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벤야민과 지젝의 신적 폭력

        김현강 ( Hyun Kang Kim ) 한국뷔히너학회 2014 뷔히너와 현대문학 Vol.0 No.42

        벤야민은 그의 「폭력의 비판」에서 “신적 폭력” 이라는 수수께끼 같은 개념을 사용한 바 있다. 그로부터 약 한 세기가 지난 후 지젝은 그의 저서 『폭력』에서 바로 이 신적 폭력 개념을 다시 부활시킨다. 이 논문은 벤야민과 지젝의 신적 폭력 개념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연구하는 데 목적을 둔다. 벤야민은 독일의 법철학자 칼 슈미트의 이론에서 출발해 자신의 폭력 비판을 전개시킨다. 슈미트는 법을 “법을 정립시키는 폭력”과 “법을 유지시키는 폭력” 또는 “헌법수여 폭력”과 “헌법”으로 구분한 바 있다. 벤야민은 이러한 슈미트의 구분에 따르되 “법을 폐기시키는 폭력” 또는 “신적 폭력”이라는 또 다른 차원을 첨가시킨다. 벤야민에 따르면 법을 정립시키고 유지하는 폭력은 “신화적 폭력”이며 법을 폐기시키는 폭력은 “신적 폭력”이다. 벤야민이 “신적 폭력”이라는 제삼의 개념을 부가시킨 이유는 법에 있어서 사실상 법정립의 폭력과 법유지의 폭력이 확연히 분리되지 않고 언제나 이미 서로 혼합된다는 점에 있다. 그러므로 문제는 법의 정립을 결코 순수한 이성적 근거지움으로 바라볼 수가 없다는 것이다. 그와는 반대로 법은 사실상 법을 유지시키는 경찰과 군대의 폭력과 늘 혼합되고 있다. 법을 정립시키는 폭력과 법을 유지시키는 폭력은 서로 연결되어 있으며, 전자는 후자를 전제로 하고 후자는 전자를 전제로 한다. 벤야민은 이와 같은 법의 자기정당화의 기제를 신화라고 파악한다. 그러므로 법은 신화적 폭력이다. 신화적 폭력은 오로지 법 자체를 폐기 시키는 신적 폭력에 의해서만 완전히 극복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신적 폭력은 벤야민에게서 신화의 내재성을 완전히 해체시키는 초월적 움직임으로 나타난다. 지젝은 그의 저서 『폭력』에서 벤야민의 신적 폭력 개념에 직접적으로 관련을 맺으며, 신적 폭력은 “순수 충동, 죽지 않은 것, 삶의 과잉의 표현”이라고 서술한다. 벤야민의 신적 폭력에 나타나는 신학적 차원은 여기에서 “충동의 과잉의 차원”이라는 세속적인 의미를 얻는다. 지젝은 신적 폭력을 세 가지의 의미로 규정 한다. 첫째 신적 폭력은 언어적 기호도 의미를 위한 잠재성도 아닌 “의미 없는 기호”이다. 그러므로 그것은 상징계가 아니라 실재계에 속한다. 둘째 그것은 역사의 비연속성을 지시하며 존재의 질서가 아닌 사건의 질서에 속한다. 셋째 그것은 주체의 결정과 필연적인 관련을 맺는다. 어떤 폭력의 사건을 신적 폭력과 동일시하는 것은 전적으로 주체의 손에 놓여 있기 때문이다. 신적 폭력에 대한 판단에 있어서는 다른 어떤 객관적 시금석도 있을 수 없다. 그러므로 신적 폭력은 전적으로 객관적이지도 전적으로 주관적이지도 않다. 그것은 바로 그 중간의 영역에 속한다. 그것은 주체와 객체 사이의 구분불가능성의 영역이다. 지젝은 이러한 신적 폭력 개념을 통해 바디우의 철학과 자신의 철학의 결정적인 차이점을 분명히 드러낸다. 바디우는 (신적 폭력과 유사한) 실재의 사건이 선행하고 주체는 나중에 구성된다고 주장한다. 즉, 사건이 먼저 일어난 다음 주체는 사건에 대한 충실함을 통해 사후적으로 구성된다. 이와는 달리 지젝은 주체가 사건에 의해 일방적으로 구성되는 게 아니라 자신의 실천을 통해 사건에 직접적 영향을 끼치기도 한다고 주장한다. 그러므로 사건과 주체 사이에는 상호적 관계가 성립한다는 것이다.

      • KCI등재

        담화 자료의 비언어적 요소의 전사 방법 연구

        김현강 ( Hyun Kang Kim ),송재영 ( Jae Young Song ),신유리 ( Yu Ri Shin ) 한국문학언어학회(구 경북어문학회) 2010 어문론총 Vol.53 No.-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necessity of analysis of nonverbal elements on discourse, and describe the method of discourse material transcriptions. In previous studies, discourse analysis has focused on verbal elements. Nonverbal elements, however, take an important role in communication: not only does it complement the verbal element. The non-verbal element substitutes or conflicts with the verbal elements expressing a different meaning from the verbal elements alone. Therefore, for a complete understanding of discourse, nonverbal analysis is foreseeable. In this study, we will analyze head movement, face expressions, upper body and lower body movement, hand movement, and smiles. These are all nonverbal elements that happen between communicators in person during exchanges. Background pictures, sound effects, and subtitles are also considered to be nonverbal elements of communication though the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ings are face-to-face exchanges; and video-type exchanges such as television programs where the exchange would be between the show and the viewers. Since this will study will focus only on television programming, further studies will be needed to satisfy the various purposes of discourse studies. This study will focus on building the transcription and annotation criteria of nonverbal elements on discourse analysis. Diverse genres of discourse should be added. Developing a program to transcribe and annotate the nonverbal elements simultaneously with the verbal elements, should also be included in later studies.

      • KCI등재
      • KCI등재

        한국어 교재 '본문'의 담화적 요소 분석

        김현강(Kim, Hyun-kang),이윤진(Lee, Yun-jin) 한국사회언어학회 2013 사회언어학 Vol.21 No.1

        This paper analyzes the elements and properties of the discourse in the main text of Korean textbooks. The main text conveys 'discourse knowledge' that constitutes the communicative competence of Korean language on the basis of the fundamental properties of discourse rather than on unnatural sentences and conversations constructed only to present vocabulary and grammar. It consists of 'discourse type', 'background knowledge', 'language use', and 'conversation organization'. As a result of this research, we found that the main text contains the following properties of discourse. First, the main text whose discourse type students frequently encounter is selected and language befitting that type is used. Second, the background knowledge of the discourse is presented. Third, the conversation of the main text is organized with the turn-taking system. The characteristics as a textbook are also taken into account in the main texts that we reviewed. These comprise dealing with limited discourse patterns, regulating language use, and the regular and restricted turn-taking system. The above analysis shows that the main text is constructed utilizing both aspects of education and discourse. The findings of this study will be helpful for textbook users in developing instruction and studying strategies and for textbook developers in constructing main texts.

      • KCI등재

        내러티브 텍스트이자 정치담화로서의 정치광고 분석

        김현강(Kim Hyun-kang) 한국사회언어학회 2014 사회언어학 Vol.22 No.1

        The aim of this study is to discuss the attributes of political discourse in political advertisements. The materials of the study are the advertisements used by candidates in the 16th and 17th Korean presidential elections. Presidential election advertising is the social practice of competing in political discourse on who is more proper for the presidency. The upper level of discourse in advertisement takes on the narrative of statements directed at the public, but argumentation about political assertions is included in it. The core of the argumentation asserts support for the candidate and backs such an assertion. A story that dramatizes the details related to the candidate or his/her policy has a big effect of gaining sympathy for the message, but on the other hand it can also lead to criticism that political issues are being dealt with only through images rather than language. Narrative, complexly constructed through spoken language, visual images, subtitles, sounds and other channels, accordingly contains various messages, but it has a strong impact ultimately by being condensed into one symbolic rhetoric, since the candidate's personality, political message, and the power to realize these-that is, all the factors the public considers in making a political choice-are included in it.

      • KCI등재
      • KCI등재후보

        담화 연구를 위한 자료 구축의 문제 -비언어 요소의 담화 기능을 중심으로-

        김현강 ( Hyun Kang Kim ),송재영 ( Jae Young Song ) 연세대학교 언어정보연구원(구 연세대학교 언어정보개발원) 2011 언어사실과 관점 Vol.27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function and transcription method of the non-verbal elements. By transcribing and annotating of TV program <Mwuluppak tosa>, the function of non-verbal elements are divided into three types: the stage of the conversation as the non-verbal elements, non-verbal elements which appear within conversation, and non-verbal elements of media. In this study, the method of transcription which can be connected with video clip is also analyzed: using ELAN program, three different types of non-verbal elements can be transcribed and annotated. For the further studies, however, the examination of tiers and technical terms are inevitable. According to the purpose and intention of individual studies, transcription and annotation methods in ELAN need to be adjusted.

      • KCI등재
      • KCI등재

        정치광고의 내러티브 이면에 있는 논증 분석

        김현강(Kim, Hyun-kang) 담화·인지언어학회 2014 담화와 인지 Vol.21 No.1

        The aim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argumentations of presidential election advertisements. The subject of the study are the election advertisements of the major candidates in Korea’s 16<SUP>th</SUP> and 17<SUP>th</SUP> presidential elections. An election advertisement presents information about a given candidate and a story or narrative expressing the candidate’s political message, but hidden beneath this is an argumentation structure composed of assertions and arguments. These argumentations were analyzed by applying the argumentation analysis method of political discourse forwarded by Fairclough and Fairclough (2012). First, the argumentations about the quality of candidates, their political agendas, and election issues were analyzed. Next, the overall form of the presidential election discourse was examined by analyzing the argumentation tendencies of the minor party candidates. The analysis result clearly shows the feature of practical reasoning. The structure of practical reasoning is comprised of circumstances serving as its background, the values sought by the speaker/arguer, the goal or the state of having them realized, and the claim for action to actualize it, and also includes the means-goals relationship expressing that it is the appropriate means for achieving the goal. This argumentative feature implies that presidential election advertisements are one type of political discourse.

      • AutoCAD ARX를 이용한 BiArc Curve Fitting

        김현강(Hyun-Kang Kim) 산업기술교육훈련학회 2011 산업기술연구논문지 (JITR) Vol.16 No.1

        This paper deals with BiArc interpolation algorithm which has many merits but has also too many different equations because of tangent conditions imposed to starting and ending point. Whenever new algorithm or method was applied, it was difficult to test its result without GUI tool. That is the reason why this paper choose AutoCAD ARX as a GUI tool and tries to modify BiArc curve fitting functions as an example. The results are satisfactory and simple enough to adapt new modification about end conditions of BiArc curve fitti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