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2015 개정 사회과 교육과정과 미국 C3Framework의 비교 연구

        나경훈(Na, Kyung Hun) 한국사회과교육연구학회 2019 사회과교육 Vol.58 No.1

        본 연구는 2015 개정 사회과 교육과정과 미국 C3Framework의 내용체계에 제시된 주요 구성 요소인 ‘핵심개념’, ‘일반화된 지식’, ‘기능’관련 내용 요소를 비교 분석하여 향후 우리나라 사회과교육과정의 개선 방향을 모색하는데 있다. 역사 영역을 중심으로 비교 분석한 2015 개정 사회과 교육과정의 문제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핵심개념’을 중심으로 한 ‘내용체계’는 교과의 큰 구조나 얼개를 담아내지 못하였다. 둘째, ‘역량’이라는 추상적인 개념을 교과에 녹아내기 위한 맥락적 접근이 부족하였다. 셋째, 초등 사회과 역사영역은 여전히 타 영역과의 ‘통합성’, 중등과의 ‘연계성’을 나타내지 못하고 있다. 넷째, 사회과의 기능 요소는 분절적으로 나타났고, 비구조화되어 있었다. 다섯째, 역사를 처음으로 경험하는 3학년에 학생들에게 일관된 가치관을 전달하는 내용구성이 나타났다. 이를 바탕으로 지금까지 우리 교육과정이‘무엇을 가르칠 것인가?’에 중점을 두었다면, 향후 교육과정 개정 방향은‘어떻게 가르칠 것인가?’에 대한 고민이 더욱 논의되어야함을 제언사항으로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obtain implications on curriculum revision in South Korea by examining key concepts, generalized knowledge, and skills presented in the 2015 Revised Social Studies Curriculum and the College, Career, and Civic Life (C3) Framework for Social Studies State Standards. Problems of the 2015 revision of social studies curriculum with focus on historical areas are as follows. First, content structure centered on the "key concept" did not contain large structures. Second, there was not enough contextual access to incorporate the abstract concept of "competency" into subject. Third, the History Area of Elementary Social Studies does not represent "integrity" with other areas or "connectivity" with secondary schools. Fourth, functional elements with society appeared subdivided and unstructured. Fifth, the content structure conveys consistent values to third grade students experiencing history for the first time. Based on this, if our curriculum has been developed with a focus on “What to teach”, the focus needs to shift to “How will we teach?” We need to change the direction from “What will we teach?” to “How will we teach?”

      • KCI등재

        스핀오프(Spin-off) 기반 콘텐츠디자인의 상관관계 분석 -원작과 파생작을 중심으로-

        나경훈 ( Na Kyung-hoon ) 커뮤니케이션디자인학회 2022 커뮤니케이션 디자인학연구 Vol.81 No.-

        우리는 ICT로 대변되는 정보통신기술 및 운송수단 등 과학기술의 발달로 온·오프라인의 콘텐츠를 어렵지 않게 공유할 수 있는 시대에 살고 있다. 이에 따라 다양한 분야에서 다각적 활용을 위한 콘텐츠 개발의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스핀오프 방식을 활용한 콘텐츠의 확장과 파생에 초점을 두고 물리적 척도, 정서적 척도, 작품의 연속성의 세 가지 스핀오프 척도를 설정하였다. 물리적 척도는 객관적인 형태, 정서적 척도는 색을 통해 연결되는 주관적인 상징, 작품의 연속성은 원작과 파생작의 연속성, 일관성 등을 기준으로 분석을 진행하였다. 사례분석은 아날로그 콘텐츠와 디지털 콘텐츠의 원작과 파생작을 대상으로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콘텐츠디자인에 있어서 스핀오프 방식의 효율성은 결과물에 긍정적 영향을 확보할 수 있다. 둘째, 콘텐츠디자인의 성공적 파생은 원작의 성공을 토대로 이루어진다. 셋째, 스핀오프의 척도 정립을 통해 콘텐츠디자인의 선순환이 가능함을 파악하였다. We are living in an era where online and offline content can be shared without difficulty due to the development of ICT and science and technology. Accordingly, the need for content development for multilateral use in various fields has been raised. To this end, this study established three spin-off scales: physical scale, emotional scale, and continuity of work, focusing on the expansion and derivation of content using spin-off methods. The physical scale was analyzed based on the objective form, the emotional scale was based on subjective symbols connected through color, and the continuity of work was based on the contents of the continuity and consistency of the original and derivative works. The case analysis analyzed the correlation between the original and derivative works of analog and digital content.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efficiency of the spin-off method in content design can secure a positive effect on the outcome. Second, the successful derivation of content design is based on the success of the original work. Third, it was identified that a virtuous cycle of content design is possible through the establishment of a scale of spin-off.

      • KCI등재

        검정제도 시행에 따른 초등사회과 교과서 구성체계 및 내용변화 양상 분석 : 2022년 적용 예정인 초등사회과 3-4학년군 검정 교과서를 중심으로

        나경훈 ( Na¸ Kyunghun ) 한국사회과교육학회 2021 시민교육연구 Vol.53 No.4

        본 연구의 목적은 검정제도 시행에 따라 2022년에 처음으로 적용 예정인 초등사회과 검정교과서의 구성체계와 내용변화 양상을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한국교육과정평가원의 심의를 거쳐 초등사회과 검정 교과서로 합격한 11종의 교과서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구성체계의 내용 조직 측면에서는 큰 변화를 찾기 어려웠다. 둘째, 구성체계의 내용 전개 방식에서는 일관성에서 벗어나 교과서별로 차이를 나타냈다. 셋째, 구성체계의 활동 구성 부분에서는 학생들의 흥미를 끌고 자기주도적 학습이 가능한 다양한 활동 자료를 제공하고자 노력하였다. 넷째, 교과서의 내용변화 측면에서는 교육과정의 문제점을 극복할 수 있는 새로운 대안을 제시하기 어려웠다. 이러한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검정 교과서의 질적인 향상을 위해 다음과 같이 제언하였다. 첫째, 초등교사들이 교과서를 판단할 수 있는 분석 기준을 공유하고, 이를 활용할 수 있는 연수를 확대하여야 한다. 둘째, 내용 중심의 교육과정에서 탈피하여 국가 수준 교육과정 구속력을 낮추어야 한다. 셋째, 만들어가는 교과서로서 교과서 수정·보완 시스템이 확충되어야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unit framework and content change aspects of elementary social studies authorized textbooks that will be applied, for the first time in 2022, according to the implementation of the authorization system. For this purpose, 11 types of elementary school social studies textbooks were analyzed after deliberation by the Korea Institute for Curriculum and Evaluation. The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t was difficult to show a significant change as part of content organization of the unit framework. Second, the content development method of unit framework deviated from consistency and showed differences between textbooks. Third, in the activity composition part of the unit framework, it tried to attract students' interest and provide various activity materials capable of self-directed learning. Fourth, in part of changes in the contents of textbooks, it was difficult to present a new alternative that could overcome the problems of the curriculum. Based on these analysis results, the following suggestions were made to improve the quality of authorized textbooks in the future. First, it is necessary to share the analysis criteria for elementary school teachers to judge textbooks and expand the training programs to utilize them. Second, it is necessary to lower the binding force of the national curriculum away from the content-based curriculum. Third, the textbook revision and supplementation system should be expanded as a textbook to be made.

      • KCI등재

        애플리케이션 디자인의 시각적 하이어라키가 사용자 만족도 및 브랜드 애착에 미치는 영향 - 국내 음식 배달 애플리케이션을 중심으로 -

        나경훈 ( Na Kyung Hoon ) 한국상품문화디자인학회 2023 상품문화디자인학연구 Vol.72 No.-

        본 연구는 애플리케이션 디자인의 시각적 하이어라키, 사용자 만족도, 브랜드 애착 사이의 상관관계를 밝히는 데 목적이 있다. 선행연구의 고찰을 통해 시각적 하이어라키의 요소를 형태, 색상, 레이아웃, 일러스트레이션, 로고타입으로 정리했으며, 국내 음식 배달 애플리케이션인 배달의민족, 쿠팡이츠, 요기요의 디자인을 시각적 하이어라키 요소에 따라 분석하였다. 사례분석결과, 각 브랜드는 시그니처 컬러를 활용하거나 배경색, 그래픽, 이미지 등의 부분적인 구별을 통해 타 브랜드와의 차별화를 도모하였다. 실증분석에서는 변수들 간의 관계를 밝히기 위해 설문조사를 진행하였다. 가설검증을 위해 회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이에 따라 도출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애플리케이션 디자인의 시각적 하이어라키는 사용자 만족도에 긍정적인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애플리케이션 디자인의 시각적 하이어라키 요소 중 형태, 색상, 일러스트레이션은 브랜드 애착에 긍정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쳤지만, 레이아웃과 로고타입은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셋째, 애플리케이션 디자인의 시각적 하이어라키에 따른 사용자 만족도는 브랜드 애착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본 연구는 모든 애플리케이션을 대상으로 일반화가 가능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가 향후 애플리케이션 디자인과 관련한 연구에 지속적으로 기여하고, 발전을 위한 효율적인 방향을 제시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Through the consideration of previous studies, the elements of visual hierarchy were organized into form, colors, layout, illustration, and logo type. And the design of Baemin, Coupang Eats, and Yogiyo, which are domestic food delivery applications, was analyzed according to the visual hierarchy element. As a result of case analysis, each brand sought to differentiate itself from other brands by using signature colors or by partially distinguishing background colors, graphics, and images. In the empirical analysis, a survey was conducted to reveal the relationship between variables.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verify the hypothesis, and the conclusions drawn accordingly are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the visual hierarchy of application design had a positive and significant effect on user satisfaction. Second, form, color, and illustration among the visual hierarchy elements in application design had a positive significant effect on brand attachment, but layout and logo type did not have a significant effect. Third, it was found that user satisfaction according to the visual hierarchy of application design had a positive effect on brand attachment. This study requires additional research that can be generalized to all applications. It is hoped that this study will continue to contribute to future research related to application design and provide an efficient direction for development.

      • KCI등재

        헤드업 디스플레이 디자인의 지각된 가치가 브랜드 애착에 미치는 영향과 관여도의 조절효과

        나경훈(Kyung Hoon Na) 한국디자인리서치학회 2023 한국디자인리서치 Vol.8 No.3

        본 연구는 자동차에 적용되는 기술인 헤드업 디스플레이(HUD) 디자인의 지각된 가치를 파악하여 브랜드 애착과의 영향 관계를 밝히고 두 변수 사이에서 관여도의 강도에 따른 조절효과를 검증하기 위한 목적을 지닌다. 선행연구와 이론적 검토를 통해 디자인의 지각된 가치를 외재적 가치와 내재적 가치로 구분하고, 사례연구를 위한 외재적 가치를 컬러, 레이아웃, 로고타입, 그래픽, 아이콘으로 정리하였으며, 실증연구를 위한 내재적 가치는 경제적 가치, 기능적 가치, 정서적 가치, 사회적 가치로 구분하였다. 국내 완성차 브랜드인 현대자동차, 기아자동차, 제네시스의 HUD를 대상으로 사례분석을 진행했으며, 전체적으로 모든 브랜드의 HUD 디자인은 화려하고 자세한 표현보다는 단순한 디자인을 채택하여 가시적인 정보전달에 집중하는 모습을 보였다. 실증연구에서는 구조방정식 모형을 통한 경로분석을 진행했으며, 관여도에 따른 조절효과는 χ2 차이 검증을 실시하여 분석하였다. 가설의 검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HUD 디자인의 지각된 가치는 브랜드 애착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둘째, 관여도의 수준에 따라 HUD 디자인의 지각된 가치가 브랜드 애착에 미치는 영향이 달라졌다. 셋째, HUD 디자인의 지각된 가치가 브랜드 애착에 미치는 영향은 고관여 상황에서 더욱 긍정적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가 향후 HUD 디자인과 관련한 후속 연구에 도움이 되는 밑거름으로 작용하길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perceived value of head-up display (HUD) design, a technology applied to automobiles, to reveal the influence relationship with brand attachment, and to verify the moderating effect according to the intensity of involvement between the two variables. Through prior study and theoretical review, the perceived value of design was divided into external value and intrinsic value, and the external value for case study was organized into color, layout, logo type, graphic, and icon, and the intrinsic value for empirical study was divided into economic value, functional value, emotional value, and social value. A case analysis was conducted on HUD of domestic automobile brands Hyundai Motors, Kia Motors, and Genesis, and overall, all brands' HUD designs focused on visible information delivery by adopting simple designs rather than colorful and detailed expressions. In the empirical study, path analysis was conducted through a structural equation model, and the moderating effect according to the degree of involvement was analyzed by conducting a χ2 test. The test results of the hypothesis are as follows. First, it was confirmed that the perceived value of HUD design had a positive effect on brand attachment. Second, it was found that the effect of the perceived value of HUD design on brand attachment varies depending on the level of involvement. Third, it was verified that the effect of the perceived value of HUD design on brand attachment was more positive in high-involvement situations. It is expected that this study will serve as the foundation for subsequent studies related to HUD design.

      • KCI등재
      • 스핀오프(Spin-off) 효과를 통한 다각적 스토리텔링 및 콘텐츠디자인의 확장 프로세스

        나경훈(Na, Kyung-hoon),남호정(Nam, Ho-jung) 한국디자인학회 2015 한국디자인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Vol.2015 No.10

        As the society becomes more complex with emergence of various areas, the importance of contents are growing day by day and combining the storytelling and design is become essential when developing the contents. Nevertheless, an effective development methodology of contents design is still lacking and in such situation, applying the concept of spin-off in the contents design has a significant value as one of the means for developing various contents that are creative for leading the creative economy. Therefore, the establishment of systematic process and the methodology of spin-off will be an important factor in the development of contents in the future which is expected to serve as an opportunity to present the timely research methods for the pioneering and vitalization of new areas.

      • KCI등재

        한국과 호주 초등사회과 교육과정 비교를 통한 초등사회과 교육과정 통합 방식 탐색

        나경훈 ( Na Kyunghun ) 한국초등교육학회 2024 초등교육연구 Vol.37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외국 사회과 교육과정의 비교를 통해 우리나라 초등사회과 교육과정 통합 방식에 대한 시사점을 고찰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최근에 개정된 우리나라 2022 개정 초등사회과 교육과정과 호주 HASS 교육과정 통합 방식을 비교하였고, 양국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들여다보았다. 분석 결과 2022 개정 초등사회과 교육과정은 학문 영역 중심의 다학문적 통합 형식이 짙었다면, HASS 교육과정은 학년별 대주제 중심의 통합 방식을 지향하며 간학문적 통합을 이루고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교과 간의 경계넘기가 활발한 초등교육 내에서 우리나라 초등사회과 교육과정 통합 방식에 대한 실질적인 과제를 다음과 같이 논의하였다. 첫째, 교육과정 문서는 학문 영역 중심이 아닌, 학년별 대주재 중심으로 편제될 필요가 있다. 둘째, 학년별 공통 내용(소재)을 찾아 주제를 추출할 것이 아니라, 핵심 개념을 바탕으로 서로 연계할 수 있는 주제를 추출하는 것이 고려될 필요가 있다. 셋째, 사회과의 공통 기능을 정선하고, 타 교과의 기능 수준과 연계할 필요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implications of the integration method of elementary social studies curriculum in Korea through comparison of foreign social studies curriculum. For this study, we compared the recently revised 2022 revised elementary social studies curriculum integration method in Korea with the Australian HASS curriculum, and explored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between the two countrie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t was confirmed that the 2022 revised elementary social studies curriculum aimed at multi-disciplinary centered on academic fields, and the HASS curriculum aimed at interdisciplinary integration centered on major topics by grade. Based on these results, the practical tasks for the integration method of the elementary social studies curriculum in Korea within elementary education that crosses the boundaries between subjects were discussed as follows. First, curriculum documents need to be organized by major topics for each grade rather than disciplinary area-centered. Second, it is necessary to select a topic that can be linked to each other based on core concepts, rather than to select a topic by finding common content for each grade. Third, it is necessary to systematize the common functions of social studies and link them with the functional level of other subjec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