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北渚 金瑬의 한시 연구

        김풍기 한국인물사연구소 2012 한국인물사연구 Vol.18 No.-

        Despite his remarkable literary talent, Kim Ryu, a.k.a. Bukjeo, never received due attention. It may be his complicated political moves that rendered it difficult to interpret his literary works. He seized political power after the Injo Restoration, but then he ardently supported the alliance with the Qing Dynasty when faced with the second Manchu Invasion in 1636.This was severely criticized by his contemporary intellectuals. Moreover, his mother and wife committed suicide for fear that they might suffer indignity, when Ganghwa Island, in which they sought refuge was invaded by the Qing army. His son, Kim Gyeong-jing, who was in charge of defending Ganghwa Island, fled the Island leaving the royalties behind and survived, but was impeached and executed after the war. Due to such tragic family history, Kim’s later life was filled with anguish and conflicts. Kim’s Classical Chinese poetry reflected such personal history. However, he did not expose his raw emotions in direct language. Using Tang style poetry, he intricately weaved his emotions with objects, which was an extremely metaphorical method to express his feelings. His mansi, the elegies for the dead, were highly praised by many people. It ran the risk of falling into cliché, but he managed to attain literary achievements by way of Tang style poetry. Studying Kim Ryu’s literary works will open up new avenues to understand an aspect of Korean literary history during the early seventeenth century. A continued effort to study his official literary works such as epitaphs or the Classical Chinese poems he exchanged with foreign envoys must be carried on.

      • KCI등재후보

        언어의 위계화와 새로운 언어 권력의 탄생 - 조선 후기 시조(時調) 가집(歌集)의 서발(序跋)을 중심으로

        김풍기 전남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15 용봉인문논총 Vol.- No.46

        Within the realm of the dominant language, a minor language is always under constant threat of marginalization and extinction. For survival, the minor language creates its own space and inscribes in it a new linguistic and cultural topography. Every language attempts to create its own cultural topography. However, most of their efforts fail in facing with the pre-established social, economic, political or cultural environments. The relationship between minor and dominant languages can be characterized as following ways: extinction, assimilation (absorption), and coexistence. On this account, this paper argues that Eonmun in the song books of the late Joseon period takes following strategies: 1) acknowledging that Sino-Korean classics including Sino-Korean poetry has a long tradition, 2) emphasizing both Shijing and Sijo reflect the true mind of humans through their common musicality, 3) claiming both Chinese character and Eonmun can represent the true mind of humans despite their linguistic differences, 4) finding the unique area of Eonmun in its relationship with Chinese character. In this process, the idea that the Shi is identical with the song or ode first emerged. And it was a pivotal moment for Eonmun, which became a new language power at the dawn of the modern era. 지배 언어의 강한 자장 안에서 소수 언어의 생존은 늘 위협 받는다. 생존을 위해 자신만의 공간을 만들고 거기에 새로운 언어 문화적 지형도를 만든다. 어떤 언어든 자신을 중심으로 문화적 지형도를 만들려고 애를 쓴다. 그러나 사회적, 정치적, 경제적 혹은 문화적 환경 때문에 그러한 노력은 대부분 무위로 끝난다. 언어들 사이에서 만들어지는 관계는 그 전략에 따라 크게 세 가지로 구분된다 : 하나의 언어가 소멸되거나, 다른 언어를 흡수하여 동화시키거나, 혹은 공존을 선택한다. 그렇게 볼 때, 조선 후기 가집에서 보이는 언문의 전략은 다음과 같다. ① 한시를 포함한 한문은 오랜 전통을 가지고 있다는 점을 인정한다. ② 노래로서의 한시 문학인 『시경』과 노래로서의 시조가 인간의 순수한 마음을 담고 있다는 사실을 강조한다. ③ 한문과 언문이라는 표기 차이를 제외하면, 인간의 진정한 마음을 담는다는 점은 같다고 주장한다. ④ 이를 통해서 한문이 담당할 수 없는, 언문만의 고유한 영역을 확보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시와 노래가 같다고 하는 ‘시가동도론(詩歌同道論)’이 제기된다. 이것은 근대의 여명기에 언문이 급격하게 자신의 영역을 확대하면서, 끝내 새로운 언어 권력으로 등장하는 계기가 되었다.

      • KCI등재

        일제강점기 일간지 시대의 개막과 금강산 - 1920년대 <동아일보>, <조선일보>를 중심으로 -

        김풍기,홍성구 동아시아고대학회 2022 동아시아고대학 Vol.- No.68

        일제강점기 금강산은 급진적 근대화가 이루어진 장소였다. 조선후기에 이미 정착된 금강산 여행 경로를 그대로 유지한 채, 말과 도보라는 전 근대적 모빌리티가 기차, 전철, 기선(汽船), 자동차 등 근대적 모빌리티로 바뀌어갔다. 총독부의 금강산 개발에서 식민지 조선 민중은 고려 대상이 아니었다. 그러나 이 시기 금강산은 조선 사람이라면 누구나 직접 보고, 몰입하고, 느끼고 싶어 하는 장소로 자리 잡는다. <동아일보>와 <조선일보>는 경쟁적으로 금강산에 관해 보도하고, 유명 작가의 여행기를 연재하며, 나아가 금강산 탐승단을 직접 운영했다. 이와 같은 행위 저변에는 민족적 자긍심 회복을 위해 구성원 모두가 금강산을 자세히 알고, 사랑하고, 직접 경험하자는 정당화가 자리잡고 있었다. This paper explores the aspects of Mt. Geumgang reported in <the Dong-A Ilbo> and <the Chosun Ilbo>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in the 1920s. During that time, Mt. Geumgang was rapidly modernized. While the previous travel route to Mt. Geumgang established in the late Joseon Dynasty was maintained, the pre-modern methods of mobility, that is, horses and walking, were replaced with modern forms such as electric trains, steam locomotives, steamboats, and automobiles. Concerning the development of Mt. Geumgang, the Japanese Government General did not consider Joseon seriously. Meanwhile, for the people of Joseon at that time, Mt. Geumgang had a meaning they wanted to see, be immersed in, and feel. <The Dong-A Ilbo> and <the Chosun Ilbo> competitively reported on Mt. Geumgang and serialized travel journals by famous writers, even operating group sightseeing tours to the mountain, respectively. Behind such actions, there was a growing justification that all citizens had to know, love, and experience Mt. Geumgang to restore national pride.

      • KCI등재

        조선 중기 古文의 小品文的 성향과 許筠의 尺牘

        김풍기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2001 民族文化硏究 Vol.35 No.-

        척독의 경우 짧은 형식 속에 심원한 흥취를 불어넣을 수 있었으므로 허균이 깊은 관심을 보였던 분야이다. 특별한 형식을 고집하지 않으므로 다양한 형태의 척독이 파생되었고 얼굴을 마주하고 이야기하는 듯한 글에서 자신의 감정을 비교적 진솔하고 다정다감하게 전달할 수 있었다. 이를 통해 허균은 일상성이 서정성과 만나서 어떻게 깊은 흥취를 획득할 수 있는가를 보여주었다. 나아가 우리의 삶이 곤핍하기만 한 것이 아니라 삶의 매순간마다 뛰어난 예술적 계기가 내포되어 있다는 사실을 섬세하게 포착하여 드러냈다. 그것은 신분이나 사회적 지위를 넘어서 전혀 다른 차원의 벗을 형성하는 기초가 되었다. 상하질서가 가지는 엄숙함을 벗어나서 벗의 수평적 질서가 삶을 지배하게 되자 허균의 문장 역시 자유분방하고 발랄한 느낌을 획득한다. 스승같은 벗, 벗같은 스승의 모습이 바로 허균의 목표였다. 이 지점에서 우리는 그의 척독이 실천의 문제와 연관되어 있다는 사실을 발견한다. 모든 사회적 제약을 넘어서서 좋은 벗과의 교류는 사유세계를 발전적으로 넓히는 힘이 되었다. 그리고 그것에 기반한 실천은 새로운 차원의 사회를 만들기 위한 치열한 싸움이었던 것이다.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금강산 설화의 디지털 콘텐츠 개발 전략과 실제

        김풍기 고전문학한문학연구학회 2007 고전과 해석 Vol.2 No.-

        이 논문은 금강산 설화를 중심으로 그와 관련된 인접 분과의 자료들이 어떻게 문화 콘텐츠로 만들어질 수 있는가를 논의한 글이다. 특히 금강산 설화를 애니메이션으로 제작한 경험을 바탕으로 논의를 진행하면서, 그 과정에서 한국 고전문학이 어떤 역할을 할 수 있는가를 다루었다. IT 기술의 비약적인 발전과는 달리 콘텐츠 분야에서는 열악한 상황을 면치 못하고 있는 현실에서, 고전문학의 텍스트는 무궁무진한 콘텐츠를 제공할 수 있으리라고 여겨진다.고전이 여전히 이 시대에도 고전일 수 있기 위해서는 연구자들의 전문적이 연구와 함께 이를 일반 독자들이 쉽게 접할 수 있도록 새로운 버전의 고전 문학 작품을 계속 만들어내야 한다. 그렇게 될 때 비로소 ‘고전’은, 시대의 차이에도 불구하고, 많은 영감과 창조적 사유를 불러 일으킬 수 있을 것이다.그러나 여전히 다음과 같은 문제가 논의되어야 한다.첫째, 고전문학 작품의 재발견은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그 속에 잠재되어 있는 가능성을 다양한 시각으로 이끌어내서 독자들에게 고전문학 작품을 재발견할 수 있도록 기회를 제공하는 것은 연구자의 몫이다. 그런 점에서 고전과 현대의 대화를 이끌어야 한다는 것이다.둘째, 산재되어 있는 작품 조각들(특히 구비문학 분야)을 광범위하게 수집하여 DB화하는 작업이 진행되어야 한다. 이 작업은 조사된 자료들을 체계적으로 정리하는 일이 동시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셋째, 원작과 변용 사이의 범위에 대한 폭넓은 논의와 함께 이를 구체화시킬 수 있는 노력들이 계속되어야 한다. 되도록이면 상용화될 수 있는 수준에 이르면 좋다. Developing contents for classical literature which is its modern utilization is still in elementary level. It is true that related businesses have been neglecting Korean classics and that scholars have not been able to do a thorough and in-depth research on how to utilize the classics. For classics to remain classics in this age, scholars must produce new versions of classical literature for the general public to get an access to along with their professional research. That is when the classics bring out numerous inspirations and creative thoughts across the age.However, the following questions should still be discussed.First, rediscovery of classical literature must be continued. Many classical literature exist, but not all of them can be transformed into new use. It is the role of the scholars to bring out their possibilities in various aspects and give the readers an opportunity to rediscover classical literature. Hence, it is their role to lead the dialogue between the classic and the modern.Second, the fragmented works (expecially, the oral literature) must be collected and made into database. This work should be done simultaneously with a systematic organization of the literary works.Third, there should be a wide range of discussion on how far the transformation can be allowed and how this can be realized. It is preferable if the transformed work is made into a form that can be commonly used.

      • KCI등재

        관동팔경 청간정의 명승화(名勝化) 과정과 시적 형상화의 특징

        김풍기 한국문학언어학회 2019 어문론총 Vol.82 No.-

        Cheongganjeong(淸澗亭) was recognized relatively late among Gwandongpalkyeong(關東八景). The works dealing with this place by Choi Lib, Yang Saeon and Yi Sik, in particular, created strong impression on authors in the late Joseon Dynasty. The literary tradition established by later works’ responding to the previous ones related to Cheongganjeong led this spot certainly to be one of the sites among Gwandongpalkyeong. Later works on Cheongganjeong had different tendencies, depending on whose previous poems they communicated with. The works of Yang Saeon(楊士彦) and Yi Sik(李植), generally showing the Taoistic imagery, suggested Cheongganjeong as an imaginary space. On the other hand, Choi Lib(崔岦), who wrote rhyme-borrowing poems frequently, highlighted the characteristics of its natural scenery. Those characteristics such as Cheongganjeong’s location closely by the sea, infinitely open thalassic image for Confucian scholars not to easily encounter in their daily life and the fantastic scenery of sunrise and sunset at the sea were the essential factors that made Cheongganjeong distinct from the other sites among Gwandongpalkyeong. The vigor and the spirit felt from the widely open sea on the pavilion, its resultingly expanded imagination, and the literary works reflecting all these elements make readers form a distinctive recognition on Cheongganjeong. In the very respect, it is related literary works that transform Cheongganjeong as a originally natural space into a cultural or humanistic one and also contribute to the process of its becoming a scenic site. 관동팔경에서 청간정은 비교적 뒤늦게 주목을 받은 장소이다. 특히 청간정을 소재로 지은 최립, 양사언, 이식 등의 작품은 조선 후기 문인들에게 깊은 인상을 남겼다. 사람들은 그의 작품에 화답을 했고, 이러한 문학적 전통은 청간정을 관동팔경 중의 하나로 자리 잡게 만들었다. 누구의 시에 화답을 하는가에 따라 작품 경향에서 차이를 보인다. 양사언과 이식의 작품은 대체로 도선적인 이미지를 드러내면서 청간정을 상상의 공간으로 만들었던 것에 비해, 가장 많은 차운시를 발생시켰던 최립의 작품은 자연경관이 주는 특성을 강조하는 면모를 보였다. 그것은 청간정이 바다에 연접해서 건축되었다는 점, 유학자들이 일상에서 쉽게 접하지 못하는 바다의 무한한 이미지, 바다에서의 일출과 월출이 주는 환상적 풍경 등은 관동팔경 안에서 청간정의 모습을 특성화하는 중요한 요소였다. 정자에 올라 바라보는 창해(滄海)가 던져주는 기상, 그것에서 확장된 도선적 상상력, 이러한 점을 반영시킨 문학 작품 등이 독자들에게 청간정의 특징적인 장소성을 형성하게 만든다. 바로 이런 점에서 청간정을 소재로 창작된 문학 작품이야말로 자연공간으로서의 청간정을 문화적 혹은 인문적 장소로 변화시키는 요인이라고 할 수 있으며, 명승화의 과정에 기여하는 가장 중요한 요소라고 할 수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