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육군 여군의 계층의식에 관한 연구

        조선웅(Sunwoong Cho) 한국사회학회 2013 韓國社會學 Vol.47 No.4

        본 연구는 여군의 계층의식 및 그 결정요인을 알아보기 위하여 여군 장교, 부사관, 후보생을 대상으로 총 299부의 설문을 실시하였고, 19명을 대상으로 심층면접을 진행하였다. 여군의 계층의식 및 그 결정요인의 명확한 지점을 파악하기 위해 민간여성, ?남군?과 비교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파악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여군의 계층의식은 민간여성, ?남군?보다 높게 나타났다. 둘째 여군 후보생의 계층의식은 그들의 1차 목표라고 할 수 있는 소위 및 하사보다 높게 나타났다. 셋째, 여군의 계층의식 결정에 경제관련 변수, 직업의 연속성 측면에서 의미가 있는 변수들이 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한편, 여군과 비슷한 수준의 민간여성은 ?학력?과 경제관련 변수가 계층의식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 장교만을 대상으로 한 ?남군?은 ?직업만족도?, ?사회이동가능성? 변수가 계층의식 결정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전반적으로 여군은 ?남군?보다 민간여성에 가까운 계층의식 결정요인을 보이고 있다. 이상의 분석결과는 군(軍)과 여군, 여성 모두에게 중요한 함의를 제공한다. 먼저 여군의 계층의식이 민간여성과 ?남군?보다 높다는 점은 여군발전의 측면에서 고무적이다. 하지만 여군의 높은 계층의식은 군의 입장에서 다소 아쉬운 점이 있다. 여군의 계층의식 결정에 경제관련 변수의 영향이 크게 나타나고 직업만족도의 영향은 미미하다. 군의 고유한 특징을 잘 함축한다고 할 수 있는 ?계급? 변수의 영향력도 거의 없다. 이러한 결과는 ?직업만족도?의 영향력이 크게 나타나고 있는 ?남군?과 대조적이다. 향후 여군을 더욱 확대하려고 하는 군에서는 이러한 현상을 반영하여 여군 관련 정책을 수립한다면 보다 효과적일 것이다. In order to examine the class consciousness of female soldiers and the key factor that decides it, 299 surveys were conducted against female officers, NCOs and cadets. Main results of the survey can be analyzed as below. First, the class consciousness of female soldiers’ was found out to be higher than that of female civilians’. Second, the class consciousness of female soldiers was found out to be higher than their male counterparts. Third, the class consciousness of female officer candidates and NCO candidates was found out to be higher than that of second lieutenants’ and staff sergeants’, which are their immediate future. Forth, in the determination of the class consciousness of female soldiers, factors such as ‘economic matters’ and ‘continuity within military career’ had the most effect. Whereas for the female civilians ‘educational level’ and ‘economic matters’ was found out to be most influential factors that determines their class consciousness. In the determination of the class consciousness of male soldiers, factors such as ‘job satisfaction" and ‘continuity within military career’ had the most effect. Overall female soldiers tended to consider the factor ‘economic matters’ more important than ‘job satisfaction’, whereas male soldiers tended to consider that latter factor more. The results of the analysis provides important implications for the military, female soldiers and overall females. First of all, the fact that the class consciousness of female soldiers is higher compared to male counterparts" is encouraging. However, there are some defects in female soldiers higher class consciousness. For instance, ‘economic matters’ is important factor in determining class consciousness of female soldiers while ‘job satisfaction’ is comparably insignificant.

      • KCI등재

        육군 '군인 부부' 여군의 일과 가정 양립에 관한 연구

        조선웅(Sunwoong Cho) 육군사관학교 화랑대연구소 2015 한국군사학논집 Vol.71 No.3

        본 논문은 여군 12명과 남군 4명에 대해 심층 면접한 결과를 토대로 육군 기혼 여군의 일과 가정 양립에 대해 연구하였다. 대부분의 기혼 여군이 배우자로서 남군을 택한다는 점에 주목하여, 연구 대상을 부부군인으로 한정하였다. 부부군인의 가장 큰 특징은 부부 양쪽 모두가 근무지 이동을 한다는 것이고, 이로 인해 안정된 가정생활에 많은 방해를 받고 있었다. 면접한 대부분의 여군은 일과 가정의 양립을 위해 남성 배우자를 비롯한 가족의 절대적인 지원을 받고 있었다. 여군의 직업적 어려움을 잘 이해하고 있는 남군은 가사 및 육아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편이었다. 도움을 주는 대상, 도움을 받는 정도는 제각각이었지만, 대부분의 여군이 가족의 도움 없이 군 복무를 계속해나갈 수 없다는 점은 공통적이었다. 또한 여군은 모성보호제도와 부부군인 관련 규정을 적절히 활용하여 일과 가정의 양립을 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모성보호제도와 부부군인 관련 규정을 사용하는 것이 부대 및 동료들에게 미안한 행위이며, 이로 인해 진급에 불이익을 받을까 걱정하고 있었다. 또한 연구를 통해 새롭게 발견한 점 중 하나는 여군 내에서 세대 간 갈등의 조짐이 보인다는 것이다. 본 연구 결과를 토대로 한 정책적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사적으로 해결하는 육아에 대해 군 차원의 지원이 절실하다. 둘째, 업무 중심적이고 남성 중심적인 군 문화에 대해 진지하게 고민해 볼 필요가 있다. 셋째, 여군 내 하위 집단 간 갈등을 해결하려는 노력이 필요하다. 넷째, 군 인력에 대한 성별통계 작성 심화 및 제공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의미 있는 몇 가지 발견에도 불구하고 일과 가정 양립에 있어 남군에 대한 접근이 부족하고, 다양한 부부유형 중부부군인만을 대상으로 했다는 한계가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본 연구는 사회학적 관심이 소외된 군, 특히 여군에 대해 조명했다는 점에서 큰 의미를 갖는다. This study is formulated from interviews of married females in the Army and research about their work and family compatibility was carried out. Majority of female military members interviewed were found to receive utmost support from their male spouse and family to achieve work and family compatibility. Even though most of these women take advantage of maternity protection policy and certain military couple regulations, but such actions are frowned upon by the base and coworkers, and they often fear that it act as a disadvantage from receiving promotions. The following are the proposals based on results of the research conducted. First, mothers in military desperately need infant care support from the military. Second, serious discussion about work-centered and male-centered military culture is urgent.

      • KCI등재

        여성 육군사관생도의 군대사회화 연구: 토픽 모델링 분석

        김인수 ( Kim Insoo ),성기은 ( Sung Kieun ),황원준 ( Hwang Won-june ),조선웅 ( Cho Sunwoong ),김호현 ( Kim Hohyun ),조원선 ( Cho One-sun ) 국방대학교 안보문제연구소 2021 국방연구 Vol.64 No.1

        본고는 육군사관학교 여성 사관생도들이 군대사회화 과정에서 군대문화의 어떠한 규범과 가치를 먼저 체득하게 되는지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1998년 최초로 육사에 입학한 여성 사관생도들이 작성한 수기 43건을 분석하였다. 토픽 모델링 분석결과 4개의 주제를 식별할 수 있었는데, 이러한 주제들은 상호존중과 협력, 책임과 용기 등 육군 장병들이 공통적으로 선호하는 가치와 관련된 경험을 다루고 있었다. 본고는 분석자료, 이론 및 방법론적으로 중요한 함의를 갖는다. 첫째, 지금까지 장병들이 작성한 자연어 자료를 사회과학적으로 분석하려는 시도는 많지 않았다. 1998년 육사에 최초로 입학한 여성 사관생도들은 여성이 전혀 존재하지 않았던 생도 문화에 적응해야 했다. 이 과정에 대한 기록은 군대 사회화를 연구하기 위한 학술자료로 중요한 가치를 갖는다. 둘째, 이론적인 측면에서 여군 연구는 군대문화의 하위문화와 여군의 상호작용을 분석하는데 치우친 경향이 있다. 본고는 여군들이 여성 정체성 보다 육군 정체성을 우선한다는 사실을 밝혀 여군이 여성이 아니라 육군 구성원으로 군대 조직에 통합되는 과정에 대한 이론적 논의의 필요성을 제기하였다. 셋째, 기존의 여군연구는 설문조사 및 심층 인터뷰 등 특정 연구방법에 의존하는 경향이 있었다. 그러나 인간 내면에 작용하는 문화에 대한 연구를 위해서는 새롭고 다양한 연구방법의 적용이 필요하다. 토픽 모델링 분석을 활용한 본고의 연구방법은 다른 군대문화 연구에서도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examines what cultural values or norms of the military organization female cadets in the Korea Military Academy would internalize through the military socialization process. For this purpose, this study analyzed 43 memoirs that first female cadets who entered the Korea Military Academy in 1998 wrote. Significant findings go as follows. The results of the topic modeling analysis showed that the core values of the Army, in particular, cohesion, courage, and responsibility dominated the thinking and behavior of female cadets. The memoirs had these four topics, which could adequately reflect how sensitive they were to being judged by those cultural values of the Army. Findings give the implication that we need more empirical research on the subcultures in which female officers build their identity as a soldie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