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전침자극이 Spontaneously Hypertensive Rat의 대뇌겉질, 뇌줄기, 소뇌 부위의 Nitric Oxide Synthase 신경세포에 미치는 영향

        김종인,김용석,김창환,Kim, Jong-In,kim, Yong-Suk,Kim, Chang-Hwan 대한침구의학회 2001 대한침구의학회지 Vol.18 No.4

        Background and Objetive :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various electroacupuncture stimulation on NADPH-diaphorase in cerebral cortex, brain stem, cerebellum of spontaneously hypertensive rats. Materials and Methods : We evaluated the changes of NADPH-d-positive neurons using a histochemical method. The staining intensity of NADPH-d-positive neurons was assessed in a quantitative fashion using a microdensitometrical method based on optical density by means of an image analyzer. Results and Conculsion : The average optical density of NADPH-d-positive neurons of 100 Hz (bipolar square wave 0.2 ms duration and 100 Hz frequency) electroacupuncture treatment group significantly increased in most cortical areas comparison between the manual acupuncture and 2 Hz (bipolar square wave 0.2 ms duration and 2 Hz frequency) electroacupuncture groups. In the brain stem, the optical density of NADPH-d-positive neuron at only superficial gray layer of the superior colliculus area was same as cerebral cortex. We conclude that the morphological evidence for NADPH-d-positive neurons may be have regional change in cerebral cortex brain stem and cerebellum according to various electroacupuncture stimulations.

      • KCI등재
      • KCI등재

        방배동 주상복합 현장

        김종인,유기현,Kim, Jong-In,Yoo, Ki-Hyun 한국건축시공학회 2003 한국건축시공학회지 Vol.3 No.4

        본 방배동 주거복합빌딩 신축공사는 서초구 방배본동에 위치하고 있으며 이곳에서는 아파트 4개동 222세대와 오피스텔 61세대의 주거 및 부대시설로는 지하 주민생활시설, 근린생활시설이 신축되며 옥외 대지부분은 중앙광장과 공개공지, 분수대 설치 등으로 입주민뿐 아니라 지역주민과의 휴게공간으로 제공된다. 또한 지상25층 높이 약81M로서 이수교차로변에 위치하여 4통 발달의 교통요지에서 LANDMARK적인 건물로 자리잡게 될 것이다.(중략)

      • KCI등재
      • KCI등재후보

        Gamma 다층 신경망을 이용한 비선형 적응예측

        김종인,고일환,최한고,Kim Jong-In,Go Il-Hwan,Choi Han-Go 한국융합신호처리학회 2006 융합신호처리학회 논문지 (JISPS) Vol.7 No.2

        동적 신경망은 시스템 식별과 신호예측과 같이 temporal 신호처리가 요구되는 여러 분야에서 적용되어 왔다. 본 논문에서는 신경망의 동특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순방향 다층 신경망의 히든 층에 감마(Gamma) 메모리 커넬을 사용하는 감마 신경망(GAM)을 제안하고, 적응필터로 제안된 신경망을 사용하여 비선형 적응예측을 다루고 있다. 제안된 신경망은 비선형 신호예측을 통해 평가되었으며, 예측성능의 상대적인 비교를 위해 순방향 신경망(FNN)과 리커런트 신경망(RNN)과 비교하였다. 시뮬레이션 결과에 의하면 GAM 신경망은 수렴속도와 예측의 정확도에서 이러한 신경망보다 더 우수한 동작을 수행함으로써, 제안된 신경망이 기존의 다층 신경망보다 비정적 신호에 대한 비선형 예측에 더 효과적인 예측모델임을 확인하였다. Dynamic neural networks have been applied to diverse fields requiring temporal signal processing such as system identification and signal prediction. This paper proposes the gamma neural network(GAM), which uses gamma memory kernel in the hidden layer of feedforward multilayered network, to improve dynamics of networks and then describes nonlinear adaptive prediction using the proposed network as an adaptive filter. The proposed network is evaluated in nonlinear signal prediction and compared with feedforword(FNN) and recurrent neural networks(RNN) for the relative comparison of prediction performance. Simulation results show that the GAM network performs better with respect to the convergence speed and prediction accuracy, indicating that it can be a more effective prediction model than conventional multilayered networks in nonlinear prediction for nonstationary signals.

      • 월경전기 증후군과 해리증상 및 과거 학대 경험과의 연관성

        김종인,최태규,윤재항,서신영,Kim, Jong-In,Choi, Tae-Kyou,Yoon, Jae-Hang,Suh, Shin-Young 한국정신신체의학회 2008 정신신체의학 Vol.16 No.2

        연구목적 : 월경전기 증후군(Premenstrual Syndrome : PMS)은 가임기 여성의 약 80% 이상에서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월경 주기와 일치하는 질환의 특성 상 여성 호르몬의 변화가 질환과 가장 밀접한 연관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아직까지 특징적인 생물학적 원인에 대한 일관된 보고는 되어 있지 않다. 이에 질환의 심리학적 원인에 대한 여러 가지 가설들도 제시되고 있는데 그 중에서도 심리적 외상 경험과의 연관성에 대한 연구들은 과거의 심리적 외상이 클수록 월경전기 증후군의 증상이 심해진다는 흥미로운 관점을 제시한다. 한편 과거의 심리적 외상은 해리 증상과도 연관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이러한 사실들로부터 월경전기 증후군과 해리증상의 연관성에 대한 가능성을 유추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월경전기 증후군의 정도와 해리증상 경험의 정도, 과거 학대 경험의 연관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 본 연구는 서울 경기 경북에 근무하는 377명의 간호사들 중 설문과 기록을 충실하게 수행한 183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월경전기 증후군의 존재 여부와 증상의 정도는 Daily Record of Severity of Problems(DRSP), Shortened Premenstrual Assessment Form(SPAF)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해리 증상의 정도는 Dissociation Experience Scale(DES-K)을 사용하였고 과거의 신체/언어적 학대 경험, 성적 학대 경험, 부모의 배우자 학대 경험은 각각 부모의 신체적 언어적 학대 방임 척도, 성적 학대 척도, 배우자 학대 척도를 이용하였다. 결과 : SPAF 점수를 기준으로 대상자들을 월경전기 증후군이 없는 군(No PMS), 경도에서 중등도의 증상을 경험하는 군(mild to moderate PMS), 중증의 증상을 경험하는 군(severe PMS)으로 나누었을 때 신체적 언어적 학대 방임 척도($x^2=14.397$, df=2, p=0.001), 성적 학대 척도($x^2=8.376$, df=2, p=0.015), 부모의 배우자 학대 척도($x^2=9.322$, df=2, p=0.009)에서 각 군 간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마찬가지로 DES 점수에서도 각 군 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x^2=14.966$, df=2, p=0.001). SPAF를 사용하여 측정한 월경전기 증후군의 증상 정도와 과거의 학대 경험 정도는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이는 해리 증상의 경험 정도에서도 마찬가지였다. 결론 : 상기 결과는 월경전기 증후군의 증상과 해리증상, 과거 외상경험이 연관이 있을 수 있음을 시사한다. Objectives : Premenstrual syndrome(PMS) is known to occur in more than 80% of reproductive women. Since PMS is closely related to changes in sex hormones, biological factors are suspected to be associated with the syndrome, but there have been no consistent reports regarding biological causes. In that sense, it is postulated that the occurrence of PMS is much dependent on the biological aspects, but that the severity or characteristics of the syndrome is more dependent on the psychological factors. Studies focusing on psychological factors are based on the theory that symptoms of PMS and previous psychologically traumatic events are closely related. If the theory is valid, it can be further postulated that symptom severity of PMS is associated with dissociative symptoms, since traumatic events are known to be related to dissociative symptoms. In this study, we tried to find out the association of PMS symptom severity with previous abuse history and dissociative symptoms. Methods : Subjects for the study were 377 nurses working in Seoul, Kyung-gi, and Kyung-book. 183 subjects who submitted valid data entered the study. The presence and the symptom severity of PMS were rated using Daily Records of Severity of Problems(DRSP) and Shortened Premenstrual Assessment Form(SPAF). Dissociative symptoms were evaluated with Dissociation Experience Scale Korean version(DES-K). Previous physical/verbal abuse, sexual abuse, and parental spouse abuse experience were rated with correspondent abuse scales. Results : Subjects were divided into 3 groups as No PMS group, mild to moderate PMS group, and severe PMS group according to SPAF total score.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DES-K total score among 3 groups($x^2=14.966$, df=2, p=0.001). Physical/verbal abuse scale($x^2=14.397$, df=2, p=0.001), sexual abuse scale($x^2=8.376$, df=2, p=0.015), and parental spouse abuse scale($x^2=9.322$, df=2, p=0.009) also revealed a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3 groups. Symptom severity of PMS using SPAF total score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both with degree of dissociative experience and previous abuse experience.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both dissociative experience and previous abuse experience among 3 groups. Conclusion : These results show that there can be a possible association among PMS symptoms, dissociative symptoms, and previous psychologically traumatic experience.

      • KCI등재

        구안와사(口眼喎斜)의 평가방법(評價方法)에 대한 고찰(考察)

        김종인,고형균,김창환,Kim, Jong-In,Koh, Hyung-Kyun,Kim, Chang-Hwan 대한침구의학회 2001 대한침구의학회지 Vol.18 No.2

        Background and Objetive : Lack of uniformity in reporting facial nerve recovery in patients with facial nerve paralysis has been a major disadvantage in comparing treatment modalities. The objective evaluation of facial nerve function is a complex procedure. The House and Brackmann grading system, the Yanagihara grading system has been recommend as a universal standard for assessing the degree of facial nerve palsy. However, clinical studies for treatment of facial palsy have rarely used this universal standard in oriental medicine. That is the reason for analysing this facial nerve grading system. Material and Method : We choose 10 scales reported from 1955 till 1995. These facial nerve grading systems may be classified as Gross system, Regional system and Specific system. Result and Conculsion : The scales of Botmann and Jonkees, May, Peitersen, and House and Brackmann are the gross facial nerve grading systems with which we grossly assess the facial motor dysfunction and the secondary defect. Among these scales, H-B scale is the most widespred The scales of Yanagihara(若杉文吉), Smith, Adour and Swanson, Jassen, FEMA are the regional facial nerve grading system in which we weight, or unweight the facial motor dysfunction and the secondary defect. For example, the scales of Yanagihara(若杉文吉) and Smith are the unweighted regional scale, the scale of Adour and Swanson, Jassen, FEMA are the weighted regional grading system. The scale of Stennert is the Specific facial nerve grading system in which we respectively assess the grade of facial dysfunction at rest, in motion and the secondary defect. For the objective evaluation of the oriental medicine treatment for facial palsy, we must use the universal standard scale, i.e. the H-B scale, the Yanagihara scal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