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후안 라몬 히메네스의 『플라테로 와 나』와 느림 예찬

        송주(Na, Song-Ju) 한국외국어대학교 중남미연구소 2016 중남미연구 Vol.35 No.1

        『플라테로와 나』는 히메네스의 대표적인 시집으로 노벨문학상 수상작이라는 사실이 말해주듯이 문학성을 가지고 있으면서도 동시에 동시라는 느낌마저 드는 대중적인 작품이다. 이 시집은 평이한 문체와 내용으로 단순하면서도 자연 속에서 소박한 삶의 의미를 다시 한 번 환기시켜주는 작품이다. 그러나 또한 사회에 적응하지 못하면서 느끼는 반감의 표현이고, 시인 내면의 뿌리 뽑힌 듯 한 고독감, 우울과 번뇌를 표현하고자 했다고 볼 수 있다. 이런 그의 태도는 발전과 진보의 신화에 사로 잡혀 있던 20세기의 근대적 삶의 태도에 반론이고, 생의 활력에 대한 좌절과 슬픔인 것이다. 그는 비도덕적이고 유혹으로 가득 찬 퇴폐적인 도시의 삶에서 흉물스러운 삶이 아니라 해가 뜨고, 비가 오고, 눈이 오는 자연의 변화를 느낄 줄 알고 자연과 하나 되는 삶의 의미를 다시 되찾아 준다. 이는 욕망이 일상화 되어 있는 도시라는 현실의 어두운 그림자에 대해 회의 하고, 반복적이고 당연시 되는 일상적인 삶의 의미와, 그 현실 안에서 정신적인 위안과 소통의 가치를 보여준다. 그런 의미에서 히메네스가『플라테로 와 나』에서 그리고 있는 느림과 여유로움, 자연과의 합일은 현실의 부정이나 도피가 아니라 현실의 대안이다. 이는 타락으로부터 순수로 돌아감이며 부자연스러운 것에서 자연스러운 것으로 돌아가는 것이다.『플라테로 와 나』는 위태롭고 희망이 사라진 고단한 현실의 문제에 대한 해결책을 직접적으로 대안에 대한 탐구이고, 황폐한 현실 앞에서 고통스러워하고 사회적인 갈등의 폭발이라는 절망에 빠진 시대를 치유하기 위한 몸짓인 것이다.『플라테로 와 나』는 우리에게 자연에 대한 사랑과 소통을 통해 어두운 시대, 불안한 시대를 헤쳐 나가는 위로를 얻게 해주고 역동적인 힘을 얻게 해준다. Platero y yo is thought of as a children’s book and yet it’s one of the best work of Nobel Prize-winning writer Juan Ramón Jiménez. It shows not only that the work has an extraordinary literary quality but that it has been highly acclaimed for its popularity. The poem evokes the meaning of simple life in nature in plain words. At the same time, however, it conveys the antagonism towards the society where the poet failed to adapt, sense the loneliness of the uprooted, melancholy and agony. This attitude came from the hostility to the modern life which was fascinated by the myth of progress. It also can be interpreted as frustration of life. Jiménez tried to restore the value of living in communion with nature in contrast to degenerate life in the city. To him, the city is a place full of temptation and immorality. The writer expresses his skepticism about the dark side of the city life which represents the excessive desire. In addition, the importance of daily lives, spiritual comfort, and communication is emphasized in the poem. That’s why the contact with nature and serenity in Platero y yo should be considered as an alternative not denial or escape. What he suggests is going back to innocence from degeneration, to naturalness from unnaturalness. Platero y yo is a result of the investigation of alternatives to the hopeless reality on the verge of collapse. It is his attempt to fix and console the broken society. It guides us to find the strength and comfort in nature that are needed when we’re going through the uncertain and dark times.

      • 생활한복 소비자의 가치체계와 의복구매행동에 관한 연구

        이지원,정찬진,수임 복식문화학회 2001 춘계학술대회 Vol.2001 No.-

        우리나라의 전통의상인 한복은 사회가 발전함에 따라 명절이나 혼례 등 의례복(儀禮服)으로만 착용되어져 평상복의 기능은 결여되어져 있었다. 그러나 90년대에 접어들어 한국적 정체성 표현이 대중들에게 낯설지 않고 생활의 일부로 받아들여지게 되었고, 전통한복의 미적인 특성에 실용성을 가미해서 개량한 생활한복이 자리잡아가고 있다. 그러나 생활한복에 대한 기존의 연구들은 살펴보면 생활한복의 디자인 연구나 생활한복 업체의 현황 조사 및 생활한복 착용실태 조사에 관한 내용이 중심이 되어왔고, 생활한복 소비자의 구매행동에 관한 체계적인 연구가 다른 분야에 비해 미흡하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소비자행동을 설명하는 가장 기본적인 심리적 구성개념인 가치에 초점을 맞추어 첫쨰, 생활한복에 대한 의복가치의 차원을 밝히고 이에 따라 생활한복 소비자를 유형화 한다. 둘째, 생활한복 소비자유형에 따른 인구통계적 특성을 밝힌다. 셋째, 생활한복 소비자 유형에 따른 개인적 가치의 차이를 밝힌다. 넷째, 생활한복 소비자의 유형에 따른 생활한복 구매평가 기준의 차이를 밝히는 것이다. 연구방법으로 설문지 조사법을 사용하였으며, 1차 조사는 생활한복구매자와 생활한복 판매원을 대상으로 인사동 생활한복 밀집지역에서 조사하였다. 이를 수정 · 보완하여, 최종 설문지 조사는 2000년 10월 동안 20대부터 60대까지의 생활한복 구매 · 착용 경험자인 480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자료의 분석은 최종분석자료 400부를 사용하여 factor analysis, Cluster analysis, χ2-test, Anova, Tukey test, t-test 등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첫째, 생활한복에 대한 의복가치의 차원은 쾌락가치, 상징가치, 경제가치, 실용가치로 나타났고, 이를 근거로 생활한복 소비자의 유형을 구분해보면 편이성추구집단, 사회적 인정추구집단, 모든 가치가 높은 집단으로 분류될 수 있다. 둘째, 생활한복에 대한 의복가치 중에서 오래 입을 수 있고 유행이 쉽게 변하지 않고, 넉넉한 사이즈에서 오는 편안함을 가장 중요하게 여기며, 나만의 감각연출, 생활한복 착용이 주는 변신의 기쁨과, 재미나 즐거움, 나의 체형과의 어울림과 ㅏ나의 이미자와의 조화, 우리 것을 사랑하는 마음, 생활한복의 착용이 가져다주는 자신감과 더불어 세탁의 용이성, 착용의 유용성, 편아함의 경제적 가치를 비교적 중요하게 평가하는 특징을 가진다. 편이성추귀집단의 약 73%가 여성이고, 약 27%가 남성이었다. 또한, 약 63%가 군 · 면 이하, 중 · 소도시 거주하였으며, 직업은 약 24%가 전업주부였고 약 21%가 판매직으로 나타났다. 모든 의복가치가 높은 집단의 소비자는 생활한복에 대한 모든 의복가치를 중요하게 생각하며, 제품의 이미지, 매장위치, 광고, 서비스를 중요하게 평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집단은 남녀의 비율이 비슷하며 80%가 군 · 면 이하, 중 · 소도시 거주자로 나타났고, 약 26%가 전문기술직, 약 18%가 판매직의 직업을 가진 소비자였다. 또한 편이성 추구집단과 모든 의복가치가 높은 집단의 소비자는 바느질, 내구성, 소재, 구입가격, 관리와 세탁방법, 색상, 디자인을 중요하게 평가하며, 가족이나 사회의 소속감, 삶의 즐거움과 재미, 원만하고 따뜻한 인간관계를 사회적 인정 추구집단의 소비자보다 중요하게 평가한다. 사회적 인정 추구집단의 소비자는 생활한복의 착용이 나의 사회적 신분이나 직업에 적합하며, 나의 생활수준, 가치관, 애국심을 상징해주고 남에게 인정을 받을 수 있는 차림이라 여기는 상징 가치를 중요하게 평가하며, 구입 비의 지불방법, 교환이나 활불을 중요하게 평가한다. 또한 메이커(제조회사)와 장식을 중요하게 평가하며 사회적 인정추구집단의 약 79%가 여성이며, 약 21%가 남성이었다. 약 57$가 대도시 거주자이고 약 31%가 주부였으며 가족이나 사회의 소속감, 삶의 즐거움과 재미, 원만하고 따뜻한 인간관계를 다른 두 집단의 소비자보다 중요하게 생각지 않았다. 본 연구는 생활한복 착용경험자만을 대상으로 하여, 생활한복 소비자에 있어서 그들의 가치체계가 의복구매행동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를 파악하여 그 관계를 연구함으로써 소비자들이 생활 한복을 구매하면서 추구하는 가치에 대한 구체화된 지표를 제시하여 생활한복시장의 세분화 기준으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신라와 ‘임나의 조’

        행주(羅幸柱) 한일관계사학회 2008 한일관계사연구 Vol.29 No.-

        고대한일관계사의 실체, 나아가 일본고대국가 형성과정 및 그 특징을 이해함에 있어서 중요한 근거의 하나가 바로 ‘임나의 조’와 ‘질’의 문제라 할 수 있다. 종래의 대외관계사나 국가형성사에 관한 일본학계의 통설적 이해는 末松保和의 임나일본부론, 石母田正의 東夷의 小帝國론, 西嶋定生의 冊封體制론의 기초 위에 성립되었는데, 이들 3학설에 있어서 ‘질’은 국가 간의 충성복속의 상징, ‘임나의 조’는 조공의례의 공납물로 간주되어 각 설의 입론 전개에 중요한 근거로 자리매김되고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임나의 조’와 ‘질’의 이해를 둘러싸고 한일양국의 이해는 긍정론과 부정론으로 크게 대립되어 이해상의 차이를 보이고 있다. 본고는 ‘임나의 조’ 이해의 기초작업의 일환으로서 새로운 이해를 위한 실마리를 찾기 위해 지금까지 통설적 지위를 유지하고 있는 임나일본부를 전제로 한 말송설, 말송설에 입각한 석모전설, 그리고 양자의 이해를 기초로 한 鈴木英夫설로 대표되는 신설의 ‘임나의 조’ 이해를 재검토해 그 문제점을 분명히 했는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우선 가) 일본고대의 대외관계 및 고대국가의 특질을 규정한 石母田의 동이의 소제국론은 복속의 상징으로서의 질, 복속의례의 조공물로서의 임나의 조를 전제로 한 취약성을 내포하고 있다는 점, 나) 왜 왕권의 임나의 조 수령을 신라 백제의 임나영유에 대한 승인조치로 이해한 위에서 642년 백제의 가야지역 탈환을 계기로 왜국이 임나의 조 납입?제공 대상을 신라에서 백제로 전환시켰다는 말송설에 기초한 통설적 이해가 성립할 수 없다는 점, 무엇보다도 신설과 관련해 다) ‘임나의 조’가 신라의 대외전략에 기초한 對백제견제책으로서의 대왜정책으로 입안된 것이 아니라는 점을 확인했다. 특히 최근 일반화되고 있는 신설의 이해는 ‘임나의 조’의 출현시기, 신라 측의 기본적인 자세, ‘임나의 조’가 실제 보내진 횟수, 그리고 鈴木설의 존립기반인 ‘식읍’의 존속기간과 성격 문제 등을 통해 신라 측이 제공한 ‘임나의 조’가 결코 전략물자로서의 유효성이 인정되지 않는다는 점을 확인했다. 따라서 금후의 임나의 조의 이해는 ‘임나의 조’의 존재를 완전히 부정하던가, 종래의 일본학계의 이해와는 전혀 다른 관점(예를 들면, 6세기 후반 이후의 왜 왕권의 극히 현실적인 대신라외교정책으로 보는 이해 등)에서의 접근이 요망되는 것이다.

      • KCI등재

        신숙주, 충 · 불충을 다시보다

        천수(羅千洙) 원광대학교 원불교사상연구원 2020 원불교사상과 종교문화 Vol.84 No.-

        신숙주는 세간 사람들에게 변절자의 대명사처럼 인식되고, 그동안 우리나라 소설이나 TV 드라마에서도 단종을 지지하지 않았다는 이유로 변절자로 묘사되었다. 그 이유는 남효온이 지은「육신전」에서 단종의 편에 서지 않았다는 말 한마디 때문이다. 또 남효온의「육신전」을 단초로 일제 강점기 이후부터 조선인의 혼을 폄하하는 차원에서 신숙주를 변절의 대명사로 소설, 영화, TV드라마에서 등장케 하였다. 과연 신숙주는 변절자인지 궁금하다. 논자는 최초 신숙주를 폄하하는 글을 쓴 남효온의『추강집』 속에 수록된「육신전」을 살펴보던 중에, 1576년 선조 때 발견되어 경연에서 육신전에 대한 잘못된 점을 선조가 열거하면서 질타하였는데, 현재 세간에서 볼 수 있는『추강집』에는 1577년에 간행된 것으로 이 재간본에는 선조가 잘못되었다고 지적한 부분이 모두 삭제 된 점을 발견하게 되었다. 선조가 발견한 추강집의 오류는 초간본에서의 오류를 지적한 것이다. 그리하여 선조가 지적한 부분을 모두 개작하여 재간된 간행본이 현재 세간에 발견된『추강집』이므로 이를 위작이 아닐까 반문해 보는 것이다. 한편 신숙주의 충의 단면을 살펴볼 수 있는 것은 그가 저술한『해동제국기』라고 논자는 주장한다. 세종의 명을 받아 일본을 다녀온 사행보고서는『세종실록』102권[1443년(세종25년) 10월13일]자 기사에 분명히 ‘일본국(日本國)에 갔던 통신사 변효문(卞孝文)이 돌아와 경상도 옥포(玉浦)에 이르러 치계(馳啓)하기를’ 란 기록으로 보아 사행보고서는 이미 세종 때에 보고한 것이다. 그로부터 28년 후인 성종 때 사행 보고서로 『해동제국기』를 썼다는 말은 맞지 않은 것이다. 또한『 해동제국기』 서문에는 사행 보고서와는 전혀 무관한 내용이 서술되어 있다. 그것은 왕이 지녀야할 덕목을 열거해 놓은 것이다. 그러므로 이 부분에 착안하여 왜『 해동제국기』를 썼느냐에 질문을 하고, 그에 대한 답변을 함으로 신숙주의 충(忠)의 단면을 밝혀 낸 것이다. This paper examines the loyalty of Shin Suk-ju who has been recognized by many as a traitor and has long been described as such in Korean novels or dramas for not supporting King Danjong. This was largely due to『Yuk-Sin-Jeon』 by Nam Hyo-on where he commented that Shin Suk-ju did not stand by King Danjong’s side. Shin Suk-ju became a byword for betrayer as motivated by『Yuk-Sin-Jeon』 and frequently appeared in a novel, movie or TV drama in order to disparage the spirit of the Joseon people. When King Seonjo discovered『Yuk-Sin-Jeon』 in 1576, he criticized its errors at Gyeongyeon. However, it was identified that all the errors King Seonjo pointed out were deleted from『Yuk-Sin-Jeon』 published in 1577, the only publication discovered to the current generation as part of Chu-Gang-Jip. If what was criticized in the first publication were all adapted and re-published, the book can be considered as a forgery. Meanwhile, Shin Suk-ju’s loyalty to the King can be found in his book Haedong Chegukki where he enumerated virtues for a king to keep. According to volume 102 of Sejong Chronicles, it was evident that a private report by Byun Hyo-mun to King Sejong after he came back from Japan was reported during the reign of King Sejong. Therefore, it does not make sense to say Haedong Chegukki was written as a private report 28 years later, during the reign of King Sungjong. Based on these findings, this paper discloses loyal aspect of Shin Suk-ju by reviewing Haedong Chegukki.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