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유효 잡음을 활용한 FTV 입체음향 개선방안 연구

        김종운,조현석,이윤배,여성대,김성권,Kim, Jong-Un,Cho, Hyun-Seok,Lee, Yoon-Bae,Yeo, Sung-Dae,Kim, Seong-Kweon 한국전자통신학회 2015 한국전자통신학회 논문지 Vol.10 No.2

        본 논문에서는 FTV(Free-viewpoint TV) 서비스에서, 몰입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유효 잡음 이용 입체 음향효과 방법을 제안한다. 농구장에서 초지향성 마이크 및 무선 마이크를 사용하여 선수와 심판의 연속적인 음향 정보를 획득함으로써 주파수 스펙트럼을 관찰하였으며, 스펙트럼을 분석하여 시청자가 Zoom-in을 할 경우, 유효 주파수 여부를 판단하였다. 따라서 FTV 서비스에서 시청자가 피사체를 향해 Zoom-in 시, 제거대상이었던 잡음을 활용할 필요가 있음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향후 FTV의 입체 음향 연구에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In this paper, we proposed that immersive audio effect method using the effective noise to improve engagement in free-viewpoint TV(FTV) service. In the basketball court, we monitored the frequency spectrums by acquiring continuous audio data of players and referee using shotgun and wireless microphone. By analyzing this spectrum, in case that users zoomed in, we determined whether it is effective frequency or not. Therefore when users using FTV service zoom in toward the object, it is proposed that we need to utilize unnecessary noise instead of removing that. it will be able to be useful for an immersive audio implementation of FTV.

      • KCI등재

        성격강점 기반 행복증진프로그램이 양육미혼모의 회복탄력성과 특성불안 및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김종운(Jong Un Kim),김유경(Yoo Kyung Kim)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8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8 No.18

        본 연구의 목적은 성격강점 기반 행복증진프로그램이 양육미혼모의 회복탄력성과 특성불안 및 자기효능감에 어떠한 효과가 있는지 알아보는 데 있다. 이를 위해 부산광역시 남구에 소재한 S 시설거주 양육미혼모 10명을 실험집단에 배치하였고, 프로 그램에 참여하고자 신청한 대기자집단 양육미혼모 10명을 통제집단으로 나누어 총 2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각 집단에 사전․사후검사를 실시하였고, 실험집단에는 주 2회 90분씩 총 8회기에 걸쳐 성격강점 기반 행복증진프로그램을 진행하였다. 측정도 구는 회복탄력성, 특성불안, 자기효능감 척도를 사용하였으며, 각 집단의 사전․사후 검사의 평균과 표준편차를 구하기 위해 SPSS Ver. 21.0을 사용하여 비모수검증을 실시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성격강점 기반 행복증진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은 참여하지 않은 통제집단보다 회복탄력성 증진에 효과가 있었다. 둘째, 성격강점 기반 행복증진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은 참여하지 않은 통제집단보다 특성불안 감소에 효과가 있었다. 셋째, 성격강점 기반 행복증진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은 참여하지 않은 통제집단보다 자아효능감 증진에 효과가 있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에서의 의의 및 시사점에 대해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effects of happiness enhancement program based upon character strengths on resilience, trait anxiety and self-efficacy of single mothers. For achieving the purpose, detailed research questions are as follows: First, what effects does happiness enhancement program based upon character strengths have on resilience of single mothers? Second, what effects does happiness enhancement program based upon character strengths have on trait anxiety of single mothers? Third, what effects does happiness enhancement program based upon character strengths have on self-efficacy of single mothers? The research targeted 20 single mothers. Half of them is living in the S residential care center which is located in Nam-gu, Busan. The others are awaiter. Regarding to research object, the study objected total 20 single mothers by dividing them into the experiment group and control group. In connection with measurement tools, the study used resilience test, trait anxiety test and self-efficacy test. Nonparametric statistical method was done by using SPSS Ver. 21.0 to calculate average and standard deviation between pre and post test result on the control group. The program was conducted twice a week for 8 weeks. Research conclusions are as follows. First, happiness enhancement program based upon character strengths have effects on decreasing the trait anxiety for single mothers. Second, happiness enhancement program based upon character strengths gives positive influence on resilience and self-efficacy of single mothers. A discussion and a conclusion are included, as are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based on the results.

      • KCI등재

        정서조절 집단상담이 지역아동센터 초기 청소년의 정서표현성과 자아존중감 및 공격성에 미치는 효과

        김종운(Jong-Un Kim),신옥순(Ock-Soon Shi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0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0 No.3

        본 연구의 목적은 정서조절 집단상담이 지역아동센터 초기 청소년의 정서표현성 및 자아존중감과 공격성에 미치는 효과가 어떠한지 알아보는데 있다. 이를 위해 부산광역시 수영구에 소재한 H 지역아동센터 초기 청소년 각 12명을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에 무선배치하였다. 실험집단에는 정서조절 집단상담을 12회기 실시하였고, 통제집단에는 어떠한 처치도 가하지 않았다. 정서조절 집단상담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정서표현성과 자아존중감 및 공격성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사전, 사후 검사만 실시하였다. 실험집단은 12회기에 걸친 집단상담을 실시하여 정서표현성과 자아존중감 및 공격성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았다. 측정도구로는 정서표현성 척도, 자아존중감 척도, 공격성 척도를 사용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정서조절 집단상담은 지역아동센터 초기 청소년의 정서표현성 향상에 효과가 있었다. 둘째, 정서조절 집단상담이 지역아동센터 초기 청소년의 자아존중감 향상에 효과가 있었다. 셋째, 정서조절 집단상담이 지역아동센터 초기 청소년의 공격성 감소에 효과가 있었다. 이를 통해 정서조절 집단상담이 지역아동센터 초기 청소년의 정서표현성과 자아존중감을 향상시키고 공격성을 감소시키는 데 효과가 있음을 검증하였을 뿐만 아니라 정서조절 집단상담의 모델을 제공하였다는 점에서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effects of emotion regulation group counseling on the emotional expressiveness, self-esteem, and aggression of children in local child center. For this purpose, the research questions are as follows: What effect does emotion regulation group counseling have on children in local child center’ emotional expressiveness, self-esteem and aggression? To proceed this study, the researcher selected 12 children who were joining in the center of emotion regulation group counseling at H children in local child center located in Suyeong-gu, Busan, and who wanted to participate in emotion regulation group counseling. Then, researcher divided those students into different study program. Then, this study applied 12 sessions of emotion regulation group counseling to the experimental group in order to determine the effects of the program on the group member s emotional expressiveness, self-esteem and aggression. The control group was not treated in any way. The measurement used in this study are the emotional expressiveness scale, self-esteem scale and aggression scale. Data were statistically processed through ANCOVA in accordance with SPSS Ver. 21.0 The finding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emotion regulation group counseling has a meaningful effect on emotional expressiveness of male children in local child center. Second, emotion regulation group counseling has a meaningful effect on aggression of male children in local child center. Third, emotion regulation group counseling has a meaningful effect on self-esteem of male children in local child center. In conclusion, based on the findings above, this study shows that the emotion regulation group counseling helps male children in local child center.

      • KCI등재

        교육복지우선지원사업 대상학교 초기 청소년의 심리적 가정환경과 학교생활적응의 관계에서 자아탄력성, 정신건강의 매개효과

        김종운(Jong-Un Kim),장인영(In-Yeong Jang) 한국콘텐츠학회 2015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5 No.3

        본 연구의 목적은 교육복지우선지원사업(이하 교복우사업) 대상학교 초기 청소년의 심리적 가정환경과 학교생활적응의 관계에서 자아탄력성과 정신건강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부산광역시에 소재한 교복우사업 대상 초등학교 4개교에 재학중인 5~6학년의 남·여학생 310명을 대상으로 초기 청소년들의 심리적 가정환경과 학교생활적응, 자아탄력성, 정신건강과의 관계를 중다회귀분석과 위계적 회귀분석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학교생활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변인 세 가지는 자아탄력성, 심리적 가정환경, 정신건강 순으로 확인되었으며, 심리적 가정환경과 학교생활적응의 관계에서 자아탄력성과 정신건강 모두 부분매개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는 빈곤가정 청소년의 환경변인인 가정환경은 개인변인인 자아탄력성과 정신건강에 관계되어 학교생활적응에 영향을 미치므로 가족기능을 강화할 수 있는 프로그램 개발연구의 근거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실천적 함의측면에서 소외계층에 대한 교육복지정책이 사회 양극화 해소를 위한 실질적인 정책 대안이 될 수 있다고 본다. This study aims to verify mediating effect of ego-resilience and mental health between psychological home environment and adaptation to school of early adolescents in schools with Educational Welfare Priority Project(EWPP). For this purpo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sychological home environment and adaptation to school, ego-resilience and metal health of 310 male and female students in fifth and sixth grade in four elementary schools on EWPP located in Busan area. As the result of analysis, three major variables affecting adaptation to school life turned out to be in the order of ego-resilience, home environment and mental health and both ego-resilience and mental health were confirmed to play partial mediating rol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home environment and adaptation to school life. Since home environment as a psychological variable of adolescents from poor families have an effect on adaptation to school in connection with ego-resilience and mental health as personal variables, this study can be used as base materials for the development of programs to strengthen psychological home environment, ego-resilience, and mental health. In addition, in terms of practical implications, educational welfare policies for alienated class can be practical policy alternative to mitigate social polarization.

      • KCI등재

        고등학생의 부모양육태도와 사회적 지지가 자기조절능력과 비행행동에 미치는 영향

        김종운(Kim Jong-Un),이우주(Lee Woo-Joo)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14

        목적 본 연구에서는 고등학생의 부모양육태도와 사회적 지지가 자기조절능력과 비행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데 있다. 방법 이를 위하여 부산광역시에 소재한 D 고등학교와 I 고등학교에 재학중인 남녀 학생 400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으며, 376명의 자료를 최종 분석에 사용하였다. 측정도구로 부모양육태도 척도, 사회적지지 척도, 자기조절능력 척도, 비행행동 척도를 선정하였다. 결과 첫째, 고등학생의 부모양육태도, 사회적 지지, 자기조절능력, 비행행동 간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상관이 있다. 둘째, 고등학생의 부모양육태도와 사회적 지지의 하위요인은 자기조절능력에 영향을 미친다. 셋째, 고등학생의 부모양육태도와 사회적 지지의 하위요인은 비행행동에 영향을 미친다. 넷째, 고등학생의 부모양육태도와 사회적 지지는 자기조절능력에는 영향을 미치지만, 비행행동에는 부모양육태도만 영향을 미친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통해 수용적인 부모양육태도와 사회적 지지가 고등학생의 자기조절능력을 높여주고 비행행동을 낮추는데 도움이 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결론 이는 비행행동에 영향을 줄 수 있는 부모양육태도와 관련된 전문화된 부모교육이 필요하며, 고등학생을 위한 긍정적인 사회적 지지체계가 형성될 수 있도록 개인 내적, 가족, 환경적 자원이 모두 고려되어야 함을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결과는 고등학생의 자기조절능력 향상과 비행행동의 예방에 이론적 근거를 제공하였다는 점에서 연구의 의의가 있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how parenting and social support affect self-control ability, and effect of delinquent behaviors of high school students. Methods To this end, a survey of 400 male and female students at D and I high schools based in Busan was conducted, and 376 data were used for final analysis. The measurement measures were selected as a measure of parenting, social support scale, self-control ability scale, and delinquent behaviors scale. Results These results are meaningful in that they provide a theoretical basis for improving self-control abilities of high school students and preventing delinquent behaviors. Conclusions The conclusion from this study is that receptive parental rearing style and social support help high school students improve their self-control abilities and reduce delinquent behaviors.

      • KCI등재

        대학생의 취업스트레스가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에서 자아탄력성과 우울의 매개효과

        김종운(Kim Jong-un),박선영(Park Seon-you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8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8 No.5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의 취업스트레스가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자아탄력성과 우울의 매개효과를 살펴보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부산 지역 4년제 대학교(5개교)에 재학중인 남 여 학생 300명을 대상으로 취업스트레스, 자살생각, 자아탄력성, 우울 척도 검사를 실시하였다. 이 중 불성실하게 응답했다고 판단되는 설문지를 제외하고 총 274명의 자료를 결과분석에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자료분석을 위해 SPSS 21.0과 AMOS 22.0 프로그램을 사용하였다. 연구 결과를 통해 얻어진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생의 취업스트레스는 자살생각에 직접효과가 없다. 둘째, 대학생의 취업스트레스는 자아탄력성을 매개로 자살생각에 간접효과가 없다. 셋째, 대학생의 취업스트레스는 우울을 매개로 자살생각에 간접효과가 있다. 넷째, 대학생의 취업스트레스와 자살생각과의 관계에서 자아탄력성과 우울이 순차적으로 매개하여 간접효과가 있다. 이러한 결과는 취업스트레스에 노출된 대학생의 경우 우울이 높을수록 자살생각에 더 많은 영향을 주며, 자아탄력성이 높을수록 우울 감소에 영향을 주므로 자아탄력성 개입의 중요성을 시사하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s of self-resilience and depression on the influence of college students job-seeking stress on their suicidal ideation. For this purpose, the study tested those effects by using a research model that was set up based on prior studies and related theories.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300 male and female students from 5 four-year universities located in Busan. The study made a questionnaire survey of the participants, in which some scales were used to measure their job-seeking stress, suicidal ideation, self-resilience and depression. Of the collected sheets of the questionnaire, 26 that were deemed insincerely filled-in were excluded and the remaining 274 were finally analyzed here. For data analysis, this study investigated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by using SPSS 21.0 and AMOS 22.0 Programs. Findings of the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college students job-seeking stress doesn’t directly influence their suicidal ideation. Second, college students job-seeking stress has no indirect effect on their suicidal ideation through mediation by self-resilience. Third, college students job-seeking stress indirectly influences their suicidal ideation through mediation by depression. Fourth, self-resilience and depression sequentially mediate relationships between college students job-seeking stress and suicidal ideation. These findings indicate the higher college students having job-seeking stress are in depression, the more they are in suicidal ideation and the higher those students are in self-resilience, the less they are in suicidal ideation, suggesting the importance of interventions for self-resilience improvement.

      • KCI등재

        대학생의 스트레스가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사회적 지지와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의 매개효과

        김종운(Kim Jong Un),김남희(Kim Nam hee)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8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8 No.14

        본 연구는 대학생의 스트레스가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에서 사회적 지지와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의 매개효과를 살펴보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부산광역시 소재 4년제 대학교(3개교)의 남·여 학생을 대상으로 하여 2017년 4월 26일부터 5월 25일에 걸쳐 스트레스, 심리적 안녕감, 사회적 지지,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을 측정하는 설문을 실시하였다. 총 566부의 설문지를 배부하여 최종 559명의 수집된 자료처리 및 분석은 SPSS Ver. 22.0과 Hayes(2013)의 PROCESS macro for SPSS Ver. 2.16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생의 스트레스, 심리적 안녕감, 사회적 지지,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은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상관이 있다. 둘째, 대학생의 스트레스가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에서 사회적 지지는 부분 매개효과가 있다. 셋째, 대학생의 스트레스가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에서 적응적 정서조절전략과 부적응적 정서조절전략은 부분 매개효과가 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사회적 지지와 적응적 정서조절전략이 심리적 안녕감을 높일 수 있는 예측 변인이자 보호 요인이며, 상담 장면에서 스트레스로 인한 심리적 안녕감의 저하를 호소하는 대학생의 안녕감 증진을 위해 개인 내적 자원인 적응적 정서조절전략과 외적 자원인 사회적 지지의 개발을 통한 더욱 효과적인 전략과 개입을 고려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는 점에서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mediating effects of social support and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y in the influence of university student’s stress affecting psychological well-being. In order to figure these out, 566 students were selected from 3 universities in Busan and a survey measuring stress, psychological well-being, social support and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y was conducted from 2017. 04.26 to 5.25. Final data from 559 students were analyzed using SPSS Ver. 22.0 and PROCESS macro for SPSS Ver. 2.16 of Hayes(2013).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university student’s stress, psychological well-being, social support and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y have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s. Second, in the influence of university student’s stress affecting psychological well-being, social support have partial mediating effects. Third, in the influence of university student’s stress affecting psychological well-being, adap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y and maladap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y have partial mediating effects. Following results shows that social support and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y are the predictor variable and protective factor which can increase psychological well being and there is a significance of this research that it verified the possibility of more effective strategy and intervention during counseling through development of adaptive emotion regulation which is individual internal resource, and social support which is external resource for the improvement of university students who complain for decrease of psychological well-being caused by stress.

      • KCI등재

        대학생의 성인애착이 대인관계능력에 미치는 영향: 사회인지적 마음챙김과 대인존재감의 매개효과

        김종운(Kim Jong-Un),김남희(Kim Nam-Hee)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9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9 No.20

        본 연구는 대학생의 성인애착이 대인관계능력에 미치는 영향에서 사회인지적 마음챙김과 대인존재감의 매개효과를 살펴보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부산광역시 소재 4년제 대학교(3개교)의 남·여 학생을 대상으로 하여 2019년 5월 2일부터 5월 31일에 걸쳐 성인애착, 대인관계능력, 사회인지적 마음챙김, 대인존재감을 측정하는 설문을 실시하였다. 총 500부의 설문지를 배부하여 수집된 자료 중 최종 476부의 자료 처리 및 분석은 SPSS Ver. 24.0과 Hayes(2013)의 PROCESS macro for SPSS Ver. 2.16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생의 성인애착, 대인관계능력, 사회인지적 마음챙김, 대인존재감은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상관이 있다. 둘째, 대학생의 성인애착이 대인관계능력에 미치는 영향에서 사회인지적 마음챙김은 부분 매개효과가 있다. 셋째, 대학생의 성인애착이 대인관계능력에 미치는 영향에서 대인존재감은 부분 매개효과가 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사회인지적 마음챙김과 대인존재감이 대인관계능력을 도울 수 있는 보호 요인임을 알 수 있고, 상담장면에서 고착된 성인애착으로 인한 대인관계 문제를 호소하는 대학생의 대인관계능력 향상에 도움을 줄 수 있는 기초자료가 될 수 있음을 확인한 점에서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mediating effects of social recognition and mattering in the influence of university student s adult attachment on interpersonal relationship ability. In order to figure these out, students were selected from 3 universities in Busan during the period of May 2, 2019 to May 31, 2019, and a survey measuring adult attachment, interpersonal relationship ability, mindfulness, and mattering was conducted. Among 500 copies of questionnaire, 476 out of them were handled and analyzed using SPSS Ver. 24.0 and PROCESS macro for SPSS Ver. 2.16 of Hayes(2013).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university student s adult attachment, interpersonal relationship ability, mindfulness, and mattering have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s. Second, in the influence of university student s adult attachment on interpersonal relationship ability, mindfulness have partial mediating effects. Third, in the influence of university student s adult attachment on interpersonal relationship ability, mattering has partial mediating effects. These results show that mindfulness and mattering are the protective factor which can enhance interpersonal relationship ability and there is a significance of this research that it verified the possibility of providing the basic standards that can enhance interpersonal relationship ability for university students who have difficulty in interpersonal relationship because of fixed adult attachm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