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사회적 상호작용을 강조한 과학 탐구실험의 효과 및 학생들의 인지수준에 따른 상호작용 분석

        김조연,최병순 강원과학교육연구회 2002 강원과학교육연구회지 Vol.7 No.1

        이 연구의 목적은 사회적 상호작용을 강조한 과학 탐구실험을 개발하여 이를 적용한 수업이 학생들의 탐구능력 신장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 실험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일어나는 상호작용을 학생들의 인지수준에 따라 분석하는 것이었다. 이를 위하여 남녀공학 중학교 2학년 197명을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으로 나누어, 실험집단에는 사회적 상호작용을 강조한 과학 탐구실험 수업을, 통제집단에는 전통적인 실험 수업을 한 학기에 걸쳐 적용한 후 과학 탐구능력 검사를 실시하였으며, 학생들의 인지수준에 따른 상호작용을 분석하고 이 실험 수업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을 조사하였다. 사회적 상호작용을 강조한 과학 탐구실험을 적용한 수업이 전통적인 실험 수업에 비하여 학생들의 과학 탐구능력 신장에 효과가 있었다. 탐구실험 수업 과정을 살펴보면, 학생들의 인지수준에 따라 상호작용 참여 정도에 차이가 있었으며, 같은 인지수준이더라도 모둠 구성 방식에 따라 상호작용의 형태에 차이가 있었다. 인지수준이 높은 학생은 학생들 사이의 상호작용에서 주도적이며 교사와의 상호작용에도 적극적으로 참여하였고, 인지수준이 낮은 학생은 인지수준이 높은 학생을 추종하는 경향이 있으며 교사와의 상호작용에는 소극적이었다. 실험 수업에 대하여 학생들은 탐구실험 수업이 모둠원들과 상호작용 할 기회를 제공함으로써 토론을 많이 하게 되고, 동료로부터 도움을 받아 어려움을 해결할 수 있었다고 응답하였다.

      • SCOPUSKCI등재

        사회적 상호작용을 강조한 과학 탐구실험의 효과 및 학생들의 인지수준에 따른 상호작용 분석

        김조연,신애경,박국태,최병순,Kim, Jo Youn,Shin, Ae Kyung,Park, Kuk Tae,Choi, Byung Soon 대한화학회 2001 대한화학회지 Vol.45 No.5

        이 연구의 목적은 사회적 상호작용을 강조한 과학 탐구실험을 개발하여 이를 적용한 수업이 학생들의 탐구능력 신장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 실험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일어나는 상호작용을 학생들의 인지수준에 따하 분석하는 것이었다. 이를 위하여 남녀공학 중 학교 2학년 197명을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으로 나누어, 실험집단에는 사회적 상호작용을 강조한 과학 탐구실험 수업을 통제집단에는 전통적인 실험수업을 한 학기에 걸쳐 적용한 후 과학 탐구능력 검사를 실시하였으며, 학생들의 인지수준에 따른 상호작용을 분석하고 이 실험 수업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을 조사하였다. 사회적 상호작용을 강조한 과학 탐구실험을 적용한 수업이 전통적인 실험 수업에 비하여 학생들의 과학 탐구능력 신장에 효과가 있있다. 탐구실험 수업 과정을 살펴보면, 학생들의 인지 수준에 따라 상호작용 참여 정도에 차이가 있었으며, 같은 인지수준이더라도 모둠 구성 방식에 따라 상호작용의 형태에 차이가 있었다. 인지수준이 높은 학생은 학생들 사이의 상호 작용에서 주도적이며 교사와의 상호작용에도 적극적으로 참여하였고, 인지수준이 낮은 학생은 인지수준이 높은 학생을 추종하는 경향이 있으며 교사와의 상호작용에는 소극적이었다. 실험 수업에 대하여 학생들은 탐구실험 수업이 모둠원들과 상호작용 할 기회를 제공함으로써 토론을 많이 하게 되고, 동료로부터 도움을 받아 어려움을 해결할 수 있었다고 응답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science inquiry experiments emphasizing social interaction on the development of process skills of the students. The social interactions by cognitive level of the students were also analyzed. For this study, 197 8th grade students were sampled. They were divided into an experimental group and a control group. During four-month period, the experimental group received science inquiry experiments treatment emphasizing social interactions while the control group received traditional treatment. Not only science inquiry ability pretest-posttest, but also multiple data collection method such as a questionnaire, class observation, and audio/video recording were used in collecting the data.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was found that the mean score of the experimental group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the control group at 0.05 level. It was also found that the students of high cognitive level led the peers and participated in the class discussion actively with the teacher while the students of low cognitive level followed the students of high cognitive level and showed inactive interaction with the teacher. Analysis of the students' perceptions on inquiry experiments showed that students participated in discussion actively in the class as these experiments gave an opportunity for them to discuss and were able to solve the problems with peers' help through discussion.

      • 사회적 상호작용을 강조한 과학 탐구실험의 효과 및 학생들의 인지수준에 따른 상호작용 분석

        金朝淵,申愛景,朴國泰,崔秉舜 한국교원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2001 청람과학교육연구논총 Vol.11 No.1

        이 연구의 목적은 사회적 상호작용을 강조한 과학 탐구실험을 개발하여 이를 적용한 수업이 학생들의 탐구능력 신장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 실험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일어나는 상호작용을 학생들의 인지수준에 따라 분석하는 것이었다. 이를 위하여 남녀공학 중학교 2학년 197명을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으로 나누어, 실험집단에는 사회적 상호작용을 강조한 과학 탐구실험 수업을, 통제집단에는 전통적인 실험 수업을 한 학기에 걸쳐 적용한 후 과학 탐구능력 검사를 실시하였으며, 학생들의 인지수준에 따른 상호작용을 분석하고 이 실험 수업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을 조사하였다. 사회적 상호작용을 강조한 과학 탐구실험을 적용한 수업이 전통적인 실험 수업에 비하여 학생들의 과학 탐구능력 신장에 효과가 있었다. 탐구실험 수업과정을 살펴보면, 학생들의 인지수준에 따라 상호작용 참여 정도에 차이가 있었으며, 같은 인지수준이더라도 모둠 구성 방식에 따라 상호작용의 형태에 차이가 있었다. 인지수준이 높은 학생은 학생들 사이의 상호작용에서 주도적이며 교사와의 상호작용에도 적극적으로 참여하였고, 인지수준이 낮은 학생은 인지수준이 높은 학생을 추종하는 경향이 있으며 교사와의 상호작용에는 소극적이었다. 실험 수업에 대하여 학생들은 탐구실험 수업이 모둠원들과 상호작용 할 기회를 제공함으로써 토론을 많이 하게 되고, 동료로부터 도움을 받아 어려움을 해결할 수 있었다고 응답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science inquiry experiments emphasizing social interaction on the development of process skills of the students. The social interactions by cognitive level of the students were also analyzed. For this study, 197 8th grade students were sampled. They were divided into an experimental group and a control group. During four-month period, the experimental group received science inquiry experiments treatment emphasizing social interactions while the control group received traditional treatment. Not only science inquiry ability pretest-posttest, but also multiple data collection method such as a questionnaire, class observation, and audio/video recording were used in collecting the data.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was found that the mean score of the experimental group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the control group at 0.05 level. It was also found that the students of high cognitive level led the peers and participated in the class discussion actively with the teacher while the students of low cognitive level followed the students of high cognitive level and showed inactive interaction with the teacher. Analysis of the students' perceptions on inquiry experiments showed that students participated in discussion actively in the class as these experiments gave an opportunity for them to discuss and were able to solve the problems with peers' help through discussion.

      • KCI등재

        사진을 통한 유아의 쓰기

        소양(So-Yang Kim),조연실(Yeoun-Sil Jo),오연주(Yeon-Joo Oh)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18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Vol.8 No.10

        본 연구는 유치원에 다니는 만 5세 유아들 16명에게 카메라를 주고 자신이 실내와 실외에서 자신이 표현하고 싶은 것을 마음대로 표현해 보게 하였다. 유아들은 실외에서 찍은 사진의 경우에는 자연과 사물이 동등한 비율로 많았으며, 실내사진의 경우에서는 교재와 교구가 가장 많고, 게시물과 환경 구성물이 다음으로 비슷하게 많았다. 유아들이 실외에서 피사체를 찍은 이유는 아름다움을 표현하고, 자신이 하고 싶은 욕구를 표현하고 싶어서인 것으로 나타났다. 실내에서 피사체를 찍은 이유는 자신이 활동해 본 교재와 교구 중에서 재미있었던 것을 주로 선택하여 촬영한 것으로 나타났다. 유아들에게 자신이 찍은 사진 중에서 가장 좋아하는 사진을 선택하게 하였을 때 실외에서는 자연물과 사물 등을 다양하게 선택하였으며, 실내에서는 교재와 교구 환경구성물 등을 다양하게 선택하였다. 선택한 이유에 대해서는 예뻐서, 재미있어서, 궁금해서라고 대답하였다. 본 연구의 의의는 5세 유아도 카메라로 자신이 표현하고 싶은 대상을 피사체로 선정하여 촬영하고, 그 이미지를 통해 얼마든지 표현할 수 있는 능력이 있다는 사실을 알게 된 것이라 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eriment and investigate the photographs that taken by 16 5years old kindergarten children.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s the following: Within the outdoor setting, children took the equal amount of photos of nature and objects. Within the indoor settings, most of the children took photographs of play material, and the decorations of the setting. The result of the study shows that the reasons why children taking photographs outdoor is to express the beauty of the subject and to play with it. In the other hand, In indoor settings, children tend to take photos of subjects that they are familiar with or had a good memory with certain objects. Children were asked to pick their favorite photos and the reasons for picking their favorites were because it was either, attractive looking, fun or out of curiosity. This study represents that five years old children have ability to pick their own subject for photography and express themselves. In addition, this study suggest using variety medias for education purposes from kindergarten to elementary school.

      • KCI등재
      • KCI등재후보

        체육수업에 대한 학생들의 재미요인에 따른 수업 만족도 분석

        은도,조연,박영호,찬미 한국체육과학회 2007 한국체육과학회지 Vol.16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ntribute for development of school athletic an enjoyment has an effect on satisfaction in middle school physical education class in future.The following results were drawn out effect of the class satisfaction according to enjoyment.An effect of the class Satisfaction According to Enjoyment, freedom of sport, ability experience and improvement experience has an effect on study management, freedom of sport and improvement experience has an effect on study guidance, freedom of sport, ability experience and improvement experience has an effect on study environment, freedom of sport, ability experience, teacher attraction and improvement experience has an effect on healthy life.Accordingly, improvement experience as well as freedom of sport, improvement experience has an effect on satisfaction in enjoyment in middle school physical education. therefore gym teacher is necessary his(her) effort what it is new style of class and change of recognition about physical educ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