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國土利用計劃變更申請權의 例外的 認定의 問題點에 관한 小考

        김중권 한국행정판례연구회 2005 행정판례연구 Vol.10 No.-

        Der Anspruch auf Landnutzungsplannderung wurde bislang in stndiger Rechtsprechung ausnahmslos deshalb nicht anerkannt, weil es keine gesetzlichen Vorschriften betreffs eines Plannde\ rungsantrags gebe und der festgesetzte Plan trotz der Sachlagende\ rung unvernderbar sei. Aber der hchste Gerichtshof billigt in seinem neuen Urteil v. 23. 9. 2003. 2001Du10936 ausnahmsweise den Betroffenen den Anspruch auf Landnutzungsplannderung zu. Dabei argumentiert er, dass die Ablehnung des Antrags auf Landnutzungsplannderung letztlich zur Ablehnung des erw nschten Verwaltungsakts(Zulassung von Abfallentsorgungsanlage) fh\ ren wrde. Das neue Urteil schliet sich im Grunde der stndiger Rechtsprechung an, das Vorliegen eines ablehnenden Verwaltungs\ akts an die Antragsbefugnis auf den Verwaltungsakt anzukn pfen. Der hchste Gerichtshof versucht, sich vom Dilemma aufgrund dieser Gemengelage zu befreien, indem er den Aus\ nahmefall anerkennt. Diese Meinungswechsel in sich ist schon ein Fortschritt. Bei genauerer Betrachtung bleibt dieser Lsungs\ versuch allerdings noch in dogmatische Hinsicht problematisch. Die Entscheidung ber die grundstzliche Genehmigungsfhigkeit des Abfallentsorgungsvorhabens(Konzept der Anlage) stellt den Vorbe\ scheid dar, von dem die Erteilung der gesamten Genehmigung ab\ hngt. Doch der hchste Gerichtshof verkennt das Wesen des Vorbescheids. Der Landnutzungsplan wird als Verwaltungsakt qualifiziert und kann deshalb nach der Widerrufsdogmatik gen\ dert oder aufgehoben werden. Der hchste Gerichtshof berck\ sichtigt dennoch zu Unrecht die Lsungsmgklichkeit durch Widerrufsdogmatik des Verwaltungsakts nicht. Insoweit sollte die Bedeutung dieses Urteils etwas geringer sein. Die Rechtsprechung htte zwischen den Fragen des Vorliegens eines ablehnenden Verwaltungsakts und der Klagefugnis zu unterscheiden. Das wre der Ansatzpukt f<r die angemessene Problemlsung.

      • KCI우수등재

        의제된 인·허가의 취소와 관련한 문제점- 대법원 2018. 7. 12. 선고 2017두48734 판결 -

        김중권 법조협회 2018 法曹 Vol.67 No.5

        Die verwaltungsrechtliche Genehmigungsfiktion ist ein Instrument der Verfahrensbeschleunigung, das in der einschlägigen Diskussion weitaus überwiegend positive betrachtet worden ist. Trotz jahrzehntelanger Erfahrungen mit Genehmigungsfiktionen und aller gesetzgeberischen Bemühungen verbleibt eine Vielzahl letztlich ungeklärter und ungelöster Fragen, die zu einer systematischen Handhabung des Instruments der Genehmigungsfiktion jedenfalls nicht beitragen. Einsatz von Genehmigungsfiktion ist vermehrt worden, bevor viele Fragen einer Genehmigungsfiktion noch nicht ausreichend gelöstet. Deshalb gilt es für die nähere Analyse der Fiktionsregelungen. Obwohl die Begriffsmerkmale des Verwaltungsaktes erfüllt nicht ist, besteht der fingierte(fiktive) Verwaltungsakt. Es gibt gesetzlich zwei Arten von Genehmigungsfiktion: Vergrößerungsfiktion und Fristablaufsfiktion. Der fiktive Verwaltungsakt Die Genehmigungsfiktion, ins. die Vergrößerungsfiktion im Verwaltungsrecht verursacht einige Bedenken im Rechtstaatsprinzip. Erforderlich ist die Systematisierung vom fiktiven Verwaltungsakt als verwaltungsrechtliche Instituttion. 대상판결의 하급심이 적극적으로 사업계획승인 취소처분의 당부를 판단하여 적법성을 확인함으로써, 의제적 행정행위의 존재 및 그것의 취소를 인정하였다. 어떠한 상황의 발생과 더불어 행정행위가 발해진 것으로 즉, 있는 것으로 보는(간주되는) 식으로, 법률이 결정주체의 의사와 무관한 상황의 발생을 행정행위의 발급으로 대체하는 경우에, 그렇게 성립한 행정행위가 의제적 행정행위이다. 인·허가의제의 효과는 의제대상 인·허가의 개개의 행정절차를 생략하는 데 있다. 현행 행정법제가 취하는 인·허가의제의 방식은 크게 두 가지이다. 즉, 하나는 허가, 신고 등과 같은 선행행위의 존재를 바탕으로 다른 인·허가에 관한 의제효과를 연결시킨다(동반적·확장적 의제효과의 방식). 다른 하나는 소정의 처리기간의 경과에 의제효과를 연결시킨다(기간경과적 의제효과의 방식). 기간경과적 의제효과의 방식에 비해 동반적·확장적 의제효과의 방식은 행정법적으로 문제가 많다. 일각에선 행정의 간소화의 차원에서 의제제도를 확대하고자 한다. 인·허가의제규정의 확대는 법률구속 및 행정청에 의한 통제를 극도로 완화시켜 자칫 권력분립주의와 법치국가원리를 심각하게 훼손할 수 있다. 아울러 법률에 합치하지 않고 투명하지도 않은 행정현실이 가일층 촉진될 우려가 있다. 입법정책의 차원에서 인·허가의제는 2극적 법관계에서 실체적으로 법적으로 단순하고 예방적 통제의 중요하지 않은 범주에서만 도입될 필요가 있다.

      • KCI등재
      • KCI등재

        판결에 의한 장애종류의 확장의 문제 -대상판결: 대법원 2019. 10. 31. 선고 2016두50907 판결

        김중권 사법발전재단 2021 사법 Vol.1 No.55

        Der Sozialstaat ist ein Staat, in dem die soziale Sicherheit aller Mitglieder durch das sozialstaatliche Prinzip eine ständige Pflicht ist. Nach der Auflistung zu Arten von Behinderung durch Art.2 Abs.1 Anhang I des Vollstreckungsdekrets des Behindertengesetzes wurde „sog. Tic-Störung“ aufgrund einer schlechten gesetzgeberischen Nachlässigkeit vom Anwendungsbereich ausgeschlossen. Vor diesem Hintergrund kann die vom Urteil getroffene Lösung ein sehr einfacher sowie vorbildlicher Weg aufzeigen, um die Situation der rechtswidrigen Fahrlässigkeit bei unechtem Unterlassen untergesetzlicher Rechtsnorm zu überwinden. Dennoch besteht noch die Befürchtung, dass die Flucht zu einem vorbildlichen Ansatz wahllos erfolgen könnte. Das Prinzip „in dubio pro petitor“ leitet sich nicht aus dem sozialstaatlichen Prinzip ab. Die Problemlösungsmethode dieser Rechtsprechung ist grundsätzlich schwer zu akzeptieren und kann nicht unwesentliche Nebenwirkungen verursachen. Angesichts der Funktion des verwaltungsgerichtlichen Urteils, die das Rechtsstaatsprinzip und das Sozialstaatsprinzip zukünftig mehr stärken und gewährleisten kann, ist grundsätzlich bedauerlich, dass in diesem Urteil sowohl die Situation der rechtswidrigen Fahrlässigkeit als auch die administrative Fahrlässigkeit der Gesetzgebung wenig intensiv betrachtet wird. Sofern es keinen gesetzgeberischen und institutionellen Mechanismus für die Umwandlung neu auftretender Behinderungen in Behinderungen gibt, die dem Behindertengesetz unterliegen, ist die Disziplinarmethode in Form von Aufzählungsvorschriften selbst eine unvollständige Gesetzgebung. Dies kommt endgültig zu nicht rechtfertigende Diskriminierung. Es kann gesagt werden, dass es illegal ist. 사회국가원리를 매개로 모든 구성원의 사회적 보장이 지속적 임무가 되는 국가가 사회국가다. 장애인복지법 시행령 제2조 제1항 [별표 1]이 장애종류를 열거함에 따라 틱 장애가 대상에서 제외되는 부진정한 입법부작위의 상황에서, 대상판결은 예시적 방법으로 해결책을 모색하였는데, 이는 결국 판결로 등록장애종류를 확대한 셈이다. 대상판결이 취한 해결방안은 위법한 부진정 입법부작위의 상황을 매우 손쉽게 타개하는 방도가 될 수 있어서, 예시적 접근으로의 도피가 무분별하게 행해질 우려가 있다. 사회국가원리로부터 ‘의심스러우면 청구인에게 유리하게’(In dubio pro petitor)의 원칙이 도출되지는 않는다. 대상판결의 접근방식은 수긍하기 힘들고, 결코 사소하지 않은 부작용을 유발할 수 있다. 행정재판을 통해 법치국가 및 사회국가의 미래개방성을 보장한다는 차원에서, 위법한 부진정 행정입법부작위의 상황을 좀 더 치열하게 고민하면서 해결할 순 없었는지 아쉬움이 크다. 새로이 등장하는 장애를 장애인복지법의 적용대상이 되는 장애로 전환시키는 입법적, 제도적 장치가 마련되지 않은 이상, 열거규정의 형식의 규율방식은 그 자체가 불완전 입법이고, 정당화될 수 없는 차별을 낳기에 위법하다고 할 수 있다.

      • KCI등재

        2022년도 主要 行政法(行政)判決의 分析과 批判에 관한 小考

        김중권 안암법학회 2023 안암 법학 Vol.- No.66

        In dieser Arbeit werden verwaltungsrechtliche wichtige 13 Fälle des Höchtsgerichtshof(HGH)s im Jahr 2022 kritisch analysiert. Das Urteil 2018da241458 erwähnte die schwerwiegende Zuständigkeitsverletzung in der Vorinstanz nicht. Das Präjudiz, dass Sanktionen nicht verhängt werden können, wenn ein legitimer Grund vorliegt, der für eine Pflichtverletzung unverantwortlich gemacht werden kann, kann der Stabilität der Strafverfolgung zuwiderlaufen. Das Urteil 2020du39365 galt eine Verfügung über die Betriebseinstellung einer medizinischen Einrichtung als sachbezogene Verfügung. Jedoch ist es wirklich unerwünscht, da dadurch die Sanktionen für Verstöße außer Kraft gesetzt werden. Die Frage, dass die Frist aufgrund der Aussetzung des Vollzugs der Betriebseinstell= ungsanordnung nicht verstrichen ist, kann nicht durch ein Urteil geklärt werden. De lege ferenda sind explizite Regelungen im Verwaltungsrah- mengesetz wünschenswert. Das Urteil 2018du50147 behauptete die Fehlerfolge zwischen der Standardankündigung des Grundstückspreises und der Abgabenserhebungsverfügung. In unerwünschter Weise widerspricht dies der bisherigen Rechtsprechung. Das Urteil 2017da266771 erkannte Staatshaftung für Überbelegung in Justizvollzugsanstalten an. Dies ist wirklich unerwünscht, weil der HGH nicht auf den aktuellen Zustand der Justizvollzugsanstalten, die nicht den Vorschriften entsprechen., sondern auf die Überbelegungshandlung selbst abstellt. Das Urteil 2018da212610 erkannte die Staatshaftung für die Staatsnotmaßnahmen an. Es ist zwar lobenswert für die Auflösung der Ressentiments der Zeit, aber verbleiben noch ernsthafte Probleme in Bezug auf die verwaltungsrechtliche Dogmatik. Unerwünschterweise erwähnte der HGH nicht, ob judikatives Unrecht anerkannt werden kann. Anders als in den meisten Ländern verbleibt die Genehmigung der Geschlechtsänderungen unerwünscht in der Rechtsprechung ohne positive Rechtsgrundlage. Dies verstößt gegen das Rechtsstaatsprinzip. Auch im Jahr 2022 entstanden mehr Urteile, die nicht zur Weiterentwicklung des Verwaltungsrechts auf der Ebene der Verwaltungsrechtsdogmatik beitragen. bedauerlicherweise gibt es keine Bewegung für eine neue Veränderung, die den bestehenden Denkrahmen aufbricht. 2022년 주요 행정판결 13건을 비판적으로 분석한다. 총포⋅화약안전기술협회의 ‘회비납부통지’를 ‘부담금부과처분’으로서 항고소송의 대상이 된다고 본 대법원 2021.12.30. 선고 2018다241458 판결이 하급심이 범한 중대한 관할위반에 대해 아무런 언급을 하지 않았다. 의무위반을 탓할 수 없는 정당한 사유가 있으면 제재처분을 부과할 수 없다는 판례의 입장은 법집행의 안정성에 반할 수 있다는 문제가 있다. 요양기관 업무정지처분을 대물적 처분으로 접근한 대법원 2022.1.27. 선고 2020두39365 판결은 결과적으로 위법에 대한 제재를 무력화한 것이어서 정말 바람직하지 않다. 영업정지처분에 대한 집행정지로 인해 진행되지 않은 기간의 문제를 판결로 해소할 수는 없다. 입법정책(de lege ferenda)의 차원에서 행정기본법에 명문의 규정을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재판상의 불법에 대한 국가배상책임의 문제와 관련해서 판례는 종종 ‘법관’의 직무상의 불법 문제로 바람직하지 않게 접근한다. 표준지공시지가결정과 재산세부과처분 사이에 하자승계를 부인한 대법원 2022.5.13. 선고 2018두50147 판결은 바람직하지 않게도 기왕의 판례와 조화되지 않는다. 과밀수용을 원인으로 한 국가배상책임의 문제에서 대법원 2022.7.14. 선고 2017다266771 판결이 규정에 부합하지 않는 교정시설이 아니라 수용행위 자체에 초점을 맞춰 논증한 것은 타당하지 않다. 이의신청에 대한 기각결정의 독립된 처분성 문제와 관련하여 판례가 적잖이 혼란을 자아내고 있다. 긴급조치에 대한 국가배상책임을 인정한 대법원 2022.8.30. 선고 2018다212610 전원합의체 판결은 시대의 解冤을 강구한 점은 호평할 만하나, 행정법 도그마틱상으로 심각한 문제점이 있다. 특히 재판상의 불법의 인정여부에 침묵하였다. 우리의 경우 대부분의 국가와는 달리 성전환에 따른 성별정정허가제가 바람직하지 않게도 변함이 없이 판례법에 머무는데, 이는 법치국가원리에 위반된다. 2022년도 역시 행정법 도그마틱의 차원에서 행정법의 발전에 이바지하는 판결보다는 그렇지 않은 판결이 더 많다. 기왕의 사고틀을 새롭게 타파하는 변화가 생겨날 움직임이 안타깝게도 보이지 않는다.

      • KCI등재

        行政判例 30年의 回顧와 展望 - 行政節次, 情報公開, 行政調査, 行政의 實效性確保의 分野

        김중권 한국행정판례연구회 2014 행정판례연구 Vol.19 No.2

        This article is devoted to an retrospective overview about the development of administrative precedent over 30 years on important issues in the administrative procedure law, official information disclosure, administrative investigation, and administrative vicarious execution, etc. This study aims to development the administrative law in the future. 행정법의 역사는 그 기원과 기본모델이 된 官憲國家的 기조를 민주적 법치국가원리에 맞게 새로이 구축하는 과정이다. 민주주의와는 거리가 먼 권위주의적 정부행태가 지배하면, 행정법의 발전은 한계가 있을 수밖에 없다. 행정소송이 제대로 구축되어 발전적인 행정판례가 출현해야 비로소 행정법학은 종래의 관헌국가적 행정법 즉, 官房法學으로서의 부정적 측면을 떨치고, 법치국가원리의 구체화로서의 본연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1984년의 개정행정소송법은 행정법의 발전을 위해 결정적인 바탕을 제공하였다. 특히 87년 민주화 이후 국가와 사회가 양적, 질적으로 엄청나게 변화하였으며, 그 소산이 행정사건의 대폭 증가이다. 국민이 통치의 대상에서 벗어나 권리주체로서 지위를 갖게 되는 임계점에 행정소송법이 존재한다. 이 점에서 1984년 행정소송법개정은 公法學史的으로 에포크적 의미를 갖는다. 행정판례연구회 월례발표회 제300회 특집이 ‘행정판례의 회고와 전망’이다. 전망을 전제로 한 회고가 성찰이고, 새로운 지평의 지향이 전망이다. 쟁점에 대해 반복적 물음을 제기하여 성찰함으로써 새로운 지평을 열어갈 수 있다. 사실 행정소송 84년 체제는 결정적인 숙명적 한계를 갖고 있다. 민사법과 다른, 행정법 및 행정재판의 특성을 깊이 숙고하지 않았던 당시의 경향이 -비록 점차 가시긴 했어도- 여전히 강하게 남아 있다. 이미 행정판례연구회 제200회 발표회기념 학술대회(2005.11.21.)에서 광복이후 행정판례에 관해 심도 있는 고찰을 하였다. 이하에서는 그 이후 또는 여전히 행정절차, 정보공개, 행정조사, 행정의 실효성확보의 분야에서 行政法發展의 起爆劑가 되거나 行政法의 發展을 위해 극복되어야 할 중요한 판례에 관해, 行政法의 現在化를 위해서 미래지향적으로 성찰하고자 한다.

      • 국가배상법에 따른 국가배상책임을 통한 조세구제의 고찰

        김중권 한국조세법학회 2018 조세논총 Vol.3 No.3

        Case law affirms state reparations without taking into account conflicts in administrative remedies. Ensuring fairness between Guasegonja and taxpayers in that tax relief is not sufficient is a fundamental rule of law and must be granted national compensation. The 2015 Supreme Court ruled that the right to remedies could be a serious problem even after a period of dissatisfaction despite the case of a non-plaintiff. In particular, civil servants' intentional, negligent, and judicial attitudes related to illegality are not acknowledged by the State Liability. As a secondary rights protection system, illegal Henwillon in civil law must be accepted so that the state reparation system can be used. 판례는 행정구제상의 경합 등의 미묘한 문제를 인식하지 않은 채, 일찍부터 국배긍정설을 취하였다. 조세쟁송을 통한 권리구제가 아직 충분하지 않다는 점에서 과세권자와 납세자간에 무기대등을 확보하는 것은 법치국가원리적 요청이며, 당연히 국배긍정설은 적극적으로 수용되어야 한다. 비록 문헌상의 관련 논의가 활발하지 않았던 상황에서 국가배상법의 위상 및 관련 문제점을 인식하지 않았으리라 예상되지만, 결과적으로 국배긍정설을 취한 대법원 1991.1.25. 선고 87다카2569판결과 대법원 1979.4.10. 선고 79다262판결의 의의는 매우 크다고 할 수 있다. 그런데 대법원 2015.6.23. 선고 2102두2986판결에 즈음하여 해당사건의 원고가 아닌 관련자의 경우 비록 불복기간이 경과했다 하더라도 나름의 권리구제를 강구할 수 있는지가 심각하게 문제될 수 있다. 나아가 관건은 국가배상청구권의 성립요건상의 논의이다. 특히 공무원의 고의나 과실 및 위법성과 관련한 판례의 태도는 국가배상책임의 인정가능성을 매우 저하시킨다. 제2차적 권리보호체제로서 국가배상제도가 제 기능을 다할 수 있도록, 민사불법행위론에 기조를 둔 현재의 법제 및 논의의 차원에서 -가령 국가자기책임에 입각하고 주관적 요소를 제거하는 등의 방법으로- 하루바삐 벗어나야 한다.

      • KCI등재

        朝鮮朝 經筵에서 肅宗의 讀書歷 考察

        김중권 한국서지학회 2018 서지학연구 Vol.75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Soogjong’s reading career in the Gyeongyeon(經筵) of Joseon Dynasty. To investigate the Silrog (the book which records the history of Korea), it knew the reading material, a reading act and attitude which he read in the Crown prince time. Major findings are as the follows; The reading materials that he read for 45years were 19 titles, that is, Noneo(論語), Kangmog(綱目), Maengja(孟子), Jungyong(中庸), Daehagyeonui(大學衍義), Tonggam(通鑑) and Simgyeon(心經), Jujeog(周易) etc... The number of times that he participated to the Jogang’s reading discussion was 8, and the Jugang(晝講) was 1127, Seoggang(夕講) was 18, and Sodae(召對) was 324. He was the king who disliked reading, from 1674 to 1720, when he was in power, moreover he was not almost presented at the reading discussion of the Gyeongyeon(經筵) at the end of seizure of power. As a result, Soogjong’s reading career was much lower than the Hyojong’s reading career in past. 본 연구에서는 조선조 19대 왕 肅宗의 독서력을 살펴보기 위하여 實錄을 통해 재위 45년간 그의 독서행태를 일정별로 살펴보았다. 숙종은 현종이 승하하자 14세에 왕위에 올라 모든 제도를 재정비한 뒤 경연제도에 따라 독서하려고 노력하였다. 그러나 숙종도 부왕인 顯宗처럼 3강은 실시하지 못하고 주강과 소대에 치중하였다. 숙종은 재위기간이 45년이지만 그의 독서일정을 조사한 결과 독서력이 좋지 못했다. 그가 재위 45년 중 독서활동은 39년으로 그 동안 읽었던 책은 『論語』 『綱目』 『孟子』 『中庸』 『書傳』 『心經』 『詩經』 『周易』 『大學衍義』 『聖學輯要』 『宋鑑』 『皇明通紀』 『明紀編年』 『春秋集傳』 『禮記』 『東國通鑑』 『唐鑑』 『節酌通編』 『名臣奏議』 등 19종이다. 독서 횟수를 보면 三綱의 경우 39년까지 총 1,153회였다. 이 중 조강은 8회, 석강은 18회 정도였다. 야대 및 소대는 재위기간 총 324회로 나타났다. 결과적으로 숙종은 재위기간만 길었지 거의 조강, 석강은 실시하지 않았으며, 주강과 소대를 실시했다 하더라도 평균 수치상 아주 저조한 독서율이 나옴으로 인해 부왕인 顯宗보다는 우월하나 조부인 孝宗보다는 그의 독서력이 좋지 않았다.

      • KCI등재후보

        사권형성적 행정행위와 그 폐지의 문제점에 관한 소고

        김중권 한국행정판례연구회 2006 행정판례연구 Vol.11 No.-

        Zusammenfassung"Privatrechtsgestaltend" sind solche Verwaltungsakte, die ihre Rechtswirkungen berwiegend order ausschließlich im Privatrecht entfalten. Otto Mayer hat bereits in seinem wissenschaftspgenden Hauptwerk kategorisch erklrt, dass es "keine ffentlichrechtlichen Rechtsinstitute mit unmittelbarer zivilrechtlicher Wirkung" geben knne. Dadurch ist der privatrechtsgestaltende Verwaltungsakt erst relativ spt in das Bewusstsein der Jurisprudenz gerckt. Er kann die nderung der privaten Rechtslage ipso iure mitbewirken, also ein entsprechenendes Tatbestandsmerkmal einer Norm erfllen. Die privatrechtsgestaltenden Verwaltungsakte lassen sich darunter aufgliedern, ob der Verwaltungsakt entweder ein Element fr die nderung der Privatrechtslage order allein privatrechtsgestaltend ist: privatrechtsmitgestaltende Verwaltungsakte, privatrechtsalleingestaltende Verwaltungsakte, Die Unzulssigkeit von Nebenbestimmungen kann sich auch aus allgemeinen Rechtsgrundstzen, insb. auch aus dem Zusammenhang und dem Zweck einer Rechtsvorschrift und aus der Natur der verwaltungsakte, zu denen sie ermchtigt, ergeben. Die privatrechtsgestaltenden Verwaltungsakte von Rechtsgeschften nach Privatrecht sind in der Regel nebenbestimmungsfeindlich, weshalb die eine entsprechende Bedingung, Auflage usw nicht zulssig wre. Lange Zeit hielt die h.M. in Deuschtland vor allem Gehemigungen privater Rechtsgeschfte fr nicht aufhebbar. Aber die behrdliche Genehemigung eines privaten Rechtsgeschfts wre nach den allgemeinen Regeln ber die Rcknahme und den Widerruf von Verwaltungsakten aufhebbar. 대상판결 등은 행정행위의 취소나 철회의 구분에 따른 효과발생상의 차이점에 관한 일반적 논의-당초 행정행위의 효력의 소멸의 시점상의 차이점(소급적 소멸여부)-를, 법률행위의 완성을 목적으로 한 인가에 대해서 아무런 의문없이 그대로 대입하였다. 보충행위이자 완성행위로 일컫는 認可의 본질적 징표를 전혀 고려하지 않았다. 그 결과 인가와 관련해서 부관의 허용성 뿐만이 아니라, 폐지(취소나 철회)의 허용성 및 (가능한 경우엔) 그 효과에 대해서도 기본적인 懷疑조차 보이지 않았다. 이런 불찰의 원인은 과연 어디서 비롯된 것인가? 바로 인가의 본질에 관한 이해의 부족에서 비롯되었다고 여겨진다. 즉, 통상 인가를 기본행위의 보충행위이자 완성행위로 정당하게 자리매김하긴 하였지만, 그것의 본질이 私權形成(privatrechtsgestaltend)에 있음을 간과한 것이다. 사권형성적 행정행위는 공법과 사법의 전선에 놓이기에, 당연히 그것을 다룸에 있어 곤란함이 초래된다. 그것은 늘 양법질서(공법과 사법)에서 異物質(Fremkrper)로 여겨졌으며, 그런 사정은 오늘에도 변함이 없다. 따라서 사권형성적 행정행위로서의 인가에 관한 이해를 바탕으로 하여, 기본재산처분행위허가의 법적 성격, 사권형성적 행정행위에 대한 부관의 허용성, 사권형성적 행정행위의 폐지에 관하여 검토하였다. 덧붙여 인가조건이 과연 부관인지 나아가 어떤 부관에 해당하는지도 철회권의 유보와 결부시켜 살펴보았다. 사권형성적 행정행위를 여타 다른 행정행위와 완전히 달리 구성되어야 할 유별한 존재로 인정할 수 없거니와, 그렇다고 보통의 행정행위에 통용되는 것을 그대로 대입시키기 어려운 내용 구석 또한 존재한다. 이젠 행정법학으로서도 더 이상 私權形成的 行政行爲와 같은 越境的, 境界的 存在를 논증의 곤란함으로 부지불식간에 외면하기보다는, 그것을 논쟁대상으로 삼아 그것에 정당한 법적 의의를 부여하여야 한다. 종래의 斷絶的 思考로부터 벗어나 전체를 아우르는 통찰이 그 출발점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