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바람 명칭 ‘새’에 대한 재고찰

        김지숙(Kim, Ji-suk) 한국어문학회 2016 語文學 Vol.0 No.132

        This paper discusses the meaning of “sae” as it differs in regions on the East Coast and the West Coast of Korea. In the east, “saetbaram” is used to describe not only east wind but also north wind, northeast wind, and northwest wind. In other words, in the east coastal regions, east wind is called “saetbaram” or “dongsae”; north wind is called “saetbaram” or “puksae”; northeast wind is “saetbaram” or “sadaetbaram”; and northwest wind is “utgosae.” This suggests that the designating term for wind in the native language in the east may have been replaced by a refashioned word—possibly due to the differences of the natural environment of fishing villages between the east and west coasts. In addition, “-sae” of “buksae” or “dongsae” can also refer to or be associated with the term “saetbaram” rather than the directions such as east or north. These terms are also included in a subcategory of "saetbaram", such as “waksae,” “dwensae,” or “geupsae.” Furthermore, farming villages alongside the East Coast showed no signs of using the term “saetbaram”, which is probably due to the difference of terms and meanings that occur across dialects because of the various environmental differences of the regions on the east and west coasts.

      • KCI등재

        바람 명칭 ‘갈’에 대한 재고찰

        김지숙(Kim, Ji-Suk) 한국어문학회 2018 語文學 Vol.0 No.139

        This paper discusses the meaning of “gal”, as it takes notice that the ‘galbaram’ is reported as a west wind, as well as a south wind, southeast wind, and southwest wind, in regions on the East and the West Coast of Korea. In the east coastal regions, the west wind is called ‘hanuibaram, cheong(cheon)pung, and cheonggal’, the south wind is called ‘galbaram’ or ‘namgal’, the southeast wind is called ‘galbaram’ or ‘donggal’, and finally the southwest wind is called ‘doen(daen)gal’ of ‘cheojingal’. This indicates that the designating term for wind in the native language in the east may have been replaced by the new type word-possibly due to the differences in the natural environment of fishing villages between the East and West coasts. In addition, ‘-gal’ in ‘donggal’ and ‘namgal’ can refer to the term ‘galbaram’, which can be seen as a subcategory of ‘galbaram’ such as ‘cheojingal’ and ‘doen(daen)gal’. Except for the Cheongsong area, ‘galbarm’ is not used in the rural areas of the East Coast. This is because different dialects have differentiated other terms and meanings due to various environmental differences in regions on the East and West coasts.

      • KCI등재
      • KISIA가 말하는 보안기업 이야기 - 위협 수집기 TMS

        김지숙,Kim, Ji-Suk 한국정보보호진흥원 2009 정보보호뉴스 Vol.136 No.-

        국내 정보보호 기업의 약 60%는 벤처 창업 붐이 최고조에 달했던 1999년$\sim$2003년 사이에 설립됐다. '정보보호기술' 역시 약 10년 전인 2000년에 창업한 기업 중 하나다. 2000년 전후로 국내 IDS 시장이 활성화되던 당시 '테스(TESS) IDS'로 정보보호 제품을 선보인 정보보호기술은 기술력을 바탕으로 비교적 짧은 시간 내 정보보호 분야에서 탄탄한 기반을 다지게 된다. IDS를 통해 시장 점유율을 높이던 정보보호기술은 2004년 자체 IDS 개발 기술을 바탕으로 당시에는 생소했던 '위협관리시스템'을 내놓으며 신선한 바람을 일으켰다. 보안산업의 새로운 분야로 떠오른 위협관리시스템은 사후 대응이 아닌 위협요소에 대한 사전대응을 목표로 한 예/경보 시스템. 정보보호기술의 위협관리시스템 'TESS TMS(Threat Management System)'은 기존 IDS가 가진 분석기능과 모니터링 기능에서 출발했다.

      • KCI등재

        울릉도 어촌지역의 오징어의 명칭과 의미 분화 연구

        김지숙(Kim Ji-suk) 한국사회언어학회 2013 사회언어학 Vol.21 No.3

        This study is to inquire into the Ullenungdo's own linguistic uniqueness by way of the lexical items of Ojingeo whose old forms remain a lot for the fishermen who reside in Ullenungdo. And also,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classification mechanism of Ojingeo-related lexicons, the degree of the lexical productivity, and then the ethnographic quality of the lexical items of Ojingeo. Firstly, the superordinates referring to Ojingeo in Ullenungdo are 'Ikka, Surume, Ojingeo, Pidungeokkolttugi, Jogi'. Just like this, the five names of the main categories are large in number in this area, which means that the ecological distribution of Ojingeo is large and the cultural, social importance of fishes in the relevant area is great. In view of the fishermen's knowledge and the lexical productivity, it is found out that 'Ikka' and 'Ojingeo' are the word referring to the whole of Ojingeo and 'Surume, Pidungeokkolttugi, Jogi' are the word referring to the individual of Ojingeo. Secondly, the lexical items of Ojingeo were diversified into 'Najojingeo, Dongsamojingeot, Taengchi, Jungchit, Tasaijji, Yoijjit, Tseonmangojingeot, Taljogi, Sutjogi' by 'size adult and young fishes, fishing period, fishing tool, color, male and female based on the subordinates 'Ikka' and 'Ojingeo'. Fishermen group's own classification method, that is, private classification method is appeared productively in relation to the edible value, the work efficiency of fishermen, and the economic feasibility. It means that Ojingeo, the important ground of fishing activity, constructs the world of fishermen's experience, and is recognized, used as a genuine cultural mode. Thirdly, the catching period and season of Ojingeo much influenced the amount of catches, which influenced the fishing operations such as 'Dongsamjigi, Chodeungbari' and 'Haechigi, Natchigi, Dalchigi, Saetbyeolchigi'. It is also related with the ethnographic quality and leads to the creation and use of idiomatic expressions such as 'To eat the red-bean gruel on the winter solstice means the sixty age(the last catch) of Ojingeo, The winter solstice is the sixty age of Ojingeo, Dojikgi, The first catch of Ojingeo can not be kept long.' (332 words)

      • KCI등재후보

        경북 청도 지역의 장(醬) 명칭 연구

        김지숙 ( Kim Ji Suk ) 영주어문학회 2017 영주어문 Vol.35 No.-

        경북 청도 지역의 장 관련 음식 생활어를 살펴보기 위해 청도군 이서면, 풍각면, 운문면의 지역민을 그 대상으로 했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장 명칭뿐만 아니라 관용 표현도 자연스럽게 채록할 수 있었고, 장을 담그고 보존하는 행위와 그에 따른 금기 사항도 살펴볼 수 있었다. 청도군은 상위 범주인 `장`을 중심으로 `딘장`과 `지릉장, 지렁`으로 된장과 간장을 구분하였고, 이러한 장 명칭은 시기, 방법, 맛, 기타 사항을 중심으로 `올장, 막장, 단장, 딩기장` 등으로 분화되어 나타났다. 또한 장을 뜨고 담그는 시기와 관련된 금기, 장의 상태 변화와 장맛에 관한 관용 표현을 통해 이 지역에 거주하는 지역민들의 지혜와 감각적인 언어 사용을 엿볼 수 있었다. The present study was conducted with women in Iseo-myeon, Punggak-myeon, and Unmun-myeon to investigate culinary terms specific totraditional sauces and pastes used in the Cheongdo region of Gyeongbuk Province. In addition to cataloguing the names of sauces and pastes, the study also involved documenting idioms. The study also examined the practice of making and preserving these sauces and pastes, as well as taboos associated with the sepractices. The top sauce and paste categories included soy sauce and bean paste, which have following names: jireungjang and jireong for soy sauce, and dingjang for bean paste. The names were further partitioned into specific categories associated with particular periods, methods, and tastes, among other properties, such as oljang, makjang, danjang, and dinggijang. Many taboos were associated with the period during which a particular sauce or paste manifested, and idioms regarding the changes in the form and taste of a sauce or paste were indicative of the wisdom and savvy language used by women in the region

      • KCI등재
      • KCI등재

        초등 예비교사의 발명교육에 대한 인식과 요구

        김지숙(Kim, Ji-Suk) 한국실과교육학회 2016 한국실과교육학회지 Vol.28 No.2

        이 연구의 목적은 초등 예비교사의 발명교육에 대한 인식과 요구를 분석하여 효율적인 발명교육 수행에 기여하는 데 있다. A교육대학교 학생 176명을 대상으로 발명교육 내용 표준과 선행 연구를 토대로 작성한 질문지를 사용하여 초등 예비교사의 발명교육에 대한 인식과 요구를 분석하였다. 연구의 주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예비교사의 발명교육에 대한 능력 수준은 학년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지 만, 성별과 발명 교육/활동 경험에 따라 일부 영역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둘째, 예비교사가 인지하는 발명교육의 중요도는 모든 변인 즉, 학년, 성별, 발명 교육/활동 경험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발명교육 요구도가 가장 높은 내용 표준은 ‘발명과 공학’, ‘문제와 관찰’, ‘발명과 창의성’, ‘발명과 STEAM , 발명과 역사’등이었다. 넷째, 예비교사들이 발명에 관해 연상한 단어들 중 가장 빈번히 등장한 것은 창의, 에디슨, 전구, 아이디어 등의 순으로 조사되었다. 다섯째, 예비교사가 교육의 필요성을 가장 크게 인식하고 있는 발명 교육학 영역의 내용은 ‘발명 교육 시설 및 환경’, ‘발명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발명활동 지도’인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예비교사들은 실과와 과학을 초등 발명교육 수행에 가장 적합한 교과로 인식하고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perceptions and educational needs of elementary school pre-service teachers toward invention education. As of this, a survey instrument was developed and administered to 176 pre-service teachers who were asked to identify the appropriate answers for the study.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it was identified that the pre-service teachers competency level on invention education was significantly different in two variables, gender and educational exposure. Second, it was revealed that the pre-service teachers perceived importance level on invention education was not significant different in three variables, grade level, gender, and educational exposure. Third, the pre-service teachers showed the highest educational needs on some core contents such as invention and engineering , problem and observation , invention and STEAM , and invention and history . Forth, the pre-service teachers responded most frequently that the word associated with invention was creative . Fifth, the pre-service teachers showed the highest educational needs on invention education areas such as facilities and environments , program development , and guidance on invention activities . Sixth, the pre-service teachers perceived practical arts and science as the most appropriate subject to conduct invention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

      • KCI등재

        동해안 어촌 생활어에 나타난 바람 명칭 명명법 연구

        김지숙 ( Ji Suk Kim ) 한민족어문학회 2015 韓民族語文學 Vol.0 No.71

        이 글은 동해안 어촌 지역에서 사용되는 바람의 명칭을 대상으로 어휘의 분화 기제를 살펴보고, 분화 기제에 따라 명칭을 나눈 후 이에 따른 어휘의 분화 양상과 그 명명 방법을 살펴본 것이다. 그 결과 바람 명칭은 사전상에 제시된 ‘동풍, 남풍’과 같은 어휘 외에도 다양한 어휘를 확인할 수 있었다. 어촌 생활어에서 나타나는 바람의 명칭을 모두 추출하여 그 의미 유형별로 구분한 결과, ‘방위’를 중심으로 한 의미와 형태를 바탕으로 ‘속도 및 세기, 모양과 성질, 위치, 지명, 계절, 시간’으로 어휘 확장이 일어났음을 알 수 있었다. 실질적인 어휘 조사를 한 본 연구를 통해 우리는 어촌의 독특한 환경이 바람 명칭에 영향을 주었음을 알 수 있었고 바람 명칭을 명명 방식에 따라 유형별로 분류할 수 있었다. 조사 과정에서 나타난 새로운 점을 가장 많은 어휘가 나타난 방위 관련 명칭을 중심으로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높새’와 ‘된새’는 모두 각각 북쪽과 동쪽을 의미하고 있어하나의 방위가 아니라 두 개, 동쪽과 북쪽의 방위를 모두 지칭하고 있었다. 둘째, ‘새대’와 ‘마대’의 ‘새’와 ‘마’가 방위를, 뒤에 붙는 ‘-대’는 ‘쪽, 편’을 의미하고 있을 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판단된다. 셋째, ‘갈바람’의 하위 범주에 ‘동갈, 남갈, 댄갈, 처진갈’이 있으며, ‘갈바람’은 서풍 외에도 남풍을 가리킨다고 정리할 수 있었다. 넷째, ‘설악산내기, 설악산바람’은 모두 위쪽에서 불어오는 샛바람의 일종인 ‘웃고(굴)새’의 하위 범주이다. ‘웃고(굴)새’는 설악산이나 원산이 있는 북서쪽 또는 북쪽의 위쪽 지역에서 오는 바람을 가리키는 말로 바람의 진원지에 따라 그 명칭은 ‘원산내기(내이)’와 ‘설악산내기(바람)’로 분화되었다. 다섯째, ‘내바람’의 다른 명칭 중 특이한 것은 울릉도 지역에서만 나타나는 ‘청풍’이다. ‘댄갈청풍’과 ‘북청’과 관련된 ‘청풍’은 서쪽에서 부는 바람을 가리키는 말로 맑고 상쾌한 바람을 가리키고 있었다. 바람의 명칭은 방위 외에도 속도 및 세기, 시간 및 계절, 모양과 성질, 위치, 지명의 범주와도 어울려 동해안의 특성을 보여주는 명칭으로 나타나고 있었다. As a subject of study on the classification mechanism of a word, this study examines everyday words of naming wind used at fishing villages in the east coast of korea. Words of representing wind are classified to examine the classification patterns and the nomenclature depending on the classification mechanism. As a result, nomenclature of wind is confirmed to exist in various ways, other than the dictionary words such as “east wind, south wind, and etc”. When names of wind in everyday words at fishing villages are all retrieved and classified according to the meaning pattern, it is found that the word extended to various words representing velocity, intensity, shape and characteristics, direction, places, season, and timing, based on the meaning and characteristic focussed on the wind direction. Through substantial on-site survey of words performed in this study confirms that the special environment at fishery villages affects the nomenclature of wind and so names of wind can be classified depending on the way of nami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