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후보
      • KCI등재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Human Resources Opportunity Index (HROI)

        나일주(Rha Ilju),허유성(Heo Yusung),이예경(Lee Yekyung),홍영일(Young-il Hong) 한국방송통신대학교 미래원격교육연구원 2009 평생학습사회 Vol.5 No.2

        With increased exchange of human resources (HR) among countries, there has emerged an urgent need to identify the quality of HR in each country and to compare it with that of other countries from a global perspective. Developing an index which can be used both as a tool to identify the quality of HR at a national level and to make cross‐national comparisons would be an effective way to address this need. In order to accurately assess a nation‘s current state of the quality of its HR, the index should cover not only intellectual abilities of its HR but also their communication skills, attitudes and values, and other aspects. At the same time, the index should reflect features of today’s globalized labor environment to promote cross‐national comparisons. The present study is an attempt to meet global needs for such an index. The study consists of two parts: the first part comprises the development of an index which can assess the quality of a nation’s HR from a global perspective and the second part applies the index in measuring the quality of HR in 55 nations in pursuit of cross‐national comparisons. The index is named as the Human Resource Opportunity Index (HROI). To develop the index, well‐established existing indexes including the Digital Opportunity Index, the Growth Competitiveness Index, the Human Development Index, and the World Competitiveness Yearbook Index were extensively analyzed with regard to conceptual frameworks, specific measurement indicators and development procedures. Based on the analysis, HROI indicators were created and reviewed by experts in human resource development and training. The revised HROI indicators were then sent to a group of researchers in the HR field for confirmation. As a result, nine indicators in three categories were identified. This index was then applied to identify the HR opportunities of 55 nations. Quantitative data on the indicators were collected from official documents of several international organizations and governments and used to calculate the HROI of 55 countries. Using these HROI indices, cluster analysis was performed to identify major factors influencing the index scores, and correlat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concurrent validity of the index. The results demonstrated that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and overall productivity were the most influential indicators for HROI values. The concurrent validity was secured by the high correlations between HROI and other indices; GCI(.78), HDI(.80), and WCYI(.80). It is concluded that the HROI is a reliable and valid tool for measuring a nation's quality of HR.

      • KCI등재

        한국 현직교사들의 ICT 리터러시 구성요인 및 구조 연구 : 일반적 인지능력과 기술능력의 관계를 중심으로

        나일주 ( Il Ju Rha ),이지현 ( Ji Hyun Lee )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 2009 교육정보미디어연구 Vol.15 No.4

        교사들이 수업에서 ICT를 활용하는데 필요한 능력을 어떻게 규정하느냐의 문제는 교사 대상 ICT 활용 연수 프로그램의 구성에 중요한 문제 일뿐만 아니라, 학생들의 ICT 문해교육에 또한 큰 영향을 미치는 요소가 된다. 그동안의 연구들은 교사들의 기술능력을 ICT 관련 능력의 주요 구성요소로 보아왔었다. 그러나 최근의 정보기술은 교사의 기술능력과 수업을 통합하는 것이 용이하도록 하여주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는 교사의 ICT 능력을 일반적인 인지능력과 분리하여 보는 것 보다는 이들을 통합하여 보는 관점의 전환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현직 교사들의 ICT 관련 능력을, 기술능력과 일반적인 인지능력 모두 고려한 상태에서 그 구성요소와 요소간의 관계를 밝힘으로서 보다 합리적인 교사 교육의 방향을 설정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연구대상은 국내 9개 초등, 중등 교사 251명이었다. 연구방법은 그들의 기술능력과 인지능력에 대한 자기효능감을 측정하여 요인분석을 실시하고, 두 능력간의 구조와 관계를 모형화하여 다시 확증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한국 현직 교사들의 ICT 리터러시의 구조는 ① 일반인지능력과 ② 기본적 ICT 능력, ③ 수업을 위한 ICT 활용능력, ④ 수업 외 업무를 위한 ICT 활용능력으로 구성된 것으로 나타났다. 내부 구조에서 각 요인별로 중요한 요인을 하나씩만 든다면 각각 ① 문제해결 과정 성찰능력, ② 파일 및 폴더 관리 저장 능력, ③ 프레젠테이션 소프트웨어 및 ④ 스프레드시트 활용능력이었다. 기술능력과 일반인지능력 간의 관계는 서로 통합적인 능력이 아닌, ICT 관련 능력을 구성하는 서로 독립적인 능력이라는 결과가 도출되었다. The components and the structure of teachers` ICT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literacy is an important concern not only for teacher training curriculum and its effectiveness but also school pedagogy. Previous studies have regarded technical capabilities as a main component of teachers` ICT literacy; however, they didn`t recognize the importance of teachers` general cognitive capabilities.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scribe the structure of teachers` ICT literacy from the blended perspective of general cognitive and technical capabilities. This research has tried to depict (1) self-efficacy levels, (2) components, (3) structure, and (4) relationships of technical and general cognitive capabilities. Participants were 251 Korean in-service teachers from 9 elementary and middle schools. In order to create a model of teachers` ICT literacy, their self-efficacy of both capabilities were measured and analyzed by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fter modeling the structures and relationships of the elements,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was performed. As a result, the ICT literacy turned to be composed of (1) general cognitive capabilities, (2) basic ICT capabilities, (3) ICT capabilities for teaching, and (4) ICT capabilities for general school work in addition to instructional usage. It was also found that general cognitive and technical capabilities were two independent areas of ICT-related capabilities.

      • 모바일 학습 전달매체로서의 스팻(SPAT)포맷의 잠재력과 가능성

        나일주 한국교육공학회 2016 한국교육공학회 학술대회발표자료집 Vol.2016 No.2

        텍스트와 오디오 비쥬얼은 교육의 내용을 전달하는 주요 수단으로서의 확고한 위치를 점하고 있다. 인쇄술의 발전과 전기의 발명 이래로 이들은 책과 각종 문서의 형태로, 영화, 필름스트립, 슬라이드쇼, 비디오 등의 AV 자료의 형태로 교육컨텐츠를 담아내고 또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해 왔다. 컴퓨터와 디지털 기술의 발전은 이들에게 새로운 역할을 부여하였으며 이들은 각각 이북이나 웹페이지, 스트리밍 비디오나 웹이미지 등으로 다양한 형태를 띠며 분화하고 다양화 되고 있다. 여기에 더하여 유무선 통신기술의 발전은 디지털 자료에 대한 접근 가능성을 확대하고 모바일 학습을 가능하게 하고 있으며 현재의 교육적 관심은 모바일 스마트 교육에 집중되고 있다. 대개의 모바일 학습은 무선 온라인의 스트리밍 방식의 기술적 의사소통을 전제로 하며 또한 스트리밍 비디오라는 정형화된 기술이 활용되고 있다. 이러한 방식은 항시적인 네트웍 접속을 전제로 한다는 약점을 가지게 되며 설령 자료를 다운로드할 수 있도록 허락한다 하여도 그 용량이 거대하여 학습자에게 부담이 된다. 여기에서 학습자에게 부담이 되지 않고, 항시적인 온라인을 가정하지 않으면서도 학습컨텐츠를 효과적으로 전달 할 수 있는 매체에 대한 필요성이 제기된다. 이 발표는 스팻포맷 이라는 컨텐츠 구성을 위한 기술적 포맷의 교육컨텐츠 전달매체로서의 잠재력과 가능성을 살펴보는 것이다. 스팻포맷이란 한개의 정지이미지(Still Picture)와 여기에 대응하는 하나의 오디오(Audio)와 하나의 텍스트(Text)를 병렬적으로 통합하여 하나의 장면을 구성하고 이들 장면들을 복수로 연결함으로써 한 단위의 컨텐츠를 구성하는 디지털 환경에서의 컨텐츠제작과 공유를 위한 기술적 포맷을 말한다. 이 포맷에서는 하나의 장면에서 시청각의 각 요소를 구성하는 텍스트, 오디오, 이미지가 각각 독립적으로 취급될 수 있게 됨으로써 각 요소의 양과 질을 자유롭게 조절하거나 대치하거나 업데이트하는 것이 용이하게 된다거나 컨텐츠를 담아내는데 소요되는 자원이 적게드는 등의 잇점이 있게 된다. 과연 이러한 포맷이 교육적 컨텐츠를 전달하는 데에 어떠한 잠재력과 가능성을 가질 수 있을 것인가? 또 학습자들은 이러한 포맷에 대해 어떠한 반응을 보일 것인가? 이 발표는 두 부분으로 이루어진다. 하나는 스팻포맷이 가질 수 있는 가능성과 잠재력에 대해 선행문헌을 통한 이론적 검토와 논리적 탐색이다. 또 하나는 지난 한 해동안 대학의 강의실에서 이를 활용해 본 경험에 대한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