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ESI-MS/MS를 이용한 아실카르니틴과 아미노산의 정량분석

        김호현,한상범,윤혜란,Kim, Hohyun,Han, Sang-Beom,Yoon, Hye-Ran 한국분석과학회 2001 분석과학 Vol.14 No.5

        본 연구에서는 ESI-MS/MS를 이용해 혈액내에서 아실카르니틴과 아미노산을 신속하게 정량분석하는 방법을 개발하였다. 아실카르니틴과 아미노산은 3N butanolic hydrogen chloride를 사용하여 유도체화 과정을 거친 뒤 이중질량분석기로 분석하였다. 아실카르니틴은 precursor 85 ion scan을 사용하여 분석하였고, 아미노산들중 알라닌, 발린, 루신/이소루신, 메티오닌, 페닐알라닌, 타이로신, 아스파르트산, 글루탐산 등은 neutral loss 102 scan, 오르니틴과 시트롤린은 neutral loss 119 scan, 글리신은 neutral loss 56 scan, 아르기닌은 neutral loss 161 scan 그리고 아르기니노석시닉산은 product ion 459 scan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이 방법은 일반적인 액체 크로마토그래피나 아미노산 분석기에 비해서 시료의 전처리가 비교적 간단하며, 높은 감도와 좋은 재현성을 보여주었다. In this study, a new quantitative analytical method has been developed for the rapid determination of acylcarnitines and amino acids in human blood using electrospray ionization / tandem mass spectrometry (ESI-MS/MS). Acylarmitines and amino acids were analyzed by tandem mass spectrometry after conversion to their butylesters through treatment with 3N butanolic hydrogen chloride. Acylcrnitines were analyzed using precursor 85 ion scan and alanine, valine, leucine/isoleucine, methionine, phenylalanine, tyrosine, aspartic acid and glutamic acid were analyzed using neutral loss 102 scan, ornitine and citrulline were analyzed neutral loss 119 scan, glycine was analyzed using neutral loss 56 scan, arginine was analyzed using neutral loss 161 scan and argininosuccinic acid was analyzed product ion 459 scan. This method reduced sample preparation time compared to that with conventional amino acid analyzer and liquid chromatography, with high sensitivity and good reproducibility.

      • KCI등재

        대표이사의 주식소유비중과 주가급락위험

        김호현(Hohyun Kim) 한국자료분석학회 2020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Vol.22 No.6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상장기업을 대상으로 대표이사의 주식보유가 주가급락위험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다. 대표이사가 주주보다 자신의 이익을 위하여 정보를 통제하는 경우 결국엔 주가급락이 발생할 수 있다. 실증 분석 결과, 대표이사의 주식소유비중이 높을수록 주가급락위험이 높아지는 현상을 발견하였다. 특히, 대표이사가 가족경영인인 경우 주식소유비중과 주가급락의 관계가 유의하게 나타났지만, 전문경영인인 경우 유의한 관계가 나타나지 않았다. 지배주주의 감시하에 있는 전문경영인과 달리 가족경영인은 더 쉽게 정보를 통제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한편, 사외이사비율이 50% 미만인 기업에서 정보 통제가 나타난 반면, 사외이사비율이 50% 이상인 기업에서는 관련 증거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를 통해 사외이사의 감시 효과를 간접적으로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대표이사의 주식소유비중과 주가급락위험간의 관계를 우리나라 표본으로 재확인하여 기존 연구의 실증 결과를 확장하였으며, 우리나라 특성에 맞게 가족경영인과 전문경영인을 구분하여 새로운 증거를 제시하였다. 또한, 사외이사제도의 추가적인 강화를 지지하는 증거를 발견하여 정책적 함의를 갖는다. This study examines whether a CEO’s stock ownership influences stock price crash risk. By using the sample of Korea, results show that stock price crash risk increases with the CEO’s ownership. It suggests that Korean CEOs are more likely to control negative information not being exposed to the public as they have greater stock ownership. More importantly, the effect of CEO ownership on stock price crash risk is not found for professional CEOs, but found for family CEOs. Moreover, when board independence is greater than or equals to 50%, such an effect is limited as outside directors preform monitoring role. Overall, this study contributes to the meager literature on the association between managerial ownership and stock price crash risk. It also implies that policy makers should consider board independence as an effective tool to enhance monitoring function.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여성 육군사관생도의 군대사회화 연구: 토픽 모델링 분석

        김인수 ( Kim Insoo ),성기은 ( Sung Kieun ),황원준 ( Hwang Won-june ),조선웅 ( Cho Sunwoong ),김호현 ( Kim Hohyun ),조원선 ( Cho One-sun ) 국방대학교 안보문제연구소 2021 국방연구 Vol.64 No.1

        본고는 육군사관학교 여성 사관생도들이 군대사회화 과정에서 군대문화의 어떠한 규범과 가치를 먼저 체득하게 되는지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1998년 최초로 육사에 입학한 여성 사관생도들이 작성한 수기 43건을 분석하였다. 토픽 모델링 분석결과 4개의 주제를 식별할 수 있었는데, 이러한 주제들은 상호존중과 협력, 책임과 용기 등 육군 장병들이 공통적으로 선호하는 가치와 관련된 경험을 다루고 있었다. 본고는 분석자료, 이론 및 방법론적으로 중요한 함의를 갖는다. 첫째, 지금까지 장병들이 작성한 자연어 자료를 사회과학적으로 분석하려는 시도는 많지 않았다. 1998년 육사에 최초로 입학한 여성 사관생도들은 여성이 전혀 존재하지 않았던 생도 문화에 적응해야 했다. 이 과정에 대한 기록은 군대 사회화를 연구하기 위한 학술자료로 중요한 가치를 갖는다. 둘째, 이론적인 측면에서 여군 연구는 군대문화의 하위문화와 여군의 상호작용을 분석하는데 치우친 경향이 있다. 본고는 여군들이 여성 정체성 보다 육군 정체성을 우선한다는 사실을 밝혀 여군이 여성이 아니라 육군 구성원으로 군대 조직에 통합되는 과정에 대한 이론적 논의의 필요성을 제기하였다. 셋째, 기존의 여군연구는 설문조사 및 심층 인터뷰 등 특정 연구방법에 의존하는 경향이 있었다. 그러나 인간 내면에 작용하는 문화에 대한 연구를 위해서는 새롭고 다양한 연구방법의 적용이 필요하다. 토픽 모델링 분석을 활용한 본고의 연구방법은 다른 군대문화 연구에서도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examines what cultural values or norms of the military organization female cadets in the Korea Military Academy would internalize through the military socialization process. For this purpose, this study analyzed 43 memoirs that first female cadets who entered the Korea Military Academy in 1998 wrote. Significant findings go as follows. The results of the topic modeling analysis showed that the core values of the Army, in particular, cohesion, courage, and responsibility dominated the thinking and behavior of female cadets. The memoirs had these four topics, which could adequately reflect how sensitive they were to being judged by those cultural values of the Army. Findings give the implication that we need more empirical research on the subcultures in which female officers build their identity as a soldier.

      • KCI등재

        주 52시간 상한제 도입 효과 분석 : 실근로시간 및 만족도를 중심으로

        심재선(Jae-sun Shim),김호현(Hohyun Kim) 한국자료분석학회 2021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Vol.23 No.5

        본 연구는 주 52시간 상한제 시행 초기 효과로서 근로자의 실근로시간, 초과근로 비율, 만족도의 변화를 분석한다. 주 52시간 상한제는 근로자들의 과도한 근로시간을 줄여 삶의 만족도를 높이고자 도입되었고, 2019년 4월부터 근로자 300인 이상을 대상으로 부분 적용되기 시작하였다. 대부분의 근로시간 정책과 달리 법정 근로시간을 제한하는 것이 아니라 최장 근로시간을 제한하는 정책으로써, 향후 정책의 효과가 어떻게 나타날지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는 해당정책의 초기 효과 연구로서, 매년 노동자를 추적 조사하는 한국노동패널 자료를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주 52시간 상한제에 적용을 받은 근로자뿐만 아니라 미적용 근로자에서도 실근로시간의 감소 및 초과근로 비율의 감소가 나타났다. 이러한 근로시간 감소 현상은 정책 전의변화 추세보다 유의하게 더 큰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따라서 정책 효과가 적용 및 미적용 근로자 모두에게 나타난 것으로 해석된다. 그러나 실근로시간 단축에도 불구하고 근로자들이 느끼는 만족도가 개선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나 정책의 효과가 제한적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는 초과근로를 제한하는 정책의 초기 효과를 분석한 연구로써 학문적 의의가 있으며 발견된 실증증거들은 향후 개선 및 보완 정책에 관한 함의를 갖는다. This study examines effects of the 52-hour workweek policy on working hours and satisfaction. The 52-hour workweek policy limits weekly working hours not more than 52 hours and it has been effective since 2019 to a subgroup of the firms with 300 or more employees. A difference-in-differences(DiD) method is employed to identify the olicy’s causal impacts. Results show that working hours are decreased for both treatment and control groups and this decrease is significantly greater compared to the previous decreasing trend. Moreover, a reduction in working hours is significant when a firm does not have a labor union. Importantly, we also find that several satisfaction measures related to working hour reduction have not been improved, suggesting more efforts of the government to develop labor policies are necessary to enhance job satisfaction of employees. This study has contribution to the literature as one of the first attempts to analyze effects of the 52-hour workweek policy. It also provides several implications for policymake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