shown enough though it flows through the city. Other tributaries nearer Yeongsangang (Geukrakgang, Hwangryonggang, Pungyeongjeongcheon) are far more frequently mentioned. 6) Most of fields appear only once and refer to the space in front of the school.

      • KCI등재후보

        ≪세월의 거품≫의 영화 각색과 ‘어떻게’의 문제

        노시훈 ( Noh Shi Hun ) 전북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21 건지인문학 Vol.- No.32

        본고에서는 보리스 비앙의 소설 ≪세월의 거품≫의 영화화에서 발생하는 ‘어떻게’의 문제를 분석하여 수용자의 각색 향유 방식과 수용자의 지식을 고려한 각색 방식을 연구하고자 하였다. 소설과 공드리의 원판/국제판 각색 영화의 구성을 비교해보면 원작의 내용이 각색 과정에서 전체적으로 큰 손실 없이 영화로 옮겨졌으나 의미 있는 변형들이 있으며, 다른 편집으로 인한 원판과 국제판 사이의 차이는 두 판본의 겨냥하는 바가 서로 다름을 알게 해준다. 원작 각색 영화는 음악에 변화를 주고 있지만, 꿈의 문법과 상징을 유지하고, 백일몽의 모방과 성적 서사와 오감의 연결을 계속하고 있어서 원작의 초현실성을 제대로 실현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이를 토대로 우리는 원작과 초현실주의의 관련을 ‘매우 잘 알고 있는 독자’인 공드리가 역시 이에 대해 ‘알고 있는 관객’을 위해 이 영화를 만들었다고 할 수 있는데, 이 경우 공드리와 관객은 모두 ‘반복’과 ‘차이’에서 오는 ‘각색의 즐거움’을 느낄 수 있다. 이에 비해 국제판에서는 꿈의 문법이 완화되고, 거세의 테마가 삭제되며, 백일몽의 모방, 성적 서사와 오감의 관련이 약화하기 때문에 꿈의 서사가 온전하지 못하다고 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원작의 초현실주의적 특성이 수용자에게 제대로 전달되기 어렵다고 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우리는 공드리가 비앙의 소설과 그 초현실성에 대해 ‘알지 못하는 관객’이 그 지식이 없더라도 이 영화를 환상적인 이야기 자체로 즐길 수 있도록 이 판본을 만들었다고 할 수 있는데, 이 경우 원작에 대해 잘 모르는 많은 ‘외국인’ 관객은 각색에서 오는 반복과 차이의 즐거움을 제대로 느낄 수 없다. In this article, we tried to study the method of enjoying the adaptation of the audience and the method of adaptation considering his knowledge by analyzing the problem of “how” that occurs in the movie adaptation of Boris Vian's novel L'écume des jours. Comparing the composition of the novel and Gondry's original/international movie adaptation, the content of the original was transferred to the film without any major loss in the process of adaptation, but there are significant variations, and the difference between the original and international versions due to different editing shows that the two versions are aimed at different things. Although the original movie adaptation changes the music, it can be said that the surreality of the original is properly realized by maintaining the grammar and symbolism of the dream, imitation of daydreams, and connecting the sexual narrative and the five senses. Based on this, we can say that Gondry, a “reader who knows very well” abou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original work and surrealism, made this film for an “audience who also knows” about it. In this case, Gondry and the audience can feel both the “pleasures of adaptation” that comes from “repetition” and “difference.” On the other hand, in the international version, the dream narrative is incomplete because the grammar of the dream is relaxed, the theme of castration is deleted, the imitation of daydreams,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exual narrative and the five senses is weakened. For this reason, it can be said that the surrealistic characteristics of the original work are difficult to be conveyed to the audience properly. Through this, we can say that Gondry made this version so that the “unknowning audience” of Vian's novel and its surrealism can enjoy the film as a fantastic story even without that knowledge. In this case, a “foreign” audience without knowledge cannot properly enjoy the pleasures of repetition and difference.

      • KCI등재

        『 초현실주의 요약 사전 Dictionnaire abrege du surrealisme 』 , 정보와 독창성

        노시훈(Shi Hun Noh) 한국프랑스학회 1998 한국프랑스학논집 Vol.24 No.-

        Le Dictionnaire abrEg du surrdalisme (1938) de Paul Eluard et d`Andr Breton fut conu pour servir de catalogue 1$quot;Exposition internationale du surralisme de Paris de janvier-fwrier 1938 (organise par ces pontes). la galerie des Beaux-Arts. Cependant, plus qu$quot;un simple catalogue, cet abrg nous fournit des informations importantes, comme un dictionnaire de ce mouvement par ses membres eux-memes. Specialement, 90 articles (parmi 411, y compris ceux du supplement) concernant les noms propres nous expliquent les surralistes (59) et leurs personnes ou personnages de predilection (30) selon leur propre point de vue: cela une exception pros qui est un nom de lieu (le dernier article: uecca. 83 articles concernant les vocabulaires esthtiques et philosophiques du groupe donnent des explications sur ses techniques potiques et plastiques originales, les domaines d`activit psychique sous-estim~s par le positivime etrhabilits par le surrealisme ainsi que les mthodes du depassement des antinomies. Nous pouvons trouver les originalits de ce dictionnaire dans la richesse d$quot;illustrations menaant le domaine des lettres et 1$quot;abundance dominate des citations remplaant les definitions. Une partie de 540 citations est employee seulement pour expliquer des notions, des personnes et des choses, mais 1$quot;autre Bert dfinir des mots dune manire mtaphorique et. par deli. p roduire $quot;image surraliste la plus fortes qui prsente e degr d`arbitraire le plus lev daps ce dictionnaire meme, montre les faons des surralistes de traiter des mots et leur point de vue linguistique extraordinaire. Les 80 illustrations photographiques insres parmi les articles et les 114 annexes sont offertes au lecteur non seulement pour la comprehension du texte, mais aussi pour le jeu meme. Vu ces originalits, on peut qualifier ce dictionnaire de urraliste

      • KCI등재

        < 안달루시아의 개 > 의 전복적 특성과 초현실주의

        노시훈(Shi Hun Noh) 문학과영상학회 2001 문학과영상 Vol.2 No.2

        Luis Bufiuel`s Un chien andalou (1928) is generally accepted as representative of surrealist. Its recondite form and content, however, obstruct from it being easy accessed by the audience. In its form, this film violates the logic of traditional narrative based on the law of causality, destroys the general notions of space and time and makes its characters extremely ambiguous. These formal subversions are caused by its content which is purely filled with dreams. According to Freud`s psychoanalytic model (Die Traumdeutung [1990]), a dream is the wish-fulfillment and desires that are ordinarily repressed (hidden from consciousness) because they represent forbidden impulses are given expression in dreams, though often in disguised (symbolic) form after the dream-works like `condensation`, `displacement`, `considerations of representability` and `secondary revision`. In consequence of these works (especially, he first two), the space and the time of Un chien andalou become confused, its characters become universal and enigmatic beings without names and its narrative loses expressions which connect its histories (prepositions). In its content, by analyzing symbols of its dreams, we can find that this film is a variation of desire and `castration`. Bun~uel overthrows the content of traditional film by treating of dream world directly for the first time and realizes he surrealist aesthetics which aim to liberate repressed human unconsciousnes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