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자아탄력성 척도의 심리측정학적 특성

        김응준( Kim, Eung-Joon) 한국웰니스학회 2016 한국웰니스학회지 Vol.11 No.1

        본 연구는 선행연구에서 개발되어진 운동선수용 자아탄력성 척도를 문항반응이론을 적용하여 심리측정학적 특성을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서울, 경기, 강원 등 수도권에 위치한 1000명의 대학교 운동선수들을 대상으로 조사를 실시하였다. 이준석(2013)에 의하여 다시 개발된 자아탄력성 척도를 조사도구로 사용하였다. 수거된 자료 중 832명의 자료를 SPSS 23.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기술통계분석을 실시하였고, 문항적합도는 문항반응이론을 적용하기 위하여 WINSTEPS 3.74 (Linacre, 2012)을 사용하여 피험자 신뢰도, 문항신뢰도, 척도수의 적절성, 문항적합도와 문항난이도를 산출하였다. 연구목적에 따른 연구결론으로는 첫째, 자아탄력성 척도의 피험자 신뢰도와 척도자체의 신뢰도는 내-외적합도 1.00∼1.03 으로 적합하였다. 둘째, 척도 범주수의 적절성에서는 단계지수로 판단한 결과 7점 척도가 적합하였다. 셋째, 문항적합도와 문항난이도 분석에서는 총 2개 문항에서 문제점이 발견되었다. 따라서, 대학교 남녀 운동선수들의 능력분포와 척도자체의 난이도면에서 판단할 때 자아탄력성 척도는 부분적으로 적절하지 못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go-resilience questionnaire’s psychometric properties in undergraduate student athletes. To accomplish study purpose, complete enumeration survey and statistical analysis were conducted for 832 student athletes enrolled metropolitan area university. A research tool used in this study was an ego-resilience scale developed by Joon-Seok LEE (2013). Total 14 questions were used with 7 point Likert scale and high point stands for higher the ego-resilience. Frequency analysis was conducted with SPSS 23.0. WINSTEPS 3.74(Linacre, 2012) was used for calculating item goodness-of-fit and subject reliability, scale propriety, item goodness-of-fit and item level of difficulty were calculated. Statistical analysis showed results as follows. First, it was reported to be suitable for subject infit/outfit in the ego-resilience as 1.01~1.03 and the ego-resilience"s scale infit/outfit as 1.00~1.01. Second, 7 scale was suitable for scale propriety resulting from stage index judgment. Third, 2 questions (item 10, item 13) showed problems in item goodness-of-fit; consequently, scale propriety was reported to be inappropriate for considering undergraduate student athletes" ability distribution and scale level of difficulty.

      • KCI등재

        확대된 여가제약 척도의 최적범주

        이창진(Lee, Chang-Jin),김응준(Kim, Eung-Joon) 한국웰니스학회 2017 한국웰니스학회지 Vol.12 No.1

        본 연구는 김응준(2012)이 Rasch 모형을 적용하여 선행연구에서 개발된 확대된 여가 제약 척도의 심리측정학적 특성 결과를 바탕으로 최적범주를 탐색하는데 목적이 있었다. 이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대학교 410명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조사를 실시하고 통계분석하였다. 사용된 척도는 Crawford와 Godbey(1987)에 의해 제시된 여가제약 척도를 지현진과 이철원(2003)이 수정 보완하고, 김응준(2006)에 의하여 타당화 시킨 확대된 여가 제약 척도를 조사도구로 사용하였다. 수거된 자료 중 410명의 자료를 SPSS 23.0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기술통계분석을 실시하였다. 최적범주를 탐색하고자 WINSTEPS 3.92 (Linacre, 2016)을 사용하여, 척도수의 적절성, 문항적합도와 문항난이도 등을 산출하였다. 연구목적에 따른 연구결론으로는 첫째, 문항의 반응범주는 문제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어 기존 5점 범주 대신 4점 범주로 수정되는 것이 타당하였다. 둘째, 문항적합도를 분석한 결과 22문항은 적합하였다. 셋째, 척도의 응답자 신뢰도가 낮게 확인되어 문항난이도를 고려한 문항순서의 변경이 필요하였다. 넷째, 개인 능력점수와 난이도를 교차하여 비교한 결과, 개인 능력점수 분포와 문항난이도 분포는 적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xtended leisure constraint questionnaire’s optimal categorization in undergraduate students. To accomplish study purpose, complete enumeration survey and statistical analysis were conducted for 410 students enrolled university. A research tool used in this study was an extended leisure constraint scale developed by Eung-Joon KIM (2012), which was originally from Crawford & Godbey(1987). Total 22 questions were used with 5 point Likert scale and high point stands for higher the leisure constraint. Frequency analysis was conducted with SPSS 23. An assumption to test Rasch Model, which is satisfaction of unidimensionality, is regarded through theoretical aspects, and WINSTEPS 3.92(Linacre, 2016) program is used to test the goodness-of-fit of items. Statistical analysis showed results as follows. First, 4-point rating scale was appropriate for the extended leisure constraint scale. Second, 22 items of the extended leisure constraint scale were suitable in item fitness and item difficulty to undergraduate students. Third, the extended leisure constraint scale was somewhat suitable in person reliability of item separation. Fourth, the person ability score of the extended leisure constraint scale was distributed appropriately.

      • KCI등재

        스포츠 자신감 척도의 측정학적 특성

        김응준(Eung-joon Kim) 한국체육측정평가학회 2016 한국체육측정평가학회지 Vol.18 No.3

        본 연구는 선행연구에서 개발되어진 운동선수용 스포츠자신감 척도를 문항반응이론을 적용하여 심리측정학적 특성을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서울, 경기, 강원 등 수도권에 위치한 1000명의 대학교 운동선수들을 대상으로 조사를 실시하였다. Vealey(1998)가 개발한 SSCQ(State Sport-Confidence Questionnaire)를 사용하였다. 수거된 자료 중 832명의 자료를 SPSS 23.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기술통계분석을 실시하였고, 문항적합도는 문항반응이론을 적용하기 위하여 WINSTEPS 3.92 (Linacre, 2016)을 사용하여 피험자 신뢰도, 문항신뢰도, 척도수의 적절성, 문항적합도와 문항난이도, 척도자체의 난이도에 따른 적절성을 산출하였다. 연구목적에 따른 연구결론으로는 첫째, 스포츠자신감 척도의 피험자 신뢰도와 척도자체의 신뢰도는 내-외적합도 1.00∼1.01 으로 적합하였다. 둘째, 척도 범주수의 적절성에서는 단계지수로 판단한 결과 5점 척도가 적합하였다. 셋째, 문항적합도와 문항난이도는 적합하였다. 넷째, 문항난이도 적절성에서는 전체 문항에서 문제점이 발견되었다. 따라서, 대학교 남녀 운동선수들의 능력분포와 척도자체의 난이도면에서 판단할 때 스포츠자신감 척도는 적절하지 못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state sport-confidence questionnaire`s psychometric properties in undergraduate student athletes. To accomplish study purpose, complete enumeration survey and statistical analysis were conducted for 832 student athletes enrolled metropolitan area university. A research tool used in this study was an the state sport-confidence scale developed by Vealey (1998). Total 15 questions were used with 5 point likert scale and high point stands for higher the sport-confidence. Frequency analysis was conducted with SPSS 23.0. WINSTEPS 3.92(Linacre, 2016) was used for calculating item goodness-of-fit and subject reliability, scale propriety, item goodness-of-fit and item level of difficulty, and level of difficulty were calculated. Statistical analysis showed results as follows. First, it was reported to be suitable for subject infit/outfit in the sport-confidence as 1.01~1.01 and the sport-confidence`s scale infit/outfit as 1.00~1.01. Second, 5 scale was suitable for scale propriety resulting from stage index judgment. Third, 15 items showed no problems in item goodness-of-fit and problems in an item level of difficulty. Fourth, 15 items` propriety was reported to be inappropriate for considering undergraduate student athletes` ability distribution and scale level of difficulty.

      • KCI등재

        신체활동참여 초등학생들의 사회·심리적 특성 및 자기 주도적 학습

        김응준(Eung Joon Kim),김우경(Woo Kyung Kim) 한국체육교육학회 2013 한국체육교육학회지 Vol.18 No.2

        본 연구는 전국 초등학생들의 규칙적인 신체활동으로 일어날 수 있는 사회?심리적 특성의 차이와 자기 주도 학습 능력을 파 악하여 관련 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초등학교 5?6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매일 체육을 실시하는 학교(서울시 소재 1개교, 경기도 소재 1개교)와 매일 체육을 실시하지 않는 학교(서울시 소재 1개교, 경기도 소재 2개교, 경상북도 소재 1개교) 학생 393명(남자 223명, 여자 170명) 393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이용하여 수집하였다. 사회?심리적 특성은 정서발달 척도와 사회성발달 척도로 조사하였고, 자기주도학습은 자기주도적 학습능력 척도로 조사하였다. 자료처리는 IBM SPSS 21을 사용하여 분석의 목적에 따라 빈도와 백분율, 탐색적요인 분석, 신뢰도, 독립 t 검정(Independent t - Test)을 통하여 얻어진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생의 성별간 사회성에 대해서 남녀 평균은 큰 차이가 나지를 않았다. 성별간의 정서차이는 정서비행반응에서만 통계적으로 차이가 없는 것을 확인하였다. 둘째, 초등학생들의 학년별 사회성 에 대해서도 큰 차이가 나질 않았다. 정서차이대해서는 5학년이 6학년보다 공포반응과 애정반응이 높게 나왔고, 통계적으로 차이가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셋째, 신체활동 참여유무의 차이에서는 신체활동 참여 학생들이 모든 요인이 높게 나왔으나 통계적으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자기주도 학습 면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넷째, 매일 체육 참여유무의 차 이에서는 사회성 요인은 참여 학생이 높게 나왔고 자율성에서 차이를 보였다. 정서 차이에서는 애정반응이 통계적으로 차이를 보였다. 자기 주도적 학습 면에서는 학습욕구와 자기성찰 지속성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This study aims at understanding emotion, sociality difference and self-directed learning which can arise in the regular activities of nationwi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providing materials which would be of great help in operating and managing learning abilities and health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effectively. To attain this goal, a survey was made for 393 children of 6 elementary schools in Seoul, Suwon - Si, Euijeong bu - Si and Yong in-Si of Kyong gi-Do, Yeong deok-Gun of Kyong sang buk-Do. The conclusions which were made through the Descriptive Statistics Analysis, Factor, Reliability, and Independent t?Test of frequency and percentage according to the purpose of analysis with IBM SPSS STATISTICS 21.0 Version for data processing are as followings. First, there was not big difference in sociality between averages of male and female students by sex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But, emotion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statistically at .05level (except emotional misbehavior). Second, there were not big differences of sociality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by grade. Third, while all elements of students participating in physical activities were found to be high as for existence of physical activity difference, statistical difference was not shown. Fourth, as for difference of daily physical training participation, the sociality element was higher in participating students and there was difference in autonomy. As for self-directed learning, learning desire, target-seeing, continuity, self-examination and choice of learning strategies were high in participating students and learning desire, self-examination and continuity showed statistical differences at .05level.

      • KCI등재후보

        배드민턴 선수의 경쟁 상태불안이 경기결과에 미치는 영향

        김응준(Kim Eung-Joon),서동균(Seo Dong-Kyun),조선령(Cho Sun-Lyoung) 한국체육과학회 2007 한국체육과학회지 Vol.16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changes of cognitive state anxiety, somatic anxiety, and self-confidence of Badminton players before the game according to the result of the game and cognitive component's level. The subjects involved in this study were all the Badminton players who took part in the National Badminton championship in Autumn (2006. 8.31~9. 6):both males and females (middle and high school). The questionnaire used for the study is CSAL-2 developed by Martens et. al. (1977). Most of earlier studies were analyzed and invested under regulated places such as laboratories or artificial competitive states - neither real competitive states nor real players. However, this study examined how the competitive state anxiety of good athletes as well as athletes affected the results of the real games.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 First, the cognitive anxiety of both good athletes and athletes had positive correlation to somatic anxiety regardless of the results of the game. Second, the self-confidence of both good athletes and athletes had positive correlation to athletic performance. Third, the cognitive level of the players on their competitors in real competitive state had positive correlation to the level of cognitive state anxiety and somatic anxiety, while it had negative correlation to the level of self-confidence.

      • KCI등재

        체육통합수업에 대한 중학생들의 인식도

        김응준(Eung Joon Kim),정구인(Koo In Jung),이선(Sun Lee) 한국체육교육학회 2012 한국체육교육학회지 Vol.17 No.2

        이 연구의 목적은 체육통합수업에 대한 일반학생의 인식, 태도를 조사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특수학급이 있는 일반학교 중학생을 대상으로 개인별 특성(성별, 학년, 체육통합수업 실시유무, 체육과목 선호도, 체육통합수업 경험시기)에 따른 체육통 합수업에 대한 중학생의 각 변인별 인식 및 개인별 특성 요인과 체육통합수업 태도와의 관계에 대하여 알아보았다.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인천광역시내 특수학급이 설치되어 있는 통합학급에서 체육통합수업을 실시하고 있는 공립중학교 중 3개교 일반학생 512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신뢰도가 낮다고 판명된 25명을 제외한 유효 표본 수인 487명의 자료를 토대로 빈도분석, 요인분석, 신뢰도분석, 독립 t-test, 일원변량분석(one-way ANOVA),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성별에 따른 체육통합수업에 대한 중학생의 태도를 분석한 결과 수용태도, 통합수업효과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학년에 따른 체육통합수업에 대한 일반 중학생의 태도에서 수용태도, 통합수업효과, 수업환경은 모두 유의한 차이가 없고, 남자가 여자에 비해 전체적인 측면에서 비교적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현재 체육통합수업 실시 유·무에 따른 일반 중학생의 수용태도, 통합수업효과, 수업환경은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넷째, 체육과목 선호도에 따른 체육통합수업에 대한 일반학생의 수용태도, 통합수업효과, 수업환경은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다섯째, 체육통합수업 경험시기에 따른 일반학생의 태도를 분석한 결과 수업환경 측면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여섯째, 개인별 특성요인이 체육통합수업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통계적 유의수준에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research the student recognition on comprehensive physical education lessons and their attitude. For this, this study means to research the relationship between personal elements and comprehensive physical education lesson attitude for individual student characteristics (gender, grade, lesson participant, preference for physical education class, lesson experience). 487 subjects were selected among the 3 grades from 3 different schools. 487 students` data was collected for Frequency, Factor, Reliability, Independent t-test, One-way ANOVA, Multiple Regression to obtain following conclusion. Students from different grades did not show notable differences with each other in every aspect. Male students were more positive than female students. The analysis of each grade group showed different class attitude. The attitude result was more positive in the order of primary (higher grade), middle school, primary (lower grade) and no-experience. The efficiency was more positive in the order of primary (lower grade, primary (higher grade), middle school and no-experience.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후보

        우리청소년 댄스스포츠 선수의 스포츠성취목표 지향성 척도의 타당성 검증

        김응준 ( Kim Eung Joon ),정진오 ( Jeong Jin Oh ) 한국리듬운동학회 2018 한국리듬운동학회지 Vol.11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in Sports Scale’s Validity in Korean Youth DanceSport Competitor. To accomplish study purpose, complete enumeration survey and statistical analysis were conducted for 191 Korean Youth DanceSport Competitor enrolled KOC. A research tool used in this study was the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in Sports Scale used by Lee and Jeong (2004). Total 13 questions were used with 5 point Likert scale and high point stands for higher the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in Sports. Frequency analysis was conducted with IBM SPSS STATISTICS 23.0. WINSTEPS 4.0 (Linacre, 2017) was used for calculating item goodness-of-fit and subject reliability, scale propriety, item goodness-of-fit and item level of difficulty, and level of difficulty were calculated. Statistical analysis showed results as follows. First, it was reported to be suitable for subject Infit/Outfit in the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in Sports Scale as 1.00∼1.00 and the Achievement Goal Orientation’s in Sports Scale Infit/Outfit as 0.99∼1.00. Second, 5 scale was suitable for scale propriety resulting from stage index judgment. Third, 13 items showed no problems in item goodness-of-fit and problems in an item level of difficulty. Fourth, 13 items’ propriety was reported to be a little bit inappropriate for considering Korean Youth DanceSport Competitor’s ability distribution and scale level of difficulty.

      • KCI등재

        수업일지를 통한 중학생의 체육수업에 대한 긍정적 인식

        김응준(Eung Joon Kim),정구인(Koo In Jung),박진우(Jin Woo Park) 한국체육교육학회 2012 한국체육교육학회지 Vol.17 No.3

        이 연구의 목적은 중학생들의 체육수업 일지를 통해서 학생들의 다양한 인식과 그러한 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조사한 후 그에 따른 수업 개선점을 찾는데 그 목적이 있다. 체육수업에 대한 인식을 심층적으로 알아보기 위해 질적연구 방법을 택하였다. 연구참여자로는 연구자와 K교사이고, 연구자가 담당하고 있는 1학년 학생 460명 중에서 11명(남학생 4명, 여학생 7명)을 연구참여자로 선정하였다. 분석을 위해 내용분석(수업일지), 심층면담(인터뷰) 연구기법을 활용하여 다각적으로 접근하였다. 자료의 타당성과 신뢰성을 확보하고자 질적 연구 방법론 전문가와 함께 삼각검증법, 동료간협의, 연구참여자와의 검토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로는 중학생들은 체육수업을 통해서 체육교과 및 수업에 대한 긍정적 인식을 공유하고 있었다. 첫째, 체육수업에 대한 기대감. 둘째, 체육수업을 통한 즐거움. 셋째, 과제수행에 대한 성취감, 넷째, 수업방식에 대한흥미가 긍정적인 인식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students` experience and positive perception about the P.E. class in the actual class environment in order to provide basic data that helps improve the teaching strategies. To achieve this purpose, we selected 11 first graders among 460 students in E middle school. They recorded a detailed and straightforward diary about their P.E. class experience with a critical view. Afterwards, we interviewed the students so that we made sure of the credibility. We interpreted the collected data using inductive content analyzing methods for the qualitative research. We reached conclusion after the research. The conclusions were as follows; First, by participating the class, middle school students built positive perceptions about the P.E. class and the subject itself, They expressed various emotions; They showed positive responses such as expectation about physical activities away from a classroom, delight from compliments and positive feedbacks of a teacher, a sense of achievement of performing tasks, and interests about new teaching method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