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아태지역 항공 산업과 항공안전관리 체계 개선에 관한 연구

        김휘양,유광의 한국항공경영학회 2018 한국항공경영학회지 Vol.16 No.6

        The rate of aircraft accidents in the region seems to be relatively lower than other regions. considering the air traffic flow. However, there is a need of improvement in the aspect of preventive safety management based on data. Considering the importance of data for preventive management of aviation safety, this paper suggests to arrange an infrastructure for data collection, and establish a data-based decision making system that is equivalent to that of advanced region with advanced statistic and mathematical analysis. 본 논문은 항공교통 수요가 급속도로 증가하면서 항공안전확보가 주요 이슈로 떠오른 아태지역의 항공교통 현황과 전망 및 항공안전관리체계를 개괄하고, 현상 진단을 근거로 항공안전관리체계의 개선방안을 찾아보는 것이 주요 연구 목표이다. 아태지역은 항공교통량을 기준으로 할 때, 항공사고 발생률이 다른 지역에 비해 낮은 것으로 보이나, 데이터 기반의 사전적 안전관리 측면에서 개선 필요성과 항공안전의 사전적 관리를 위한 데이터의 중요성을 고려하여, 데이터 수집을 위한 기반을 마련하고, 고급 통계와 수학적 분석으로 선진 지역과 동일한 수준의 데이터 기반 의사결정체계를 확립할 것을 제안한다.

      • KCI등재

        정밀접근활주로 등급 상향에 따른 편익산정에 관한 연구

        김휘양,권필제,박장훈,백호종 한국항공운항학회 2019 한국항공운항학회지 Vol.27 No.3

        The effects of weather on aircraft operations are predominant. In particular, severe weather, such as fog, strong winds, rainfall and snow, can cause delays, diversion or cancellation of operations. Of these, fog is considered the main reason for restricting aircraft operations. Meanwhile, Precision instrument approach using instrument landing system(ILS) has allowed aircraft to land safely even in situations where visibility is limited. However, the precision instrument approach require not only the performance of the aircraft but also the enhancement of the runway. In November 2018, Gimpo international Airport raised the category of the runway 14R from CAT-IIIa to CAT-IIIb to improve aviation safety and operational efficiency. Based on this, the research presented a methodology for estimating benefits according to the category upgrade of the precision approach runway, and estimated the benefits to Gimpo International Airport based on the methodology presented.

      • KCI등재

        장애물 제한표면과 항공학적 검토방법의 제도 개선에 관한 제언

        김휘양,전종진,유광의 한국항공우주정책⋅법학회 2019 한국항공우주정책·법학회지 Vol.34 No.1

        Along with Annex 14 Volume I establishment in 1951 and the set-up of restriction surface around the runway, aeronautical technique and navigation performance achieved dazzling growth, and the safety and precision of navigation greatly improved. However, restrictions on surrounding obstacles are still valid for safe operation of an aircraft. Standards and criteria for securing safety of aircraft operating around and on airport is stated in Annex 11 Air Traffic Services and Annex 14 Aerodrome etc. In particular, Annex 14 Volume I presents the criteria for limiting obstacles around an airport, such as natural obstacles such as trees, mountains and hills to prevent collisions between aircraft and ground obstacles, and artificial obstacles such as buildings and structures. On the other hand, Annex 14 Volume I, in the application of the obstacles limitation surfaces, apply the exception criteria, as it may not be possible to remove obstacles that violate the criteria if the aeronautical study determines that they do not impair the safety and regularity of aircraft operation. Aeronautical study has been applied and implemented in various countries including United States, Canada and Europe etc. accordingly, Korea established and amended some provisions of the Enforcement rules of the Aviation Act and established the Aeronautical study guidelines to approve exceptions. However, because ICAO does not provide specific guidelines on procedures and methods of Aeronautical study, countries conducting aeronautical study have established and applied their own procedures and methods. Reflecting this realistic situation, at the 12th World Navigation Conference and at the 38th General Assembly, the contracting States demanded a reexamination of the criteria for current obstacle limitation surfaces and methods of aeronautical study, and the ICAO dedicated a team of experts to prepare new standard. This study, in line with the movement of international change in obstacle limitation surface and aeronautical study, aims to compare and analyze current domestic and external standards on obstacle limitation and height limits, while looking at methods, procedure and systems for aeronautical study. In addition, expecting that aeronautical study will be used realistically and universally in assessing the impact of obstacles, we would recommend the institutional improvement of the aeronautical study along with the development of quantitative analysis methods using the navigation data in the current aeronautical study. 1951년 부속서 14, 제1권의 제정과 함께 활주로 주변의 제한표면이 설정된 이후, 항공기술과 항법 성능은 눈부신 성장을 이루었으며, 이를 통한 항행의 안전성과 정밀성은 크게 향상되었다. 그러나, 항공기의 안전한 비행을 위한 주변 장애물에 대한 제한은 변함없이 유지되고 있다. 공항과 주변을 비행하는 항공기의 안전확보를 위한 표준과 기준에 대해서는 부속서 11, 항공교통업무(Annex 11, Air Traffic Services)와 부속서 14, 비행장(Annex 14, Aerodromes) 등에서 명시하고 있다. 특히, 항공기와 지상 장애물의 충돌방지를 위한 수목ㆍ산악ㆍ구릉 등 자연장애물과 건축물ㆍ구조물 등의 인공장애물 등 공항 주변 장애물의 제한에 대해서는 부속서 14, 제1권에서 그 기준을 제시하고 있다. 반면, 부속서 14, 제1권은 장애물 제한표면의 적용에 있어, 항공학적 검토를 통해 항공기 운항의 안전과 규칙성을 저해하지 않는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기준을 위배하는 장애물을 제거하지 않을 수 있다고 하여 예외 기준을 적용하고 있다. 항공학적 검토는 미국, 캐나다 및 유럽 등 여러 국가에서 도입ㆍ시행하고 있었으며, 이에 따라 우리나라는 2008년 5월, (舊)항공법 시행규칙의 일부 조항을 신설 및 개정하고, 항공학적 검토지침을 제정하여 예외적 사항을 인정하게 되었다. 그러나, ICAO는 항공학적 검토에 관한 절차와 방법에 대해 구체적 지침을 제공하지 않고 있어 항공학적 검토를 시행하는 국가는 자체적인 절차와 방법을 마련하여 적용하는 실정이다. 이러한 현실적 상황을 반영하듯이, 제12차 세계항행회의와 제38차 총회에서 체약국은 현행 장애물 제한표면에 관한 기준과 항공학적 검토의 방법에 대한 재검토를 요구하였으며, ICAO는 관련 전담팀을 구성하여 새로운 기준 마련에 착수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장애물 제한표면과 항공학적 검토에 관한 국제적 변화의 움직임에 맞추어, 현행 장애물 제한표면과 높이 제한에 관한 국내ㆍ외 기준을 비교ㆍ분석하는 한편, 항공학적 검토에 관한 방법과 절차 및 제도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아울러, 장애물의 영향성을 평가함에 항공학적 검토가 현실적이고 보편적으로 활용될 것으로 예상하는바, 현행 항공학적 검토에 항적 자료를 활용한 정량적 분석방법의 개발과 함께 항공학적 검토의 제도적 개선을 제언하고자 한다.

      • KCI등재

        거시적 방법에 의한 공역 섹터 수용량 산정에 관한 연구(인천 ACC(Area Control Center) 북부섹터를 사례로)

        김휘양,박장훈,이승준,윤석재,백호종 한국교통연구원 2019 交通硏究 Vol.26 No.1

        As the global air transportation market continues to expand and develop, the importance of systematic management and efficient operation of airspace has been emphasized.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present the method and result of estimating the capacity of airspace which is an essential element for efficient management of airspace as well as the effective Air Traffic Flow Management(ATFM). In this study, the Schmidt model(1976) based on the controller’s work-load is selected and the air traffic control voice data and radar trajectory data are analyzed as variables for reflecting the real situation. Finally, the result of this study is compared with the results of previous studies, directions, and methods for future airspace capacity studies are presented. 지속적인 항공교통수요의 증가로 공역의 체계적 관리와 효율적 운영에 대한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공역의 효율적 운영과 항공교통흐름의 체계적 관리는, ‘공역이라는 물리적인 공간 안에서 항공기를 몇 대나 운용할 수 있는가?’라는 질문과 근본적으로 동일한 관점을 공유한다. 즉, 증가하는 항공교통수요를 현재 공역의 용량수준에서 어디까지 감당할 수 있는지 판단해야 한다는 점에서, 본 연구는 기존의 공역(Sector) 수용량 산정 방법들을 검토한다. 본 연구는 거시적 모형 중 널리 적용되고 있는 관제사의 업무량(Work Load) 기반 공역(Sector) 수용량 산정 모형인 Schmidt 모형을 공역(Sector) 수용량 산정 방법으로 선정하였다. 모형의 입력 변수로 분석대상 공역의 실제 항적데이터와 항공교통관제 음성테이터를 사용함으로써 모형의 현실성 반영을 기했다. 아울러, 본 연구의 분석결과를 과거 유사연구의 수용량 산정 결과와 비교ㆍ분석하여 향후 공역 수용량 연구에 대한 방향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미시적 방법에 의한 공역 섹터 수용량 산정에 관한 연구(인천 ACC(Area Control Center) 북부섹터를 사례로)

        김휘양,채영두,윤석재,이승준,박장훈,백호종 한국교통연구원 2019 交通硏究 Vol.26 No.1

        The capacity of the airspace is defined as the maximum number of aircraft the air traffic controller can safely control during a given time and is most influenced by the task-load of the controller. The method of estimating the capacity of the airspace can be classified into macroscopic and microscopic methods. The macroscopic method is a method using an calculating formula. It can express the controller's workload as a formula composed of traffic congestion, traffic volume, etc., so that the capacity can be calculated relatively easily because it is easily understood and formulated. However, It is difficult to formulate all the characteristics of complex air traffic. The microscopic method is a simulation-based method. The cost of introducing the simulation is high and it takes a lot of time to analyze. However, it is possible to carry out the most realistic analysis by implementing the flight of the aircraft at a microscopic level. In this study, we propose a new method of estimating the capacity of airspace by estimating the task-load of the air traffic controller using the TAAM simulation model. The model provide us with a tool that can analyze both flight trajectories and controllers’ time spent for securing the separation among flights. Based on the simulation results, the research estimate task-load of the controller in terms of time. 공역 섹터 수용량(이하 공역 수용량)은 항공교통관제사가 주어진 시간동안 안전하게 관제할 수 있는 최대 통과 항공기의 수로 정의된다. 공역 수용량에 가장 큰 영향을 주는 요소는 해당 관제사의 업무량이며, 이러한 이유에서 공역의 수용량은 관제사의 업무량을 기반으로 산정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공역 수용량 산정방법은 크게 거시적 방법과 미시적 방법으로 구분할 수 있다. 거시적 방법은 항공기간 잠재적 충돌, 교통량 등을 변수로 사용한 수식을 통해 관제사의 업무량을 계산하고, 그 업무량이 한계치에 도달하는 교통량을 해당 공역의 수용량으로 결정하는 방법이다. 이에 반해, 미시적 방법은 시뮬레이션(Fast-time Simulation)을 활용하는 방법으로, 항공기 운항성능에 따른 각 항공기의 위치 및 항공기간 상대위치를 매 순간 계산하고, 이에 따른 관제사의 업무 및 해당 업무량을 추정하여 해당 공역의 수용량을 산정하는 방법이다. 거시적인 방법은 교통상황에 따른 업무량을 단순화함으로서 수용량을 빠르게 산정할 수 있으나, 복잡한 항공교통 흐름의 특성을 세부적으로 수식화하기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특히, 과거 항적자료를 활용하는 거시적 방법의 경우 항로 또는 공역구조가 변경될 경우 이에 대한 공역수용량 산정이 불가능한 단점이 있다. 미시적 방법은 시뮬레이션 구축에 상대적으로 더 많은 시간과 비용이 소요되나 항공기의 운항을 미시적 수준으로 구현함으로서 다양한 상황에 대한 보다 현실적인 분석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시뮬레이션 모형 가운데 하나인 TAAM (Total Airspace and Airport Modeller)을 활용한 미시적 방법에 의한 공역 수용량 산정 과정과 우리나라 북부섹터에 적용한 분석결과를 제시하고자 한다.

      • KCI등재

        항공사 운항 정시성 산정기준에 관한 연구: 출발지연을 중심으로

        김휘양,윤지성,송하영,백호종 한국교통연구원 2019 交通硏究 Vol.26 No.3

        In effort to maintain the fair and sound aviation market, government has been assessing the performance of airlines. Among others, on-time performance is one of the major measurements used for assessing the operational capability of the domestic airlines. However, definition and method currently adopted for measuring the on-time performance are quite distinct from those that are internationally adopted. This paper explains the discrepancy in detail and then suggests a practical way to overcome the gap. In addition, it was observed that the flights flown through congested air routes tend to experience extra departure delays. Motivated by the fact, we also propose a nobel way to for compensate the flight delays imposed by Air Traffic Control (ATC) purpose such as Flow Management (ATFM). Flight delays and on-time performances resulted from the methods are provided together with results from statistical tests that compare on-time performances of three airlines that are selected. The proposed method is potentially contribute to assessment of the on-time performance of airlines in a more reasonable and internationally adopted way. 정부는 공정하고 건전한 항공시장환경 조성을 위해 항공사의 역량을 정량적으로 평가하려는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이러한 노력의 하나로 항공사의 운항 정시성은 항공교통서비스 평가의 일부 항목으로 반영되고 있으며, 운수권 배분을 위한 평가 기준으로 활용되고 있다. 그러나, 정작 항공기 운항 정시성 산정기준이 국제기준과 다를 뿐 아니라 항공사와 국가 기준의 해석이 다르게 적용되어 실제 적용에 어려움이 있다. 본 연구는 운항 정시성 산정기준 및 산정방법에 대한 해외 및 국내 사례를 비교하고, 보다 객관적이며 합리적인 정시성 산정을 위한 구체적인 방법을 제안한다. 출발항공기의 경우 현재 적용되고 있는 ‘활주로 이륙시각 ’대신 주기장을 출발하는 ‘Off-Block 시각’을 기준으로 예정출발시각보다 15분 이상 지연되는 경우를 출발지연 항공기로 분류할 것을 제안한다. 아울러, 15분 이상 출발지연 항공기 중, ATFM과 같은 항공교통관제 지시에 의한 지연량을 보정하는 방법을 제안하며, 이에 대한 구체적인 산정방법 및 결과를 예시로 설명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항공사 입장에서 책임지기 어려운 지연요인을 제외하면서도 결과값에 대해 이해당사자 모두 타당하게 받아들여질 수 있는 운항 정시성 산정기준을 제시함으로써 항공 산업의 공정성을 증대하고자 하는 최근 경향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KCI등재

        항공사고 피해자 가족지원 제도개선 연구

        전종진,김휘양,유광의 한국항공우주정책⋅법학회 2018 한국항공우주정책·법학회지 Vol.33 No.2

        In the event of an air accident, the media and members of the general public pay attention to the victim of the accident and are deeply concerned about their actions and rewards. However, through the accident of Air China(CCA) Flight 129, which occurred in 2002, we were able to confirm that it is a real problem that the victims of the air accident as well as the victims suffer much suffering and serious aftermath. Nevertheless, Korea's system for assistance the families of victims of air accident is very poor. On the other hand, when Trans-World Airlines(TWA) Flight 800 exploded and crashed over the Atlantic Ocean in 1996, the United States enacted a law to assistance the families of the victims of the accident. According to this law, systematic assistance and management of not only the victims of the accident but also their families, minimize the additional damage of victims and victims' families and help them to get rid of the accident after the accident. In particular, the measures taken by the US authorities in response to an accident in which an Asiana Airlines flight(AAR) 214 crashed during a landing at San Francisco International Airport in 2013, made a lot of suggestions for us to assistance the victims and their families in an air accident .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uggest the necessity of improving the system for victims and victim's family assistance in air accident. In this paper, we analyze the domestic and foreign legal systems and related cases in past accidents, identify the deficiencies of the Korean system, and derive the necessity to improve the related system. It is also important to make sure that victims' families are relieved from early psychological and economic shocks and that the results of accident investigations are reliable. Relevant ministries, airlines, and related agencies should recognize that prompt and systematic assistance and cooperation is needed to ensure that victims and families are relieved of the impact and confidence in the investigation, as is the case in the United States. In addition, efforts should be made to supplement the related laws for the assistance of aircraft victims and victims' families, to establish manuals for implementation, to plan and to implement them promptly in the event of an accident. To achieve this,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regulations for the legal institutionalization of the roles and responsibilities of national and state agencies on victims of aviation accidents and family assistance. And the victim and family assistance plan that the airline has to submit to it, as specified in the current law, need to specify that item. In addition, new and supplemented contents should be integrated into a single clause or proposed as a separate special law for the purpose of applying a clear law. 항공사고가 발생하게 되면 언론과 일반사회 구성원들은 사고로 인한 피해자에 주목하고 그들에 대한 조치나 보상에도 깊은 관심을 갖게 된다. 하지만, 지난 2002년 발생한 중국국제항공(CCA) 129편의 사고를 통해 우리는 항공사고로 인한 피해자 못지않게 그 가족들 또한 많은 고통을 받으며 심각한 사고 후유증을 겪는다는 현실적인 문제임를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럼에도 항공사고 피해자 가족에 대한 지원에 대한 우리나라의 관련 제도는 매우 빈약하다. 이에 반해 1996년 트랜스월드항공(TWA) 800편이 대서양 상공에서 폭발, 추락한 사고를 계기로 미국에서는 항공사고 피해자의 가족들을 지원하기 위한 법을 제정하였다. 그리고 이 법에 따라 항공사고 피해 당사자뿐만 아니라 그들의 가족들에 대한 체계적인 지원과 관리를 통해 피해자와 피해자 가족들의 추가적인 피해를 최소화 하고 조기에 사고 후유증으로부터 벗어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다. 특히 2013년 아시아나항공(AAR) 214편이 미국 샌프란시스코 국제공항 착륙 중 추락한 사고에서 미국의 관련 당국이 이러한 법제에 따라 보여준 조치는 우리에게 항공사고에서의 피해자와 그 가족에 대한 지원에 대해 많은 시사점을 보여주고 있다. 이에 이 논문에서는 항공사고에서의 피해자와 피해자 가족 지원에 대한 제도개선의 필요성을 제언하고자 국내·외 관련 법제 체계와 과거 사고에서의 관련 사례를 분석하여 우리나라 제도의 부족한 점을 확인하였고, 관련 제도개선의 필요성을 도출하였다. 항공사고의 수습에서는 사고 피해자에 대한 금전적 피해보상도 중요하지만, 사고 피해자의 가족이 정신적·경제적인 충격으로부터 조기에 벗어나고 사고조사 결과에 대해 신뢰할 수 있도록 하는 것도 중요하다. 피해자 및 가족이 충격에서 벗어나고 사고조사를 신뢰하는 데에는 미국의 경우와 같이 그들에 대한 신속하고 체계적인 지원과 협조가 절실히 요구됨을 관련 정부부처와 항공사 및 유관기관에서는 인식하여야 한다. 그리고 항공기 사고 피해자 및 피해자 가족에 대한 지원을 위한 관련 법률의 보완, 실행 매뉴얼 제정, 계획 수립 및 사고 발생 시 신속한 이행을 위해 노력하여야 할 것이다. 이를 위해 항공사고 피해자 및 가족 지원에 대한 국가와 국가기관의 역할과 책임의 법적 제도화를 위한 규정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그리고 현행 법률에 명시된 항공사가 제출하여야 하는 피해자 및 가족 지원계획은 그 항목을 구체화할 필요가 있다. 추가하여 신설 및 보완된 내용은 명확한 법 적용을 위해 기존 법률에 단일 조항으로 통합하거나 별도의 특별법으로 제정하는 방안도 제안해 본다.

      • KCI등재

        클러스터링 기법을 활용한 출발 여객 체류 시간 분석

        안덕배,김휘양,백호종 한국항행학회 2019 韓國航行學會論文誌 Vol.23 No.5

        This paper is concerned with departure passengers’ dwell time analysis using real system data. Previous researches emphasize the importance of dwell time analysis from perspective of airport terminal planning and non-aeronautical revenue. However, short-term airport operation using passengers’ dwell time is considered impossible due to absence of passengers’ behavior data. Recently, in accordance with the wave of smart airport, world leading airports are systematically collecting passenger data. So there is high possibility of analyzing passengers’ dwell time with the data stacked in the airport database. We conducted dwell time analysis using data from Incheon Int’l airport. In order to handle passenger data, we adapted clustering algorithm which is one of data mining techniques. As a clustering result, passengers are divided into 3 clusters. One is the cluster for passengers whose dwell time is relatively short and who tend to spend longer time in the airside. Another is the cluster for passengers who have near 3 hours dwell time. The other is the cluster for passengers whose total dwell time is extremely long. 본 연구는 실제 공항에서 수집되는 여객 데이터를 활용하여 공항 내 여객의 체류 시간을 분석한 연구이다. 여객의 체류 시간은 공항 터미널 설계, 공항의 수익성에 영향을 주어 중요한 여객 특성으로 간주되어 왔지만 실제 여객 데이터 수집의 어려움으로 그에 대한 분석이나 실시간 공항 운영에 활용하기가 어려웠다. 하지만 스마트 공항의 일환으로 세계 유수의 공항에서 방대한 양의 여객 데이터를 수집하고 있고, 축적된 데이터를 활용하여 공항 내 여객 체류 시간 분석이 가능해졌다. 본 연구에서는 인천 국제 공항에서 수집된 여객 데이터를 활용하여 여객 체류 시간 분석을 수행하였으며, 방대한 양의 자료를 효율적으로 처리하기 위해 데이터 마이닝 기법인 클러스터링을 활용하여 여객을 체류 시간에 따라 구분하였다. 분석 결과 인천 국제 공항 출발 여객은 체류 시간에 따라 1) 체류 시간이 짧고 대부분의 시간을 에어사이드에서 보내는 여객, 2) 평균 3 시간 정도의 체류 시간을 갖는 여객, 3) 총 체류 시간이 압도적으로 긴 여객 등 크게 3 개의 클러스터로 구분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도심항공교통(UAM) 운항을 위한 안전 경고 기능 구축

        최상일,남승연,김휘양 한국항행학회 2024 韓國航行學會論文誌 Vol.28 No.2

        기존 항공교통관리 (ATM; air traffic management) 체계에서는 항공기 위치 및 세부 운항 정보와 함께 항공기 운항의 안전성을 보장하기 위하여 다양한 형태의 안전 경고 기능을 항적 정보를 기반으로 함께 제공한다. 도심항공교통(UAM; urban air mobility)을 대상으로 한 도심항공교통관리(UATM; urban air traffic management) 체계에서도 UAM 운항의 안전성을 보장하기 위한 안전 경고 기능이 제공되어야 한다. UAM의 운항 환경을 고려하였을 때 기존 ATM 체계에서 준용하는 수준과 동등한 또는 더 높은 수준의 안전 경고 기능이 제공되어야 한다. 본 연구는 UAM 도입 및 상용화 단계에 앞서 기존 ATM 체계에서 제공하는 안전 경고 기능과 다른 새로운 UATM 체계의 안전 경고 기능을 제시하고자 한다. UAM의 경로 이탈 발생 시 제공되어야 하는 안전 경고 기능을 중심으로 연구를 진행하였으며 접근 단계에서 적용되는 APM (approach path monitor) 및 순항 단계에서 적용되는 RAM (route adherence monitoring) 두 가지 부분으로 나누어 안전 경고 기능 구축을 진행하였다. In the existing air traffic management (ATM) system, various types of safety alert features are provided based on trajectory data to ensure the safety of aircraft operations, along with aircraft position and detailed flight information. The urban air traffic management (UATM) system for urban air mobility (UAM) should also provide safety alert features to ensure the safety of UAM operations. Considering the operational environment of UAM, it is necessary that the safety alert features provided at least match or exceed those available in the existing ATM system. This study aims to present the safety alert features of the new UATM system that differ from those provided by the existing ATM system before introduction and commercialization of UAM. The study was conducted focusing on the safety alert features that should be provided in the event of a deviation from the UAM's path, and the establishment of the safety alert features was carried out in two parts: approach path monitor (APM), which is applied during the approach phase, and route adherence monitoring (RAM), which is applied during the cruise phas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