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공공기관 내 여성결혼이민자의 사회참여 경험에 관한 연구

        남부현 ( Bu-hyun Nam ),김영인 ( Young-in Kim ),김옥남 ( Ok-nam Kim ) 단국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16 공공정책과 국정관리 Vol.10 No.2

        본 연구는 공공기관 내 여성결혼이민자의 사회참여 경험은 어떠한지 탐색하고 그 경험 속에내재된 의미와 본질을 밝히고자 함에 목적을 두었다. 이에 현상학적 질적 연구방법을 활용하여 공공기관에서 자원봉사활동을 펼치는 여성결혼이민자 7명을 대상으로 심층면담을 실시하여 자료를 수집·분석하고 그 결과를 정리하였다. 이들의 공공기관 내 사회참여 경험은 참여동기, 참여과정, 참여결과의 세 범주에서 총 20개의 의미단위들이 도출되어 11개의 주제묶음으로 정리하였다. 참여자들은 초기 주변의 권유와 호기심으로 공공기관 내 사회참여를 시작하였으나 활동과 업무에 대한 이해부족, 언어문제, 그리고 일부 한국인들의 차별적 태도 등으로 어려움을 경험하였다. 하지만, 점차 개인적으로 즐거움, 타인의 인정, 자신감과 신뢰 증진, 보람 등을 느끼고 상호교류와 네트워크 형성을 통해 본격적인 활동을 전개하며 사회적인책임감도 강화되는 모습들이 나타났다. 이에 참여자들은 한국사회 내 자신이 모국을 대표한다는 인식 그리고 자녀의 미래를 위해 노력해야 한다는 의지를 표출하며 미래를 준비하였다. 결론적으로 여성결혼이민자들의 공공기관 내 사회참여는 한 개인에 의한 참여이고 변화이지만 점차 사회적, 국가적, 글로벌 차원으로까지 이들의 사회참여가 발전하는 모습들이 발견되었다. 이들은 사회참여를 통해 서비스 수혜대상에서 생산적 주체로 성장하는 계기가 되었으며, 이들의 사회참여는 ``경계 지워진 우리사회``를 모두가 상생·공존하는 다문화사회로 성숙시킬 수 있음을 시사하는 바이다. 이에 공공기관 내 여성결혼이민자들의 사회참여를 활성화하기 위한 체계적 지원시스템과 모형을 구축할 것을 제언한다.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experiences of social participation of married immigrant women in a public organization. Seven immigrant women with different nationalities were participated. Their stories about social participation at the organization were collected and analyzed based on a qualitative research method. Main findings were 11 main themes and 20 meaning units under three categories: participation motivation, process, and result. The main findings were that even if their experiences were difficult at the beginning, they generally felt proud, overjoyed, happy, rewarded, and responsible as representatives of their own nations. They also networked with other members. As time being, they expressed self-confidence as a member of the organization and gained confidence from others. Then, they worked harder to prepare their own career and children`s future. Their social participation has been gradually expanded from personal to social and national until global levels. As a result, their participation in Korean society is meaningful to improve social integration and self-development. So, social participation of immigrant women is a helpful asset for building a real multi-cultural community in Korea. In the end, this study suggests that Korean government and public organizations need to make systematic social participation structures for immigrants in local communities.

      • KCI등재

        베트남 여성결혼이민자의 임신과 출산에 따른 가족관계 경험연구

        남부현 ( Bu Hyun Nam ),오정아 ( Jung A Oh ) 한국가족관계학회 2013 한국가족관계학회지 Vol.18 No.1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discover and understand the family relationship experiences of marriage immigrant Vietnamese women during their pregnancy and childbirth. Eight women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social and cultural context of their experiences were considered and their experiences were illuminated using the phenomenological research method. There were discovered five main themes and twenty small themes within two main categories: pregnancy and childbirth. During their pregnancy, the participants felt they were accepted within their Korean family. However, after childbirth they felt they were still outsiders. The main point was that the relationships with Korean husbands were essential to overcome the difficult time. After childbirth, their relationships with mother-in-laws were not good because of cultural differences during postnatal care. Childbirth was seen as giving a great gift to participants` husbands, but was stressful to the participants because of the difficulties of child caring and concerns about child`s education. The participants` relationships of other family members had positive or negative inclinations depending on their family members` interests or conditions. The participants wanted to work quickly and did not plan for another child. Based on the findings from their experiences during the period of pregnancy to childbirth, some policies and practices were proposed in education, social welfare, and counseling fields.

      • KCI등재

        일반논문 : 한국어교원의 외국인 유학생 지도경험에 관한 연구

        남부현 ( Bu Hyun Nam )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15 교육문화연구 Vol.21 No.4

        본 연구는 한국어교원의 초기정착 단계 외국인 유학생 지도경험을 통해 다양한 유학생들의 소통과 교류가 어떠한지 살피고 그 본래의 모습과 의미를 밝히고자 함에 목적을 두었다. 이에 한국어교원 6명을 개별 심층면접하고 그 자료를 분석한 결과, 교원의 유학생 지도경험과 인식에서 총 9개의 소주제들이 발굴되었다. 유학생 지도경험 범주에서 총 6개의 소주제들은 개인적으로 다름과 차이는 물론 문화적/국가적/민족적/종교적인 다름과 차이로 인해 나타나는 갈등이나 차별 등에 관한 주제들이 도출되었다. 참여교원의 유학생에 대한 인식은 서구 지향주의, 물질 만능주의, 개인주의 등의 3개 소주제들로 범주화되었다. 참여교원들의 경험과 인식 중 두드러진 것은 일부 학생들의 종교적/인종적 차별문제이다. 또한 유학생들은 국가적 정체성이 강하여 국가 간 역사적-정치적인 문제로 인해 갈등관계로 발전함이 나타났다. 일부 유학생들의 서구지향주의적 또는 물질 만능주의적 성향으로 타인을 무시하며 소통과 배려가 부족함도 문제로 지적되었다. 본 연구는 실제 유학생들의 개인적·국가적 특성, 한국어 수준별, 종교적·인종적·계층적 다름과 차이 등으로 인해 나타나는 문화적 다양성 이면에 존재하는 문제들에 대해 주목하였다. 그리고 참여교원들이 이들을 교육하고 지도하는 것의 어려움도 발견하였다. 이에 한국정착 초기단계 유학생 대상 문화다양성 증진 프로그램과 다문화교육을 요청하며 한국어교원을 위한 다문화적 역량강화를 위한 연수와 재교육이 필수적임을 제언한다.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discover the experience of Korean language teachers` guidance of international students at Korean Language Education Centers. Six Korean language teachers participated in this study by sharing their experiences of teaching and guiding the students. From the teachers` experiences studied in depth, nine sub-themes were discovered under two main themes. First main theme is on the teachers` experiences. Under this, six sub-themes were mostly related to the differences or gaps of the students` motivation and attitudes toward learning, relationships and interactions between/among them and the teachers, and the viewpoints on religious, political, and historical issues. An alarming aspect from these was the resulting religious or racial discrimination among the students. Historical issues related to colonialism also led to conflicts. The second main theme was on the teachers` perspectives of the students. Under this main theme, three sub-themes were the pursuit of Westernization, materialism, and individualism. Based on this study, the researcher discovered a lack of cultural understanding and empathy among culturally diverse students. This paper suggests the need of multicultural education for international students. The research also suggests training or reeducation for Korean language teachers on multicultural teaching competency in order to improve cultural diversity and multiculturalism.

      • KCI등재

        여성결혼이민자의 학부모 역할에 대한 질적 연구 -수도권의 고학력여성을 중심으로-

        남부현 ( Bu Hyun Nam ),김옥남 ( Ok Nam Kim ) 한국청소년복지학회 2012 청소년복지연구 Vol.14 No.4

        이 연구는 우리사회가 급격히 다문화사회로 변화하는 모습을 잘 보여주고 있는 학교현장에서 여성결혼이민자들의 학부모 역할에 대한 인식과 경험을 사회문화적 맥락과 관계들 속에서 심층적으로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들의 학부모 역할에 대한 인식은 자녀의 학교입학에 따른 염려, 교육에 대한 인지, 이중언어에 대한 관점 그리고 교사에 대한 선입견 등 4개의 주제로 나타났다. 또한 학부모 역할에 대한 경험은 자녀의 교육지원, 교사와의 만남 및 관계변화, 학교생활, 일반학부모와의 관계형성 그리고 가족의 지원 등 5개의 주제로 나타났다. 그 모습들은 우리사회와 학교에서 ``다름과 차이``로 인해 표출된 이들의 학부모 역할에 대한 내면의 주관적인 인식이고 경험들인 것이다. 반면 이들은 한국식 학부모 역할수행을 충분한 성찰이나 반성 없이 받아들이는 경향도 나타났다. 그 과정의 이면에는 이들이 언어적, 사회경제적, 문화적 차이로 인해 경험한 문화적 충격과 갈등 그리고 아픔 등이 숨어있어 우리의 일반적인 학부모 역할에 따른 행위와 모습들을 반성하게 한다. 한국사회와 학교에서 이들은 동등한 학부모로서 교사와 일반학부모들과 관계 맺기를 기대한다. 또한 자신들의 자녀의 삶에 ``다문화``라는 꼬리표가 어떠한 장애나 차별로 이어지길 원치 않고 있었다. 이처럼 여성결혼이민자의 학부모 역할에 따른 경험들은 우리의 일상에서는 보이지 않고 들리지 않는 깊숙한 내면의 의미 있는 목소리이고 모습들이다. 이러한 발견과 논의를 바탕으로 교사와 일반학부모 등을 대상으로 하는 다문화교육, 다문화가정 학부모를 위한 서비스, 학교와 지역사회의 환경변화 등을 위한 다각적인 노력과 실천을 제안한다. The goal of this study was to describe and understand the perceptions and experiences of marriage immigrant women as school parents. Seven marriage immigrant women participated in this study sharing their experiences as school parents. Their perceptions and experiences were expressed and connected to socio-cultural contexts and relationships with people doing parenting practices and roles. Related to their perceptions, four main themes were discovered: concerns about child`s school entrance, educational view, bilingual support, and preconceived about teacher. Related to their experiences, five main themes were found: educational support, relationship with teacher, school activity, relationship with Korean parents, and family support. Diverse figures of their experiences from the themes were subjectively expressed. Their personal feelings stemmed from ``otherness and difference`` were caused by socioeconomic status, culture, and language. Their parenting practices and roles were also influenced by those. They were suffering to overcome cultural shock and conflict doing parenting practices and roles. Even though some of their parenting practices were followed Koreans parenting styles, such as the focus on academic achievement for their children. They wanted to have equal status in relationships with teachers and Korean parents. They also argued that their children should not be separated or discriminated because of their socio-cultural backgrounds. Their parenting experiences as school parents make Korean parents examine critically ourselves in regard to parenting practices and roles. As a result, this study suggests that Korean society and schools need to change to accept diversity and respect others.

      • KCI등재

        중도입국청소년 초기 적응과정에 관한 조선족 부모의 경험과 인식

        남부현(Nam, Buhyun),김경준(Kim, Kyungjun)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18 한국청소년연구 Vol.29 No.2

        본 연구는 중국계 중도입국청소년들이 한국 사회와 가정 내 초기 문화적응은 어떠한지 그리고 그 과정에서 발생하는 이슈와 문제는 무엇인가를 심층적으로 규명하고자 하였다. 이에 자녀들의 초기 적응과정을 지원하고 가까이서 지켜본 6명의 조선족 부모를 대상으로 현상학적 질적연구를 수행하여 그 주요 결과는 5개 범주에서 9개의 대주제와 22개의 소주제가 도출되었다. 참여자와 자녀들은 조선족으로 한국인도 중국인도 아닌 양국가의 경계 속에 살며 정체성 갈등과 사회적 차별과 편견을 경험하고 있음을 재확인하였다. 중국에서 성장한 후 한국으로 이주한 중도입국 자녀들은 아직은 스스로 중국인으로 인식하고 민족정체성이 미약하며 역사적 문제도 모국에서 학습한 내용에 기반하며 인식한다. 이주 초기 자녀들의 주요문제는 가족 구성원의 일방적인 한국문화와 한국어 습득 강요이며 스스로 많은 적응 갈등과 스트레스를 경험하였다. 이에 중간 역할을 하는 ‘모’는 중도입국 자녀들이 스트레스 해소로 같은 처지의 청소년과 어울리며 게임에 몰입하고 한국어 학습은 소홀히 하는 상황을 걱정하며 동시에 불만을 표현하였다. 이들의 학교 편입학 과정은 복잡하고 어려움이 많지만, 부모는 앞으로 자녀의 진로에 대해 기대감과 동시에 걱정도 나타냈다. 중도입국청소년의 이주 초기 재사회화 과정은 많은 문화적 갈등과 스트레스를 동반하며 가정 내에서 문제해결도 어려운 것으로 해석된다. 이에 본 연구는 중도입국청소년들의 긍정적인 초기 문화적응을 위해 가족은 물론 범사회적 차원의 다문화교육을 통한 변화와 실천을 제안하였다. 특히, 이들의 교육을 위해 한국어, 진로, 학교 교육 등의 통합적인 교육개혁과 두 국가 간 교육과정의 연계도 제안하였다. The aims of this study were to investigate how and what midway youth immigrants have experienced in Korean society and their families, and what issues and problems occurred during their early cultural adaptation process. Six Korean-Chinese parents participated in this study, sharing their stories about their children’s early cultural adaptation stage. The results demonstrate that the participants and their children, despite being of Korean ethnicity find themselves living in the border line between two countries, Korean and China, experiencing cultural identity conflict, social discrimination and prejudice. The midway youth immigrants showed evidence of even lacking a sense of Korean ethnic identity. They have experienced much stress and conflict because of the one way adaptation nature of Korean culture and language in their family and society. Performing a mediating role, the parents expressed concerns and complained about their children’s behaviors such as not being focused on learning Korean, just hanging out with their friends or playing computer games. As a result, this study suggests that family members, teachers, and everyday Koreans need to be educated to change their attitudes and behaviors. School curricula must be reformed and school course work between Korea and China can be exchanged in order to help such young immigrants.

      • KCI등재

        외국인 유학생 생활경험 속에 투영된 한국인과 한국문화

        남부현(Bu-Hyun Nam),김옥남(Ok-Nam Kim),남기석(Ki-Seok Nam) 충남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14 사회과학연구 Vol.25 No.1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xperiences and perspectives of foreign students about Korean and Korean culture. Thirteen students explained their experiences in two areas, namely their university experiences in Korea and social lives. From their experiences studied in depth, nine main themes were discovered. Some of the themes are central to Korean. They criticized Korean people’s attitudes and behaviors towards skin colors and human relationships as dependent on age or gender. They evaluated negatively Koreans dichotomous thinking about skin color, speaking English, and political or economic belief related to the Western or non Western. About Korean culture, they mentioned drinking habits, calling others, high degree of concern for physical appearances, and speed up every work. However, they thought positively about by public services, transportation, delivery services, and internet usage in Korea. Based on these results, the researchers discovered that we need to know more about ourselves such as our attitudes and behaviors towards others that stem from traditional Korean perspectives. As a result, this study suggests that Korean people need to be educated to understand and support others so that Koreans can support more diversity and multiculturism in the Korean society. Especially, Korean government and higher-educational institutions need to incorporate in order to pursue multicultural perspectives and global educational standards.

      • KCI등재후보

        십대 미혼모를 위한 미국의 사회복지 체계와 서비스 그리고 한국적 활용 방안에 관한 연구

        남부현 ( Bu Hyun Nam ) 한국농촌지도학회 2010 농촌지도와 개발 Vol.17 No.1

        미국사회는 미혼모들의 문제를 개인적 뿐만 아니라 사회적 그리고 국가적 문제로 인식하므로 이들을 위한 다양한 사회복지 정책과 서비스, 그리고 프로그램들을 제공하여 이들이 스스로 자활할 수 있는 토대를 마련하여 왔다. 특히 십대 미혼모들은 학교를 중퇴하고 직업을 갖지 못하며 빈곤한 환경에서 아이를 키우기 때문에 심리적 정신적으로 불안한 상태에 있다. 이들에 대한 서비스는 국가적으로 미혼모뿐만 아니라 어린아이들까지도 돌보는 것으로 가정과 사회의 안정을 가져오며 인적자원을 잘 보존하는 것이다. 한국의 경우도 현대화/산업화된 사회로 발전하며 청소년들의 문제가 특히나 십대 미혼모의 문제가 사회적으로 이슈화되고 있다. 따라서 이 연구는 미국의 상황을 분석하고 미국의 복지 정책, 프로그램, 자원봉사자들을 이용한 서비스들을 살펴보고 한국에 적용 가능한 복지프로그램과 지원서비스를 제안하고자 한다. 미국의 미혼모를 위한 대안 학교차원의 교육/직업훈련/부모교육 등과 가족지원프로그램은 미혼모뿐만 아니라 사회와 가족이 모두 혜택을 받을 수 있는 서비스며 프로그램이므로 한국사회에 적용하면 효율적으로 미혼모들의 어려움과 사회문제를 해결 할 수 있다고 본다. 또한 자원봉사의 서비스 체계가 미혼모를 위한 사회복지 프로그램 등에 적극적으로 활용되면 미혼모들은 믿고 따를 수 있는 롤 모델을 갖게 되며 국가적으로는 인력의 활용과 자원 절약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 KCI등재

        지역사회발전을 위한 지역신문의 역할

        Bu Hyun Nam(南富鉉),Sung Soo Kim(金性洙) 한국농촌지도학회 1996 농촌지도와 개발 Vol.3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sole of local newspaper for community development in Korea. Specific objectives of the study were : 1) to identify the role of local newspaper in community development, 2) to analyze problems and situations on local newspapers in Korea, and 3) to suggest desirable roles of local newspaper for the community development. To attain the above objectives, this study was carried out through literature review, content analysis of selected local newspapers, and the questionnaire survey of selected readers of local newspaper.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267 readers of local newspaper who participated in the farmers' training session in the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by using questionnaires developed by the researcher, and total of 263 questionnaires were analyzed. The statistical techniques used for the study were frequence, percentile, standard deviation utilizing the SPSS/P+. The major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 1. The major roles of functions of local newspapers identified in this study were summarized as to reinforce the community consciousness, to form community opinion, to watch and to monitor community environment, to provide education and entertainment, and to contribute to the conveyance and promotion of community culture. 2. The general characteristic of local newspaper readers surveyed were; a) average distance from town to their village was 9.3 Km, b) average age was 29 years, c) about 75% of them were senior high school graduates, and d) about 96% of them participated in group activities. 3.About 45% of the respondents used television or radio for their major sources of local news were TV or radio, while about 31% respondents used community newspaper for their major sources of local news. About 67% of the respondents kept their readership over two years, and about 40% of them read community newspaper regularly at their home. 4.The results of content analysis showed that the local newspapers were dealing with articles on cultural affairs, community consciousness, administrative and civic affairs, however, there were not enough educational news, and various kinds of general news in the community. 5. Survey also showed the most needed news were ; 1) political news including administrative and civic affairs, 2) economic news including sales and distribution, 3) social news including social problems on environmental pollution and community development works, 4) educational news including technology and information, 5) cultural news including guide to cultural and historical sites and local brief news. 6. In the evaluation of local newspaper, the readers were generally positive in valued roles of local newspaper in community relations, community development, promoting community cohesion and understanding of community members, and about 40% of the respondents were positive in predicting the bright future perspectives of local newspapers. 7. In the readers' evaluation of local newspaper, readers responded that local newspapers were very closely related to the community and residents, reflecting the current concerns of local population and recognizing the value of community media, and the contents of local newspaper were positively related to daily lives of community residents and opinions of overall community.

      • KCI등재

        화산력-바이오 블록의 식생 및 수질정화 특성

        박성용,남부현,김정면,최기봉,연규석,김용성,Park, Sungyong,Nam, Boohyun,Kim, Jungmeyon,Choi, KiBong,Yeon, Kyuseok,Kim, Yongseong 한국농공학회 2016 한국농공학회논문집 Vol.58 No.6

        This study is a basic research on the functional performance review for the use of environmentally friendly construction materials as lapilli-bio block. The neutralization processed Mt. Backdusan and Mt. Hallasan lapilli-bio block were identified vegetation characteristics and water purification properties. As a result, the adsorption of root was more favorable, depending on the material properties of many voids Lapilli. And if the neutralization processed lapilli-bio blocks maintain a long-term immersion conditions in contaminated water was found to be expected from the improvement effect of SS, T-N and T-P. However, field trials and continuous studies are expected to be identified by the use of lapilli-bio block.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