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마음의 자신과의 대화

        김태철(Kim, Tae-chul) 한국외국어대학교 외국문학연구소 2004 외국문학연구 Vol.- No.17

        Arnold was a child of contemporary modernity with his obsessional consciousness of the discrepancy between ever-changing modernity as reality and its ideals in his two-world vision, seeking to bridge the gap between the two. It means that modernity, for him, is a chronological and a qualitative concept at the same time, which turns out to be a pioneering perspective for the debate on modernity, one of the late-twentieth-century post-theorist controversies. At the contemporary stage of modernity, he found himself with a divided self between Arnold the poet and Arnold the critic: his life-long engagement with modernity, beginning with the poet's perception of unpoetical modernity, goes on with the classicist's observation of the modern spirit in historical 'modern' times in which a literature completely interprets its age with its illuminating intellect, and ends up with the critic's vision to confront contemporary modernity. The modern, in his two-world motif, is an attribute common to some exemplary ages in history, which means that his age is required to meet some prerequisites to be 'modern' in his idiosyncratic sense of the word. It leads to his critical project to designate the framework through which to capture multitudinous modernity engendering 'the dialogue of the mind with itself' and to envisage its ideals for intellectual maturity through his various two-world binary oppositions, ultimately seeking for a counter- modernity, or rather critical modernity, dialectically emanating from modernity itself. In this way, he conceptualises modernity as a kind of diachronic synchronicity emptied of historical time but capturing the past and present in the same order. Arnold's historical approach of this ahistorical kind is contrasted to the glorification of the fleeting present in the generalised understandings of modernity since his two formidable contemporary Marx‘s structural approach and Baudelaire's aesthetic modernity.

      • KCI등재

        “두 세계 사이에” : 미들튼 머리와 T S 엘리엇의 모더니티 논쟁

        김태철(Tae-Chul Kim) 한국외국어대학교 영미연구소 2010 영미연구 Vol.22 No.-

        This essay reads as the critical discourse of modernity the interactions between John Middleton Murry and T S Eliot in the literary journals of the Adelphi and the Criterion in the 1920s, through which approach their debate proves to be no other than diametrically different versions of modernity recognition, and then modernity project, between two worlds. Their controversies can be sorted out into two groups by topics and roughly in time sequence: in the first round of the debate, they form their own different conceptions of classicism and romanticism with the help of the other’s arguments, which serves as the frames of reference for the next one; now in the second, exploring the human soul under modernity, they seek for the possibility of a synthesis between romantic intuition and classical intelligence. Over this debate, the British empiricist Murry identifies romanticism with modernity itself dating back to the Renaissance, and then presents as his project of modernity a fuller realisation of romanticism of his own idiosyncratic understanding. Which is to say a new synthesis of intuition and intelligence into enlightened reason in allusion to the mediaeval Thomist synthesis of reason and faith. On the other hand, the Euro-centric rationalist Eliot expects much of classical intelligence for romanticism to be overcome, and for classical ideals to be restored or, more precisely, for the unified sensibility to be regained and for the integrated intelligence to be revived, which means he is in resolute and unshakable pursuit of a project of modernity. In the course of their eight-year-long interactions, it transpires, Murry elaborates on the recognition of modernity rather than on its project, and Eliot does the other way round. In other words, both of them fail to represent their contemporary stage of ever-deepening modernity fully enough in their discourse of modernity. Theirs remain as unfinished projects of modernity.

      • KCI우수등재
      • KCI등재

        개혁주의생명신학 7대 실천운동 활성화 방안 연구: 대한예수교장로회총회(백석) 서울,경기,충북 지역 5개 노회 목회자 인식도 조사를 중심으로

        김태철 ( Tae Chul Kim ) 개혁주의생명신학회 2014 생명과 말씀 Vol.9 No.-

        개혁주의생명신학은 21세기 한국 개신교회와 세계 교회에 개혁주의신학을 올바르게 계승하여 발전할 수 있도록 그 실천방안으로 "개혁주의생명신학 7대 실천운동"을 제시하였다. 이 실천운동은 장종현에 의해 주창되었고, 학교법인 백석대학교와 대한예수교장로회총회(백석)를 통해 확산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개혁주의생명신학 정의문과 선언문에 담긴 개혁주의생명 신학의 본질과 의의를 실천적 관점에서 재구성하고, 개혁주의생명신학 7대실천운동을 사역현장에서 활성화되도록 각 운동의 의미와 사역, 그리고 그에 따른 문제점과 실천적 대안을 정립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개혁주의생명신학의 본질과 사역 방향은 다음 세 가지로 요약되었다. 첫째, 개혁주의생명신학은 개혁주의신학을 바르게 계승한다. 즉, "오직 성경"에 기초한 신앙운동을 전개하여 사변화된 이론신학을 반성하여 삶과 사역현장에 예수님의 생명을 나타낸다. 둘째, 개혁주의생명신학은 삶과 사역 현장에서 하나님의 영광을 나타낸다. 즉, 삶과 사역 현장에서 예수 그리스도의 주권을 선언하고, ``하나님나라운동``을 실현한다. 셋째, 개혁주의생명신학은 예수 그리스도의 영적 생명이 충만하게 한다. 즉, ``기도운동``, ``성령운동``, ``나눔운동``을 통해 예수 그리스도의 영적 생명이 세상 중에 나타나도록 한다. 개혁주의생명신학은 화석화된 이론신학을 극복하고 삶과 사역 현장에서 예수 그리스도의 영적 생명이 나타나는 7대 실천운동을 전개한다. ① 신앙 운동은 성경을 최고의 권위로 세우는 운동이다. 곧, 성경을 통전적으로 이해하여 전인적인 생활과 사역이 실현되게 하는 운동이다. ② 신학회복운동은 사변화된 신학을 반성하고 신학의 본래의 의미를 회복하는 운동이다. ③ 영적생명운동은 거듭난 성도들이 변화되어 그리스도의 영으로 충만한 삶을 실현하는 새 생명 운동이다. ④ 하나님나라운동은 삶의 모든 영역에서 예수그리스도의 주(主)되심을 실현하는 운동이다. ⑤ 기도운동은 하나님의 방법을 순종하고, 하나님의 영광에 참여하는 운동이다. ⑥ 성령운동은 성령 하나님의 주권적 사역을 이해하고 순종하는 운동이다. ⑦ 나눔운동은 하나님의 좋은 것을 이웃에게 공급하는 사랑의 실천운동이다. 이와 같은 개혁주의생명신학 7대 실천운동은 다음 일곱 단계로 전개될 수 있다. ① 사역공동체 만들기이다. 이는 개혁주의 생명신학을 표방하는 사역 기관들이 공동의 사역공동체를 만드는 과정이다. ② 개혁주의생명신학이해하기이다. 이는 삶과 사역현장에 개혁주의생명신학을 접목시키는 과정이다. ③ 개혁주의생명신학 조정하기이다. 이는 각각의 사역기관들이 개혁주의 생명신학 7대 실천운동을 실현하기 위해 자신들의 사역을 조정하는 과정이다. ④ 개혁주의생명신학 초청하기이다. 이는 개혁주의생명신학의 사역을 확대시키는 과정이다. ⑤ 개혁주의생명신학 실천하기이다. 이는 7대 실천운동을 구체적으로 실천하는 과정이다. ⑥ 개혁주의생명신학 평가하기이다. 이는 개혁주의생명신학의 사역을 냉철하게 반성하며 미래를 준비하는 과정이다. ⑦ 지역교회 활성화 지도하기이다. 이는 지역교회의 동역자를 세우는 과정이다. 이와 같은 "개혁주의생명신학 7대 실천운동"은 21세기 한국 개신교회가 직면한 문제들을 해결하고 삶과 사역현장에 예수님의 생명을 나타내는 더 발전된 개혁주의신학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various problems faced by churches in the 21st century in South Korea, and to suggest the alternative instrument named "The Life Reformed theology". The subject of this study is that Seven practical movements to revitalize in the Reformed life Theology. This begins from the passion for solving the problems that the authors of this paper experienced the spiritual war, during his 17 years in the ministry field. The research method is combined literature available and survey research. Literature research based on Dr Jang``s ``Reformed Life Theology declaration commentary`` and related published papers and dissertations. Survey research depend on the analysis the data that ``pastor``s perception`` targeted under the five presbyterian pastors agencies. And it is reconstructed the essence and significance ``Reformed Life Theology`` in view of practice. ``Reformed Life Theology`` has three essences. The first is to reflect the speculated theology and recover the essence of the reformed theology. The second is to declare Jesus`` sovereignty and being realized ``Kingdom of God`` in all areas of life. And the third is the spiritual life being practiced in life of Jesus Christ and ministry field through the ``pray movement``, ``Holy Spirit movement`` and ``sharing movement``. Features of ``Reformed Life Theology`` is not to remain in just theory but to practice through ``7 practical movements`` which means that Jesus`` life appears in the ministry field. The first thing is to understand the Bible as the only authority in reformed theology centered 5 ``SOLA`` slogans. The second is to recover the essential theology that means restore the essential meaning of theology while reflect the speculated theology. The third is that church members would live with Jesus Christ through changing their heart by the ``new life movement``. The fourth is the ``Kingdom of God movement`` as realizing that Jesus becomes the Lord in everywhere. The fifth is obeying God``s way and participating in the glory of God by the ``prayer movement``. The sixth is the ``Holy Spirit movement`` that by understanding the sovereignty of the Holy Spirit and obeying Him in ministry. The seventh is the ``practical sharing movement`` by offering the good things of God to neighbors with love. The vitalizing strategies for the ``Reformed Life Theology`` are required some strategic points. The first is the institutions based on the ``Reformed Life Theology`` make ministry community. The second is the understanding of the ``Reformed Life Theology`` as connecting both life and ministry that makes foundation of ministry. The third is each institution adjusts their ministry by the 7th practical movements in ``reformed life theology``. The fourth is the inviting the ``reformed life theology`` that the ministry may expand. The fifth is realizing the ``reformed life theology`` in ``7th practical movement``. The sixth is evaluating the ``Reformed Life Theology`` in analysis the ministry and coordinates the future. Finally, the seventh is coaching the local church for vitalizing ministry and pastors become the co-worker in local area. Thus, "A Study on Method for Seven Practical Movements to revitalize in the Reformed Life Theology" can be biblical alternate method for reviving the Korean churches and ministry model in reformed churched all around the world. "Reformed Life Theology" is to make both Korean churches and all of the reformed churches responsible and duty as priming water that taking up the spiritual life of Jesus Christ.

      • KCI등재

        “습지의 중심은 바닥이 없다”

        김태철(Kim, Tae-chul) 한국외국어대학교 외국문학연구소 2007 외국문학연구 Vol.- No.28

        습지에 대한 문학적 재현은 놀라울 정도로 부족한 편인데 이는 모더니티에서 습지의 주변적 위상을 의미한다. 습지에 대한 부정적 인식은 모더니티 고유의 현상이라기보다는 자연과 상호작용하며 살아온 인간의 오랜 경험의 산물이다. 그러나 모더니티가 진전되면서 습지에 대한 반감은 더욱 심화되어 고인 물은 죽은 물 혹은 썩은 물이었으며 습지 또한 죽음과 질병, 우울, 공포의 땅, 즉 한마디로 ‘어둠의 영역’으로서 가능하면 피하고 필요에 따라 제거해야 할 모더니티의 타자로 존재해왔다. 합리적 모더니티의 관점에서 습지의 애매함 혹은 당혹스러움은 거주하기에 적절하지 않으면서 경작하기에도 부적합한 공간이란 사실에 기인하며, 모더니티의 기획에는 이런 애매한 성격의 습지를 배수하고 개발하는 과정도 포함된다. 주체와 대상, 몸과 환경, 자연과 문화, 시간과 공간 등을 구분하는 모더니티의 이분법적 사고틀 안에서는 습지를 마른 땅과 수중 생태계 사이의 어느 지점에 위치한 서식지 정도로 이해해왔다. 그래서 물도 아니고 뭍도 아닌 습지는 중심에서 벗어난 채 늘 주변부에 남아 있었다. 반면, 이처럼 습지가 합리적 모더니티의 관심의 건너편에 놓여 있거나 혹은 적대감의 대상으로 존재해왔다는 사실이 때로는 매력으로 작용하는 상황도 있었다. 모더니티의 주류에 동화될 수 없었던 주변인들, 즉 모더니티의 또 다른 타자에게 습지는 삶의 현장 혹은 생명의 연장을 위해 불가피한 공간이 되었지만 그들에게도 습지는 여전히 삶과 죽음, 빛과 어둠이 공존하는 양가적 공간이었다. 그러나 흥미롭게도 20세기 후반에 생물지역주의와 같은 생태주의적 관심이 일면서 기존의 ‘습지’ 관련 어휘들도 가치중립적 의미 혹은 적어도 양면성을 띠어간다. 모더니티의 전 과정을 통하여 습지 담론은 때로는 습지의 존재의의를 그 타자성 혹은 현실적 쓸모없음에서 추구하였고 또 각종 포스트주의 시대에는 변화하는 생태주의 의식을 반영하여 모더니티의 한 속성인 자아성찰을 포함한 모더니티의 자기변화 과정을 드러낸다고 이해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이와 같은 새로운 인식을 포함한 전체 습지담론이 모더니티 상황의 인간정신의 궤적을 그려내고 있다고 볼 수 있을 것이다. The wetland has scarcely presented itself in literature, reflecting its marginal status in the course of modernity. The negative attitudes towards the wetland, which are prevalent in the West and in the East alike, might be an outcome of long human experiences in which man has lived on earth interacting with nature over ages. With the advance of modernity, however, the antipathy to the wetland has so deepened that the various forms of wetland came to be regarded as the land of death, illness, melancholy and fear, or rather the domain of darkness which should be, if possible, avoided or eliminated as the other of modernity. The wetland has been ambiguous or embarrassing under rational modernity, for it is simplified as nothing other than various habitats between water and land. It is neither appropriate for human dwelling nor adequate to be cultivated: which is to say that it is a project of modernity to drain this kind of ambiguous space and transform it into arable land or dwelling space. In terms of dichotomous separation such as subject and object, body and environment, nature and culture, or time and space under modernity, the wetland has always remained marginal far away from the centre. The wetland which defies easy access, on the other hand, has sometimes worked as the field of attraction for the very fact that it has been left at the other side of concern or regarded with hostility throughout the persistent self-changing process of modernity. It was another ‘other’ of modernity, or more specifically those that modernity has marginalised who have not been possibly able to assimilate themselves into the mainstream under modernity that it served as site for their lives or space for their survival. They have found in the wetland life and death, or light and darkness, at the same time. Interestingly enough, however, the terms designating ‘wetland’ shed off their negative connotations, gaining neutral meanings or at least ambivalence around themselves, along with environmentalist or deep-ecologist bio-regionalism dawning in the late 20th century. It means that the discourse of wetland, now seeking the raison d’etre of the wetland in its otherness or uselessness in the everyday world and now reflecting ecological perspectives in this age of politically correct post-isms, betrays the changes of modernity or its self-reflexivity on one hand and, on the other, traces the soul of man under modernity.

      • KCI등재
      • 상수도 강관의 매설환경을 고려한 구조안전성 분석

        유용신 ( Yoo Yong-sin ),김태철 ( Kim Tae-chul ),김경진 ( Kim Kyeung-jin ),장이규 ( Jang Lee-kyu )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2021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Vol.25 No.1

        상수도 급수도시의 수는 1960년을 중심으로 비약적으로 증가하여 전국의 수도보급율은 99%에 달하였다. 결과적으로 수도가 국민생활에 미치는 역할이 점점 중요하게 되어 더욱더 안전하고 안정된 급수의 요구가 필요하게 되었다. 이에 따라, 매설환경이나 기타여건에 따라 때로는 사고를 발생되어 효율적인 유지관리를 위한 신뢰성 있는 안전성 검토가 필요하다. 기존의 관로 안전성 검토는 Marston 토압계수를 적용하여 검토하였으나, 이는 설계ㆍ시공시 적용되는 방법으로 20여년 이상 매설되어 있는 관로에 적용하기는 무리가 있다. 따라서 현실적인 조건을 고려한 정지토압계수를 적용하여 관로의 안정성 검토를 수행하고자 한다.

      • 상수도 강관의 매설환경을 고려한 구조안전성 분석

        유용신 ( Yoo Yong-sin ),김태철 ( Kim Tae-chul ),김경진 ( Kim Kyeung-jin ),장이규 ( Jang Lee-kyu )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2021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Vol.25 No.1

        상수도 급수도시의 수는 1960년을 중심으로 비약적으로 증가하여 전국의 수도보급율은 99%에 달하였다. 결과적으로 수도가 국민생활에 미치는 역할이 점점 중요하게 되어 더욱더 안전하고 안정된 급수의 요구가 필요하게 되었다. 이에 따라, 매설환경이나 기타여건에 따라 때로는 사고를 발생되어 효율적인 유지관리를 위한 신뢰성 있는 안전성 검토가 필요하다. 기존의 관로 안전성 검토는 Marston 토압계수를 적용하여 검토하였으나, 이는 설계ㆍ시공시 적용되는 방법으로 20여년 이상 매설되어 있는 관로에 적용하기는 무리가 있다. 따라서 현실적인 조건을 고려한 정지토압계수를 적용하여 관로의 안정성 검토를 수행하고자 한다.

      • 상수도 강관의 매설환경을 고려한 구조안전성 분석

        유용신 ( Yoo Yong-sin ),김태철 ( Kim Tae-chul ),김경진 ( Kim Kyeung-jin ),장이규 ( Jang Lee-kyu )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2021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Vol.25 No.1

        상수도 급수도시의 수는 1960년을 중심으로 비약적으로 증가하여 전국의 수도보급율은 99%에 달하였다. 결과적으로 수도가 국민생활에 미치는 역할이 점점 중요하게 되어 더욱더 안전하고 안정된 급수의 요구가 필요하게 되었다. 이에 따라, 매설환경이나 기타여건에 따라 때로는 사고를 발생되어 효율적인 유지관리를 위한 신뢰성 있는 안전성 검토가 필요하다. 기존의 관로 안전성 검토는 Marston 토압계수를 적용하여 검토하였으나, 이는 설계ㆍ시공시 적용되는 방법으로 20여년 이상 매설되어 있는 관로에 적용하기는 무리가 있다. 따라서 현실적인 조건을 고려한 정지토압계수를 적용하여 관로의 안정성 검토를 수행하고자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