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NIE에서 시넥틱스를 활용한 이야기 만들기 - 초등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

        김은정 ( Eunjeong¸ Kim ) 한국통합교육과정학회 2020 통합교육과정연구 Vol.14 No.4

        본 연구에서는 NIE에 애니메이션 및 동화를 도입하여, 시넥틱스 기법으로 초등학생들이 창의적인 이야기를 만들어가는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적용하였다. 2020년 2학기에 온라인으로 23명의 초등학생들에게 프로그램을 실시한 후, 학생들의 작품을 질적으로 분석하여 이야기 만들기의 형태와 특징을 도출하였다. 연구를 통해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학생들은 애니메이션과 동화의 구성요소와, 신문의 이미지와 글자를 연결하여 새로운 이야기를 창출한다. 둘째, 애니메이션, 신문, 동화의 구성요소들 중에서 학생들은 주로 신문과 애니메이션 혹은 동화의 구성요소들을 연결시키는 형태를 취했다. 셋째, 이야기 만들기에서 애니메이션이나 동화의 이미지를 많이 활용할수록 원작품에 기반하여 이를 수정한 형태가 되고, 신문의 구성요소를 많이 활용할수록 원작품의 형태를 벗어나 새로운 이야기가 된다. In this study, animation and fairy tales were introduced to NIE, and a program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to create creative stories using Synectics was developed and applied. After the program was conducted online to 23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the second semester of 2020, the qualitative analysis of the students' work was conducted to derive the form and characteristics of creating story. The conclusions obtained through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students create a new story by connecting elements of animation and fairy tales, images and letters in newspapers. Second, among the elements of animation, newspaper, and fairy tales, students mainly took the form of grafting elements of animation and newspaper, or fairy tales and newspaper. Second, students mainly took the form of connecting elements of animation or fairy tale to newspaper. Third, the more the elements of newspapers are used than those of animations and fairy tales in story making, the more completely different stories become.

      • KCI등재

        ASV용 센서통합평가 기술을 위한 무인 타겟 이동 시스템의 개발

        김은정,송인성,유시복,김병수,Kim, Eunjeong,Song, Insung,Yu, Sybok,Kim, Byungsu 한국자동차안전학회 2012 자동차안전학회지 Vol.4 No.2

        The Automatic unmanned target object carrying system (AUTOCS) is developed for testing road vehicle radar and vision sensor. It is important for the target to reflect the realistic target characteristics when developing ASV or ADAS products. The AUTOCS is developed to move the pedestrian or motorcycle target for desired speed and position. The AUTOCS is designed that only payload target which is a manikin or a motorcycle is detected by the sensor not the AUTOCS itself. In order for the AUTOCS to have low exposure to radar, the AUTOCS is stealthy shaped to have low RCS(Radar Cross Section). For deceiving vision sensor, the AUTOCS has a specially designed pattern on outside skin which resembles the asphalt pattern. The AUTOCS has three driving modes which are remote control, path following and replay. The AUTOCS V.1 is tested to verify the radar detect characteristics, and the AUTOCS successfully demonstrated that it is not detected by a car radar. The result is presented in this paper.

      • KCI등재

        농어촌개발 컨설팅에서 주민참여의도가 사업성과에 미치는 영향

        김은정,유연우,Kim, Eunjeong,You, Yen Yoo 한국디지털정책학회 2022 디지털융복합연구 Vol.20 No.4

        This study is about the effect of the intention of residents to participate in the regional capacity building project on the project performance. For the method, 238 samples were collected from villagers in Jeollanam-do, and the hypothesis was verified through SPSS22.0 and PROCESS macro 3.5 Model 4. The results showed, first, that there was a difference in performance according to the level of awareness of participation intention. Second, participation intention showed a positive (+) effect on performance. Third, the mediating effect of the regional capacity building project was confirmed. The limitation of the study was that it was limited to the Jeonnam region. Quantitative measurement was not performed in parallel with the performance. In the future, an activation plan through actual citizen participation and performance verification should be prepared. 본 연구는 농어촌지역개발 지역역량강화사업에서 주민 참여의도가 사업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연구 방법은 전남지역내 농어촌지역개발사업을 추진하거나 완료한 마을의 주민들을 대상으로 직접 방문식 설문을 통해 238개의 표본을 수집하였고, SPSS22.0와 PROCESS macro 3.5 Model 4를 통해 가설을 검증하였다. 연구 결과는 첫째, 사업 참여의도 인식수준에 따라 사업성과에 차이를 보였다. 둘째, 사업 참여의도는 사업성과에 정(+)의 영향을 나타냈다. 셋째, 지역역량강화사업은 사업 참여의도와 사업성과간에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연구의 한계는 연구표본이 전남지역에 한정됐다는 점, 사업성과에 정량적 측정이 병행되지 않은 점 등이 있으며, 이를 토대로 향후 주민참여의도가 실제 주민참여로 이어졌는지와 그에 따른 성과검증을 통한 구체적 연구가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미국 최저 소득계층 여성가장의 취업과 일상생활에서의 곤궁경험

        김은정(EunJeong Kim) 한국가족학회 2005 가족과 문화 Vol.17 No.1

        본 연구는 미국의 최저 소득계층 여성가장을 대상으로 하여 이들의 취업이 이상생활에서 경험하는 물질적 곤궁과 어떤 관련을 맺는지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소득에 근거한 빈곤의 측정은 취업한 여가장 가족을 대상으로 할 경우 한계가 매우 크다는 점에 주목하여, 가족원의 경제적 기본욕구 충족도를 나타내는 물질적 곤궁의 수준을 통해서 여가장 가족의 경제적 어려움을 분석해보고자 시도하였다. 연구결과, 여성가장 가족의 주요 특성 및 여성가장 개인의 특성을 고려한 상태에서 여성가장의 취업여부는 가족원들이 경험하는 식생활, 주거생활, 의료영역 각각에서의 곤궁 여부에는 유의미한 영향을 주지 않았으며, 단지 전체 영역을 통틀어서 곤궁을 한번이라도 경험했는지의 여부에만 유의미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체 빈곤가족을 대상으로 이루어진 선행연구와 비교해 볼 때 본 연구에서의 빈곤 여성가장 가족은 상당히 높은 수준의 곤궁을 일상적으로 경험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가장의 가족 특성변수 중에서는 여가장의 동거여부, 친척이나 친지로부터의 사회적 지원 기대정도가, 여가장 개인의 특성변수 중에서는 연령, 교육수준, 건강상태가 이들 가족이 경험하는 물질적 곤궁의 정도와 유의미한 관련을 맺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빈곤층을 대상으로 하는 근로 연계복지정책이 강화되는 현시점에서 이들을 대상으로 하는 사회복지정책의 방향성을 재고해 볼 필요성을 제기한다. This study investigates the associations between maternal employment and the material hardship experienced by unmarried families under the poverty line. In order to best identify the aforementioned associations, this study takes into account the major characteristics of unmarried families and unmarried mothers of their own, This study utilizes data from the Fragile Families and Child Wellbeing Study, which follows a birth cohort of the children of both unmarried and married parents, with births to unmarried parents substantially over-sampled. Study findings show that unmarried mothers' employment does not substantially decreases the probability of experiencing individual material hardship in the domain of food security, housing, and medical need by their family members; but it reduces the probability of ever-experiencing material hardships in those domains. Among family background factors, maternal relationships with child's father, the expectations of social support, and the number of child under eighteen have significant associations with the probability of experiencing material hardships, Three major characteristics of unmarried mothers, such as age, education, and health, also have significant relationships with the probability of experiencing material hardships.

      • KCI등재

        미취학자녀를 둔 취업여성의 일가정양립정책 인지도와 이용의향

        김은정(Kim, Eunjeong) 서울행정학회 2013 한국사회와 행정연구 Vol.24 No.2

        본 연구는 일가정양립정책에 대한 인지도와 정책 이용의향이 일가정양립 지원의 방식에 따라 달라질 것이며, 이러한 차이를 파악하는 것은 향후 일가정양립정책의 방향 설정에 의미 있는 기초자료가 될 수 있을 것으로 보았다. 이에 가정생활에 요구되는 시간을 지원해주는 시간지원방식과 가정노동을 서비스로 대체해 직장생활을 용이하게 지원하는 서비스 지원방식으로 현행 일가정양립정책을 구분하고, 일가정양립정채게 대한 요구도가 가장 높은 집단 중 하나인 미취학자녀 양육 취업 여성을 대상으로 이러한 정책들에 대한 인지도와 요구도가 가장 높은 집단 중 하나인 미취학자녀 양육 취업 여성을 대상으로 이러한 정책들에 대한 인지도와 이용의향, 그리고 관련 요인을 분석하고자 하였다.<br/> 연구결과 미취학자녀를 둔 취업여성들은 일가정양립 지원정책 중 시간지원정책보다 서비스지원정책을 더 많이 인지하고 있었으며 이용의향도 도 높았다. 관련요인을 분석한 결과 시간지원정책 인지도에는 취업여성 개인의 특성이 큰 영향을 미친 반면, 서비스정책 인지도에는 직장환경적 특성이 큰 영향을 미쳐서 차이를 보였다. 정책이용의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도 차이가 있었다. 주변으로부터 자녀양육에 관한 도움을 받지 못할수록 시간지원정책 이용의향이 높은 반면, 이러한 자녀양육 도움을 많이 받을수록 오히려 서비스지원정책 이용의향은 높아서 상반된 결과를 보였다. 직장환경적 요인은 서비스지원정책 이용의향에만 영향을 미쳤으며 시간지원정책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This study assumes that recognition of, and intention to use work-family reconciliation policy differs according to the types of support for work-family balance (i.e., time/service). Thus, this study investigates the differences in how working mothers with preschool children perceive time-support policies, which enable the mothers to directly care their family members, and service-provision policies, which offer the care services on behalf of them. Working mothers with preschool children were selected as the subjects of this study as they are known to be the source of a high level of demand for work-family policy. The research findings reveal that working mothers with young children have both a higher level of recognition of, and greater intention to use the service-provision policies than time-support policies. In addition, the results suggest that personal characteristics have a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level of recognition of time-support policies, while work-related characteristics significantly affect recognition of service-provision policies. The factors significantly influencing intention to use time-support and service-provision polices are also different and especially salient when it comes to social support and work-related characteristics.

      • KCI등재
      • KCI등재

        노인장기요양제도에서 가족요양 선택이유와 관련요인 연구

        김은정 ( Kim Eunjeong ),양난주 ( Yang Nanjoo ),김사현 ( Kim Sahyun ) 한국사회복지연구회 2021 사회복지연구 Vol.52 No.4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에서 가족인 요양보호사의 규모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본 연구는 수급노인 중 누가 그리고 왜 가족요양을 이용하며 수급노인 가족 중 누가 가족요양보호사가 되어 왜 가족요양을 수행하게 되는지 체계적으로 파악해보려는 목적을 갖는다. 이를 위해 장기요양 수급노인과 그 가족 총 4,000명을 대상으로 한국민건강보험공단의 전국단위 설문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가족요양 선택이유를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상당수의 노인들은 자신의 선호가 아닌 다른 이유로 가족요양을 선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연령과 요양필요도가 낮을수록 경제적 이유로 가족요양을 선택하는 경향이 높게 나타났다. 한편, 가족인 요양보호사가 가족요양을 선택한 이유는 세대별, 성별로 뚜렷한 차이를 보였다. 수급노인의 배우자는 자녀보다 경제적인 이유로 가족인 요양보호사를 선택할 가능성이 높았고, 자녀들 중 여성(딸, 며느리)은 다른 이유보다 가족요구로 이것을 선택하는 경향이 강했다. 이처럼 가족인 요양보호사 제도가 가족의 경제적 필요나 규범적 요구를 충족하기 위해 가족들에게 활용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제도적 문제점이 지속적으로 제기되어 오고 있는 가족요양이 현실에서 왜 꾸준히 선택되는지 그 이유를 이용자와 제공자 측면 모두를 통해 포괄적으로 분석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e number of family care workers in Korean long-term care insurance institution has been continuously increased. This study aims to systematically investigate the reason why service recipients choose their family members as care service worker and also why family care workers choose to be care workers for their family members. Survey data collected by national health insurance corporation from the 4,000 service users and care service workers are utilized for this study purpose. A lot of long-term care recipients choose family care workers not because they want to choose, but because there are other reasons, and care recipients with younger age and lower care need rating score are more likely to choose family care workers for financial need. On the other hand, the reason family care workers choose to be family care workers are clearly different by both generation and gender. The spouses of care service recipients are more likely to choose to be family care workers for financial reason and daughters and daughter-in-law are more likely to choose to be family care workers in order to satisfy the other families’wish. Therefore, the study findings identified that the family care institution in the long-term care insurance is utilized in order to fulfil family’s finantial needs or to follow desirable family norm. This study is meaningful that the reasons why both service users and providers choose to this service are comprehensively analysed, even though many criticism has been consistently raised on this family care institution.

      • KCI등재

        학교 내 대안교실의 운영 성과분석

        김은정(Eunjeong Kim),남수경(Sookyong Nam),김동현(Donghyeon Kim),유종훈(Jonghoon Yoo)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2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2 No.21

        목적 본 연구에서는 학업중단 예방정책의 일환으로 2013년부터 시행되어 온 학교 내 대안교실의 운영 실태와 성과를 분석하고 향후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방법 이를 위하여 첫째, 사업의 성과를 평가하기 위한 체제모형 기반 논리모형을 도출하고, 둘째, 2018~2022년 5개년도 강원도교육청의 학교 내 대안교실 현황과 실태를 고찰하며, 셋째, 성과분석모형을 토대로 설문조사(학교관리자 32명, 업무담당교사 40명)와 면담조사(교원 7명, 학생 5명)를 실시하여 사업 성과를 분석하였다. 결과 분석 결과 학교관리자, 업무담당교사, 학생의 입장에서 대안교실의 운영으로 학업부적응이나 대안교육을 원하는 학생들에게 효과가 있고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담당교사의 입장에서는, 부적응 학생들의 학업중단 예방책이나, 자신에 대한 긍정적 이미지의 형성, 결석, 지각, 조퇴 등의 감소를, 학생의 입장에서는 대안교실 참여의 효과로 학교 부적응 해소와 미래에 대한 태도 변화를 성과로 보았다. 정량적으로는 대안교실에 참여한 학생들 중 50% 이상이 학업에 복귀하였으며, 학업을 중단한 학생의 비율이 10% 미만으로 대부분의 학생들이 학업을 중단하거나 포기하지 않고 정서적으로도 만족감을 얻게 된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학교 내 대안교실 사업은 궁극적인 운영 목표였던 ‘학교 부적응 학생들의 학업중단비율’이 개선되는 효과가 있었던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학교 최초 참여 이후 많게는 50% 이상의 학교가 1년 이후 사업 운영을 중단한 것에서 알 수 있듯이 학교 내 대안교실을 지속적으로 관리 운영할 수 있는 방향으로 정책 개선이 필요함을 확인하였다. 향후 연구과제를 제시하면, 학생 대상 사례수를 확보하여 종단연구 기반의 학업중단 원인 분석을 체계적으로 진행함으로써 학업중단 예방에 미치는 대안교실의 정책효과를 심화조사할 필요가 있다. Objectives In this study, as part of the school interruption prevention policy, the operation status and performance of alternative classes in schools, which have been implemented since 2013, were analyzed and future improvement measures were presented. Methods To this end, first, a system model-based logic model was derived to evaluate the performance of the project, second, the status and status of alternative classes in schools of Gangwon-do Office of Education in 2018-2022, and third, based on the performance analysis model, a survey (32 school managers, 40 teachers) and an interview survey (7 teachers, 5 students). Result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more than 50% of the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the alternative class returned to school, and less than 10% of the students stopped studying, and most of the students did not stop or give up and were emotionally satisfied. Conclusions In addition to improving the perception of school members, it was found that the ultimate operation goal of alternative classes, “the ratio of school maladjusted students to stop studying,” was improved based on student satisfaction and attitude changes. However, as it can be seen that more than 50% of schools have stopped operating their businesses after a year since the first participation in the school, it was confirmed that policy improvement is needed in the direction of continuous management and operation of alternative classes in the school.

      • KCI등재

        지역노인복지정책의 현황과 개선과제

        김은정(Kim Eunjeong) 계명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09 한국사회과학연구 Vol.28 No.1

        Recent economic crisis raises serious concerns on the current situations around the vulnerable elderly, especially their economic difficulties. Though the lack of economic resources is the most keen problem of disadvantaged old people, other problems such as poor health, lack of care support, and inappropriate housing are also serious subjects that should be considered in the policy contexts. Most importantly, those problems are closely interrelated with each other in the elderly's living situations. Therefore, overall social safety nets providing minimum income support and diverse social services should be stronger than before in order to improve the living situations surrounding the vulnerable old groups. Especially, as the importance of social services for the disadvantaged old people are recently more underscored, the solidity and comprehensiveness of social service systems from the level of local government are considered more important for the elderly's wellbeing. This study explores what kind of social services are now provided for the vulnerable old people, and reviews the major features and problems in terms of how those services can effectively raises the elderly's welfare. More specifically, this study first investigate current situations of vulnerable old people, and then summarizes the major services provided by local governments for disadvantaged old people. Based on those reviews, this study suggests several policy implications on designing social services for the disadvantaged elderly, such as strengthening user-centeredness, balancing the policy areas, increasing the numbers and contents of preventive services, and elevating the efficiencies of service delivery system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