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텍스트 마이닝을 활용한 건설 현장 복합사고 발생 양상 분석
김하영(Kim, Hayoung),이준성(Yi, June-Seong),고유진(Ko, Youjin) 대한건축학회 2021 대한건축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Vol.41 No.2
In order to establish safer and more fundamental measures to prevent construction accidents, it is important to closely analyze the causes and aspects of accidents. In this study, the pattern of combined accidents caused by connection with the primary and secondary accidents was analyzed using the Kosha Disaster Case Report. As a result, fall and narrowness accident types have frequently occurred caused by the overturning and collapse of the structure. This suggests that the management of building structural problem is more important than improving workers’ safety awareness. As such, complex accidents are difficult to be classified into the one accident type, so it is necessary to shift from the current safety management system and establish a more systematic system focused on the fundamental causes of accidents.
초기 청소년의 탄력성 발달궤적 검증 및 사회적 지지체계 변화양상과의 관계
김하영(Hayoung Kim),이유진(Yu Jin Lee),한윤선(Yoonsun Han) 한국아동학회 2018 아동학회지 Vol.39 No.5
Objectives: Resilience is characterized by the ability to change over time and may increase or decrease in adolescence depending on available social support factors.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rajectories of resilience and how these longitudinal patterns of resilience are related to changes in social relationships over time. Methods: This longitudinal study analyzed 4,299 early adolescents from waves 3-6 (sixth year of elementary school to third year of middle school) of the Seoul Education Longitudinal Study (SELS). A latent class growth analysis (LCGA) was conducted to empirically demonstrate latent development trajectories of adolescents’ resilience, and growth mixture model with known class was created to describe the relationship between resilience development trajectories and longitudinal change in social support systems (parent relationships, teacher relationships, peer relationships). Results: First, the developmental patterns of adolescents’ resilience varied over time; a total of six latent development trajectories were identified. The initial values of resilience by latent group were distributed over a wide range (high, middle-high, middle, middle-low, and low) and rate of change showed various patterns (decrease, decrease-increase, increase, and increase-decrease). Second, the patterns of change in social relationships (parents, teachers, peers) were similar to those of the resilience development trajectories. Third, among the three dimensions of social support, peer relationships showed the most similar patterns of change over time compared with other resilience development trajectories. Conclusion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differentiated interventions are required depending on the latent development trajectories of resilience, and adolescents should be provided with various opportunities to establish positive relationships with parents, teachers, and peers.
물류창고 특성이 고려된 화재위험성 평가방법에 대한 연구
김하영(Kim, Hayoung),이동호(Rie, Dongho) 한국방재학회 2020 한국방재학회논문집 Vol.20 No.2
물류창고와 같이 내부 적재물이 저장된 일반적인 화재보다 화재 하중이 높으며 화재의 성장속도가 매우 빠른 특성을 보인다. 또한 내부 적재물의 부피로 인해 연기가 체류할 공간이 줄어들어 연기의 하락이 가속화 된다. 이러한 화재 위험성을 감소시키기 위해 설계단계에서 화재 위험성 평가가 필요하지만 기존의 CFD를 사용한 평가방법은 평가에 장시간이 소요되므로 다양한 환경에 대한 평가가 어려웠다. 본 연구에서는 화재 위험성 평가와 관련된 수식을 활용하여 내부 적재물이 고려된 평가가 가능하도록 알고리즘을 개발하였다. 개발된 알고리즘은 감지기의 감지시간, 연기의 하강시간, 스프링클러의 작동시간, 피난시간 등이 손쉽게 계산되도록 설계되었다. 이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초기 설계단계에서 최적화된 화재 안전설비가 계획될 것으로 기대한다. Large spaces, such as warehouses where internal loads are stored, exhibit higher fire loads and faster fire growths than general fires. In addition, the volume of the internal load reduces the space required for the smoke to stay, thereby accelerating the decline in smoke height. To prevent fire hazards in such spaces, it is necessary to evaluate the fire risk during the design stage. However, it is difficult to evaluate various settings because the evaluation method using the existing computational fluid dynamics utilize considerable amount of time. In this study, an algorithm was developed to evaluate the internal loads by using formulas related to the existing fire risk assessment. The developed algorithm is designed to easily calculate the detection time of the detector, smoke fall time, and sprinkler operation time. This algorithm could be used to design an optimized fire protection system in the initial design stage.
기후변화에 따른 농업용 저수지 이수 기후안전도 분석 및 취약성 평가
김하영 ( Hayoung Kim ),나라 ( Ra Na ),주동혁 ( Donghyuk Joo ),유승환 ( Seung-hwan Yoo ),김수진 ( Soo-jin Kim ),배승종 ( Seung-jong Bae ),최영은 ( Young-eun Choi ),송석호 ( Suk-ho Song ),정경훈 ( Kyung-hun Jeong ) 한국농공학회 2022 한국농공학회 학술대회초록집 Vol.2022 No.-
세계 경제 포럼 Global Risks 2021은 글로벌 위험요인으로 극한기상, 기후변화 대응 실패, 인간이 초래한 환경피해 전염병, 생물다양성 감소 등을 선정하였고, The Global Risks Report 2022는 글로벌 리스크 요인으로 기후 행동 실패, 극한 기상현상, 생물다양성 손실, 사회적 결속력 약화등이 있다고 발표하였다. 최근 우리나라에서도 이상기후로 인한 피해가 증가하고 있으며, 특히 농업 분야에서 이상기후로 인해 발생하는 재해의 피해 규모는 불규칙적이기 때문에 과학적 예측 및 사전 대응에 어려움이 있다. 우리나라는 지난 106년간(1912~2017) 여름철 강수량이 뚜렷하게 증가하였으며, 최근 30년(1981~2010)동안 극한 강우 발생 빈도가 증가하였다. 또 연평균기온은 1.8℃ 상승하여 전 지구 평균 온난화(0.85℃) 보다 뚜렷하고 빠르게 진행중이다. 이러한 지구온난화로인한 기후변화는 물 부족, 수자원의 안정적 수급을 위협하고 농업생산기반시설의 이수 관리의 부담을 증가시킨다. 이에 본 연구는 기후변화 취약성 평가에 따른 농업용저수지의 이수 기후안전도를 분석하고, 적응대책을 제시하고자 한다. 농업생산기반시설의 기후변화 취약성 평가를 위한 이수 및 치수 모델링 분석 결과 산정을 위한 절대적·상대적 지표로 기후안전도 개념을 정의하였다. 기후변화에 따른 농업용저수지의 이수 기후안전도 분석을 위해 최근 영농여건 변화 현황조사를 실시하고, 시설별 물수지 분석을 통해 논용수수요량 및 저수지 설계유효저수용량을 산정하였다. 물수지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취약시설의 가뭄빈도 적정성 및 상관성을 분석하여 이수 기후안전도를 평가하고, 기후변화에 따른 농업생산기반시설의 적응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대책을 제시하고자한다. 본 연구에서 진행한 기후변화에 따른 농업생산기반시설 중 취약시설의 이수 기후 안전도 분석을 통해 보조수원공, 퇴수재이용, 수계연결, 저수지 준설 등 기후변화 적응능력 향상을 위한 대책을 수립할 수 있는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기후변화에 따른 농업용 저수지 이수 기후안전도 분석 및 취약성 평가
김하영 ( Hayoung Kim ),나라 ( Ra Na ),주동혁 ( Donghyuk Joo ),유승환 ( Seung-hwan Yoo ),김수진 ( Soo-jin Kim ),배승종 ( Seung-jong Bae ),최영은 ( Young-eun Choi ),송석호 ( Suk-ho Song ),정경훈 ( Kyung-hun Jeong ) 한국농공학회 2022 한국농공학회 학술대회초록집 Vol.2022 No.-
세계 경제 포럼 Global Risks 2021은 글로벌 위험요인으로 극한기상, 기후변화 대응 실패, 인간이 초래한 환경피해 전염병, 생물다양성 감소 등을 선정하였고, The Global Risks Report 2022는 글로벌 리스크 요인으로 기후 행동 실패, 극한 기상현상, 생물다양성 손실, 사회적 결속력 약화등이 있다고 발표하였다. 최근 우리나라에서도 이상기후로 인한 피해가 증가하고 있으며, 특히 농업 분야에서 이상기후로 인해 발생하는 재해의 피해 규모는 불규칙적이기 때문에 과학적 예측 및 사전 대응에 어려움이 있다. 우리나라는 지난 106년간(1912~2017) 여름철 강수량이 뚜렷하게 증가하였으며, 최근 30년(1981~2010)동안 극한 강우 발생 빈도가 증가하였다. 또 연평균기온은 1.8℃ 상승하여 전 지구 평균 온난화(0.85℃) 보다 뚜렷하고 빠르게 진행중이다. 이러한 지구온난화로인한 기후변화는 물 부족, 수자원의 안정적 수급을 위협하고 농업생산기반시설의 이수 관리의 부담을 증가시킨다. 이에 본 연구는 기후변화 취약성 평가에 따른 농업용저수지의 이수 기후안전도를 분석하고, 적응대책을 제시하고자 한다. 농업생산기반시설의 기후변화 취약성 평가를 위한 이수 및 치수 모델링 분석 결과 산정을 위한 절대적·상대적 지표로 기후안전도 개념을 정의하였다. 기후변화에 따른 농업용저수지의 이수 기후안전도 분석을 위해 최근 영농여건 변화 현황조사를 실시하고, 시설별 물수지 분석을 통해 논용수수요량 및 저수지 설계유효저수용량을 산정하였다. 물수지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취약시설의 가뭄빈도 적정성 및 상관성을 분석하여 이수 기후안전도를 평가하고, 기후변화에 따른 농업생산기반시설의 적응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대책을 제시하고자한다. 본 연구에서 진행한 기후변화에 따른 농업생산기반시설 중 취약시설의 이수 기후 안전도 분석을 통해 보조수원공, 퇴수재이용, 수계연결, 저수지 준설 등 기후변화 적응능력 향상을 위한 대책을 수립할 수 있는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