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이주노동자 유입에 대한 세대 간 인식 차이 탐색−수도권 거주 20대와 50대 비교를 중심으로

        허종호(Heo, Jongho),유수영(Soo-Young Yu),이채정(Chae-jeong Lee) 경성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20 社會科學硏究 Vol.36 No.3

        본 연구는 이주노동자 유입에 대한 한국인의 세대별 인식 및 그 토대가 되는 구조적 맥락과 인식 형성 과정을 심층적으로 탐색하였다. 이를 위해 20대와 50대 연령별 초점집단면담을 통해 면담 자료를 수집하고 Strauss의 근거이론(grounded theory)을 적용하여 개방코딩, 축코딩, 선택코딩 및 상황모형을 제시하였다. 연구결과, 20대와 50대 모두 이주노동자를 자신들의 직접적인 일자리 경쟁자 및 잠재적인 범죄자로 인식하고 있었다. 이러한 위기의식에 영향을 주는 조건적 맥락으로, 20대와 50대 모두 취업이 어려워진 사회적 배경, 이주노동자와의 단편적이고 피상적인 관계, 학교나 직장에서 이주노동자로 인한 직간접적 역차별 경험이 있었다. 그러나 위기의식에 대한 중재적 조건과 전략에는 세대별 차이가 있었다. 20대는 내국인 관점에서 이주노동자 유입을 통한 문화적 다양성의 이점을 인지하고 있었으나 이주노동자를 타자화하여 한국문화에 동화되어야 하는 대상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이에 비해, 50대는 이주노동자가 필요한 경제적 당위성과 불가피성을 인지하고 객관화함으로써 이주노동자 유입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에 내국인의 편견과 오류가 있음을 인정하였다. 결론적으로, 20대와 50대 모두 자국민 취업을 위한 근로조건 개선과 이주노동자에 대한 강력한 선별 및 관리 정책이 필요하다고 구술하였다. This qualitative study aims to identify generation gaps between Korean 20s and 50s on labor immigration influx and to explore the basis and formation process of the gaps. Three focus group interviews with the 20s and 50s were conducted separately and analyzed applying Strauss" grounded theory method, which is widely used for structural analysis. As a result, the 20s and 50s felt insecure perception as they recognized immigrant workers as rivals for jobs and potential felony criminals. The common factors that influenced their perception were bad job market situations, fragmented and superficial relationships with the workers, and experiences of reverse discrimination. However, generational gaps were observed in the dimensions of strategies and contextual conditions. The 20s were admitted that the benefits from the labor immigration influx were cultural diversities in Korean perspectives; however, they otherized and required the workers to assimilate into Korean culture. On the other hand, the 50s were admitted that the workers were needed inevitably for industries, and we should accept them for humanity. They also acknowledged that there had been faults and prejudices toward the workers in the social problems caused by immigrant workers. Consequently, the 20s and 50s requested better labor conditions for Koreans and strict screening and managing systems for the workers.

      • KCI등재후보

        포스트 코로나 시대 보건의료기술 접근성 제고를 위한 탐색 연구 : 세계백신연합(Gavi) 글로벌펀드(Global Fund), 국제의약품구매기구(Unitaid) 및 Access to COVID-19 Tools Accelerator 사업 사례

        송수연(Sooyeon Song),허종호(Jongho Heo) 적정기술학회 2021 적정기술학회지(Journal of Appropriate Technology) Vol.7 No.2

        코로나19 확산은 전 세계 인구, 보건체계, 경제, 사회문화에 전례 없는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국제사회는 코로나19를 극복하고자 보건의료기술 개발 및 접근성 제고를 위해 연대하고 있다. 본 고는 보건의료기술 접근성을 저해하는 장애물에 대한 이론적 틀을 기반으로 감염병 다자기구 및 코로나19 보건의료기술 접근성 제고를 위한 ACT-A 사업을 검토한다. 연구 결과, 첫째, 국제사회는 필요한 기술의 부재를 극복하기 위해 선시장공약, 백신채권, Covax Facility 등을 시행하고 있으며, 둘째, 존재하는 기술이 접근가능하지 않는 장애물을 극복하기 위해 공동조달메커니즘, 의약품특허풀 등을 시행하고 있으며, 셋째, 기술이 수용되지 않는 장애물을 극복하기 위해 인력역량 강화 등을 포함하는 보건체계 강화를 지원하고 있음을 발견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실무적·학술적 향후 과제로써 기추진중인 한국 공적개발원조 사업과 감염병 다자기구 및 ACT-A 사업과의 연계 가능성을 검토하여 더욱 활발하게 협력할 필요가 있다. Purpose: Global collaboration to accelerate development and equitable access to COVID-19 tests, treatments, and vaccines was launched with the name of the Access to COVID-19 Tools Accelerator (ACT-A), and this initiative owes its expertise to the lessons learned of the global health organizations. To date, the comprehensive mechanisms and potential effects of the initiative remain largely unknown. Methods: This study reviewed the programs of Gavi, the Global Fund, Unitaid, and ACT-A, which mitigating barriers to greater use of health technology with an analytic framework. Results and conclusion: The study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programs to alleviate the absence of necessary technology include the International Finance Facility for Immunization and Covax Facility. Second, Pooled Procurement Mechanism and Accelerated Order Mechanism are examples of mitigating the inability to access technology. Third, programs to overcome reluctance to adopt accessible technology include health system strengthening efforts such as the capacity-building health workforces. Further actions of Korea are needed to collaborate with the initiatives to enhance health outcomes.

      • KCI등재

        보건의료산업관련 입법영향요인 분석: 질적비교연구방법론을 이용하여

        한승헌 ( Seungheon Han ),황서은 ( Seo Eun Hwang ),허종호 ( Jongho Heo ) 한국보건경제정책학회(구 한국보건경제학회) 2018 보건경제와 정책연구 Vol.24 No.3

        본 연구의 목적은 보건의료산업 관련 법안의 입법화에 영향을 미치는 원인조건 조합이 무엇인지 질적비교분석방법을 통해 알아보는 것이다. 18-19대 국회 보건의료 산업관련 59개 법안을 대상으로 “확장된 다중흐름이론”에 근거하여 원인조건(변수)을 설정하고 어떠한 원인조건 조합이 법안가결에 결정요인이었는지 살펴보았다. 연구결과, 조직적 정치활동 찬성, 과학적 정치활동 부족, 경제적 정치활동의 반대(유보), 정치가들의 정치활동 찬성이라는 조합의 경우에 보건의료산업법안이 가결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렇게 도출된 연구결과의 구체적인 맥락과 원인을 이해하기 위하여, 전체법안 및 공공성 법안이 가결되기 위한 조건조합에 공통적으로 속하는 지방의료원법 및 원격의료법안에 대하여 사례 비교연구를 실시하였다. 이러한 시도를 통해 기존 사례연구의 한계인 연구결과의 제한된 일반화 문제를 극복하는 동시에, 기존의 양적정책 연구의 한계인 현실적인 정책 제언을 보완하였다. 향후 기타 보건의료 및 사회복지 관련법안들의 입법화 이해에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aims to identify combinations that determined healthcare industry-related legislations in the 18th and 19th Korea National Assembly. We analyzed 59 legislations using qualitative comparative analysis based on the Extended multiple streams theory. We found that the healthcare industry bills were more likely to be approved in necessary conditions that organizational politics were favored; scientific politics was lack; economic politics opposed or reserved; and politician’s politics was supportive. To better understand the study finding, we additionally conducted a comparative case study on the bills of Regional Public Hospitals and telemedicine implementation. This study contributes to existing literature by overcoming generalization embedded in case studies and proposing legislative suggestions in reality that quantitative studies are rarely achieved. Future study may need to apply the model to the other legislations including social welfare bills.

      • KCI등재

        정신건강복지법 개정에 따른 입원적합성심사와 관련된 이해관계자의 경험

        신소연 ( Shin Soyoun ),조윤민 ( Cho Yoon-min ),윤난희 ( Yoon Nan-he ),황서은 ( Hwang Seo Eun ),황종남 ( Hwang Jongnam ),최정원 ( Choi Jung Won ),김잔디 ( Kim Jandi ),허종호 ( Heo Jongho ),이선구 ( Lee Sun Goo )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21 保健社會硏究 Vol.41 No.2

        2016년, 구 정신보건법이 「정신건강증진 및 정신질환자 복지서비스 지원에 관한 법률」로 개정되면서, 입원적합성심사위원회(이하 입적심) 제도가 신설되고 비자의입원 절차가 강화되었다. 본 연구는 입적심의 목표인 정신질환자의 인권증진 여부를 평가하기 위해 이해관계자들의 참여경험을 질적으로 분석하고, 향후 나아갈 방안을 모색하였다. 이에 전국 5개 국립정신병원에서 입적심과 관련된 총 27명의 전문의, 법조인, 정신건강전문요원, 가족, 당사자, 조사원, 정신질환자를 심층 면담하였다. 주제분석 결과, 4개의 주제와 16개의 하위주제가 도출되었다. 입적심 제도는 부당한 비자의입원 및 강압 이송행위에 대한 안전장치를 마련하여 인권을 향상시켰지만, 대면조사보다 서류심사가 주를 이루고 의사결정지원이 미흡하여 자기결정권이 제한된다는 한계를 드러냈다. 추후 자기결정권을 보장하기 위한 대면조사와 절차보조사업을 확충하고, 의료기관과 지역사회서비스를 연결하는 협력시스템이 구축되어야 한다. The revision of the “Mental Health Act” into the “Act on the Improvement of Mental Health and the Support for Welfare Services for Mental Patients” in 2016 led to the tightening of procedures for involuntary hospitalization through the implementation of the “Committee for Review as to Legitimacy of Admission” (hereinafter “Admission Review Committee”). This study evaluated whether the Admission Review Committee has achieved its goal to promote the human rights of people with a mental illness through qualitative analysis of stakeholder experiences. The evaluation is based on interviews with a total of 27 subcommittee members from all the five national psychiatric hospitals which have an Admission Review Committee in place. Those interviewed were psychiatrists, lawyers, mental health professionals, patients and their families, and investigators. As a result, a total of four categories and 16 themes emerged from the thematic analysis. Our study shows that the Admission Review Committee has promoted human rights by functioning as a minimum safeguard to prevent unjust involuntary hospitalization and forced transfer to psychiatric hospitals. However, insufficient procedural assistance has limited the right to self-determination, and the committee heavily relied on paper review rather than the face-to-face investigation with people with a mental illness. For a better supportive committee for the human rights of people with a mental illness, we suggest that the committee adopt the face-to-face review process, procedural assistance services, and a governance system closely connecting medical facilities with local communit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