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국립창극단의 전승 오대가 창극 연기에서의 "이면" 구현과 그 의의 : 김명곤 연출 < 수궁가 >(2000)를 중심으로

        김향 ( Hyang Kim ) 한국드라마학회 2015 드라마연구 Vol.0 No.46

        This study set out to examine Changgeuk acting, with a focus on Sugung-ga (2000), directed by Myoung-gon Kim. In the process, materials about Changgeuk acting were organized, and the limits and directions of Changgeuk acting were researched. Pansori``s “Yimeun-ron” was selected as the methodology for studying Changgeuk acting. Therefore, the “Yimeun-ron” of Changgeuk acting was theorized and was, applied to Changgeuk Sugung-ga. Based on this theory, Changgeuk acting was considered in relation to the actor or actress`` body, that is to say “sangdan(=the beat)”, “sasul(=Pansori script or a poetic word)”, “ackso(=a musical tone)”, “sigimsae” and “action” of the actor or actress. Through this research, the “Yimeun(technical term that musical and dramatic embodiment based on Pansori``s Sasul)” of Sugung-ga``s acting was discussed, and comparisons were established with Kwangsoo Jeong``s Pansori Sugung-ga, Yonsoo Kim``s and Kyoo Hurs``s Chaggeuk Sugung-ga. In particular, “Yimeun” from scenes of “Sangzwa-nori acting” was examined, including “Face-off Byeoljooboo(the turtle) and Tokky(the rabbit) acting” and “Face-off Byeoljooboo/Yongwhang(the Dragon King) and Tokky(the rabbit) acting”.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the realization of the “Yimeun” at the exclusion of “Choong(忠, the royalty of the King)”, with an emphasis on Byeoljooboo(the turtle)``s and Tokky(the rabbit)``s secularization and Sangsaeng(coexistence) of the Gilsimseung(land animals) and Nalsimseung(winged animals). Moreover, the study argues that Yongwhang asked for forgiveness and reconciliation for Tokky, showing a self-reflective attitude. The realization of “Yimeun” in Sugung-ga``s acting went beyond Confucian recognition and an allegoric meaning. It pursued “Sangsaeng”, as a form of simultaneous awareness. In particular, the acting of Sugung-ga realized the “Will for Survival”. This point is emphasized thought of this article. 이 논문에서는 국립창극단 전승오대가 창극 연기를 살피기 위해 김명곤 연출 < 수궁가 >를 연구했다. 그 과정에서 간헐적이고 파편적으로 언급되고 있었던 창극 연기에 대한 자료들을 정리하고 그 동안 창극 연출가들과 연구자들이 고민하고 제언했던 내용을 통해 창극 연기의 한계와 방향성을 살폈다. 선행연구 논저들을 살피는 가운데 판소리의 ‘이면론’ 자체가 창극 배우의 연기론이 될 수 있다고 여기고 ‘이면’에 대한 논의를 체계화하여 창극 < 수궁가 >의 연기연구에 적용하였다. 이를 통해 창극의 ‘연기’는 배우들의 몸성, 즉 ‘장단, 사설, 악조, 시김새 그리고 이미지적인 움직임’을 살피는 것이며 이를 통해 ‘이면’이 구현된다고 보았다. 창극 < 수궁가 >의 연기에서 구현되는 ‘이면’을 논할 때에 정광수본 < 수궁가 >, 김연수본 < 수궁가 >, 허규 편극 < 토생전과 별주부 > 공연본 그리고 < 토끼타령 > 공연본과 비교하는 방식으로 논의를 전개하였다. 특히 ‘상좌놀이연기’, ‘별주부와 토끼 간의 대결 연기’, ‘별주부/용왕과 토끼 간의 대결 연기’에서 새롭게 구현된 ‘이면’을 논할 수 있었다. 김명곤 연출 < 수궁가 >에서는 이전까지 < 수궁가 >의 상징이었던 ‘忠’ 이미지가 거세되었으며 별주부와 토끼의 세속화, 표리부동한 욕망이 강조되었고 ‘길짐승·남짐승’을 통해 상생하고 생명력 있는 삶이라는 ‘이면’이 구현되는 특징을 보였다. 그리고 용왕에게서는 토끼똥을 먹는 풍자성보다 토끼에게 용서와 화해를 청하는, ‘지배 세력으로서의 반성’적 면모가 드러났다. 이러한 ‘이면’의 구현을 이 논문에서는 유교적이고 이분법적인 우화적 설정을 넘어서 ‘삶, 생명, 상생’이라는 동시대적인 의식이 반영된 것이라 논했고, 특히 창극 < 수궁가 > 인물들 연기에서 ‘삶의 의지’가 구현되고 있다는 점을 논한의의가 있다.

      • KCI우수등재

        자녀의 힘을 북돋우는 부모 프로그램이 어머니와 자녀에게 미치는 효과

        김향은(Hyang Eun Kim),정옥분(Ock Boon Chung) 한국아동학회 1999 아동학회지 Vol.20 No.4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the Empowering Parents Training(EPT) program with emphasis on mother`s parental satisfaction and communication skills and children`s self-esteem and social competence. Subjects were 73 mothers and their 4th to 6th grade children in elementary schools in Seoul and Kyonggi-do. Thirty-seven mother-child dyads were assigned to the education group and 36 dyads were assigned to the comparison group. Mothers in the education group received EPT in 7 sessions. Statistical methods adopted for data analyses were ANCOVA and Scheffe test. EPT had a positive effect on enhancing mothers` parental satisfaction and communication skills. EPT had some positive influence on children`s self-esteem and social competence. The executive model of EPT used in this study was considered effective by the parents and lecturers.

      • KCI등재

        노인의 우울과 삶의 만족도 간의 사회서비스 이용의 조절효과

        김향아(Kim, Hyang-A),이준상(Lee, Jun-Sang) 한국통합사례관리학회 2020 한국케어매니지먼트연구 Vol.0 No.34

        본 연구는 노인의 우울과 삶의 만족도 사이에서 사회서비스 이용의 조절효과를 밝히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2018년 한국복지패널(KOWEPS) 13차년도의 원자료를 사용하여 노인 4,620명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다. 분석방법으로 기술통계분석, 상관관계분석,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노인의 우울은 삶의 만족도를 감소시키는 요인으로 검증되었다. 둘째, 노인의 우울과 삶의 만족도 사이에서 사회서비스 이용의 조절효과가 검증되었다. 우울과 사회서비스 이용의 상호작용항이 유의미하게 나타났으며, 조절효과의 기울기에서 사회서비스 이용 수준이 높은 집단이 낮은 집단 보다 우울과 삶의 만족도의 영향력에 차이가 큰 것으로 확인하였다. 셋째, 사회서비스 이용 하위 요인들 중에서 상호작용항의 조절효과는 검증되지 않았으나, 조절변수인 소득보장 서비스, 건강보장 서비스, 사회참여 서비스의 직접효과가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노인의 우울 수준을 감소시키기 위한 사회서비스 제공의 중요성과 실천 방안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moderating effect of social service use between depression and life satisfaction of the elderly.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4,620 elderly people were selected as the study subjects using raw materials from the 13th year of the 2018 Korea Welfare Panel Study(KOWEPS).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were used. The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depression of the elderly was verified as a factor that decreases life satisfaction. Second, the moderating effect of social service use was verified between depression and life satisfaction of the elderly. The interaction terms between depression and social service use were significant, and the slope of the moderating effect showed that the group with high social service use had a greater effect on depression and life satisfaction than the group with low social service use. Third, although the moderating effect of the interaction term was not verified among the sub-factors of social service use, the direct effects of income security service, health security service and social participation service were significant.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importance of social service provision and practice plans to reduce the level of depression of the elderly were suggested.

      • 대학생의 가족문화유산에 대한 인식과 가족정책적 시사점

        김향은(Hyang Eun, Kim) 신라대학교 여성문제연구소 2013 젠더와 사회 Vol.24 No.-

        본 연구에서는 건강가정을 지원하는 가족정책을 강화하는 방안 가운데 하나로 가족문화유산에 주목하여 대학생들의 인식을 통해 그 가치와 필요성, 정책적 시사점을 살펴보았다. 107명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 결과, 가족문화유산은 세대에서 세대로 이어 온 유형·무형의 가족 전통이나 문화, 유물의 개념으로 이해되고 있었다. 또한 가족문화유산은 대학생들에게 긍정적인 느낌으로 연상되고 있었고, 그 기능과 가치에 대해서도 긍정적인 평가를 받고 있었다. 본 연구에 참여한 대학생들이 현재 자신의 가정에서 보유하고 있는 가족문화유산은 가족 유물, 가족 가치, 가족 활동, 가족 관계의 범주로 분류될 수 있었으며, 이러한 유산에 대한 대학생들의 견해는 대부분 긍정적인 정서와 평가로 요약될 수 있었다. 앞으로 이들이 자신의 가정을 갖게 될 경우 옛 유산을 보존할 것인지 아니면 새로운 유산을 창출할 것인지와 관련된 계획과 그 이유에 대해 알아본 결과. 절반 이상의 응답자가 현존하는 가족문화유산을 계승할 의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응답자의 약 1/3은 자신만의 새로운 가족문화유산을 갖고 싶어 했으며, 응답자의 약 1/9은 기존 유산과 새 유산을 함께 갖고 싶어 했다. 이들이 유지하거나 새로 만들고자 하는 가족문화유산의 유형은 그 가치가 긍정적으로 평가되고 있었으며, 이들의 현존하는 가족문화유산과 같이 가족 유물, 가족 가치, 가족 활동, 가족 관계의 차원으로 분류될 수 있었다. 이상과 같은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건강가정을 지원하는 가족정책을 강화하기 위한 차원에서 고려할 만한 유의미한 시사점을 도출하여, 대학생을 대상으로 하는 예비 가족생활교육의 강화, 가족문화유산의 개발을 통한 건강가정 지원의 활성화, 가족문화유산 운동의 사회적 확산과 이를 위한 총체적 지원, 향후 가족문화유산을 매개로 한 건가가정 지원의 강화를 돕는 연구기반의 구축에 대해 논하였다. This study analyzed future generation’s perception on family cultural heritages(FCHs). 107 college students were the subjects of this study. They answered to the questions of general perception on FCHs, the present state of their FCHs and their planning of transmission of the present FCHs or creation of their own FCHs. The subjects perceived FCHs as unique tradition or convention that has been passing down. Their feelings or emotions about FCHs were very positive like love, trust, gratitude, happiness, joy, precious, etc. They appreciated it’s significant functions as an effective source of family intimacy, cohesion, communications, sharing, support. They set a hight value on FCHs evaluating it necessary, important, valuable, treasure, special, should have handed down, etc. The present FCHs of the subjects were categorized into family legacy, family values, family activities, family relationships. The subjects had positive feelings and appreciation on their present FCHs. Half of the subjects wanted to keep and deliver their present FCHs since it’s functional and significant. One third planned making their own FCHs when they have their own family. The lists of the new FCHs were more diverse including child supportive environment, family volunteering, economically stable environment, generally, they were similar with those the half subjects wanted to hand over though. Based on the research findings, implications on family policies focused on supporting health family development and further studies in the field were discussed.?

      • KCI등재
      • KCI우수등재

        전통 아동교육서에 나타난 아동교육 원리

        김향은(Hyang Eun Kim) 한국아동학회 1995 兒童學會誌 Vol.16 No.2

        This study explored principles of child education in such traditional Korean child education books as So Hak, Dong Mong Sun Seup, Kyuk Mong Yo Kyul, and Sa So Goel. Principles of child education presented in those traditional Korean child education books can be identified as (1) modeling and identification, (2) integration of knowledge and behavior, (3) spontaneity of learning, (4) learning by doing, (5) early education with consideration of critical periods, and (6) individualization. From those findings, we can conclude that traditional Korean child education (1) emphasizes learner characteristics and principles of child development, (2) gives good guidance to significant adults around children, and (3) suggests implications to modern child education practices which are mainly concerned with knowledge and function.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