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진단방사선 일반촬영에서의 X-ray Beam Collimator 사용 전국 실태조사

        김지혜,성동욱,김정욱,신진호,이순근,정경일,엄종권,이기남,성호진,김윤현,김혁주,Kim, Jee Hye,Sung, Dong-Wook,Kim, Jeong Wook,Shin, Jin Ho,Lee, Soon Keun,Jung, Kyung Il,Uhm, Jong Kwan,Lee, Ki Nam,Seong, Ho Jin,Kim, Youn Hyun,Kim, Hyeog J 한국의학물리학회 2013 의학물리 Vol.24 No.2

        방사선 검사에서 CR, DR의 도입으로 인해 X-선속 조사야의 사용이 경시되고 있는 실정이다. 일반방사선 검사에서 검사 부위별 조사야를 적절히 사용하고 있는지에 대해 현장 실태 조사와 설문 조사하고, 조사야의 기준의 필요성을 강조하며 표준 조사야를 제시하고자 한다. 서울, 경기도, 전라도, 충청도, 강원도, 부산 지역 총 333개 의료기관을 대상으로 X-선속 조사야의 사용 실태를 현장 조사하여, 검사부위별, 의료기관종별, 영상종류별로 조사야 조절의 사용 여부를 분석하였다. 또한 조사야 조절이 방사선피폭에 미치는 영향과 인식을 평가하기 위해 종합병원 10곳, 병원 10곳, 의원 10곳의 일반촬영실에 근무하는 168명의 방사선사를 대상으로 X-선속 조사야 조절이 환자피폭선량 저감화에 끼치는 영향에 대한 인식, 조사야 조절 방법과 실제 사용하고 있는 검사부위별 X-선속 조사야 크기를 설문 조사하였다. 검사부위별 적합한 조사야을 사용하고 있는 의료기관은 61.3%이었으나, 주요 장기가 밀집된 요추 검사의 경우에는 적합한 사용이 49.9%에 불과하였다. 의료기관종별에서는 종합병원이 약 69%, 영상종류별로 보면 DR을 사용하는 병원의 65.0%에서 적합한 조사야을 사용하였다. 설문 조사에서는 응답자의 97.6%가 조사야 조절이 환자에게 끼치는 선량을 줄일 수 있다고 인식하고 있었으나, 실제로 부위별 X-선속 조사야의 크기를 조절하여 검사하는 경우는 83.3%이었다. 일반방사선 검사에서 적절한 조사야를 사용하는 경우가 실태조사를 통해 낮게 나타났으며 이는 환자에 대한 방사선 피폭선량을 줄이기 위한 노력이 시급히 필요하며, 조사야에 대한 통일된 표준 규격이 필요하여 철저한 교육이 동반되어야 한다. Due to the introduction of CR and DR, it has been neglected the use of the X-ray beam collimator and field size. This study examines nationwide survey of the proper use of collimator and field size by area in a specific field of plain radiography and the current status. Authors emphasized the need for the field size criteria, and propose a standard reference field size in each specific radiologic examination. Total 333 medical institutions (included in Seoul, Gyeonggi-do, Jeolla, Chungcheong, Gangwon-do, Busan area), were investigated in relation to the status of the X-ray beam collimation field size, type specific inspection areas, medical facilities, and image analyses by type to figure out whether they use the adjustment of image field to the specific examination. To assess the awareness and the impact of radiation exposure to the collimation adjustable, 168 radiographers who was working in 10 general hospitals, 10 hospitals, and 10 clinics, were surveyed how they haver adjusted the actual field size. We examine that 61.3% of medical institutions used the "Proper collimation" and only 49.9% of them employed proper one in lumbar spine densely crowded by major organs. 69% among general hospitals, and 65% among hospitals using DR system were using proper collimation. Radiographers recognized that proper adjustment of collimation could reduce the harmful radiation dose on patients. In the survey, 97.6% of respondents were aware of this fact, but only 83.3% of respondents did the adjustment of the size of the collimation field. The using of proper collimation field was low in the nationwide survey, so the effort to reduce the radiation dose on the patients is urgently needed. A unified standard for the field accompanied by thorough education should be needed.

      • KCI등재

        건설현장의 폐기물 관리 성과 평가 툴 개발 : 2단계 - 폐기물 관리 성과 요인의 전량화 및 평가 툴 구축

        김지혜,신동우,차희성,Kim, Jee-Hye,Shin, Dong-Woo,Cha, Hee-Sung 한국건설관리학회 2007 건설관리 : 한국건설관리학회 학회지 Vol.8 No.4

        1997년 교토의정서 체결과 같은 국제적 차원의 환경관련 규제와 관심이 고조됨에 따라, 많은 연구들이 효과적으로 친환경성을 평가할 수 있는 도구나 기술의 필요성을 강조해왔다. 본 연구는 건설 프로젝트의 친환경성을 평가하는 도구의 일환으로 건설현장의 폐기물 관리 성과 평가 툴을 구축하고자 한다. 이 평가 툴의 목적은 폐기물 저감 및 재활용 확대 측면에서 건설현장의 폐기물 관리 성과가 어느 정도 수준인지 정량적으로 평가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평가 툴을 구축하기 위한 기반으로서, 선행연구에서 파악된 폐기물 관리 성과 요인의 성과 수준을 정량적으로 산정하기 위해 전문가 면담 및 설문을 통해 각 요인별 관리 행위 수준과 이들의 중요도를 파악하였다. 또한, 선행연구에서 제시한 평가 툴 구축 개념을 기반으로 실질적으로 전산화된 평가 툴을 개발하여 개별 건설현장 차원에서의 평가가 용이하도록 했다. 특히, 평가의 결과로서 제시되는 최종지표(TI) 및 지표등급(IR)은 건설현장의 폐기물 관리 수준을 정량적으로 비교 평가할 수 있는 기준이 될 수 있다. 폐기물 관리 성과 평가 툴은 건설현장의 폐기물 관리효과를 증진시키기 원하는 시공자 측면뿐만 아니라, 발주자 측면에서도 일정정도의 폐기물 관리수준을 객관적으로 요구할 수 있으므로 그 활용범위가 넓을 것으로 판단된다. 실제 현장에서의 적용가능성과 신뢰도를 검증하는 등의 세부적인 연구가 뒤따른다면 보다 효과적인 건설폐기물 관리방안이 될 수 있을 것이다. As the international-level concern has been focused on the environmental sustainability in recent years, many researches emphasized the needs for methods and techniques that would facilitate sustainability assessment at the various project level interfaces. As part of methods and techniques to facilitate sustainability assessment, this paper provides 'Computerized Waste Management Performance Evaluation Tool' for the purpose of assessing the level of management system in dealing with the onsite construction wastes. This tool applies twenty-three waste management performance factors for the purpose of evaluating the level of waste management performance by scoring those factors which were identified in the previous research. These twenty-three factors are classified into four categories: manpower, material, method, and management based on their characteristics. In order to quantitatively evaluate the effectiveness of waste management performance, the levels of actions executed in a site by each waste management performance factor were identified and their weight were analyzed throughout the expert interview and survey. Furthermore, an excel-based computerized tool was developed in order to facilitate the evaluation process. If this tool can be developed in more detail and be used as the method to control waste management at a project level for the future, it is expected that this tool can play an important role in the body of knowledge of environmental management in construction industry.

      • KCI등재후보

        고주파 온열치료와 소라페닙을 병용하여 호전된 재발성 간암환자 1례

        김지혜,이종훈,주종천,이정복,조종관,유화승,Kim, Jee-Hye,Lee, Jong-Hoon,Joo, Jong-Cheon,Lee, Jeong-Bok,Cho, Chong-Kwan,Yoo, Hwa-Seung 대한암한의학회 2016 大韓癌韓醫學會誌 Vol.21 No.2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port the effects of radio-frequency hyperthermia cancer treatment in conjunction with Sorafenib on hepatocellular carcinoma patient. Method : The patient was diagnosed with hepatocellular carcinoma at S6/7 and treated with right posterior sectionectomy. After 4 months, tumor recurrence was found at S4, 5 and 8. After transarterial chemoembolization, the patient was prescribed Sorafenib (proprietary name $Nexavar^{(R)}$ ) as well as proceeding with radio-frequency hyperthermia. The clinical outcomes were measured by computed tomography, laboratory findings including tumor markers (AFP, PIVKA-II), natural killer (NK) cell activity, and numeric rating scales (NRS). Results : After the treatment, tumor size was decreased accompanying by reducing the level of tumor markers (AFP, PIVKA-II). Major clinical symptoms were improved with increasing NK cell activity. There were no adverse events based on National Cancer Institute Common Terminology Criteria for Adverse Events version 4.0. Conclusion : This case suggests that radio-frequency hyperthermia has synergistic effect for the treatment of hepatocellular carcinoma patient in conjunction with Sorafenib.

      • KCI등재

        건설현장의 폐기물 관리행위 평가 툴 개발 : 1단계 -폐기물 관리행위 요인 및 평가 툴 개념 구축

        김지혜,김재문,차희성,신동우,Kim, Jee-Hye,Kim, Jae-Moon,Cha, Hee-Sung,Shin, Dong-Woo 한국건설관리학회 2006 건설관리 : 한국건설관리학회 학회지 Vol.7 No.6

        건설산업에서 발생하는 폐기물이 환경적, 경제적으로 심각한 피해를 일으킴에도 불구하고, 현재 건설현장의 폐기물 관리수준이 타 산업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은 것으로 나타난다. 이러한 낮은 수준의 폐기물 관리수준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먼저 건설현장에서 실제로 행하고 있는 폐기물 관리행위를 측정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건설현장의 폐기물 관리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을 파악하고, 이를 바탕으로 개별 건설현장의 폐기물 관리수준을 평가하기 위한 평가툴을 개발하고자 한다. 연구결과로써, 다양한 폐기물 관련 문헌조사를 통해 59개의 영향요인이 파악되었고, 이들 요인을 공통적인 특성에 따라 인적 요인(Manpower), 자재적 요인(Material), 처리방법적 요인(Method), 관리적 요인(Management), 제도적 요인(Policy)으로 구분하였다. 또한, 건설현장을 대상으로 하는 설문조사를 통해 59개 영향요인의 영향정도를 정량적으로 파악하였고, 이 영향정도를 기반으로 폐기물 관리행위의 효과를 평가하는 툴의 기본 개념을 구축하였다. 평가 툴의 결과 중 하나로 제시되는 폐기물관리 지표(Waste Management Index)는 개별 현장의 폐기물 관리 수준을 효과적으로 평가할 수 있고, 보다 효과적인 폐기물관리를 위해 해당 현장에서 수행해야 할 관리 요인을 제시한다. Although waste management in construction industry has a significant impact on both economical and environmental issues, the current level of waste management performance in Korean construction is reported as relatively low. To improve any type of management performance, it is necessary to diagnose the current status of the performance level. In this context, this research is aimed to identify important factors in influencing the waste management performance and to develop an evaluation tool for the purpose of assessing the level of the performance for a particular construction site. In this paper, 59 influential factors have been identified and categorized into five classes, i.e., manpower, material, method, management, and policy, in terms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factors. In addition, an evaluation tool has been developed in order to effectively quantify all the 59 factors based on a thorough industry survey. The output of the Tool, which is Waste Management Index, effectively assess the level of waste management performance for a particular project and provide with the most leveraged factors in need for improvement in waste management performance.

      • KCI등재

        $CO_2$ 배출 특성을 고려한 건설폐기물 관리방안 수립기준: 고층 주거건물 건설 프로젝트를 대상으로 한 사례조사

        김지혜,신동우,차희성,Kim, Jee-Hye,Shin, Dong-Woo,Cha, Hee-Sung 한국건설관리학회 2007 건설관리 : 한국건설관리학회 학회지 Vol.8 No.6

        지구온난화를 일으키는 주요 온실가스가 이산화탄소임이 공표되고, 이의 배출 감축을 유도하기 위한 국내외적 규제가 강화됨에 따라 국내 건설산업에서도 생산과정에서 배출되는 이산화탄소량을 줄이기 위한 노력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이의 일환으로서 본 연구는 심각한 이산화탄소 배출원 중 하나인 건설폐기물에 대해 전과정평가(LCA)를 수행하여 건설폐기물로 인해 배출되는 이산화탄소의 특성을 파악하고, 그 결과를 토대로 건설현장에서 이산화탄소 배출량을 효과적으로 줄일 수 있는 폐기물 관리방안 수립 기준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전과정평가(LCA) 결과, 자재별로는 철근류, 가설자재류, 시멘트류, 레미콘, 콘크리트 제품, 타일 등의 자재가 폐기물로 인한 전체 이산화탄소 배출량 중 95% 정도를 배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 자재의 이산화탄소 배출량이 많은 원인은 폐기물 발생량보다는 자재 생산에 필요한 단위 이산화탄소 발생량이 높기 때문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공종별로는 철근콘크리트공사, 미장공사, 가설공사 등과 같이 전체 공정 중 초중반에 걸쳐 수행되는 공종에서 발생하는 이산화탄소 배출량이 전체 공종 중 92% 이상 차지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반면, 폐기물 관리자들은 공정 중후반에 수행되는 마감공종의 폐기물 관리에 집중하고 있어서 폐기물로 인한 이산화탄소 배출량 증가 원인 중 하나로 작용하고 있음을 파악하였다. 또한, 전과정평가(LCA) 결과를 반영한 폐기물 관리방안 수립 기준을 제시함으로써, 건설현장에서 폐기물 관리방안 수립 시 활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As the amount of $CO_2$ emission in Korea is ranked 9th and the increasing rate of $CO_2$ emissions highest in the world, it is strongly necessary to devise methods to decrease the amount of $CO_2$ in each industry as the basis of establishing environmentally sustainable production system. This paper aims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of $CO_2$ emissions from construction wastes throughout the simplified LCA (Life Cycle Assessment) and suggest the strategic guideline for the construction waste management plan to decrease $CO_2$. As a result of LCA on the case of a high-rise residential building project, total sum of $CO_2$ emission generated from construction wastes appeared as 6,818,123kg-$CO_2$ and $CO_2$ emission per unit floor area as 21.01kg-$CO_2/{\beta}{\ge}$. The principal waste materials generating more than 95% of $CO_2$ are materials such as reinforcing bar, temporary materials, cement, ready-mixed-concrete, concrete products, and tile, which have relatively high unit emission rate of $CO_2$ in the process of production. Besides, more than 92% of $CO_2$ was generated from the activities such as structure work, plaster work, temporary work, and tile and stone work, which are generally executed in the early phase of the whole construction period. Reflecting these results, the guideline for the construction waste management plan was recommended. If the waste management plan is established considering the guideline suggested, there would be high potential to decrease the amount of $CO_2$ generated from construction wastes.

      • KCI등재

        재발성 비소세포성 폐암환자의 Afatinib과 삼칠충초정 병용투여 경과관찰 1례

        김지혜,배겨레,박소정,조종관,유화승,Kim, Jee-hye,Bae, Kyeo-re,Park, So-jung,Cho, Chong-kwan,Yoo, Hwa-seung 대한한방내과학회 2017 大韓韓方內科學會誌 Vol.38 No.1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port the case of a patient with recurring non-small cell lung carcinoma (NSCLC) taking Samchilchoongcho-Jung with Afatinib. Methods: An NSCLC patient diagnosed with multiple bone and pulmonary metastasis was taking Afatinib (20 mg/day) and suffering from stomatitis caused by the Afatinib. The patient was treated with Samchilchoongcho-Jung (1,500 mg/ day) for 3 months. The tumor size was measured with computed tomography, and laboratory findings, including tumor markers (CEA, Cyfra 21-1), were also followed up. Stomatitis was measured by a numeric rating scale, and adverse events were evaluated using the National Cancer Institute Common Terminology Criteria for Adverse Events (NCI-CTCAE), version 4.0. Results: After combined treatment, stable disease was shown on computed tomography. The tumor marker levels of CEA and Cyfra 21-1 were decreased, and the stomatitis significantly improved. NCI-CTCAE 4.0 showed no adverse events. Conclusion: This case study suggests that Samchilchoongcho-Jung may have a synergic effect, in conjunction with Afatinib, on the treatment of patients with recurring NSCLC.

      • KCI등재
      • KCI등재

        우크라이나의 초·중등 외국어교육 정책과 한국어교육과정의 과제

        김지혜 ( Kim Jee-hye ),박안토니나 ( Park Tonya ) 국제어문학회(구 국제어문학연구회) 2020 국제어문 Vol.0 No.84

        본 연구는 우크라이나의 초·중등 대상 한국어교육과정을 이해하고, 현지 국가의 교육적 지향에 부합하는 한국어교육과정 발전 방향을 탐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자들은 우크라이나의 교육적 지향을 이해하기 위해서 신(新)우크라이나정책과 이에 부응하는 국가표준교육정책을 검토했다. 또한 우크라이나 한국어교육과정의 현재 상황을 분석하고 발전 과제를 제시하기 위해서 한국어교육과정과 한국어교육과정이 개발 및 시행되는 과정에서 발행된 국가 결정문과 시행 지침서를 분석하고, 우크라이나의 한국어교육과정이 반영된 한국어 교재를 참조했다. 검토 결과, 신우크라이나정책은 우크라이나의 교육 내용과 형식을 유럽 수준으로 발전시킨다는 것을 골자로 하고 있었으며, 우크라이나의 한국어교육과정은 유럽공통참조기준에 따라 설계되고 유럽의 상호문화교육 내용을 포함하고 있었다. 이에 연구자들은 우크라이나의 한국어교육과정이 우크라이나의 교육적 지향에 맞게 발전하기 위해 해결할 과제를 제시했다. 이는 우크라이나의 초·중등학교 한국어교육과정 발전과 대한민국의 국외 한국어교육정책 수립에 중요한 참조가 될 것이다. This study examines the Korean language curriculum for elementary and secondary students in Ukraine and explores the direction of development of the Korean language curriculum in Ukraine. The researchers reviewed the New Ukrainian Policy (Нова укра��нс ька школа: NUS) and the national standard education policy. In addition, we analyzed the national decision and implementation guidelines issued for Korean language curriculum in Ukraine. We also referenced textbooks created in Ukraine. The study results show that the NUS was focused on developing the educational content and format of Ukraine in an effort to upgrade it to the level of educational content in European countries. The Korean language curriculum in Ukraine was designed according to the Common European Framework of Reference for Languages(CEFR) and included intercultural educational content. We include suggestions for tasks that the Korean education researcher can conduct to further develop the Ukrainian- Korean curriculum.

      • 결혼 이주민을 위한 문화 교육 방안 -양귀자의 ≪원미동 사람들≫ 읽기를 중심으로-

        김지혜 ( Jee Hye Kim ) 시학과 언어학회 2010 시학과 언어학 Vol.18 No.-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examine the use of literature as an educational method for teaching culture to immigrants, specifically those who have married into Korean families. As members of multi-cultural families, immigrants desire to integrate into Korean society. Literature is a valuable venue by which immigrants can learn the overall states of Korean culture, society and identity. Literature, by way of novels and stories, embodies society and culture and therefore can lead immigrants to an autonomous and meaning rich life in Korea. In the book A Distant and Beautiful Place, Kwi Ja Yang illustrates the principle of mutual understanding and coexistence in lower-middle class community near Seoul. Learners can express and share their sympathy after reading a novel like this one. By reflecting on their own past and current experiences, through discussion with their fellow students, they can extend their understanding of Korean culture in order to promote and live out an integrated life in community with Korean people.

      • KCI등재

        생활무용 프로그램 참여자의 신체상과 일상 스트레스의 관계

        김지혜(Kim, Ji-hye),곽지혜(Kwak, Ji-hye),윤지인(Yoon, Jee In) 한국여가레크리에이션학회 2019 한국여가레크리에이션학회지 Vol.43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body image and daily stress for the dance program participants. Using the convenience sampling method, the authors finally yielded 343 questionnaire from the participants of a dance program. We have used SPSS 23.0 and LISREL 8.70 to analyze the data. The measurement of the body image was comprised of three dimensions: Appearance Orientation(sensitivity for how they look to others), Appearance Evaluation(insensitivity of their appearance), and Physical Satisfaction(satisfaction with their appearance). As results, we found that appearance orientation(AO) positively influenced the ability to destress insomnia anxiety. Whereas appearance evaluation(AE) positively influenced the ability to destress depression but negatively affected the ability to destress insomnia anxiety. Last, physical satisfaction(PS) positively influenced the self-reliability and the ability to destress depression. By exam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body image and daily stress, scholars would have more insights on the social psychological understanding of dance program participan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