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일반화된 부엽 제거기 기반 시역전 기술을 이용한 수중음향통신 성능 분석

        남기훈,김재수,변기훈,Nam, Ki-Hoon,Kim, J.S.,Byun, Gi Hoon 한국음향학회 2016 韓國音響學會誌 Vol.35 No.5

        수중음향통신에서 다중 입출력(Multiple-Input-Multiple-Output, MIMO) 환경은 인접 심볼 간 간섭뿐만아니라 송신기 간의 채널 간 간섭의 영향으로 인하여 수신 신호의 왜곡이 발생하는 특징을 갖는다. 신호 보상을 위하여 시역전 기술이 이용되었지만 기존의 시역전 기술은 채널 간 간섭을 효과적으로 제거하지 못하는 한계가 있다. 본 논문에서는 채널간 간섭의 제거를 위해 일반화된 부엽 제거기(Generalized Sidelobe Canceller, GSC)를 적용한 시역전 기술을 제안한다. 제안된 방법의 검증을 위해 FAF05(The Focused Acoustic Forecasting 05) 해상 실험 데이터를 이용하여 기존의 시역전 기술과의 통신 성능 비교를 수행하였으며, 그 결과 제안된 방법에 대한 통신 성능이 기존의 시역전 기술에 비해 향상됨을 확인 할 수 있었다. MIMO (Multiple-Input-Multiple-Output) in underwater acoustic communication has distortion of received signal because of ISI (Inter-Symbol Interference) and crosstalk among transmitters. Time-reversal mirror was used for compensating of signal distortion, but it has a limit in eliminating crosstalk effectively. This paper proposes a time-reversal mirror based on GSC (Generalized Sidelobe Canceller) for removing crosstalk. The FAF05 (The Focused Acoustic Forecasting 05) experimental data has been used to verify the suggested method by comparison with the conventional time-reversal for communication performance, and it is demonstrated that the suggested method produces better communication performance results than conventional time-reversal.

      • KCI등재

        전반적인 치아의 마모로 인한 수직고경 감소와 과피개교합을 갖는 환자의 전악 수복 증례

        남기훈,박필규,김희경,강정경,Nam, Ki-Hun,Park, Pil-Kou,Kim, Hee-Kyung,Kang, Jeong-Kyung 대한치과보철학회 2016 대한치과보철학회지 Vol.54 No.1

        치아 교합면의 점진적인 마모는 나이가 들면서 진행되는 정상적인 과정이다. 그러나 과도한 마모는 병적인 치수 상태, 교합 부조화, 기능 장애 및 심미적인 문제를 가져온다. 치아 수복을 위한 공간 확보, 심미성 증진, 또는 교합관계를 수정하기 위해서는 수직고경 변경을 고려하여야 하는데 환자의 심미적 요구와 술자의 기능적 목표를 최소침습적으로 달성하는 것을 충족시키는 범위 내에서 수직고경을 결정하고 새로운 수직고경에 대한 적응 평가를 함께 이루어야 한다. 그리고 과피개 교합 문제는 단순히 피개 교합의 정도에 국한된 문제라기 보다는 전후방적인 교합 문제를 복합적으로 지니고 있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고려사항을 생각해 보았을 때 근본적인 문제 해결을 위해서는 악골 및 치아의 전후방적인 관계 개선과 더불어 결손부의 적절한 수복이 뒤따라야 한다. 본 증례는 67세 남자 환자로 다수 치아 마모와 구치부 상실된 환자로 수직고경의 증가를 동반하여 하악 무치악 부위는 가철성 국소의치, 상하악 유치악 부위는 고정성 보철물로 수복을 하였으며, 이에 기능적, 심미적으로 만족스러운 결과를 얻었기에 증례를 보고하고자 한다. Gradual occlusal attrition is a normal process of aging. However, severe attrition causes pathogenic pulp, occlusal disharmony, functional disorder and esthetic problems. Alteration of vertical dimension should be considered for space regaining for tooth restoration, esthetic improvement or correction of occlusal relationship. Vertical dimension should be determined within the range of minimal invasive process satisfying patient's esthetic requirements and operator's functional goal. And patient's adaptation to newly determined vertical dimension should be assessed simultaneously. Deep overbite is not a simple problem of overbite, instead it is an usually complicated problem with anterior-posterior occlusal relationship. Considering these facts, appropriate restoration of edentulous part as well as improvement of anterior-posterior relationship should be performed to solve this fundamental problems. In this study, a 67 year-old male patient with many worn teeth and loss of posterior teeth was treated with removable partial denture at edentulous mandibular area to increase vertical dimension and fixed prostheses at dentulous maxillary and mandibular area. With these treatments, we attained a satisfactory result in functional and esthetic aspects as a report case.

      • KCI등재

        랜덤 포레스트를 활용한 만족도 사전조사에 따른 교육 역량 예측 분석

        남기훈,Nam, Kihun 국제문화기술진흥원 2022 The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 Vol.8 No.6

        Universities are looking for various methods to enhance educational competence level suitable for the rapidly changing social environment. This study suggests a method to promote academic and educational achievements by reducing drop-out rate from their majors through implementation of pre-survey of satisfaction that revised and complemented survey items. To supplement the CQI method implemented after a general satisfaction survey, a pre-survey of satisfaction was carried out. To consolidate students' competences, this study made prediction and analysis of data with more importance possible using the Random Forest of the machine learning technique that can be applied to AI Medici platform, whose design is underway. By pre-processing the pre-survey of satisfaction, the students information enrolled in classes were defined as an explanatory variable, and they were classified, and a model was created and learning was conducted. For the experimental environment, the algorithms and sklearn library related in Jupyter notebook 3.7.7, Python 3.7 were used together. This study carried out a comparative analysis of change in educational satisfaction survey, carried out after classes, and trends in the drop-out students by reflecting the results of the suggested method in the classes.

      • 내장형 3D 그래픽 가속을 위한 부동소수점 Geometry 프로세서 설계

        남기훈,하진석,곽재창,이광엽,Nam Ki hun,Ha Jin Seok,Kwak Jae Chang,Lee Kwang Youb 대한전자공학회 2006 電子工學會論文誌-SD (Semiconductor and devices) Vol.43 No.2

        본 논문에서는 휴대용 정보기기 시스템에서 더욱 향상된 실시간 3D 그래픽 가속 능력을 갖는 SoC 구현을 위해 효과적인 3D 그래픽 Geometry 처리 IP 구조를 연구하였다. 이를 기반으로 3D 그래픽 Geometry 처리 과정에 필요한 부동소수점 연산기를 설계하였으며, 내장형 3D 그래픽 국제 표준인 OpenGL-ES를 지원하는 부동소수점 Geometry 프로세서를 설계하였다. 설계된 Geometry 프로세서는 Xilinx-Vertex2 FPGA에서 160k gate의 면적으로 구현되었으며, 80 MHz의 동작주파수 환경에서 실제 3D 그래픽 데이터를 이용하여 Geometry 처리 과정의 성능 측정 실험을 하였다. 실험 결과 80 MHz의 동작주파수에서 초당 1.5M 개의 폴리곤 처리 성능이 확인되었으며, 이는 타 3D 그래픽 가속 프로세서에 비하여 평균 2배 이상의 Geometry 처리 성능이다. 본 지오메트리 프로세서는 Hynix 0.25um CMOS 공정에 의한 측정결과 83.6mW의 소모전력을 나타낸다. The effective geometry processing IP architecture for mobile SoC that has real time 3D graphics acceleration performance in mobile information system is proposed. Base on the proposed IP architecture, we design the floating point arithmetic unit needed in geometry process and the floating point geometry processor supporting the 3D graphic international standard OpenGL-ES. The geometry processor is implemented by 160k gate area in a Xilinx-Vertex FPGA and we measure the performance of geometry processor using the actual 3D graphic data at 80MHz frequency environment The experiment result shows 1.5M polygons/sec processing performance. The power consumption is measured to 83.6mW at Hynix 0.25um CMOS@50MHz.

      • KCI등재

        금속화재 위험감소 방안에 관한 이론적 연구

        남기훈(Ki-Hun Nam),이준식(Jun-Sik Lee) 한국산학기술학회 2018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19 No.12

        금속화재는 나트륨(Na), 리튬(Li) 등과 같은 가연성 금속이 연소하는 화재이다. 일반적인 물계, 가스계 소화약제에는 적응성이 없으며 금속화재용 소화약제 또는 건조사로 화재를 진화할 수 있다. 위험물안전관리법상 가연성 금속에 속하는 2류 및 3류 위험물 화재가 최근 5년간 104건이 발생했으며, 가연성 금속을 사용하는 연료전지, 반도체 산업의 발전으로 화재 건수는 더욱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하지만 국내에는 금속화재와 관련된 법적 기준이 마련되어 있지 않아 금속화재용 소화약제 및 소화기 개발은 물론 화재 예방 및 대응 시스템 구축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금속화재의 위험성을 감소시킬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기 위해 국내외 관련 법령 분석 및 금속화재 사례 11건을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금속화재의 위험성을 감소를 위해 관련 법령 마련에 필요한 요소를 도출하였으며 금속화재 발생 시 소화약제로 사용되고 있는 건조사의 관리 및 지원방안을 제시하였다. 또한, 금속화재의 예방 및 대응에 필요한 안전교육 및 시설 관리 방안을 제시하였다. A class D fire or combustible metal fire is characterized by the presence of burning metals. Only certain metals or metal compounds are flammable, including sodium and lithium. General fire extinguishing agents, such as dry chemical powder, water-based fire extinguish agents, and carbon dioxide, cannot be used in class D fires. This is because these agents cause adverse reactions or are ineffective. In addition, the amount of usage of combustible metals is increasing due to continuous development of the semiconductor and fuel cell industries. Despite this, Korea does not have standards and laws related to combustible metal fires. This paper suggests directions of the class D fire management policies to reduce the class D fire risk and impact by analyzing the standards and laws related to class D fires and combustible metal fire cases. The factors to make laws on class D fire prevention and response systems, and management system of dry sand were determined. These results may be used to help reduce the risk of class D fires and improve the response abilities.

      • KCI등재SCOPUS

        HSDI 커먼레일 인젝터 동적 모델 및 부사율 추정

        남기훈(Kihoon Nam),박승범(Seungbum Park),선우명호(Myiungho Sunwoo) 한국자동차공학회 2003 한국 자동차공학회논문집 Vol.11 No.5

        The common-rail fuel injection system is becoming a common technology for High Speed Direct Injection(HSDI) diesel engines. The injection timing and rate are important factors for combustion control and pollutants formation mechanisms during engine operation. This paper introduces an estimation methodology of the injection timing and rate of a common-rail injector for HSDI diesel engines. A sliding mode observer that is based on the nonlinear mathematical model of the common-rail injector is designed 10 overcome the model uncertainties. The injector model and the estimator are verified by relevant injection experiments in an injector test bench, The simulation and the experimental results show that the proposed sliding mode observer can effectively estimate the injection rate of the common-rail injector.<br/>

      • KCI등재

        연료전지용 분리판의 리브 높이 변화에 따른 응답성 변화에 관한 실험적 연구

        남기훈(Ki Hoon Nam),윤성호(Sung Ho Yun),한성호(Sung Ho Han),최남현(Nam Hyeon Choi),최영돈(Young Don Choi) 대한기계학회 2013 大韓機械學會論文集B Vol.37 No.11

        본 연구는 연료전지 공기극에서 리브의 높이를 변화시켰을 때, 이에 따른 응답성과 성능의 변화를 평가하였다. 전류 밀도의 순간적인 변화에 따른 과도 상태의 전압 신호를 분석하기 위해 당량비와 상대습도가 일정한 상태에서 연료전지의 주 작동 전압 구간인 0.5V~0.7V의 범위에서 전류 밀도를 0.8A/㎠에서 1.0A/㎠으로 변화를 주어 응답성을 분석하였고, 체결압력을 1.5㎫, 2.0㎫로 다르게 했을 경우 언더슈트의 정도를 확인하였다. 100㎛의 리브 높이를 변화시킨 채널의 경우, 1.5MPa의 체결압에서 기존의 경우에 비해 빠르게 안정적인 상태에 도달했으며 최대 언더슈트 전압값이 낮게 측정되었다. 하지만 성능은 접촉 저항의 증가로 인해 기존의 분리판에 비해 낮은 값을 나타냈다. In the present study, using a variation of rib height, the transient response and the performance are investigated. The cell voltage is acquired according to the current density change(0.8A/㎠ to 1.0A/㎠) under same stoichiometry and relative humidity. The different level of undershoots appeared at the different clamping pressure(1.5㎫ and 2.0㎫) and different rib height. At 1.5㎫ clamping pressure, rib manufactured cut at 100㎛ height goes to steady state faster than reference plate and has lower maximum undershoot voltage. But performance is lower than reference plate due to increasing contact resistance.

      • KCI등재

        딥러닝 합성곱에서 데이터 재사용에 최적화된 GPGPU 설계

        남기훈(Ki-Hun Nam),이광엽(Kwang-yeob Lee),정준모(Jun-Mo Jung) 한국전기전자학회 2021 전기전자학회논문지 Vol.25 No.4

        본 논문은 합성곱 신경망에 데이터 재사용 방법을 효과적으로 적용하여 연산 횟수와 메모리 접근 횟수를 줄일 수 있는 GPGPU구조를 제안한다. 합성곱은 kernel과 입력 데이터를 이용한 2차원 연산으로 kernel이 slide하는 방법으로 연산이 이루어 진다. 이때, 합성곱 연산이 완료될 때 까지 kernel을 캐시메모리로 부터 전달 받는 것이 아니고 내부 레지스터를 이용하는 재사용 방법을 제안한다. SIMT방법으로 명령어가 실행되는 GPGPU의 원리 이용하여 데이터 재사용의 효과를 높이기 위해 합성곱에 직렬 연산 방식을 적용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레지스터기반 데이터 재사용을 위하여 kernel을 4x4로 고정하고 이를 효과적으로 지원하기 위한 warp 크기와 레지스터 뱅크를 갖는 GPGPU를 설계하였다. 설계된 GPGPU의 합성곱 신경망에 대한 성능을 검증하기 위해 FPGA로 구현한 뒤 LeNet을 실행시키고 TensorFlow를 이용한 비교 방법으로 AlexNet에 대한 성능을 측정하였다. 측정결과 AlexNet기준 1회 학습 속도는 0.468초이며 추론 속도는 0.135초이다. This paper proposes a GPGPU structure that can reduce the number of operations and memory access by effectively applying a data reuse method to a convolutional neural network(CNN). Convolution is a two-dimensional operation using kernel and input data, and the operation is performed by sliding the kernel. In this case, a reuse method using an internal register is proposed instead of loading kernel from a cache memory until the convolution operation is completed. The serial operation method was applied to the convolution to increase the effect of data reuse by using the principle of GPGPU in which instructions are executed by the SIMT method. In this paper, for register-based data reuse, the kernel was fixed at 4x4 and GPGPU was designed considering the warp size and register bank to effectively support it. To verify the performance of the designed GPGPU on the CNN, we implemented it as an FPGA and then ran LeNet and measured the performance on AlexNet by comparison using TensorFlow. As a result of the measurement, 1-iteration learning speed based on AlexNet is 0.468sec and the inference speed is 0.135sec.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