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유효 잡음을 활용한 FTV 입체음향 개선방안 연구

        김종운,조현석,이윤배,여성대,김성권,Kim, Jong-Un,Cho, Hyun-Seok,Lee, Yoon-Bae,Yeo, Sung-Dae,Kim, Seong-Kweon 한국전자통신학회 2015 한국전자통신학회 논문지 Vol.10 No.2

        본 논문에서는 FTV(Free-viewpoint TV) 서비스에서, 몰입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유효 잡음 이용 입체 음향효과 방법을 제안한다. 농구장에서 초지향성 마이크 및 무선 마이크를 사용하여 선수와 심판의 연속적인 음향 정보를 획득함으로써 주파수 스펙트럼을 관찰하였으며, 스펙트럼을 분석하여 시청자가 Zoom-in을 할 경우, 유효 주파수 여부를 판단하였다. 따라서 FTV 서비스에서 시청자가 피사체를 향해 Zoom-in 시, 제거대상이었던 잡음을 활용할 필요가 있음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향후 FTV의 입체 음향 연구에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In this paper, we proposed that immersive audio effect method using the effective noise to improve engagement in free-viewpoint TV(FTV) service. In the basketball court, we monitored the frequency spectrums by acquiring continuous audio data of players and referee using shotgun and wireless microphone. By analyzing this spectrum, in case that users zoomed in, we determined whether it is effective frequency or not. Therefore when users using FTV service zoom in toward the object, it is proposed that we need to utilize unnecessary noise instead of removing that. it will be able to be useful for an immersive audio implementation of FTV.

      • KCI등재

        대학생의 가족건강성과 성인애착의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

        김종운(Kim Jong Un),이정희(Lee Joung Hi)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9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9 No.2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s of social support between family strength and adult attachment of university students. For that, research data are collected from 400 university students in Busan. 354 students’ data are analyzed through SPSS Ver. 21.0 to examine correlations of family strength, adult attachment, social support. To verify research problems processing includes correlation analysis and mediation analysis of Baron and Kenny. The results obtained in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family strength, adult attachment and social support has a significantly positive correlation. Second, a university student family strength is a important factor to reduce attachment avoidance and attachment anxiety by mediating social support. These results show the family strength effects a lot in forming stable adult attachment. An important attachment to interpersonal relationships is that late teens could not form their families. However, it suggests that attachment is an important factor that enables stable attachment formation through social support. 본 연구는 대학생의 가족건강성과 성인애착의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를 살펴보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를 위해 부산광역시 소재의 4년제 대학교에 재학 중인 남녀 대학생 354명을 대상으로 가족건강성, 성인애착, 사회적 지지 검사를 위한 설문을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의 자료처리는 SPSS Ver. 21.0 프로그램을 사용하였다.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을 파악하기 위한 기술통계분석과 대학생의 가족건강성, 사회적 지지, 성인애착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상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대학생의 가족건강성과 성인애착의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Baron과 Kenny의 매개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생의 가족건강성과 성인애착, 사회적 지지는 유의미한 상관을 나타내었다. 둘째, 대학생의 가족건강성은 사회적 지지를 매개로 성인애착의 하위요인인 애착회피, 애착불안을 감소시키는 중요한 변인임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대학생들이 안정적인 성인애착을 형성할 수 있도록 하는데 가족건강성이 많은 영향을 준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나 가족으로부터 형성되지 못한 애착은 후기 청소년인 대학생들에게 사회적 지지를 통해 안정적인 애착형성을 할 수 있게 하는 중요한 요소임을 시사하고 있다.

      • KCI등재

        공과대학생의 내면화된 수치심과 대인관계능력의 관계에서 공감능력과 유머감각의 매개효과

        김종운(Kim Jong-Un),정주희(Jung Ju-Hee)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9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9 No.6

        본 연구의 목적은 공과대학생의 내면화된 수치심, 공감능력, 유머감각, 대인관계능력 간의 구조적인 인과관계와 직 간접효과를 규명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부산광역시 소재의 대학교에 재학 중인 공과대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으며, 최종 적으로 459명의 자료를 구조방정식 모형을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공과대학생의 내면화된 수치심은 대인관계능력에 직접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며, 공감능력과 유머감각은 대인관계능력에 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둘 째, 내면화된 수치심과 대인관계능력의 관계에서 공감능력은 완전매개효과가 있다. 셋째, 내면화된 수치심과 대인관계능력의 관계에서 유머감각은 완전매개효과가 있다. 넷째, 내면화된 수치심과 대인관계능력의 관계에서 공감능력과 유머감각의 순차적인 매개효과가 있다. 결론적으로 공과대학생의 내면화된 수치심과 대인관계능력 의 관계에서 매개변인으로 공감능력과 유머감각의 매개역할을 검증함으로써 그 내부의 심리적 역동을 구체적으로 알아볼 수 있었다. 따라서 대학기관 및 대학 내 상담센터 등의 상담 및 심리치료 접근에서 내면화된 수치심을 가진 공과대학생의 공감능 력과 유머감각을 높여 대인관계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음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structural causality and direct and indirect effects of internalized shame, empathy ability, sense of humor,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abilities of engineering college students. For this purpose, engineering college students located in Busan for the survey. Responses from 459 of subjects were deemed appropriate, and finally analyzed. The result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internalized shame of engineering college students did not directly affect interpersonal relationship ability, and empathy ability and sense of humor had a positive effect on interpersonal relationship ability. Second, empathy ability has a full mediating effect in relation to internalized shame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abilities. Third, the relationship between internalized shame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abilities has a full mediating effect on the sense of humor. Fourth, there is sequential mediation effect of empathy ability and sense of humor in relation between internalized shame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abilities of engineering college students. In conclusion, these results further contribute to the understanding of the relationship between internalized shame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abilities in that it verifies the role of empathy ability and sense of humor as a mediating factor within the relationship. Therefore, it suggests that it is possible to improve interpersonal relationship abilities by enhancing empathy ability and sense of humor of engineering college students with internalized shame in counseling and psychotherapy approaches such as college institutions and counseling centers in universities.

      • KCI등재

        품성계발 프로그램이 다문화 가정 아동의 자아존중감과 학교적응에 미치는 효과 : 북한, 페루, 중국, 파키스탄, 일본, 필리핀 다문화가정 아동을 중심으로

        김종운(Kim Jong-Un),박춘자(Park Choon-Ja) 동북아시아문화학회 2011 동북아 문화연구 Vol.1 No.27

        The object of this study is to help children from multicultural households adjust to school life and improve self-esteem. Fifteen students from multicultural households who attend the elementary school from 4th grade to 6th grade in Sa-sang gu were organized for this study. The measurements in this study are self-esteem and adaptability of school life. Research design for this study is pretest-postest control group design.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experiment group from multicultural households who experienced Character Development Program showed a meaningful difference statistically in terms of self-esteem improvement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 Second, the experiment group who participated in Character Development Program had higher score, than the control group in the subordinate factors of school life adaptation such as teachers, friends, class attitude and school regulations. As a result, Character Development Program enables children from multicultural households to improve their school life adjustment.

      • KCI등재

        소셜네트워크서비스를 이용하는 전문대학생의 내현적 자기애와 SNS 중독경향성의 관계: 정서표현성의 매개효과와 사회적지지의 조절효과

        김종운(Jong-Un Kim),이수련(Soo-Ryeon Lee)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8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8 No.11

        본 연구는 소셜네트워크서비스를 이용하는 전문대학생의 내현적 자기애와 SNS 중독경향성 간의 관계에서 정서표현성의 매개효과와 사회적지지의 조절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실시되었다. 이를 위하여 부산광역시에 거주하는 전문대학생 남녀 470명 을 대상으로 2017년 3월 5일부터 3주간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각 변인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적률상관분석을 실시하였고, 정서표현성의 매개효과와 사회적지지의 조절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내현적 자기애, 정서표현성, 사회적지지, SNS 중독경향성 간에는 유의미한 상관이 나타났다. 둘째, 내현적 자기애와 SNS 중독경향성 간의 관계에서 정서표현성의 부분매개효과가 나타났다. 셋째, 내현적 자기애와 SNS 중독경향성 간의 관계에서 사회적지지는 유의미한 조절효과를 나타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는 전문대학생의 SNS 중독 예방과 해소를 위해 건강한 정서표현과 사회적지지를 강화할 수 있는 상담 및 교육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 of emotional expressiveness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social suppor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overt narcissism and SNS addiction proneness of college students using social network service. For this study, 470 college students in Busan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correlation analysis was carried out to verify the relationship among the major variables, and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to confirm the mediating effect of emotional expressiveness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social support.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covert narcissism, emotional expressiveness, social support, and SNS addiction proneness have a significant correlation. Second, emotional expressiveness partially mediate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overt narcissism and SNS addiction proneness. Third, social support showed a significant moder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overt narcissism and SNS addiction proneness. Based on these findings, this study is particularly relevant to provide th foundational data for counseling and educational programs that it can strengthen the correct emotional expression and social support to prevent and relieve SNS addiction of college students.

      • KCI등재

        대학생의 가족기능과 대학생활적응의 관계에서 성격강점과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김종운(Kim, Jong Un),김미정(Kim, Mi Jeo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6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6 No.2

        본 연구는 가족기능이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에서 성격강점과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살펴보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부산광역시 소재 사립 D 대학교의 대학생 261명을 대상으로 하여 가족기능 척도, 성격강점 척도, 자기효능감 척도, 대학생활적응 척도에 대한 설문을 2015년 9월 14일부터 2주간 실시하였다. 가족 기능, 성격강점, 자기효능감, 대학생활적응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상관분석을 하였으며, 성격강점과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Baron과 Kenny(1986) 가 제안한 매개효과 분석단계에 따라 순차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가족기능, 성격강점, 자기효능감, 대학생활적응 간에는 유의미한 상관이 있었다. 둘째, 성격강점은 가족기능과 대학생활적응의 관계에서 완전 매개효과가 있었다. 셋째, 자기효능감은 가족기능과 대학생활적응의 관계에서 완전 매개효과가 있었다. 이는 대학생이 적응적인 대학생활을 위해서 가족기능이 주는 영향력도 중요하지만, 대학생의 성격강점과 자기효능감을 향상시키는 것이 대학생활 적응을 위해 중요한 역할을 수행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의의 및 시사점에 대해 논의하였다. This study was aimed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s of character-strengths and self-efficac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family function and student adjustment to college.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The subjects were 261 students from D University located in Busan. Instruments used in the study were as follows: Family Adaptability and Cohesion Evaluation Scale-Ⅲ(FACES-Ⅲ) scale, Character-Strengths Scale, Self-Efficacy Scale and Revised Student Adaptation to College Questionnaire(RSACQ).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major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the correlation in family function, character -strengths, self-efficacy and student adjustment to college had a statistical correlation. Second, there is complete mediation effect of character-strength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family function and student adjustment to college. Third, there is complete mediation effect of self-efficac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family function and student adjustment to college.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character-strengths and self-efficacy function as a complete mediator in the relationship between family function and student adjustment to college. Discussion and Conclusion are included as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based on the results.

      • KCI등재

        고등학생의 외모만족도가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에서 거부민감성,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

        김종운(Jong Un Kim),임미지(Mi Ji Lim)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7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7 No.18

        본 연구는 고등학생들을 대상으로 고등학생의 외모만족도가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에서 거부민감성과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를 살펴보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부산광역시 소재 국립 D 고등학교, 사립 H 고등학교의 인문계 고등학생 334명을 대상으로 외모만족도 척도, 심리적 안녕감 척도, 거부민감성 척도, 자아탄력성 척도에 대한 설문을 2017년 2월 1일부터 4주간 실시하였다. 외모만족도, 심리적 안녕감, 거부민감성, 자아탄력성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상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거부민감성과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 검증을 위해 Baron과 Kenny(1986)가 제안한 매개효과 분석단계에 따라 순차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외모만족도, 심리적 안녕감, 거부민감성, 자아탄력성 간에는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상관이 있었다. 둘째, 외모만족도와 심리적 안녕감의 관계에서 거부민감성이 부분매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외모만족도와 심리적 안녕감의 관계에서 자아탄력성이 부분매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고등학생의 외모만족도와 심리적 안녕감 간의 관계를 검증한 동시에, 외모만족도가 심리적 안녕감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거부민감성과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를 밝혔다는 데 그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s of rejection sensitivity and ego-resilienc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appearance satisfaction and psychological well-being of high school students.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The subjects were 334 students from D High School Students, H High School Students located in Busan. Correlation analysis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used for examining the research questions of this study.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the correlation in Appearance Satisfaction, Psychological Well-Being, Rejection Sensitivity and Ego-Resilience had a statistical correlation. Second, there was a partial mediating effect of rejection sensitivit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appearance satisfaction and psychological well-being. Third, there was partial mediating effect of Ego-Resilienc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appearance satisfaction and psychological well-being. This study verified a hypothesis that about relationship between appearance satisfaction and psychological well-being and mediating effect of rejection sensitivity and ego-resilience of this relationship, there is a sense of meaning in this respect.

      • KCI등재

        동시활용 차문화치료 집단프로그램이 유아의 주의집중력과 공감능력 및 또래유능성에 미치는 효과

        김종운(Jong-Un Kim),노현옥(Hyeon-Ok Noh)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9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9 No.20

        This study is to verify effectiveness of the tea-culture therapy group program using children’s verse on attention, emphatic ability and peer competence of young children. To achieve this objective, we randomly assigned 14, 5-year-old, young children for each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from ‘H’ and ‘G’ kindergarten, which is located in Saha-gu, Busan, and we conducted pre-test and post-test for mean and standard deviation for each category. And then, we performed an ANCOVA with pre-test of each group as a covariate variable to verify the difference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utilizing SPSS Ver.24.0 and we used attention, emphatic ability and peer competence as a measurement tool. This study shows that the tea-culture therapy group program using children’s verse enhances attention, emphatic ability and peer competence of the experimental group than those of the control group among young children.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positive application of the tea-culture therapy group program using children’s verse for enhancing attention, emphatic ability and peer competence of young children as a teaching and learning activity for fundamental capacity building as shown above that the tea-culture therapy group program using children’s verse does positive effect on attention, emphatic ability and peer competence of young children. 본 연구의 목적은 동시활용 차문화치료 집단프로그램이 유아의 주의집중력과 공감능력 및 또래유능성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는 데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부산광역시 사하구에 위치한 H 유치원과 G 유치원의 만 5세 유아 28명을 각각 14명씩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에 무선배치 하였다. 사전 및 사후 검사를 실시하여, 척도별 평균과 표준편차를 산출하였고,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간 차이를 검증하기 위하여, SPSS Ver. 24.0을 통해 각 집단의 사전검사를 공변인으로 하여 공변량분석 (ANCOVA)을 실시하였다. 측정도구는 주의집중력 척도, 공감능력 척도, 또래유능성척도를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동시활용 차문화치료 집단프로그램은 통제집단에 비해 실험집단 유아의 주의집중력과 공감능력 및 또래유능성이 유의미하게 향상된 것 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동시활용 차문화치료 집단프로그램이 유아의 주의집중력과 공감능력 및 또래유능성을 향상시키는데 긍정적인 효과가 있다는 사실을 확인함에 따라 본 연구의 결과는 기초능력 배양 차원에서의 유아의 주의집중력과 공감능력 및 또래유능성 증진을 위한 인성교육 프로그램으로서 동시활용 차문화치료 집단프로그램이 긍정적인 활용 가능성을 시사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