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발아 벼 부위별 추출물의 항산화활성과 Angiotensin Converting Enzyme I 저해활성

        김현영,황인국,김태명,박동식,김재현,김대중,이준수,정헌상,Kim, Hyun-Young,Hwang, In-Guk,Kim, Tae-Myoung,Park, Dong-Sik,Kim, Jae-Hyun,Kim, Dae-Joong,Lee, Jun-Soo,Jeong, Heon-Sang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11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40 No.6

        한국산 벼의 발아 전과 후의 부위별 및 추출용매별 항산화성분 및 활성변화를 살펴보았다. 발아 전과 후의 벼를 왕겨, 현미 및 싹으로 분리하고 각각 열수 및 70% 에탄올을 이용하여 추출하였다. 총 폴리페놀 함량은 현미 물추출물에서 발아 전 1.67에서 발아 후 5.84 mg/g으로 증가하였으며, DPPH 라디칼소거능은 벼 에탄올추출물에서 발아 전 22.95 %에서 발아 후 31.32%로 증가하였지만 왕겨와 현미 부분에서는 발아 후 감소하였다. 총 항산화력은 에탄올추출물에서 발아 전과 후에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싹 부분에서는 4.41 mg AA eq/g으로 높게 나타났다. 환원력은 에탄올 추출물 현미에서 발아 전 0.32에서 발아 후 0.45로 증가하였다. ACE 저해활성은 왕겨에서 가장 높았으며 발아 후 증가하였다. 본 연구결과 발아 시 항산화활성이 증가하는 원인에 대한 추후 연구가 필요하다 판단된다. We investigated the changes in antioxidant and angiotensin converting enzyme I (ACE) inhibitory activity in different parts of 'Ilpum' (Oryza sativa L.) rough rice before and after germination. Rough rice, either before or after germination, were separated into hull, brown rice, or sprout, and then extracted with distilled water and 70% ethanol. After germination, the total polyphenol contents of the distilled water extract of the brown rice was higher than before germination (5.84 and 1.67 mg/g, respectively). The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n the unseparated rough rice ethanol extract increased from 22.95% before germination to 31.32% after germination, but it decreased in both the hull and brown rice extracts. The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y was highest in the sprout extract with a value of 4.41 mg AA eq/g. The reducing power of the brown rice ethanol extract increased from 0.32 before germination to 0.45 after germination. The ACE inhibitory activity of the in hull ethanol extract increased after germination. These results indicate that antioxidant capacity increases in the hull and sprout after germination could be considered having significant health benefits.

      • KCI등재

        발아에 따른 몇 가지 맥류의 화학성분 변화

        김현영(Hyun Young Kim),황인국(In Guk Hwang),우관식(Koan Sik Woo),김경호(Kyoung Ho Kim),김기종(Kee Jong Kim),이춘기(Choon Ki Lee),이준수(Junsoo Lee),정헌상(Heon Sang Jeong)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10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39 No.11

        맥류(귀리, 보리, 호밀 및 밀)의 발아 시 변화되는 일반성분, phytic acid, 유리당, 무기성분 및 지방산을 분석하였다. 조회분은 발아 후 약간의 감소를 보였으며, 조단백질은 귀리에서 발아 후 약간 증가하였다. 항암작용 및 항산화 작용을 한다고 알려진 phytic acid는 귀리가 발아 전 1.09 ㎎/g에서 발아 후 1.56 ㎎/g으로 다른 품종에 비하여 많은 증가를 보였다. Glucose 함량은 호밀과 밀에서 발아 후에 각각 6 및 3.5배 증가하였으며, maltose는 귀리와 밀에서 발아 후에 각각 7.4 및 5.5배 증가하였다. 주요 불포화지방산은 palmitic acid, oleic acid 및 linoleic acid이었으며, 발아 시 palmitic acid와 linoleic acid는 귀리와 보리에서는 많은 감소를 보였으나, oleic acid는 귀리와 보리에서 발아 후에 각각 38.80 및 39.76%로 증가하였다. 추후 화학적인 성분 변화뿐만 아니라 발아 전후에 변화하는 생리활성 및 다양한 효소저해 활성 등의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This study was investigated the changes of chemical components in winter cereal crops before and after germination for development of functional foods. The contents of general composition (crude protein, lipid, and ash), phytic acid, free sugar, mineral, and fatty acid were analyzed. Crude ash content was slightly decreased after germination but protein contents was slightly increased in oats after germination. Phytic acid content showed the highest increase from 1.09 to 1.56 ㎎/g in oats after germination. Glucose contents of rye and wheat increased 6 and 3.5 folds after germination, respectively. Also, maltose contents of oat and wheat increased 7.4 and 5.5 folds, respectively. Major fatty acids were palmitic acid, oleic acid and linoleic acid. After germination, palmitic acid and linoleic acid decreased while oleic acid increased in oats and barley. Further studies are needed to investigate the functional components and biological properties of winter cereal crops after germination.

      • KCI등재

        한국산 발아 벼 추출물의 여러 가지 암세포주에 대한 증식 억제 효과 비교

        김현영(Hyun Young Kim),황인국(In Guk Hwang),정은미(Eun Mi Joung),김태명(Tae Myoung Kim),김대중(Dae Joong Kim),박동식(Dong Sik Park),이준수(Junsoo Lee),정헌상(Heon Sang Jeong)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10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39 No.3

        한국산 벼 6종(일품벼, 백진주벼, 설갱벼, 고아미2호, 거대배아벼 및 흑광벼)의 발아 및 무발아 에탄올 추출물에 대한 암세포주 증식 억제효과를 위암세포주(MKN45), 대장암세포(HCT116) 및 폐암세포(NCI-H460)에 대하여 살펴 본 결과 일부 품종의 경우 발아 후에 1 ㎎/mL 농도에서 암세포증식 억제효과가 증가하였다. 대장암세포주에 대한 성장억제 효과가 가장 좋았던 품종은 흑광벼로 발아 에탄올 추출물 18.89%의 생존율을 보였으며, 폐암세포주에 대해서는 일품, 고아미2호, 백진주 및 설갱벼 발아 에탄올 추출물은 5~10%의 생존율을 보였다. 위암세포에 대해서는 일품, 고아미2호, 백진주 및 설갱벼에 대하여 5~10%의 생존율을 보여 대조군에 비해 암세포주 증식 억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 벼를 발아시킬 경우 항암활성이 증가함을 알 수 있었으며, 발아 후 벼의 성분분석 및 추후 항암실험의 다양한 지표를 활용하여 항암활성을 입증하는 연구가 수행 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70% ethanol extracts of various germinated-rough rice cultivars: (‘Ilpum’, ‘Goami2’, ‘Keunnun’, ‘Sulgaeng’, ‘Baegjinju’, and ‘Heugkwang’) on proliferation of human cancer cell lines (MKN-45, HCT116 and NCI-H460). Antiproliferation effects of rough rice on different cancer cell lines were higher in after germination than before germination. The viability of HCT-116 colon cancer cells was lowest at 18.89% in after germination of ‘Heugkwang’ at 1.0 ㎎/mL. The cell viability of MKN-45lung cancer cells and MKN-45 stomach cancer cells were in the range of 5~10% in after germination of ‘Ilpum’, ‘Goami2’, ‘Baegjinju’, and ‘Sulgaeng’, and ‘Heugkwang’ at 1.0 mg/mL. These results suggest that germinated rough rice might have a potential preventive effect on human cancer cells.

      • SCOPUSKCI등재

        메수수가루 첨가에 따른 생면의 품질특성 및 라디칼 소거활성

        김현영(Hyun Young Kim),고지연(Jee Yeon Ko),김정인(Jung In Kim),정태욱(Tae Wook Jung),윤홍태(Hong Tae Yun),오인석(In Seok Oh),정헌상(Heon Sang Jeong),우관식(Koan Sik Woo) 한국식품과학회 2013 한국식품과학회지 Vol.45 No.4

        본 연구에서는 수수 분말 함량이 반죽 분말의 총 5, 10, 15 및 20%가 되도록 첨가하여 제조한 생면의 품질 특성과 총 폴리페놀 및 플라보노이드 함량, 라디칼 소거활성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수수 분말을 첨가한 생면의 조리 후 중량, 부피, 수분 흡수율 및 탁도는 수수 분말 첨가량에 따라 유의적으로 변화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조리 전 색도는 수수분말을 첨가하였을 때 명도와 황색도는 감소하였고, 적색도는 증가하였으며, 조리 후 면의 색도는 조리 전에 비하여 명도, 적색도 및 황색도 모두 감소하게 나타났다. 수수 분말 첨가 면의 조리 후 인장강도는 force, time 및 distance 모두 메수수가루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냈으며, 또한 조리 후 생면의 총 폴리페놀 및 플라보노이드 함량과 라디칼 소거활성을 평가한 결과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이상의 결과에서 동안메수수가루를 첨가하여 생면을 만들 경우 메수수가루의 첨가는 면의 품질특성은 유지하면서 항산화성을 향상시킬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wet noodles that had been fortified by adding non-glutinous sorghum (Sorghum bicolor L. Moench cv. Donganme) powder (SP). The wet noodles were evaluated for quality characteristics, total contents of polyphenols and flavonoids, and capacities to scavenge free radicals. The weight, volume, capacity to absorb water, and turbidity of the cooked noodles differed considerably from the unfortified control. The L- and b-values of the cooked noodles differed significantly between the treatment types, and the a-value increased significantly with increasing concentrations of SP. The tension of the cooked noodles decreased significantly with decreasing concentrations of SP. Total polyphenol and flavonoid contents, as well as free radical-scavenging activities increased significantly with increasing concentrations of SP. In conclusion, SP could be used as an ingredient to increase the sensory and antioxidant properties of wheat flour noodles without affecting their quality.

      • KCI등재

        비수리(Lespedeza cuneata G. Don) 메탄올 추출물로부터 분획된 용매분획물의 항산화활성과 α-Glucosidase 저해활성

        김현영(Hyun Young Kim),고지연(Jee Yeon Ko),송석보(Seuk Bo Song),김정인(Jung In Kim),서혜인(Hye In Seo),이재생(Jae Saeng Lee),곽도연(Do Yeon Kwak),정태욱(Tae Wook Jung),김기영(Ki Young Kim),오인석(In Seok Oh),정헌상(Heon Sang Jeong),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12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41 No.11

        비수리의 식품학적 이용가능성을 확인해 보고자 항산화성분 및 항산화활성, superoxide dismutase 유사활성, α-glucosidase 저해활성 등에 대해 검토하였다. 비수리 메탄올 추출물과 hexane, chloroform, ethyl acetate, butanol 및 물 분획 등 순차적 용매분획물의 총 폴리페놀 함량은 각각 12.44, 3.61, 6.39, 27.11, 20.00 및 9.32 ㎎ GAE/g extract residue(ER)로 나타났으며,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각각 2.94, 9.92, 7.77, 9.27, 5.11 및 2.66 ㎎ CE/g ER, 총 탄닌 함량은 각각 8.75, 10.04, 7.42, 17.32, 11.65 및 7.61 ㎎ TAE/g ER, 총 프로안토시아니딘의 함량은 346.09, 63.50, 103.76, 288.62, 231.99 및 358.48 ㎍ CE/g ER로 나타났다. 비수리 메탄올 추출물과 hexane, chloroform, ethyl acetate, butanol 및 물 분획물의 DPPH radical 소거활성은 각각 20.62, 5.16, 9.29, 20.80, 20.00 및 20.79 ㎎ TE/g ER, ABTS radical 소거활성은 각각 33.86, 9.24, 17.36, 33.76, 33.49 및 33.86 ㎎ TE/g ER로 나타났다. SOD 유사활성은 각각 4.12, 0.61, 2.01, 9.89, 13.47 및 11.82 unit/mL의 활성을 보여 butanol 분획과 물 분획에서 유의적으로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고 α-glucosidase 저해활성은 물 분획 50 및 25 ㎍/mL에서 각각 93.85 및 61.64%로 높은 저해활성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에서 비수리 추출물은 항산화성분 및 항산화활성, SOD 유사활성, α-glucosidase 저해활성을 가지는 물질을 함유한 것으로 보이며, 체내 및 식품에서 활성산소 종 제거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antioxidant contents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solvent fractions from methanolic extract of sericea lespedeza. To determine the antioxidant compounds in solvent fractions from methanolic extract, total polyphenolic, flavonoid, tannin, and proanthocyanidin contents were measured by spectrophotometric methods. Solvent fractions were evaluated for antioxidative capacity according to DPPH and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Total polyphenolic contents were 12.44, 3.61, 6.39, 27.11, 20.00, and 9.32 ㎎ gallic acid equivalent (GAE)/g extract residue (ER), respectively. Total flavonoid contents were 2.94, 9.92, 7.77, 9.27, 5.11, and 2.66 ㎎ catechin equivalent (CE)/g ER, respectively. Total tannin contents were 8.75, 10.04, 7.42, 17.32, 11.65, and 7.61 ㎎ tannic acid equivalent (TAE)/g ER, respectively. Total proanthocyanidin contents were 346.09, 63.50, 103.76, 288.62, 231.99, and 358.48 ㎍ CE/g ER, respectively.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of solvent fractions from methanolic extract of sericea lespedeza were 20.62, 5.16, 9.29, 20.80, 20.00 and 20.79 ㎎ Trolox equivalent (TE)/g ER, and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were 33.86, 9.24, 17.36, 33.76, 33.49, and 33.86 ㎎ TE/g ER, respectively. SOD-like activities were 4.12, 0.61, 2.01, 9.89, 13.47, and 11.82 units/mL, and α-glucosidase inhibition activities were 93.85 and 61.64% at concentrations of 50 and 25 ㎍/mL in the water fraction, respectively.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notable antioxidant activities in sericea lespedeza have significant health benefits.

      • KCI등재

        발아 기간에 따른 벼(Oryza sativa L.)의 항산화활성과 in vitro 항암활성

        김현영(Hyun Young Kim),이상훈(Sang Hoon Lee),황인국(In Guk Hwang),김태명(Tae Myoung Kim),박동식(Dong Sik Park),김재현(Jae Hyun Kim),김대중(Dae Joong Kim),이준수(Junsoo Lee),정헌상(Heon Sang Jeong)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12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41 No.1

        발아기간에 따른 발아 벼 추출물의 항산화성분, 항산화활성 및 암세포주 성장억제효과를 살펴보았다. 발아는 0, 2, 4, 6 및 8일 동안 진행하였으며, 발아 후 70% 에탄올로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발아가 진행됨에 따라 항산화성분 및 항산화활성은 2~4일까지는 증가하였다가 그 이후에는 감소하였다. 총 폴리페놀 함량은 발아 4일차에서 4.05 mg/g으로 가장 높았으며, DPPH 라디칼 소거능은 0, 2, 4, 6 및 8일차 각각 29.25, 34.82, 31.17, 26.27 및 18.51%로 발아 2일차에 가장 높았으며, 총 항산화력은 발아기간별로 각각 3.05, 3.17, 3.84, 2.43 및 2.167 mg AA eq/100 g으로 발아 4일차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환원력 또한 발아 4일차에 1.25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암세포주 성장억제효과는 위암세포주(AGS) 보다 대장암세포주(HCT-116)에서 높게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생리활성 증가를 위해서 벼를 발아시킬 경우 3~4일이 적당한 것으로 판단되며, 추후 새로운 물질의 생성과 생리활성 성분들에 대한 연구가 더 진행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on the antioxidant activity and in vitro anticancer effects of rough rice (Oryza sativa L.) by germination periods. Rough rice was germinated at 37℃ for 8 days and then extracted with 70% ethanol. It was then analyzed for total polyphenol content, reducing power, antioxidant activities, and in vitro anticancer effects. Total polyphenol content increased from 3.12 mg/g for raw rough rice to 4.05 mg/g at 4 days of germination. Also reducing power increased from 0.96 to 1.25 (p<0.05).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increased from 29.25% at 0 day to 34.82% at 2 days.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y increased from 3.05 mg AA eq/100 g at 0 day to 3.84 mg AA eq/100 g at 4 days, and then decreased afterward. The anticancer effect of ethanol extract at 4 days on stomach cancer cell line (AGS) and colon cancer cell line (HCT-116) showed higher values compared with raw rough rice extract.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best germination periods for increasing biological activities may be 3~4 days.

      • KCI등재

        발아기간에 따른 벼(Oryza sativa L.)의 화학성분 변화

        김현영(Hyun Young Kim),황인국(In Guk Hwang),김태명(Tae Myoung Kim),박동식(Dong Sik Park),김재현(Jae Hyun Kim),김대중(Dae Joong Kim),이연리(Youn Ri Lee),이준수(Junsoo Lee),정헌상(Heon Sang Jeong)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11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40 No.9

        본 연구에서는 벼의 적당한 발아기간을 선정하기 위하여 발아기간에 따른 다양한 성분변화를 살펴보았다. 조단백질은 발아 0일차의 71.67mg/g에서 발아 8일차에는 85.20mg/g으로, 조지방은 2.19%에서 3.58%로 발아기간이 증가할수록 증가하였으나(p<0.05) 조회분은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Phytic acid는 발아가 진행됨에 따라서 6.25mg/g(0일차) 에서 1.54mg/g(8일차)으로 많은 감소를 보였으며(p<0.05), 유리지방산은 0.17%에서 0.32%로 증가하였다. 발아 벼의 지방산은 oleic acid(C18:1)가 가장 많았으며, 발아기간의 증가에 따라 약간의 감소를 보였으나 유의차는 없었다(p>0.05). 비타민 E와 γ-oryzanol은 발아 0일차에 각각 2.94 mg/100 g 및 6.47 mg/g에서 발아 4일차에 5.55 mg/100 g 및 8.16 mg/g으로 증가하였다가 그 이후에는 감소하였다. 본 연구 결과 기능성성분 함량을 높이기 위해서는 3~4일 간의 발아가 적당한 것으로 판단되며, 다양한 생리활성에 대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하리라 판단된다. We evaluated changes in the chemical composition of rough rice (Oryza sativa L.) according to germination period. Rough rice was germinated at 37℃ for 8 days. Crude protein content increased from 71.67 mg/g in raw rough rice to 85.20 mg/g after 8 days of germination. Crude lipid content increased from 2.19% to 3.58% (p<0.05), whereas crude ash was not significantly changed. Phytic acid content decreased from 6.25 mg/g in raw rough rice to 1.54 mg/g after 8 days of germination. Free fatty acid content increased from 0.17% to 0.32% during 8 days of germination. Major fatty acids were palmitic, oleic, and linoleic acids, and total fatty acid content increased up to 95%. Vitamin E and γ-oryzanol contents in raw rough rice were 2.94 mg/100 g and 6.47 mg/g, respectively, increased to 5.55 mg/100 g and 8.16 mg/g after 4 days of germination, and then decreased afterward.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optimum germination period of rough rice for increasing functional components may be 3~4 days.

      • KCI등재

        맨드라미(Celosia cristata L.) 꽃 메탄올 추출물로부터 용매분획된 분획물의 항산화활성

        김현영(Hyun Young Kim),고지연(Jee Yeon Ko),송석보(Seuk Bo Song),김정인(Jung In Kim),서혜인(Hye In Seo),이재생(Jae Saeng Lee),곽도연(Do Yeon Kwak),정태욱(Tae Wook Jung),김기영(Ki Young Kim),오인석(In Seok Oh),정헌상(Heon Sang Jeong),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12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41 No.11

        맨드라미꽃의 식품학적 이용가능성을 확인해 보고자 항산화성분 및 항산화활성에 대해 검토하였다. 맨드라미꽃의 항산화성분과 활성은 메탄올 추출물과 순차적 용매분획물에 대해 측정하였으며, 메탄올 추출물과 hexane, chloroform, ethyl acetate, butanol 및 물 분획물의 추출수율은 각각 23.33, 10.27, 20.00, 13.63, 17.55 및 38.54%였다. 맨드라미 꽃 메탄올 추출물의 총 polyphenol, flavonoid 및 tannin 함량은 각각 6.80 ㎎ GAE/g ME, 2.34 ㎎ CE/g ME 및 6.23 ㎎ TAE/g ME였다. 순차적 용매분획물 중 butanol 분획에서 각각 14.92 ㎎ GAE/g SF, 5.44 ㎎ CE/g SF 및 13.38 ㎎ TAE/g SF로 함량이 높았다. 총 proanthocyanidin 함량은 44.72 ㎍ CE/g ME였고 순차적 용매분획물은 각각 42.47, 44.43, 50.03, 49.12 및 41.80 ㎍ CE/g ER로 용매간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맨드라미꽃의 메탄올 추출물의 DPPH 및 ABTS radical 소거활성은 각각 5.24 및 10.70 ㎎ TE/g ME였고 butanol 분획에서 각각 12.53 및 21.09 ㎎ TE/g SF로 활성이 높았다. 메탄올 추출물의 SOD 유사활성은 7.96 unit/mL로 나타났고 hexane, chloroform, ethyl acetate, butanol 및 물 분획물은 각각 4.56, 6.15, 8.07, 12.36 및 5.21 unit/mL로 butanol 분획의 활성이 높았다. 맨드라미꽃 추출물의 항산화성분과 항산화활성 간에 높은 정의 상관관계를 보였고 맨드라미꽃 추출물이 체내 및 식품에서 유익한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antioxidant contents and activities of solvent fractions from methanolic extracts of cockscome flowers. The yield of methanolic extracts from cockscome flowers was 23.33%, whereas those of its solvent fractions (hexane, chloroform, ethyl acetate, butanol, and water) were 10.27, 20.00, 13.63, 17.55, and 38.54%, respectively. Total polyphenolic, flavonoid, tannin, and proanthocyanidin contents of methanolic extracts (ME) were 6.80 ㎎ gallic acid equivalent (GAE)/g ME, 2.34 ㎎ catechin equivalent (CE)/g ME, 6.23 ㎎ tannic acid equivalent (TAE)/g ME, and 44.72 ㎍ CE/g ME, respectively. The highest total polyphenolic, flavonoid, and tannin contents of solvent fractions were 14.92 ㎎ GAE/g solvent fraction (SF), 5.44 ㎎ CE/g SF, and 13.38 ㎎ TAE/g SF in the butanol fraction, respectively. The total proanthocyanidin contents were 42.47, 44.43, 50.03, 49.12, and 41.80 ㎍ CE/g SF, respectively. The DPPH and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from cockscome flowers were 5.24 and 10.70 ㎎ Trolox equivalent (TE)/g ME, respectively. The highest DPPH and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of the solvent fractions were 12.53 and 21.09 ㎎ TE/g SF in the butanol fraction, respectively. SOD-like activities of methanolic extracts from cockscome flowers were 7.96 units/mL, whereas those of its solvent fractions were 4.56, 6.15, 8.07, 12.36, and 5.21 units/mL, respectively.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notable antioxidant activities in cockscome flowers have significant health benefits.

      • SCOPUSKCI등재

        발아 벼 부위별 추출물의 항산화활성과 Angiotensin Converting Enzyme Ⅰ 저해활성

        김현영(Hyun Young Kim),황인국(In Guk Hwang),김태명(Tae Myoung Kim),박동식(Dong Sik Park),김재현(Jae Hyun Kim),김대중(Dae Joong Kim),이준수(Junsoo Lee),정헌상(Heon Sang Jeong)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11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40 No.6

        한국산 벼의 발아 전과 후의 부위별 및 추출용매별 항산화성분 및 활성변화를 살펴보았다. 발아 전과 후의 벼를 왕겨, 현미 및 싹으로 분리하고 각각 열수 및 70% 에탄올을 이용하여 추출하였다. 총 폴리페놀 함량은 현미 물추출물에서 발아 전 1.67에서 발아 후 5.84 ㎎/g으로 증가하였으며, DPPH 라디칼소거능은 벼 에탄올추출물에서 발아 전 22.95%에서 발아 후 31.32%로 증가하였지만 왕겨와 현미 부분에서는 발아 후 감소하였다. 총 항산화력은 에탄올추출물에서 발아 전과 후에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싹 부분에서는 4.41 ㎎ AA eq/g으로 높게 나타났다. 환원력은 에탄올 추출물 현미에서 발아 전 0.32에서 발아 후 0.45로 증가하였다. ACE 저해활성은 왕겨에서 가장 높았으며 발아 후 증가하였다. 본 연구결과 발아 시 항산화활성이 증가하는 원인에 대한 추후 연구가 필요하다 판단된다. We investigated the changes in antioxidant and angiotensin converting enzyme Ⅰ (ACE) inhibitory activity in different parts of ‘Ilpum’ (Oryza sativa L.) rough rice before and after germination. Rough rice, either before or after germination, were separated into hull, brown rice, or sprout, and then extracted with distilled water and 70% ethanol. After germination, the total polyphenol contents of the distilled water extract of the brown rice was higher than before germination (5.84 and 1.67 ㎎/g, respectively). The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n the unseparated rough rice ethanol extract increased from 22.95% before germination to 31.32% after germination, but it decreased in both the hull and brown rice extracts. The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y was highest in the sprout extract with a value of 4.41 ㎎ AA eq/g. The reducing power of the brown rice ethanol extract increased from 0.32 before germination to 0.45 after germination. The ACE inhibitory activity of the in hull ethanol extract increased after germination. These results indicate that antioxidant capacity increases in the hull and sprout after germination could be considered having significant health benefits.

      • KCI등재

        발아 벼 열수 및 에탄올 추출물의 암세포주 증식억제 효과

        김현영(Hyun Young Kim),황인국(In Guk Hwang),김태명(Tae Myoung Kim),김대중(Dae Joong Kim),박동식(Dong Sik Park),김재현(Jae Hyun Kim),이준수(Junsoo Lee),정헌상(Heon Sang Jeong)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10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39 No.8

        발아 전후 6종의 벼(일품벼, 백진주벼, 설갱벼, 고아미2, 거대배아벼 및 흑광벼)의 물 및 에탄올 추출물에 대한 암세포주 성장억제효과를 간암주(HepG2), 전립선암세포주(PC-3) 및 유방암세포주(MCF-7)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물추출물은 1 mg/mL 농도에서 3종의 암세포주에 대하여 118.97~44.85% 범위의 높은 생존율을 보여 항암효과가 낮 았지만 에탄올 추출물은 90.82~5.04% 범위의 생존율을 보여 물 추출물보다 높은 암세포 성장억제 효과를 나타내었다. 일품벼 발아 전후 에탄올 추출물은 간암세포주에 대하여 1mg/mL 농도에서 각각 27.23 및 42.36%의 생존율을 보여 발아 시 항암효과가 증가하였으며, 특히 유방암세포주에 대해서는 0.25 mg/mL 농도에서 각각 48.20 및 56.82%의 생존율을 보여 다른 품종보다 성장억제율이 높았다. 또한 설갱벼 발아 전후 에탄올 추출물은 전립선암세포에 대하여 1 mg/mL 농도에서 각각 44.52 및 64.51%의 생존율을 보여 발아 항암효과가 증가하였다. 추후 항암활성 물질의 분리 동정과 메커니즘 규명에 대한 연구가 수행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70% ethanol and water extract of Korean rough rice (‘Ilpum’, ‘Goami2’, ‘Keunnun’, ‘Sulgaeng’, ‘Baegjinju’, and ‘Heugkwang’) before and after germination on proliferation of human cancer cell lines (HepG2, PC-3, and MCF-7). Antiproliferation effect was higher in ethanol extract than water extract, and was higher in after germination. ‘Ilpum’ ethanol extract after germination showed higher anti-proliferation effect on HepG2 and PC-3 cell lines than before germination. The cell viability on HepG2 and PC-3 cell lines of ‘Ilpum’ ethanol extract after germination was 27.23% and 5.05% at 1.0 ㎎/mL, respectively. The anti-proliferation effect on MCF-7 was the highest in ‘Ilpum’ and ‘Heugkwang’ 70% ethanol extract after germination and those cell viabilities were 7.27% and 17.00% at 0.5 ㎎/mL, respectively. These results suggest that germinated rough rice might have a potentially preventive effect on human cancer cell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