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맥아제조시(麥芽製造時) 적색광(赤色光) 희사(熙射)에 의한 배유조직(胚乳組織)의 변화(變化)

        김진구,신승렬,김주남,김순동,김광수,Kim, Jin-Gu,Shin, Seung-Lyeul,Kim, Ju-Nam,Kim, Soon-Dong,Kim, Kwang-Soo 한국응용생명화학회 1987 한국농화학회지 Vol.30 No.1

        보리의 발아중 호분층 및 배유조직에 미치는 적 색광의 영향을 조사하였다. 발아일수가 경과함에 따라 적색광 조사에 의한 배유조직의 친분입자의 용해현상이 발아 3일까지는 암소와 큰 차이가 없었으나 4일부터는 현저히 촉진되었다. 맥아내 전분의 blue value는 암소에서 발아 1일에 0.42, 6일에 0.13으로 발아일수가 경과함에 따라 현저히 감소하였으며, 적색광 처리에서도 동일한 경향을 보였으나 암소보다 그 값이 낮았다. 호분층 세포벽의 팽윤 및 붕괴현상은 발아일수가 경과함에 따라 촉진되었는데 암소에 비하여 적색광 조사에서 현저하였으며 특히 적색광 조사시의 발아일에서 세포벽의 붕괴현상이 심하였다.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the red light on embryo tissue of barley during germination. The solubility of starch in endosperm of germinated barley was different between dark and red treatments at the 3rd day of germination, but was increased by the red light from the 4th day of germination. Blue value of the starch in the germinated barley decreased rapidly from 0.42 at the 1st day to 0.13 at the 6th day in the dark, and same tendency was found in the red light, but blue value was lower in the red light than in the dark. Aleurone cell wall was swollen much faster in the red light than in the dark during germination. The cell wall was broken down more greatly in the red light than in the dark at the 5th day of germination.

      • SCOPUSKCI등재

        맥아제조시(麥芽製趙時) 적색광조사(赤色光照射)에 의한 $\alpha$-Amylase 활성변화(活性變化)

        김진구,김순동,김광수,Kim, Jin-Ku,Kim, Soon-Dong,Kim, Kwang-Soo 한국식품과학회 1985 한국식품과학회지 Vol.17 No.4

        육조대맥(六條大麥)을 이용한 맥아(麥芽)제조시 $\alpha$-amylase활성에 미치는 적색광(赤色光)의 영향을 조사하였다. 적색광(赤色光)filter는 Rohm & Haas Plexiglas # 2423을 사용하였으며 광도별(光度別), 조사시간별(照射時間別) 및 발아일수별(發芽日數別)로 $\alpha$-amylase활성변화를 측정하였다. $\alpha$-amylase의 활성에 미치는 적색광(赤色光)처리조건은 광도(光度) 100Lux, 조사시간(照射時間) 1일 1회 3시간이 효과적이었다. $\alpha$-amylase의 활성은 맥아(麥芽) 3일에서 급격한 증가현상을 나타내었으며, 맥아(麥芽) 5일에서 가장 높았다 적색광(赤色光)처리시의 발아일수(發芽日數)에 따른 $\alpha$-amylase의 활성변화는 암소(暗所)와 비슷한 증가현상을 나타냈으나 더 높은 경향을 보였으며, 맥아(麥芽) 5일에서 약44%가 높았다. 그러나 단백질(蛋白質)함량차이는 인정할 수 없었다. The effects of red light on the $\alpha$-amylase activity of barley during germination was studied. The $\alpha$-amylase activity was highest at 5th day on germination, showing rapid increase from the 3rd-day of germination. The highest activity of $\alpha$-amylase was shown among the groups treated by red light at 100 Lux luminous intensity for 3 hours a day. The $\alpha$-amylase activity of barley during germination under the red light increased to 44% compared with that of barley during germination under the dark. The protein content was not increased by red light.

      • 슬관절 후외방 불안정성의 치료

        김진구,Kim, Jin Goo 대한관절경학회 2011 대한관절경학회지 Vol.15 No.2

        슬관절 후외방부 구조의 손상은 흔치 않으나 심한 불안정성과 관절 연골의 손상을 초래하여 심각한 장애가 생길 수 있다. 그러나 아직까지 이에 대한 해부학적 구조 및 진단과 치료 방법이 확실하게 정립되어 있지 않다. 후외방부 구조의 손상은 주로 십자인대 손상과 동반되어 나타나며 후외방 불안정성을 치료하지 않고 그냥 두었을 경우에 십자인대 재건술의 결과에 영향을 미쳐 실패에 이르게 하는 주요한 원인으로 인식되고 있다. 후외방부 구조의 손상의 진단은 신체 검진, 방사선 소견, 자기공명영상 및 관절경 소견을 종합하여 이루어 진다. 후외방부 구조 손상의 치료 방법은 손상 시기 및 손상 정도에 따라서 정해지게 된다. 최근의 해부학적 재건술은 다양한 결과를 보이던 이전의 비해부학적인 재건술에 비하여 임상적인 측면에서 대부분에서 좋은 임상 결과를 보이고 있으나 장기 추시를 시행한 임상 연구들의 뒷받침이 필요하다. 저자는 후외방부 구조와 관련되어 최근까지 발표된 문헌들을 정리하고 진단과 치료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한다. Injury of posterolateral corner is unusual, but it can cause disability due to severe instability and cartilage damage. However, the anatomical structures, diagnosis and treatment have not defined clearly yet. Posterolateral corner injury is regarded as the one of main factor to the results of failure in cruciate ligament reconstcution if it was undiagnosed and untreated. Diagnosis of postetolateral corner injury is consists of physical exam, radiographic finding, MRI, and arthroscopic findings. The treatment method of of postetolateral corner injury depends on the time and severity of injury. Anatomical reconstruction of posterolateral corner shows the better clinical outcome than non anatomical reconstructions, but the clinical results of long term follow up is still needed. Therefore, the aim of this article is to review the recent literatures and to organize diagnosis and treatment of posterolateral corner injury.

      • KCI등재

        점성감쇠기가 설치된 모멘트골조의 연쇄붕괴 저항성능

        김진구,이승준,최현훈,Kim, Jin-Koo,Lee, Seung-Jun,Choi, Hyun-Hoon 한국전산구조공학회 2010 한국전산구조공학회논문집 Vol.23 No.5

        본 논문에서는 비선형 동적해석방법을 이용하여 점성감쇠기가 설치된 철골조 건물의 연쇄붕괴 저항성능을 평가하였다. 감쇠기가 설치된 2경간 보-기둥 부분골조를 이용하여 주기 및 항복강도의 변화에 따른 감쇠력의 효과를 검토하였다. 해석 결과에 따르면 감쇠비가 증가할수록 기둥이 제거된 지점의 수직변위가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탄성시스템 뿐만 아니라 비탄성시스템에서도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감쇠기가 설치된 15층 3경간 철골 모멘트골조의 비탄성해석을 통하여 감쇠기의 효과를 검증한 결과, 기둥이 제거될 경우 처짐이 작게 발생하는 6m 경간 모델보다 처짐이 크게 발생하는 9m경간 모델의 경우에 감쇠기의 효과가 더욱 크게 나타났다. In this paper the progressive collapse resisting capacity of steel moment frames with viscous dampers was evaluated by nonlinear dynamic analysis. The effects of dampers installed in steel beam-column sub-assemblages with varying natural period and yield strength were evaluated after sudden removal of a column. According to the parametric study the vertical displacement general decreased as the damping ratio of the system increased, and the dampers were effective both in elastic and elasto-plastic systems. The nonlinear dynamic analysis results of the 15-story analysis models showed that the decrease in vertical deflection of the structure with 9m span length, which showed larger deflection, was more predominant than that of the structure with 6m span length.

      • Dose calibrator 측정 깊이와 용량의 변화에 따른 선량 값의 성향에 대한 고찰

        김진구,함준철,오신현,강천구,김재삼,Kim, Jin Gu,Ham, Jun Cheol,Oh, Shin Hyun,Kang, Chun Koo,Kim, Jae Sam 대한핵의학기술학회 2020 핵의학 기술 Vol.24 No.1

        핵의학이란 방사성동위원소 추적자를 인체에 투여하여 관심장기에 대한 형태학적인 정보와 생물학적이고 기능적인 정보를 얻고 평가한다. Dose calibrator는 의료기관에서 단일 핵종의 방사능을 측정하기 위해 사용하는 장비이며, 방사성동위원소의 정확한 용량의 투여는 진단과 치료에 중요한 요인이다. 최근 정량분석을 위한 여러 시스템이 개발되고 있고 ERPF (Effective Renal Plasma Flow), GFR (Glomerular Filtration Rate) 등 정량분석이 필요한 검사에 있어서 정확한 투여 용량 및 재현성 있는 측정이 중요해지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을 통해 Dose calibrator의 측정 깊이와 용량에 따른 선량 값의 성향을 알아보고 적절한 측정 깊이 및 용량에 대해 알아 보고자 한다. 실험에 사용한 Dose calibrator는 CRC-15R과 CRC-15βeta (Capintec, New Jersey, USA)를 사용하였다. 선원으로는 표준선원(Standard source) <sup>137</sup>Cs, <sup>133</sup>Ba, <sup>57</sup>Co를 사용하였고, 방사성 의약품은 <sup>99m</sup>Tc-pertechnetate를 사용하였다. 표준선원은 측정 깊이만 변화하여 0 cm부터 15 cm까지 1 cm 깊이마다 15회씩 측정했고, <sup>99m</sup>Tc-pertechnetate의 경우에는 1 mL 주사기로 표준선원과 동일한 깊이로 실험을 진행했고, 용량의 변화를 고려하여 0.1 mL, 0.3 mL, 0.5 mL, 0.7 mL, 0.9 mL로 각 깊이마다 15회씩 측정했다. 표준선원인 <sup>137</sup>Cs, <sup>133</sup>Ba, <sup>57</sup>Co의 깊이의 변화에서는 모두 깊이에 따른 선량 값의 변화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5). <sup>99m</sup>Tc-pertechnetate도 깊이에 따른 용량의 변화에서 선량 값이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5). CRC-15R의 표준선원 비교 그래프에서 <sup>137</sup>Cs, <sup>133</sup>Ba, <sup>57</sup>Co는 Plateau를 그리기 시작한 2 cm에서 9 cm까지는 각 선원마다 비교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0.05). CRC-15βeta의 표준선원 비교 그래프에서는 Plateau를 그리기 시작한 영역은 3 cm에서 9 cm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0.05). <sup>99m</sup>Tc-pertechnetate의 그래프는 0.1 mL에서 1 cm에서 7 cm, 0.3 mL와 0.5 mL에서는 0 cm에서 7 cm, 0.7 mL에서는 0 cm에서 6 cm, 0.9 mL에서는 0 cm에서 5 cm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p>0.05). 본 연구를 통해 방사성동위원소를 환자에게 주입하거나 정도관리를 진행 시 편차가 적고 재현성을 위해 신뢰할 수 있는 구간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높이에 따른 변화가 가장 적은 Plateau의 구간이 0.3 mL 혹은 0.5 mL의 용량으로 0 cm 에서 7 cm의 깊이에서 측정한다면, 편차를 최소한으로 줄일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표준선원의 경우에는 본 연구의 결과에 따라 장비마다 Plateau의 변화가 가장 적은 구간의 깊이에서 재현성 있게 측정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된다. 적절한 구간을 찾아서 재현성 있는 검사를 시행하면 검사의 품질향상 및 피폭선량저감 그리고 진단능을 높이는데 이바지 할 것이라고 생각된다. Purpose It is intended to figure out the errors derived from changes in depth and volume when measuring the Standard source and <sup>99m</sup>Tc-pertechnetate by using a Dose calibrator. Then recommend appropriate measurement depth and volume. Materials and Methods As a Dose calibrator, CRC-15βeta and CRC-15R (Capintec, New Jersey, USA) was used, and the measurement sources were <sup>57</sup>Co, <sup>133</sup>Ba, <sup>137</sup>Cs and <sup>99m</sup>Tc-pertechnetate was also adopted due to its high frequency of use. The Standard source was respectively measured the changes according to its depth without changing the volume, in a range of 0 cm to 15 cm from the bottom of the ion chamber. <sup>99m</sup>Tc-pertechnetate was measured at each depth by changing the volume with 0.1 mL, 0.3 mL, 0.5 mL, 0.7 mL and 0.9 mL Respectively. And the depth range was from 0 cm to 15 cm at the bottom of the ion chamber. Results In the case of Standard source <sup>57</sup>Co, <sup>133</sup>Ba, <sup>137</sup>Cs and <sup>99m</sup>Tc-pertechnetate,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the measurement depth(p<0.05). <sup>99m</sup>Tc-pertechnetate has a negative correlation coefficient according to the depth, and the error of the measured value was negligible at a depth from 0 cm to 7 cm at 0.3 mL and 0.5 mL, and the range of error increased as the volume increased. Conclusion In clinical practice, it is sometimes installed differently than the Standard depth recommended by the equipment company. If it's measured at the recommended depth and volume, it could be thought that unnecessary exposure of the operator and the patient will be reduced, and more accurate radiation exams will be possible in quantitative analysi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