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녹각교 함유 인공피부를 이용한 피부독성도의 검사

        김잔디 ( Jandi Kim ),이해란 ( Hailan Li ),정효순 ( Hyo-soon Jeong ),윤혜영 ( Hye-young Yun ),백광진 ( Kwang Jin Baek ),권년수 ( Nyoun Soo Kwon ),최혜령 ( Hye-ryung Choi ),박경찬 ( Kyoung-chan Park ),동석 ( Dong-seok Kim ) 대한화장품학회 2013 대한화장품학회지 Vol.39 No.1

        피부 자극과 부식 검사에 사용되는 동물실험을 대체하기 위한 방법으로 인공피부가 개발되어 왔다. 최근에 본 연구진은 녹각교를 함유하는 새로운 인공피부를 구축하였다. 현재 연구에서는 녹각교를 포함하는 인공피부를 사용하여 물질의 독성도 검사를 수행하였다. 그리하여 sodium dodecylsulfate (SDS) 또는 sodium carbonate를 인공피부에 도포하였고 표피의 손상 정도를 H&E와 면역조직화학 염색을 통하여 평가하였다. 인공피부의 표피는 SDS와 sodium carbonate에 의해 농도 의존적으로 영향을 받았다. 더 나아가 이들 물질에 의하여 p63의 발현이 감소하였다. 그러므로 녹각교를 함유하는 인공피부는 동물실험을 대체할 수 있는 모델로써 사용될 수 있고 in vitro에서 자극과 부식 검사 시험법의 발전에 도움을 줄 것으로 예상된다. To substitute animal test, skin equivalents (SEs) have been developed for skin irritation and corrosion test. Recently, we have developed new SEs containing Cervi cornus Colla (CCC). In the present study, we used the SEs for cutaneous cytotoxicity test. Sodium dodecylsulfate (SDS) or sodium carbonate was applied to the SEs, and the epidermal damage by H&E and immunohistochemical stains was evaluated. Our results showed that SDS or sodium carbonate affected the epidermal part of SEs containing CCC in a dose-dependent manner and decreased the expression of p63. It is concluded that SEs containing CCC could be used for an alternative model of animal test and would be greatly helpful in the development of in vitro irritation and corrosion test.

      • KCI등재

        형사조정제도에 대한 평가 및 과제

        김잔디(Kim, Jandi) 부산대학교 법학연구소 2021 법학연구 Vol.62 No.3

        전통적인 형사절차에서는 경찰, 검찰 등의 공권력에 의하여 법적분쟁을 해결해 왔다. 반면 형사조정제도는 민간 자율에 의한 분쟁 조정 절차로 당사자들이 대화를 통하여 해결을 도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판단되는 사건을 담당 검사가 민간 형사조정위원회에 조정을 회부하여 조정 결과를 사건처리에 반영하는 제도이다. 이는 사건의 당사자임에도 불구하고 형사절차에 있어서 수동적이며 주변인에 지나지 않았던 범죄피해자를 형사절차의 중심에 둠으로써 능동적인 주체로 인식하고자 하는 사고의 변화를 반영한 것이라 하겠다. 동 제도는 전통적인 형사절차보다 시간·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유연한 대처가 가능한 것 등 많은 장점이 있다. 반면 사법업무부담의 경감을 배경으로 도입되었기 때문에 태생적으로 적지 않은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다. 이에 본고에서는 동 제도의 활용 방안을 강구하기 위하여 도입 배경, 의의 및 개요 등에 관하여 살펴보았다. 또한 이론적 검토 결과 및 필자의 형사조정위원 활동 경험을 토대로 동 제도의 운용상 문제점에 대해 명확히 한 후 형사조정 실무에 맞는 조정제도의 발전 방안을 제시하였다. 구체적으로는 형사조정 개시 요건의 개선, 중립적인 개별 법률 제정의 필요성, 조정위원의 역량 강화 등을 중심으로 논하였다. As the act to apply criminal law, criminal procedure is the system where governmental authority such as the police and prosecutors seek solution for legal conflicts. However, criminal mediation system is a process of mediating conflicts that can be solved by private autonomy where prosecutors take on cases that are seen as desirable for persons involved to solve the conflict through communication for the prosecutors to submit the cases to the criminal mediation committee to apply the mediation results to the case proceedings. This can be explained as the system introduced by applying the changes of thinking that places the criminal victim in the center of the criminal proceedings to recognize them as active subjects rather than the past where they were just viewed as an outsider even though they were persons directly involved with the case. This system has advantages of reduced time and costs as well as flexible countermeasures when compared to traditional criminal proceedings as well as contributing to the actual recovery of crime damages and autonomous settlements. Meanwhile, the system that was introduced to lessen burdens of judicial affairs have considerable issues by nature. Hence, the present study examined the background of introduction, significance and summary of the criminal mediation system. Moreover, the study clarified the problem points of the system based on the author’s experiences while working at the criminal mediation committee and the theoretical review results to suggest improvement measures for the mediation system that suits the actual work of criminal mediation. In detail, the study focuses on the expansion of voluntary participation for criminal mediation, the need for establishment of neutral independent legislations and the strengthening the competence of mediators.

      • KCI등재

        중독과 회복과정에서의 트라우마: 질적 메타합성

        김잔디(Jandi Kim),미숙(Misook Kim),신유진(Youjin Shin),병희(Byunghee Kim),성재(Sungjae Kim) 대한스트레스학회 2021 스트레스硏究 Vol.29 No.1

        트라우마와 중독의 높은 상관성으로 트라우마에 기반한 실무가 필요함이 강조된다.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 질적연구들을 합성하여 중독 및 회복과정에 관여하는 트라우마의 영향을 파악하는 것이다. 메타합성 방법으로 중독과 회복을 다룬 질적연구를 검색하여 17편의 문헌, 80명의 경험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를 트라우마 경험, 이것이 중독과정 및 회복과정에 미치는 영향으로 범주화했다. 과거의 트라우마 경험은 자아존중감을 낮추고 부정적 감정을 야기했으며, 그 대처로 중독 물질을 반복적으로 사용하게 되었다. 이후 과거와는 다른 타인과의 신뢰를 형성하고 자신의 존재가치를 되찾아가며 회복이 진행되는 것을 확인했다. 이 연구는 중독 영역에서 트라우마 기반의 실무가 활성화되어야 할 당위성을 확보하였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다. Background: Trauma is a physically or emotionally harmful or life-threatening event that negatively affects well-being. Recently, a high correlation between trauma and substance addiction has been recognized. The aim of this study is to synthesize qualitative studies to understand the effects of trauma involved in the addiction and recovery process. Methods: By searching qualitative studies about addiction and recovery, 17 Korean studies (80 subjects) were finally included in our analysis. Results: We recorded the traumas experienced, and their effects on addiction and recovery. Trauma reduced self-esteem and triggered psychological pain, while addiction was perceived as a countermeasure. As the trauma became accepted, participants acknowledged themselves, realized the value of their existence, and formed trusting relationships with others. Recovery progressed as the trauma healed. Conclusions: Our study facilitates a comprehensive and systematic understanding of the role of trauma on addiction.

      • KCI등재

        일본의 스토커규제법의 문제점 및 형사법적 규제

        김잔디(Kim, Jandi) 대검찰청 2015 형사법의 신동향 Vol.0 No.49

        과거 스토킹은 유명 인사나 연예인, 스포츠 스타 등에 국한되어 왔지만 최근에는 일반인에게도 빈번히 발생하고 있다. 스토킹 행위는 침해받았다고 인정하기 곤란한 가벼운 정도에서 시작되어 점차 적극적인 침해행위를 거쳐 결국엔 흉악 범죄로 발전할 우려가 있기 때문에 초기의 대응이 매우 중요하다. 즉 초기에 적극적인 대응을 하여 사태가 악화되는 것을 방지할 필요가 있다. 하지만 우리나라에서는 스토킹 행위의 처벌에 관한 명확한 규정도 없을뿐더러 행위가 심각화 경향이 있다는 사실을 고려하여 그것을 예방하기 위한 조치를 취해야 하는데, 아직 이러한 조치가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이에 유사한 법체계를 가지고 있는 일본의 스토커행위 등의 규제 등에 관한 법률의 비판적 검토를 통하여 스토킹 행위에 대한 규제방법 등에 대하여 제시해 보았다 While stalking in the past was limited to celebrities or sports stars, it has frequently occurred to the ordinary people in recent years. Even though stalking starts from a minor behavior without a feeling of intrusion, it may develop into more aggressive behaviors and finally result in heinous crimes. Thus, initial response is essential to stalking behaviors. In other words, it is necessary to prevent the aggravation of the situation by actively responding in the beginning. However, given the fact that there are no clear regulations on the punishment of stalking behaviors in Korea and the behaviors have become severe, a preventative measure needs to be taken, but no action has been taken against such behaviors. Thus, this study attempted to present the methods to regulate stalking by critically reviewing the laws on stalking behaviors in Japan, which has a similar legal system with Korea.

      • 성(Sexuality)과 정신건강에 관한 통합적 문헌고찰

        김잔디 ( Kim Jandi ),류재금 ( Ryu Jae Geum ),오상준 ( Oh Sangjun ),신유진 ( Shin Youjin ) 서울대학교 간호과학연구소 2021 간호학의 지평 Vol.18 No.1

        Purpose: Sexuality is a fundamental element of human life and is closely related to mental health. This study was conducted to understand domestic research trends on gender, mental health, and psychological well-being through an integrated review. Methods: Through four domestic databases, 15 papers were finally selected using the search terms 'sex', 'mental health', and 'psychological well-being'. Results: Fifteen papers have been published since 2000 and 10 documents have been published since 2010. A majority of the studies were basic research and reviews, and these included four qualitative studies. Depending on the subject, we classified five articles into three themes by the developmental stages (youth, married women, and the elderly), eight sexual minority studies, and two other studies (right to sexual self-determination, and dating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Conclusion: A more open social concern and approach to sex, the most basic human need, is warranted. The field of nursing practice requires more attention.

      • KCI등재

        B16F10 멜라닌 세포에서 신규 헥사펩타이드의 MITF 조절을 통한 멜라닌 생성 저해 효과

        이응지 ( Eung Ji Lee ),김잔디 ( Jandi Kim ),정민경 ( Min Kyeong Jeong ),이영민 ( Young Min Lee ),정용지 ( Yong Ji Chung ),은미 ( Eun Mi Kim ) 대한화장품학회 2020 대한화장품학회지 Vol.46 No.1

        본 연구에서는 6 개의 아미노산으로 이루어진 헥사펩타이드(hexapeptide)의 미백 효능에 대해 수행하였다. 실험 결과 헥사펩타이드 처리에 의해 유의한 수준의 멜라닌 생성 저해가 관찰 되었고, 멜라닌 생성 과정에 관여하는 주요 효소인 tyrosinase의 활성이 농도 의존적으로 억제됨이 관찰 되었다. 멜라닌 생성 관련 인자들의 발현을 관찰 한 결과 tyrosinase (TYR), tyrosinase-related protein 1 (TYRP1) 및 이들의 상위 전사인자인 microphthalmia-associated transcription factor (MITF)의 발현이 헥사펩타이드 처리에 의해 유의한 수준으로 저해 되었다. 또한 헥사펩타이드 처리에 의해 MITF 발현을 조절하는 상위 전사인자인 cAMP-response element binding protein (CREB)의 인산화가 저해 되었고 MITF 인산화를 통해 프로테아좀 분해(proteasomal degradation)를 유도하는 extracellular signal-regulated kinase (ERK) 인산화가 증가 되었다. 이외에도, 멜라노좀의 세포 내 이동에 관여하는 복합체의 구성 인자들로 알려진 Rab27A, melanophilin, myosinVa의 발현도 헥사펩타이드에 의해 유의한 수준으로 저해 되었다. 이 결과를 통해, 본 연구의 헥사펩타이드는 멜라닌세포의 멜라닌 생성 관련 핵심 전사인자인 MITF의 발현 및 분해 조절을 통해 멜라닌 생성 억제 및 멜라노좀 이동과 같은 전반적인 멜라노좀 성숙 과정에 저해 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보인다. 헥사펩타이드의 이러한 미백 효능은 신규 미백 기능성 화장품 소재로 응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anti-pigmentation effect of a hexapeptide. The peptide significantly reduced melanin contents and inhibited tyrosinase activity in a dose-dependent manner, in which tyrosinase is a key enzyme in melanogenesis. The peptide also significantly reduced the expression levels of tyrosinase (TYR), tyrosinase-related protein 1 (TYRP1) and their upstream transcription factor, microphthalmia-associated transcription factor (MITF). Furthermore, the peptide suppressed the phosphorylation level of cAMP-response element binding protein (CREB), a transcription factor of MITF, and increased the phosphorylation level of extracellular signal-regulated kinase (ERK), a kinase mediates MITF phosphorylation and proteasomal degradation. The peptide significantly inhibited the expression of Rab27A, Melanophilin, and MyosinVa, the components of motor complex involved in intracellular movement of melanosome. These results suggest that Hexapeptide could be used as an effective whitening agent that has inhibitory effect on melanin production and melanosome transport by regulating expression and degradation of MITF in melanocytes.

      • KCI등재후보

        진피세포의 조성이 인공피부의 기저막과 표피형성에 미치는 영향

        이해란 ( Hailan Li ),정효순 ( Hyo-soon Jeong ),김잔디 ( Jandi Kim ),윤혜영 ( Hye-young Yun ),백광진 ( Kwang Jin Baek ),권년수 ( Nyoun Soo Kwon ),민영실 ( Young Sil Min ),박경찬 ( Kyoung-chan Park ),동석 ( Dong-seok Kim ) 대한화장품학회 2012 대한화장품학회지 Vol.38 No.3

        최근 유럽연합에서는 동물실험을 통하여 검증된 성분을 함유하고 있는 화장품에 대하여 판매를 금지할 것을 선언하였다. 그리하여 동물실험을 대체할 동물실험 대체모델의 개발이 필요해졌다. 인공피부는 화장품, 의약품 및 의료기기의 안전 테스트에 있어서 아주 중요한 시스템이다. 본 연구에서는 기저막과 표피를 가지고 있는 최적의 인공피부를 만들기 위한 시도를 하였다. 이러한 목적으로 중간엽줄기세표(MSCs, mesenchymal stem cells)와 지방전구세포를 진피세포인 섬유모세포와 혼합하여 진피대체물을 만들었다. 기저막과 표피의 형성은 면역조직화학 염색(immunohistochemical stains)을 통하여 확인하였다. 여러 가지 모델 중에서, 중간엽줄기세포를 혼합한 모델에서 표피의 두께가 제일 두꺼웠으며 또한 PCNA와 involucrin의 분포가 실제 사람피부와 비슷하였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의 결과는 진피대체물에 중간엽줄기세포를 혼합한 인공피부가 동물실험 대체모델로 개발될 수 있다는 점을 제시한다. European Union prohibited the marketing of cosmetic products containing constituents that have been examined through animal experiments. Thus, non-animal test models are needed to replace animal experiments. The reconstructed skin models are important as a test system for cosmetic, pharmaceutical, and medical device safety testing. In the present study, we tried to develop an optimal skin equivalent model containing basement membrane and epidermis. For this purpose, we used mesenchymal stem cells (MSCs) and/or preadipocytes as well as fibroblasts as the dermal matrix cells. The formation of basement membrane and epidermis was verified by immunohistochemical stains. Among various models, the epidermis was thickest when MSCs were used in the dermal matrix. Furthermore, PCNA and involucrin distribution showed that dermal matrix with MSCs resembled human skin. Therefore, skin equivalents with MSCs could be developed as a non-animal test model to replace animal experiments.

      • KCI등재

        핵심감정이 대인관계 친밀감에 미치는 영향: 성인애착, 정서적 지지 및 정서표현 양가성을 매개로

        배장희 ( Bae Jang Hee ),박재경 ( Park Jae Kyoung ),김잔디 ( Kim Jandy ),은영 ( Kim Eun Young ),장정주 ( Chang Jung Joo ) 한국정서행동장애학회 2024 정서ㆍ행동장애연구 Vol.40 No.1

        본 연구는 핵심감정이 대인관계 친밀감에 미치는 영향에서 성인애착, 정서적 지지 및 정서 표현 양가성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대구·경북 지역의 20세에서 27세의 383명의 초기성인들을 대상으로 초기부적응도식 척도, 대인관계 친밀감 척도, 성인애착 척도, 정서적 지지 척도 및 정서표현 양가성 척도로 구성된 설문지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1.0과 SPSS PROCESS Macro(v4.0)을 사용하여 상관분석, 다중회귀분석과 매개효과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핵심감정은 대인관계 친밀감과 부적 상관을, 성인애착과 정서표현 양가성과는 정적 상관을 그리고 정서적 지지와는 부적 상관을 보였다. 둘째, 핵심감정과 대인관계 친밀감에 미치는 관계에서 성인애착과 정서적 지지는 부분 매개효과를 보였다. 셋째, 핵심감정과 대인관계 친밀감에 미치는 관계에서 정서표현 양가성의 하위요인 중 자기방어양가성이 부분 매개 효과를 보였다. 넷째, 핵심감정은 성인애착과 정서적 지지를 순차적 매개하여 대인관계 친밀감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들을 토대로 본 연구의 결과의 시사점과 제한점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s of adult attachment, emotional support and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venes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nuclear feeling and interpersonal intimacy. For this purpose, a questionnaire consisting of the Young Schema Questionnaire Short Form (YSQ-S), Interpersonal Relationship Scale, Experiences in Close Relationships Revised (ECR-R),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veness Questionnaire (AFQ) was used on 383 adults aged 20 to 27 in Daegu and Gyeongbuk region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21.0 and SPSS PROCESS Macro (v4.0) for correlation, multiple regression, and mediation effect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nuclear feeling were in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with interpersonal intimacy and emotional support, and in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adult attachment, emotional and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veness. Second, adult attachment and emotional support had a partial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nuclear feeling and interpersonal intimacy. Third, partial mediation effect of self-defense ambivalence, a subfactor of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veness was found on the relationship between nuclear feeling and interpersonal intimacy. Fourth, nuclear feeling sequentially mediated adult attachment and emotional support to influence interpersonal intimacy. Based on the above results,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e this study were discussed.

      • KCI등재

        정신건강복지법 개정에 따른 입원적합성심사와 관련된 이해관계자의 경험

        신소연 ( Shin Soyoun ),조윤민 ( Cho Yoon-min ),윤난희 ( Yoon Nan-he ),황서은 ( Hwang Seo Eun ),황종남 ( Hwang Jongnam ),최정원 ( Choi Jung Won ),김잔디 ( Kim Jandi ),허종호 ( Heo Jongho ),이선구 ( Lee Sun Goo )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21 保健社會硏究 Vol.41 No.2

        2016년, 구 정신보건법이 「정신건강증진 및 정신질환자 복지서비스 지원에 관한 법률」로 개정되면서, 입원적합성심사위원회(이하 입적심) 제도가 신설되고 비자의입원 절차가 강화되었다. 본 연구는 입적심의 목표인 정신질환자의 인권증진 여부를 평가하기 위해 이해관계자들의 참여경험을 질적으로 분석하고, 향후 나아갈 방안을 모색하였다. 이에 전국 5개 국립정신병원에서 입적심과 관련된 총 27명의 전문의, 법조인, 정신건강전문요원, 가족, 당사자, 조사원, 정신질환자를 심층 면담하였다. 주제분석 결과, 4개의 주제와 16개의 하위주제가 도출되었다. 입적심 제도는 부당한 비자의입원 및 강압 이송행위에 대한 안전장치를 마련하여 인권을 향상시켰지만, 대면조사보다 서류심사가 주를 이루고 의사결정지원이 미흡하여 자기결정권이 제한된다는 한계를 드러냈다. 추후 자기결정권을 보장하기 위한 대면조사와 절차보조사업을 확충하고, 의료기관과 지역사회서비스를 연결하는 협력시스템이 구축되어야 한다. The revision of the “Mental Health Act” into the “Act on the Improvement of Mental Health and the Support for Welfare Services for Mental Patients” in 2016 led to the tightening of procedures for involuntary hospitalization through the implementation of the “Committee for Review as to Legitimacy of Admission” (hereinafter “Admission Review Committee”). This study evaluated whether the Admission Review Committee has achieved its goal to promote the human rights of people with a mental illness through qualitative analysis of stakeholder experiences. The evaluation is based on interviews with a total of 27 subcommittee members from all the five national psychiatric hospitals which have an Admission Review Committee in place. Those interviewed were psychiatrists, lawyers, mental health professionals, patients and their families, and investigators. As a result, a total of four categories and 16 themes emerged from the thematic analysis. Our study shows that the Admission Review Committee has promoted human rights by functioning as a minimum safeguard to prevent unjust involuntary hospitalization and forced transfer to psychiatric hospitals. However, insufficient procedural assistance has limited the right to self-determination, and the committee heavily relied on paper review rather than the face-to-face investigation with people with a mental illness. For a better supportive committee for the human rights of people with a mental illness, we suggest that the committee adopt the face-to-face review process, procedural assistance services, and a governance system closely connecting medical facilities with local communit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