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인공지능 교육 플랫폼 개발을 위한 기능 및 서비스 분석

        김수환(Soohwan Kim),김갑수(Kapsu Kim),김성훈(Seonghun Kim),김영식(Yungsik Kim),김재현(Jaehyoun Kim),김종범(Jongbeom Kim),김한일(Hanil Kim),김현배(Hyunbae Kim),김현철(Hyeoncheol Kim),김홍래(Hongrae Kim),박다솜(Dasom Park),박선주(SunJu Pa 한국컴퓨터교육학회 2021 컴퓨터교육학회 논문지 Vol.24 No.2

        본 연구는 K-12 대상의 AI 교육 플랫폼 개발을 위한 기능 및 서비스를 제안하는 연구이다. AI 교육 플랫폼 개발을 위한 로드맵을 마련하기 위해 AI 교육의 개념, 교육과정, 온라인 플랫폼 등을 분석하였고, 전문가 검토를 통해 적절성을 판단하였다. 연구결과, AI 교육 플랫폼의 활용 대상은 유아에서 성인까지 전국민을 포괄할 필요가 있으며, 제공 콘텐츠는 인공지능, 데이터과학, 윤리 등 폭넓은 내용을 다양한 학습자의 수준을 고려하여 제공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기능면에서는 웹에서 실습이 가능하고 학습자의 관심과 흥미를 반영한 다양한 데이터 셋을 제공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구조면에서는 학습 및 콘텐츠 관리 시스템, 체험 및 실습지원 시스템, 데이터 관리 시스템을 구축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This research is a study proposing functions and services for the development of an AI education platform for K-12. In order to prepare a roadmap for AI education platform development, the concept of AI education, curriculum, and online platform were analyzed, and appropriateness was determined through expert review. As a result of this study, the target of the AI education platform needs to cover the whole country from infants to adults. In addition, it was analyzed that the provided contents need to provide a wide range of contents such as artificial intelligence, data science, and ethics in consideration of the level of various learners. In terms of function, it was analyzed that it is necessary to provide various data sets that can be practiced on the web and reflect learners" interests and interests. In terms of structure, it was analyzed that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learning and content management system, an experience and practice support system, and a data management system.

      • KCI등재

        중등학교 경도장애학생의 효과적 학교상담을 위한 협력의 저해요인에 대한 교사의 인식

        김한아(Kim, Hana),오인수(Oh, Insoo) 부산대학교 교육발전연구소 2020 교육혁신연구 Vol.30 No.1

        연구목적: 본 연구는 중등학교 통합환경의 경도장애학생을 위한 학교상담에서 주요 주체인 특수교사, 담임교사, 학교상담자 간 협력의 저해요인에 대한 인식을 탐색하여 주체 간 협력의 촉진과 장애학생에 대한 학교상담의 활성화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본 연구는 개념도 연구방법을 활용하였다. 첫째, 특수교사, 담임교사, 학교상담자 26명에 대한 면담을 통해 아이디어 진술문 목록을 추출하였다. 다음으로, 특수교사, 담임교사, 학교상담자 41명의 진술문 목록에 대한 유사성 분류와 중요도 평정을 통해 데이터를 수집하였다. 마지막으로, 유사성 분류 자료에 대해 다차원척도 분석과 위계적 군집분석을 실시하고, 평정 자료에 대한 통계분석을 하였다. 연구결과: ‘주체-체제’, ‘관계-전문성’의 2차원에 바탕을 둔 장애학생 학교상담에서 주체 간 협력의 저해요인에 대한 개념도가 도출되었다. 점지도에서 좌표값은 총 6개의 군집으로 군집화되었는데, 평균 중요도가 높은 순으로 ‘통합교육에 대한 인식 부족’, ‘협력에 필요한 신뢰와 소통의 부족’, ‘각 주체 간 장애학생 지도 관점의 차이’, ‘각 주체의 장애학생 이해 및 지도 역량 부족’, ‘장애학생에 대한 상담적 개입을 어렵게 만드는 학교 체제’, ‘각 주체 간 협력을 어렵게 하는 학교 내 인적, 물적 환경’이다. 논의 및 결론: 개념도 상에서 군집 내 유사도와 군집 간 관계, 그리고 평균 중요도를 기반으로 협력의 저해요인에 대한 전체 집단의 인식과 각 집단 간 인식의 차이를 논하고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mprove the school counseling services for students with mild disabilities in inclusive middle and high schools by investigating the hindering factors of collaboration among key stakeholders(special educators, general educators, and school counselors). Method: The concept mapping research method was used. First, 26 key stakeholders brainstormed hindering factors of collaboration by answering the focus developed by researchers. Second, the data were collected by 41 key stakeholders’ similarity sorting and importance rating on the final 49 statements. Third, researchers analyzed the data by using multidimensional scaling and hierarchical cluster analysis. Results: The multidimensional scaling identified two dimensions: ‘subject-system,’ and ‘relationship-expertise.’ A total of 6 clusters derived through hierarchical cluster analysis: “lack of disability inclusion awareness,” “lack of trust and communication required for collaboration,” “the critical stakeholders’ difference on pedagogical philosophies instructing students with disabilities,” “lack of understanding and competency for helping students with disabilities,” and “school structure impeding counseling intervention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physical environment and human resources in school hindering collaboration.” Conclusion: Based on the relationship among clusters on the final concept map and the rated importance, researchers discussed the perception of the key stakeholders and differences among them.

      • 볼텍스 발생 억제를 위한 흡수정 형상 최적화

        김한일 ( Han Il Kim ),이계복 ( Kye Bock Lee ) 충북대학교 산업과학기술연구소 2022 산업과학기술연구 논문집 Vol.36 No.2

        The vortices, such as free surface vortex and submerged vortex, occurring around or at bell-mouth inlet have been important flow characteristics which always should be considered to keep away from the suction of air-entertained or cavitated flow. The suction of air-entertained or cavitated flow is caused by unfavorable approach flow patterns at suction inlet. The flow patterns are subjected to suction well configurations and pump operation conditions. The Hydraulics Institute and Turbomachinery Society of Japan standards have some regulations for the upstream flow of the pumps to be steady and uniform. However, existing domestic suction wells generally have a partition with opening (including gate), which disturbs the steady and uniform flow, between suction well and regulation well. In this research, many model tests were conducted to observe the generation of vortex in the representative model of suction wells, which were most commonly used in KOWACO's pumping stations. The result of model tests was compared with recommendations of previous standards. The optimum suction well and guidelines of sump design are presented.

      • 판소리 경드름의 음악적 특징에 관한 연구 -춘향가와 수궁가를 중심으로-

        김한아 ( Han A Kim ) 전남대학교 예술연구소 2015 藝術論集 Vol.16 No.-

        경드름은 경조(京調), 경제(京製), 경토리라고도 하는데, 경기지방 민요의 음악어법인 경토리를 판소리에서 수용한 것이다. 이러한 경드름은 판소리 춘향가와 수궁가에 대표적으로 나타난다. 본 연구에서는 판소리의 춘향가 중 〈이도령이 춘향을 달래는 대목〉과 〈남원골 한량 대목〉을 진(..)경드름으로, 수궁가 중 〈토끼가 별주부에게 욕하는 대목〉을 반(..)경드름으로 구분하여 각악곡마다 음조직, 선율형, 리듬형으로 나눠 경드름의 음악적 특징을 밝힌다. 먼저 음조직에 있어 주요음은 춘향가의 〈이도령이 춘향을 달래는 대목〉이gㆍaㆍc′ㆍd′ㆍf′, 〈남원골 한량 대목〉이 gㆍaㆍc′ㆍd′ㆍf′(e′)로 구성되고, 수궁가의 〈토끼가 별주부에게 욕하는 대목〉이 gㆍc′ㆍe′ㆍf′로 구성된다. 즉 판소리에서 d′의 사용은 반경드름과 진경드름을 구분하는 요소 중 하나로 볼 수있다. 악조는 춘향가 〈이도령이 춘향을 달래는 대목〉이 gㆍaㆍc′ㆍd′ㆍf′ 5음음계의 음조직으로 구성된 진경드름이고, 〈남원골 한량 대목〉이 gㆍc′ㆍd′ㆍe′의 계면조와 gㆍaㆍc′ㆍd′ㆍf′(e′) 5음 음계에서 ‘파’가 ‘미’로도 사용되는 음조직의 진경드름이며 수궁가의〈토끼가 별주부에게 욕하는 대목〉이 gㆍc′ㆍe′ㆍf′ 4음 음계에서 e′와 f′가 함께 사용되는 음조직의 반경드름이다. 이 중 ‘솔-라-도-레-파’의 5음 음계로만 구성된 춘향가의〈이도령이 춘향을 달래는 대목〉이 가장 진경드름의 모습에 가깝다. 종지음은 춘향가의 〈이도령이 춘향을 달래는 대목〉,〈남원골 한량 대목〉, 수궁가의〈토끼가 별주부에게 욕하는대목〉모두 g이고, g-a의 올림 종지 형태가 공통적으로 나타난다. 선율형에 있어 종지 선율은 진경드름과 반경드름의 구분 없이 순차하행형의 공통적인 특징이 나타나며 시작 선율형은 춘향가 진경드름의 〈이도령이 춘향을 달래는 대목〉이 숙여내는 선율로 구성된다. 리듬형에서는 진경드름과 반경드름 구분없이 1음 1박형ㆍ확대형(1음 2박형)ㆍ축소형의 2소박 리듬이 공통적으로 나타나고, 축소형의 3소박 리듬은 방울목 표현에만 사용된다. 결국 판소리의 진경드름과 반경드름은 음조직ㆍ선율형의 차이로 구분할 수있으며 음조직에서는 5음 음계와 4음 음계로 구분된다. 다시 말해서 진경드름은 ‘솔-라-도-레-파’의 5음 음계 구성이고, 반경드름은 ‘솔-도-미-파’의 4음음계 구성으로 나타난다. Gyungdeureum also means gyungjo, gyungje, or gyungtori that was influenced by the music in Gyeonggi-do. Gyungdeureum of Pansori was derived from gyungtori of folk song. These Gyungdeureum is tyically appear in chunhyangga and sugungga of Pansori. In this study, there were many cases of Jin-Gyungdeureum in <Lines for Mr. Lee comforting Chunhyang> and <Lines of playboy at Namwongol> among chunhyangga in the Pansori. Among sugungga, <Lines for rabbit abusing on byuljubu> was the only line of semi-Gyungdeureum as a study subject. And reveal their musical features of tonal system, melody type, and rhythm type are classified on each of the music. First of all, Major tones from tonal system were configured as gㆍa ㆍc′ㆍd′ㆍf′ on <Lines for Mr. Lee comforting Chunhyang> from Pansori, gㆍaㆍc′ㆍd′ㆍf′(e′) on <Lines for playboy at Namwongol>, and gㆍc′ㆍe′ㆍf′ on <Lines for rabbit abusing on byuljubu> that d′ was not used. As for tones, <Lines for Mr. Lee comforting Chunhyang> from Pansori is the Jin-Gyungdeureum configured as five musical tones of g ㆍaㆍc′ㆍd′ㆍf′, and <Lines for playboy at Namwongol> is the Jin-Gyungdeureum using ``fa`` as ``mi`` in the five musical tones of gㆍaㆍ c′ㆍd′ㆍf′(e′) and also Gyemyunjo of gㆍc′ㆍd′ㆍe′. In addition, <Lines for rabbit abusing on byuljubu> from sugungga is the semi-Gyungdeureum using e′ and f′ at the same time from the four musical tones of gㆍc′ㆍe′ㆍf′. Among them, <Lines for Mr. Lee comforting Chunhyang> from chunhyangga configured only as ``sol-ra-do-re-fa`` is the most similar to Jin-Gyungdeureum. As for melody type, ending melody was commonly shown as consecutively lowered format on <Lines for Mr. Lee comforting Chunhyang>, <Lines for play boy at Namwongol> from chunhyangga and <Lines for rabbit abusing on byuljubu> from sugungga. As for ending-tone, g was used on <Lines for Mr. Lee comforting Chunhyang> from chunhyangga, <Lines for play boy at Namwongol>, and <Lines for rabbit abusing on byuljubu> from chunhyangga with g-a forms of Jongji. As for initiating melody type, in other words ending melody type, <Lines for Mr. Lee comforting Chunhyang>, <Lines for play boy at Namwongol>, and <Lines for rabbit abusing on byuljubu> from Pansori typically present without separating Jin-Gyungdeureum with semi-Gyungdeureum. As for rhythm type, <Lines for Mr. Lee comforting Chunhyang>, <Lines for play boy at Namwongol>, and <Lines for rabbit abusing on byuljubu> from Pansori were with commonly indicated 1 tone- 1 beat and expanded tone system (1 tone 2 beats) and compact tone system of 2 sobak rhythm. Compact tone system of 3 sobak rhythm was only used for the expression of bangwoolmok. Hereupon, Jin-Gyungdeureum and Semi-Gyungdeureum from Pansori can be divided into a difference in tonal system, melody type. Namely Jin-Gyungdeureum configured as five musical tones of sol-ra-do-re-fa, Semi-Gyungdeureum configured as five musical tones of sol-do-mi-fa.

      • KCI우수등재

        PECVD 에 의한 다이아몬드성 탄소박막의 증착기구에 관한 연구

        김한,주승기,Kim, Han,Joo, Seung-Ki 한국진공학회 1994 Applied Science and Convergence Technology Vol.3 No.4

        메탄을 원료가스로 하여 PECVD에 의해 다이아몬드성 탄소(DLC) 박막을 형성하였으며 이때 인 가전력의 크기 및 주파수 그리고 보조가스의 종류가 optical band gap의 크기에 미치는 영향에 대학여 연구하였다. DLC 박막의 optical band gap 은 증착되는 이온의 에너지가 증가할수록 감하였으며 불활성 기체를 보조가스로 사용하는 경우 인가전력에 따른 optical band gap의 크기가 큰폭으로 감소하였다. 소 소를 보조가스로 사용한 경우는 높은 인가전력(100W 이상)에서 optical band gap이 증가하는 것으로 밝 혀졌으며 본 연구에서 제안된 증착 기수의 모델에 의해 적절한 설명이 가능하였다.

      • 협업필터링을 이용한 개인화 애완동물 돌보미 추천 시스템

        김한이 ( Han-yi Kim ),황동현 ( Dong-hyun Hwang ),박두순 ( Doo-soon Park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7 한국정보처리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4 No.1

        현대사회의 발전에 따라 1인가구가 증가하면서 애완동물을 키우는 애완 인이 증가하게 되었다. 애완동물을 가족의 구성원으로 여기는 사람들이 많아지면서 반려동물에게 사용하는 지출 규모가 폭발적으로 증가하였다. 자연스럽게 애완동물 사업 규모가 커지면서 서비스 산업이 확장되고 있다. 이에 따라 반려인들은 자신의 반려동물을 잘 돌봐줄 수 있는 애완동물 돌보미 서비스를 제공받기를 원한다. 본 논문에서는 협업 필터링방법에 사용자의 개인화 요소를 이용하여 애완동물 돌보미 중 사용자에게 적합한 애완동물 돌보미를 추천하는 시스템을 제안한다.

      • KCI등재후보

        스마트폰 클라우드 서비스에서의 개인정보 침해 유형 및 관계 법령에 대한 소고

        김한가희 ( Han Ga Hee Kim ),이지헌 ( Ji Hun Lee ) 연세대학교 법학연구원 2013 法學硏究 Vol.23 No.1

        국민의 절반 이상이 스마트 폰을 사용하면서, 스마트폰을 통한 각종 서비스 이용은 개개인의 일상이 되었다. 스마트 폰 기술의 발달로 인해 PC를 통해 이루어졌던 각종 서비스가 스마트 폰 앱 또는 웹을 통해 가능해졌는데, 클라우드 서비스 역시 그러한 서비스의 일종이다. 문제는 스마트 폰 및 통신망 이용을 통한 대용량 데이터 송수신이 가능해지면서 개인 정보의 유출 가능성이 점점 심화되고 있다는 사실이다. 특히 클라우드 서비스의 경우, 점차 시장이 확대되고 있고 서비스 자체가 개인과 밀접한 정보를 저장하는 업무인 만큼 그 보안가능성 및 침해 가능성에 대해 관심을 기울일 필요가 있다. 최근 앱에 의한 스마트폰 정보 및 개인정보의 유출 사례가 급증하고 있으며, 이로 인해 피해를 입은 개인이 많을뿐더러 그 피해액도 나날이 증가하고 있다. 스마트폰을 통한 클라우드 서비스 또한 스마트폰용 앱을 통해 서비스가 제공됨으로써, 과거와 달리 클라우드 서비스의 개인정보 유출 경로가 늘어났다. 대표적으로 스마트 폰 자체의 하자로 인한 유출, 통신망 침입자 및 악성코드로 인한 유출, 클라우드 서비스업자의 과실로 인한 유출로 나눌 수 있다. 클라우드 서비스는 기존의 계약관계와 다른 특징이 있어 독립된 법제가 필요하다는 의견이 제기되어 왔으나, 외국에서는 가이드라인 및 지침으로 이를 규제할 뿐 법률로 규율하지는 않고 있다. 현재 우리나라에서 개인정보보호를 다루고 있는 법은 ?개인정보보호법?, ?정보통신망 이용촉진 및 정보보호 등에 관한 법률? 및 ?위치정보의 보호 및 이용 등에 관한 법률?이 있는데, 최근 방송통신위원회에서 ?클라우드 컴퓨팅 발전 및 이용자보호에 관한 법률 제정안?을 입법예고한 바 있다. 따라서 이들을 비교·분석하면서 앞으로의 클라우드 서비스가 개인정보보호와 관련해서 어떠한 방식으로 법의 규율을 받게 되는지를 살펴볼 필요가 있다. 또한 입법 예고된 클라우드법 제정안이 적용될 경우의 문제점 또한 검토해 보도록 한다. Various mobile services in smart phone are common for individual person as a majority of people becomes to use smart phone. Due to the development in technology, several services, which only were able to access in personal computer. are possible in smart phone through mobile app or web. Cloud service is one of these services. A problem is that the leaks of private data are deepening as the movement of big data becomes possible by using smart phone and communication network. Particularly, Cloud service which is more related in private data should be carefully managed by business operator. Recently, there are several cases of leaks on private data. Damages are growing and compensation for damages also become enormous. Cloud service in app has possibility on the infringement of data by network invaders. Furthermore, the phenomena of these problem in mobile cloud service is more various than other services. Although there were some arguments on Act of Cloud Computing for recent development in cloud service market and the danger of data infringement, still there is no independent law on cloud computing service in foreign country and Korea. The laws related in private data in present Korean law is ``Private Data Act`` and ``Communication Network Act``. However, as the Korea Communication Commission noticed ``Cloud Computing Act`` recently, it is also discussed in this article. If ``Cloud Computing Act`` is enacted by the National Assembly, the relation between ``Cloud Computing Act`` and other laws can be the problem. Therefore, expecting on these problem and finding solution are needed in the present situation.

      • SCOPUSKCI등재

        식도의 평활근종 보고

        김한일(Hang Il Kim),임성순(Sung Sun Im),이동윤(Dong Yoon Lee),이재수(Jae Soo Lee),이준상(Joon Sang Lee),강종식(Jong Sik Kang) 대한소화기학회 1987 대한소화기학회지 Vol.19 No.1

        Leiomyoma of the esophagus is a rare smooth muscle tumor. Authors report a case of leiomyoma of the esophagus diagnosed by the esophagogram, chest C-T, esophagoscopy and histologically. The patient was 32-year old male, and complained of nausea, vomiting and substernal discomfort 1 week before admission. The esophagogram revealed crescent-like smooth filling defect through upper to middle one third of the esophagus, but the mucosal folds were intact. Chest C-T showed well defined solid mass in posterior portion of the esophagus. Esophagoscopy revealed normal mucosal patterns with swollen hard protruded lesion from the 25 cm to the 30 cm level from the upper incisors. L'horacntomy was performed at right 4th intercostal space, and a firm 4.8x2.2x1.8cm sized mass was enucleated by blunt dissection without any injury of the mucosa of the esophagus. The diagnosis of leiomyoma was confirmed with histopathological finding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