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 미기록종 Navicula spartinetensis (Bacillariophyceae)의 분류 및 분포

        김혜숙,김종성,박진순,KIM, HYESUK,KHIM, JONG SEONG,PARK, JINSOON 한국해양학회 2020 바다 Vol.25 No.4

        The genus Navicula, with its notably high species diversity,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genera of the diatom assemblages of the tidal flats. In the present study, Navicula spartinetensis was firstly observed from Yellow Sea including both of Korean and Chinese tidal flats. Morphological description was also made based on the LM and SEM observation. Samples were collected from four locations in Korea, two in October 2006, one in July 2007, and one in July 2018, and seven location in China from June to July 2018. N. spartinetensis was firstly described by Sullvian & Reimer in 1975; Cells are lanceolate with narrow valve faces, 20-30 ㎛ long, 5-6 ㎛ wide, and the density of striae is 12-13 in 10 ㎛, and the terminal raphe ending curved in the same direction. N. spartinetensis has been previously reported from Europe and South America, and the present study has expanded its distribution to the Northeast Asia. In conclusion, the diversity of Korean marine benthic diatoms is still underestimated thus extensive further study of diatom taxonomy is needed.

      • KCI등재

        돌말류 분석 자료 정도 관리의 현황 및 전망

        김혜숙,김종성,박진순,KIM, HYESUK,KHIM, JONGSEONG,PARK, JINSOON 한국해양학회 2021 바다 Vol.26 No.3

        Diatoms are a type of microalgae which inhabits a wide variety of environments as one of the most important primary producers of freshwater and marine ecosystems. They have been widely used as bioindicators which represent the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thus proper quality control of diatom data is very important to ensure for the researches from many scientists from various different regions to have scientific unity and objectivity. At present, diatom data analysis is primarily based both on morphological features and DNA sequences of given species. Challenge for the morphology-based analysis of diatoms is the consistent species identification among different taxonomists who interpret diatom community, while challenge for the molecular analysis of diatoms to secure reliable reference data. In the present study, we have reviewed the current status of data quality control of diatom analysis in Korea as well as the world. Finally, suggestions for the better data quality control for Korean marine diatoms have been also made. 돌말류는 미세조류의 일종으로서 담수 및 해양의 여러 다양한 환경의 수생태계에서 가장 중요한 1차 생산자 중 하나이다. 환경을 대표할 수 있는 생물 지표로서 널리 이용되고 있으며, 여러 지역에서 서로 다른 과학자들에 의한 연구 결과들이 과학적 통일성과 객관성을 갖추도록 하기 위해서는 돌말류 분석 자료의 정도 관리가 매우 중요하다. 현재 돌말류 분석은 형태적인 특징으로 분류하는 형태 기반의 분석과 DNA 서열로 종을 식별하는 DNA 바코드 분석이 사용되고 있다. 형태학 기반의 돌말류 분류는 분석 자료를 해석하는 분류학자들 간의 일관된 종 식별이 요구되는 한편 분자 분류 기반의 돌말류 분류는 신뢰성 있는 참조데이터가 필수적이다. 본 논문에서는 돌말류 분석 자료 정도관리의 국내외 현황을 우선 살펴보았으며, 그에 기반하여 국내 돌말류 분석 자료의 정도 관리에 대한 의견을 또한 제안하였다.

      • KCI등재

        인공지능 : VILODE: 키 프레임 영상과 시각 단어들을 이용한 실시간 시각 루프 결합 탐지기

        김혜숙 ( Hyesuk Kim ),김인철 ( Incheol Kim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5 정보처리학회논문지.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 공학 Vol.4 No.5

        본 논문에서는 키 프레임 영상과 SURF 특징점 기반의 시각 단어들을 이용한 효과적인 실시간 시각 루프 결합 탐지기 VILODE를 제안한다. 시각 루프 결합 탐지기는 과거에 지나온 위치들 중 하나를 다시 재방문하였는지를 판단하기 위해, 새로운 입력 영상을 이미 지나온 위치들에서 수집한 과거 영상들과 모두 비교해보아야 한다. 따라서 새로운 위치나 장소를 방문할수록 비교 대상 영상들이 계속해서 증가하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루프 결합 탐지기는 실시간 제약과 높은 탐지 정확도를 동시에 만족하기 어렵다.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본 시스템에서는 입력 영상들 중에서 의미 있는 것들만을 선택해 이들만을 비교하는 효과적인 키 프레임 선택 방법을 채택하였다. 따라서 루프 탐지에 필요한 영상 비교를 대폭 줄일 수 있다. 또한 본 시스템에서는 루프 결합 탐지의 정확도와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키 프레임영상들을 시각 단어들로 표현하고, DBoW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을 이용해 키 프레임 영상들에 대한 색인을 구성하였다. TUM 대학의 벤치마크 데이터들을 이용한 실험을 통해, 본 논문에서 제안한 시각 루프 결합 탐지기의 높은 성능을 확인할 수 있었다. In this paper, we propose an effective real-time visual loop closure detector, VILODE, which makes use of key frames and bag of visual words (BoW) based on SURF feature points. In order to determine whether the camera has re-visited one of the previously visited places, a loop closure detector has to compare an incoming new image with all previous images collected at every visited place. As the camera passes through new places or locations, the amount of images to be compared continues growing. For this reason, it is difficult for a visual loop closure detector to meet both real-time constraint and high detection accuracy. To address the problem, the proposed system adopts an effective key frame selection strategy which selects and compares only distinct meaningful ones from continuously incoming images during navigation, and so it can reduce greatly image comparisons for loop detection. Moreover, in order to improve detection accuracy and efficiency, the system represents each key frame image as a bag of visual words, and maintains indexes for them using DBoW database system. The experiments with TUM benchmark datasets demonstrates high performance of the proposed visual loop closure detector.

      • 해석 수준 이론의 고찰 및 새로운 연구 방향

        김혜숙(Hyesuk Kim),간형식(Hyungsik Kahn) 한국외국어대학교 지식출판콘텐츠원 글로벌경영연구소 2019 글로벌경영연구 = Journal of global business research Vol.31 No.2

        본 논문은 해석 수준에 대한 지식과 사고를 확대하기 위해 광범위한 연구 및 연구의 결과를 분석하고 정리하였다. 또한 다른 목적은 해석 수준 이론의 주요 부분을 모델링하여 해석수준을 이해하는 더 쉬운 방법을 제안하는 것이다. 해석 수준 이론은 심리적 거리 관점인 시간적, 공간적, 사회적, 발생 확률적으로 심리적 거리 해석 수준을 구별한다. 해석 수준은 크게 상위 수준과 하위 수준으로 구분되어 진다. 상위 수준의 해석은 대상의 추상적, 구조적, 핵심적, 주요하고 목표와 관련된 속성에 주목하여 판단하고 결정 내린다. 하위 수준의 해석은 구체적, 비구조적, 표면적, 부수적이며 세부적인 속성에 가중치를 둔다. 해석 수준은 소비자가 어떻게 의사 결정을 하고 구매 과정을 보여주는지에 대한 학문적 이론이다. 이러한 이론의 학문적 중요성은 해석 수준이 다양한 연구 및 연구의 결과에 상당한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선행 변수로 이용된다는 사실로 강조된다. 더 나아가 소비자 의사 결정 연구를 실시하기 위해 처음 적용되었던 시간적 거리를 이용한 해석 수준이론은 마케팅, 심리학, 그리고 다른 학문 분야의 연구원들에게 중요한 도구가 되고 있다. 본 논문의 결론은 앞서 언급된 발견에 기반을 두어 이론의 실용적 적용을 제시하였다. This paper includes the results of a wide range of studies and studies in order to extend the knowledge and idea about construal level. The other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uggest an easier way to understand construal level by modeling key parts of the construal level theory. Construal level theory distinguishes psychological level from psychological distance perspective: temporal distance, spatial distance, social distance, and hypothetical distance. The level of construal is largely divided into higher and lower levels. High-level construal is judged and determined based on abstract, structured, core, primary, and goal relevant about the objectives and events. Low-level construal weights on concrete, unstructured, surface, secondary, and detailed attributes. Construal level is an academic theory that demonstrates the way how consumers make decision and their purchase process. Its academic significance is highlighted with the fact that construal level is used as an important prior variable that significantly affects the results of various researches and studies. Furthermore construal level theory, which first applied to conduct consumer decision making studies using temporal distance, has become a critical tool for researchers in the fields of marketing, psychology, and other academic segments. The conclusion of the paper suggests a pragmatic application of the theory based on the aforementioned findings.

      • KCI등재후보
      • KCI등재

        중학생의 사교육 의존 의식과 문화에 관한 질적 연구

        김혜숙(Kim, Hyesuk),한대동(Hahn, Daedong),오경희(Oh, Kyounghee) 한국열린교육학회 2011 열린교육연구 Vol.19 No.1

        본 연구는 학생들의 사교육 의존 의식과 문화의 형성 과정과 그 특성을 살펴봄으로써, 올바른 배움과 가르침이 공존하는 학습문화를 형성하는데 기여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 지속적으로 학원교육을 받아온 여자중학생 9명을 선정하여 면담하였으며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사교육 의존 의식과 문화의 형성과정은 학생들의 학원교육 참여시기를 중심으로 분류하여 고찰되었다. 첫째, 초등학교 저학년과정에서 형성된 의존 의식과 문화는 일종의 사회적 통과의례처럼 여겨져 일상이 되어버린 타인지향적 학원 참여문화였다. 둘째, 초등학교 고학년과 중학교에 올라가면서 부모의 학습결정권 강화와 학습에 대한 불안감을 인지하면서 형성된 학업성취를 위한 추종적이며 경쟁적인 학원 참여문화였다. 다음으로, 사교육 의존 의식의 특성은 학교수업의 교수전략 부족과 학교교사들의 수업소홀로 인한 학교교육에 대한 불신, 학습통제.관리능력의 부족에서 오는 자기주도적 학습의 부재, 사교육의 경쟁적이며 차별적인 학습을 지향하는 일탈적 학습문화 그리고 상급학교 진학 및 학업성취의 도구로 인식되는 또 하나의 학습의 장(場)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building process and characteristics of students' dependenceconsciousness and culture on private education, which dominates their learning environment. It's aims were to examine the unique learning culture where learning and teaching co-exist. The subject of this study was 9 female middle school students who constantly received private education. Building dependence-consciousness and culture on private education were differentiated by the time students participated in each area. Firstly, it is noted that active participation in private education happened during the lower grades in elementary school. Secondly, once students reached the higher grades in elementary school and entered middle school, they began to participate in private education more competitively. Parents' concern for preparation in upcoming admission exams and students' anxiety for learning are considered similar to their realization that they need to engage in private education. Characteristics of dependency on private education are varied. The first characteristic is distrust of the public education system, created by a lack of teachers' teaching strategies and dedication. The second characteristic is a lack of self-initiated learning. The third characteristic is a deviant learning culture. Finally, students consider private education a method necessary in order to gain admission to higher educational institutions.

      • 동북아시아 갯벌의 해양저서규조류 다양성에 대한 최근 연구 성과

        김혜숙(Hyesuk Kim),김종성(Jong Seong Khim),박진순(Jinsoon Park) 한국해양환경·에너지학회 2021 한국해양환경·에너지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21 No.10

        규조류는 광합성을 하는 독립영양 생물로서 미세조류의 일종이다. 갯벌과 연안에서 저서 규조류는 가장 우점하는 1차 생산자로서 해양 생태계 유지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규조류의 규산질 세포벽은 매우 다양한 형태를 가지고 있어 종을 구별하는 분류 형질로서 활용된다. 규조류 연구는 많은 경우 광학현미경 관찰에 의존하기 때문에, 종의 크기가 작거나 구조가 단순한 경우에는 무시되거나 오동정되기 싶다. 본 연구에서는 해양저서 규조류 다양성을 이해하기 위해 동북아시아 갯벌 여러 곳의 시료를 채집하여 관찰하였다. 그 결과 한국에서는 기록된 바 없었던 Navicula 속 1종과 Tryblionella 속의 2종, Plagiogrammopsis 속의 1종이 관찰하여 그 형태적 특징을 자세히 기재하였다. 더불어 단순히 명칭만이 보고되었던 Diploneis 속의 1종에 대해서 그 자세한 형태를 관찰하여 기재하였다. 또한 종의 형태적 특징과 함께 지리적 분포에 대한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한국은 물론 동북아시아 갯벌에서의 해양저서규조류 다양성의 이해를 높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Diatoms are a group of microalgae which are photosynthetic autotrophs. In tidal flats and coastal areas, benthic diatoms play an important role in maintaining marine ecosystems as the most dominant primary producers. The siliceous cell walls of diatoms have very diverse shapes thur are used as classification keys to identify species. Because many of diatom studies rely on the observation under light microscopy, diatoms with small sizes and/or simple and inconspicuous morphology have easily been ignored particularly in terms of ecological studies. In the present study, the morphological classification and distribution of diatoms were investigated to better understand the diversity of marine benthic diatoms across the Northeast Asian tidal flats. As a result four speicies viz. one species of the genus Navicula, two species of the genus Tryblionella, and one species of the genus Plagiogrammopsis have been newly observed from Korea. In addition, a photographic information of a species of the genus Diploneis was also provided for the first time. Biogeographic information as well as the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for the five species are described in detail, thereafter the present study will further improve the understanding of the diatom diversity across the Northeast Asian tidal flats.

      • KCI우수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