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머신러닝을 이용한 R&D과제의 연구분야 추천 서비스

        김윤정,신동구,정회경,Kim, Yunjeong,Shin, Donggu,Jung, Hoekyung 한국정보통신학회 2021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Vol.25 No.12

        국가연구개발사업 관련 데이터를 이용한 최신 연구동향 파악, 의미 있는 정보의 생산과 활용을 위해 국가R&D 정보 서비스에도 자동 분류 기술 적용이 요구되어 R&D과제의 연구분야를 자동 분류하고 추천하기 위한 연구를 진행했다. 2013~2020년 국가R&D 과제 데이터 약 45만 건을 수집하여 학습과 평가에 사용했다. 수집 데이터 중 유효한 데이터를 대상으로 데이터 전처리 및 분석, 실험을 통한 성능 분석 후 모델을 선정했다. 최적의 모델 조합 도출을 목적으로 Word2vec, GloVe, fastText 성능을 비교했다. 실험 결과, 과제정보의 필수 항목으로 사용되는 소분류만의 정확도는 90.11%이다. 이 모델은 국가과학기술표준분류 연구분야와 유사한 계층 구조를 가진 다른 분류체계의 자동 분류 연구에 활용 가능할 것으로 기대한다. In order to identify the latest research trends using data related to national R&D projects and to produce and utilize meaningful information, the application of automatic classification technology was also required in the national R&D information service, so we conducted research to automatically classify and recommend research field. About 450,000 cases of national R&D project data from 2013 to 2020 were collected and used for learning and evaluation. A model was selected after data pre-processing, analysis, and performance analysis for valid data among collected data. The performance of Word2vec, GloVe, and fastText was compared for the purpose of deriving the optimal model combination. As a result of the experiment, the accuracy of only the subcategories used as essential items of task information is 90.11%. This model is expected to be applicable to the automatic classification study of other classification systems with a hierarchical structure similar to that of the national science and technology standard classification research field.

      • KCI등재

        파동역학의 가능성에서 본 김춘수의 ‘무의미시’ 연구

        김윤정 ( Kim Yunjeong ) 국제비교한국학회 2017 비교한국학 Comparative Korean Studies Vol.25 No.3

        무의미시론에 의하면 김춘수의 무의미시는 비단 의미의 해체와 대상 부재의 이미지를 실험하는 데서 그치는 것이 아니라 ‘리듬’의 양상으로 현상하는 것이다. 이는 김춘수의 무의미시를 파동의 일 현상으로서 보게 하는 근거가 된다. 음악의 본질이 파동이라는 점 때문에 이를 이용해 정신의 강박 구조를 치료하는 음악치료학이라는 분야도 생겨났거니와, 김춘수의 무의미시가 ‘리듬’을 추구한다는 점은 그것이 소리로서 각인되게 됨에 따라 인체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파동에너지에 해당한다는 사실을 말해준다. 실제로 노래의 구조로 이루어진 김춘수의 무의미시의 파동의 형태를 측정해본다면 대체로 완만한 싸인(sin)파를 형성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게 되는데, 이러한 파형은 인체에 안정적으로 작용하는 좋은 소리이자 좋은 에너지가 된다. 김춘수는 사력을 다해 무의미시가 노래의 구조가 되도록 하였음을 짐작할 수 있다. ‘리듬’으로서의 무의미시는 김춘수에게 주문이나 염불의 차원으로까지 나아갈 수 있는 성질의 것이었다. 그것은 김춘수가 「하늘수박」을 통해 주문을 실험하였던 점에서도 확인될 수 있는바, 노래 구조의 시에서 단순성과 음악성을 더욱 강조함으로써 김춘수는 주문으로서의 시를 시도하였다. 언어의 비의미성을 확대함에 따라 생겨난 주문으로서의 시는 김춘수에게 선(禪)의 세계에서 말하는 교외별전, 불립문자와 같은 차원에 놓이는 것이었다. 이는 무의미시가 지닌 초월성을 암시하는 것이다. 또한 이점은 김춘수가 언어를 분해함으로써 상징으로서의 언어를 해체하고 소리로서의 언어를 구현하고자 하였던 시도와도 관련된다. 훈민정음이 그러했듯 무의미시는 소리라는 성질에 의해 우주의 일부가 될 수 있게 된 것이다. ‘리듬’을 주장함에 따라 파동역학1의 관점에서 고찰하는 것이 가능한 무의미시는 인체 에너지장에 영향을 미치는 물리력을 지닐 뿐만 아니라 소리라는 성질에 의해 우주와 합일하는 계기 또한 된다. 이는 무의미시가 지니는 초월성을 가리키는 것으로, 김춘수는 무의미시를 통해 자신의 강박적 정신의 치유는 물론이고 언어의 순수성을 꾀함으로써 언어의 대사회적 기능 또한 회복하고자 하였음을 알 수 있다. In terms of the Meaningless-poetics, Kim Chunsu’s Meaningless-poetry is not just about experimenting with meaning-deconstruct and non-objects image, but developing rhythmic patterns. This is the basis for seeing Kim Chunsu’s meaningless-poetry as a work of wave-mechanics. As the music-therapy treats the compulsive structure of the mind by using the wave-energy of music, Kim Chunsu’s poetry of the rhythmic patterns affects the human body by the wave-energy of rhythm. Actually, the wave of the Kim Chunsu’s song-structure poetry is a stable sound and a good energy for human body. Kim Chunsu’s Meaningless-poetry of the rhythmic patterns can be developed to the level of a spell or a mantra. By strengthening simplicity and musicality in the poem of the song-structure, Kim Chunsu tried poetry as a spell. The poem as a spell is placed in the dimension of the ‘non-sound letters’ in the Buddhism. This means the transcendence of the Meaningless-poetry. And this is related to the attempt that Kim Chunsu tried to implement the language as sound by deconstructing the language as a symbol. The Meaningless-poetry as a wave-mechanics not only has the physical force that affects the energy-field of human body, but also the opportunity to unite with the cosmos. This indicates the transcendence of the Meaningless-poetry. Kim Chunsu has tried to restore the social function of language with pure language as well as heal his obsessive mind.

      • KCI등재

        문학과 종교의 유사성에 관한 언어적 고찰 - 오장환, 한용운, 김소월 시를 중심으로

        김윤정(Kim Yunjeong) 한국언어문학회 2008 한국언어문학 Vol.66 No.-

          This paper studies the religious features in poetry. As poetry results from rite at first, poetic language has many similarities to religion. The most representative feature is ‘symbol’ and ‘paradox’. ‘Symbol’ and ‘paradox’ are not only rhetoric. They are aimed to the world above. Poem can seek after transcendental world by ‘symbol’ and ‘paradox’. In that point, ‘symbol’ and ‘paradox’ are resemblant to religion structurally.<BR>  To study the feature of ‘symbol’, this paper analyzed the poem of Oh Jang Whan. Oh Jang Whan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symbol’ and orthodoxy ‘symbolism’ in Jo-sun. This paper confirmed transcendental and religious feature in Oh Jang Whan’s poem. Especially Oh Jang Whan wanted to find symbol in woman image and mother’s world.<BR>  And to study the feature of ‘paradox’, this paper analyzed the poem of Han Yong Woon. In poem of Han Yong Woon, the paradoxical language is the most remarkable feature. Especially, the atitude to ‘Nim’ can compare with the atitude to God in religion. Han Yong Woon showed transcendant feature by ‘paradox’.<BR>  The last religious feature in poetry is related to the fact that poem involves ritual feature. That is from the fact that poem is pointed to spiritual world. The various emotion like sadness, sobbness and grief in Kim So Weol’s poem express the state of spirit. Kim So Weol is remarkable poet in the point that he seeks after opening the spiritual world.

      • 영상진동벨 광고에 대한 수용자들의 인식 조사 및 개선 방향 제안

        김윤정(Yunjeong Kim),원정연(Jungyeon Won),이종진(Jongjin Lee),조주경(Jukyung Jo),김민선(Minsun Kim) 한국HCI학회 2014 한국HCI학회 학술대회 Vol.2014 No.2

        최근 프랜차이즈 영업점에서 사용되는 무선 호출기에 영상 화면을 접목시킨 영상진동벨이 새로운 광고 채널로 급부상하고 있다. 타겟팅이 용이하고 매장을 방문하는 대부분의 사람들에게 push형으로 제공된다는 점이 해당 광고채널의 강점이나 강제적인 노출이 높은 주목도를 뜻하지는 않는다. 본 연구의 목적은 소비자들이 영상진동벨에서 제공되는 광고에 반응하는 정도와 태도를 살펴봄으로써 유의미한 광고 채널인지를 밝히는데 있다. 본 연구의 실험은 영상진동벨을 사용하는 연세대학교 교내 카페에서 카페 이용자들을 대상으로 관찰 조사와 설문 조사를 시행하였으며, 무작위 추출법에 의해 얻어진 35명의 표본으로부터 설문 결과를 얻었다. 조사 결과는 영상진동벨의 광고에 대해 수용자들이 다소 낮은 주목도를 보이고 있으며 광고 회피 반응 또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실험 결과를 바탕으로 영상진동벨의 광고 주목도를 높이기 위한 보완 방안을 제시함으로써 영상진동벨이 향후 새로운 광고 채널로서 발전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The wireless paging system has been increased in use at the place with waiting customers such as franchise cafes. Accordingly, it has become an emerging new advertising media by inserting advertisements in paging devices. However, there is no existing study on this new advertising channel. This paper explores the customer’s advertising awareness and responses towards advertisements in wireless pagers. We classified the factors of advertisements that attract customers into three: individuality, utility, and amusement. Based on these three factors, we analyzed customer awareness and response by collecting data from 35 survey responses from university cafeteria that uses wireless paging system. The result shows that advertisements through wireless pagers had little customer’s awareness and eye gazing. The significance of this paper is analyzing status quo of advertising in wireless paging devices and suggestions to enhance attractiveness of advertisements in this new channel.

      • Gazebo와 ROS를 사용한 자율주행 제어 시스템 환경 구축

        김윤정(Yunjeong Kim),김진산(Jinsan Kim),이선영(Seonyoung Lee),민경원(Kyungwon Min) 대한전자공학회 2018 대한전자공학회 학술대회 Vol.2018 No.11

        In this paper, a simulation environment for autonomous vehicle is established using Gazebo and ROS, and a controller is designed to make the autonomous vehicle in simulator move. Given reference linear and angular velocities, the inputs for the autonomous vehicle to follow the references such as brake, throttle, steering angle are generated by the controller. The controller is verified by a simulation.

      • KCI등재

        근대 미국에서 한국 도자에 대한 인식 변화와 그 배경

        김윤정(Kim, YunJeong) 한국미술사교육학회 2016 美術史學 Vol.- No.32

        미국에 소장된 한국 도자의 흐름을 조사하는 과정에서 관련 출판물을 통해서 연구할 수 있는 내용이 적지 않고, ‘한국 도자’에 대한 인식의 수준도 정치·경제·사회·외교적인 상황에 따라서 시기적인 변화를 보이고 있었다. 따라서 19세기 후반부터 20세기 전반까지 미국에서 간행된 ‘한국 도자’ 관련 출판물을 성격에 따라서 저서, 보고서, 논문, 카탈로그 등으로 분류하였다. 이러한 출판 자료의 분석을 통해서, 근대 미국 사회에서 한국 도자를 어떻게 인식하고 있었는지, 시기별로 어떤 변화가 보이고, 그 변화의 원인이 무엇인지를 살펴보았다. 미국에서 출판된 저서나 논문 등의 자료에서 한국 도자에 대한 인식은 1880년을 전후한 시기부터 보이기 시작하지만 일본이나 유럽 자료의 재인용 수준이었다. 당시 미국에 유입된 한국 도자가 어떤 종류였는지는 정확하지 않지만 대부분 분청사기나 16-17세기 지방백자 다완류였으며, 일본인의 취향에 맞춘 왜곡된 이미지였음은 부인할 수 없다. 이러한 분위기는 1880년대부터 1900년대 초까지 이어지며, 1882년 조·미 수호 조약으로 미국인들이 점차 다양한 방법으로 한국 도자의 실체에 접근하면서 1910년대 이후에는 여러 면에서 한국도자에 대한 인식에 많은 변화를 보인다. 1910년대에서 1920년대 미국에서 형성되는 한국 도자 컬렉션의 주요 유물은 고려청자였으며, 컬렉션에 포함된 고려청자들은 미국 내 동양 도자 연구자들에게 한국 도자의 새로운 면을 인식시키는데 큰 역할을 하였다. 이 시기에는 Japan Society(1914), 보스턴미술관(1914), 메트로폴리탄미술관(1916), 시카고미술관(1920), 클리브랜드미술관(1921) 등에서 연달아 고려청자와 관련된 전시가 개최되면서 연구자들뿐만 아니라 일반 대중들에게도 한국도자를 알리는 계기가 되었다. 또한 이 시기에 출판된 많은 글과 카탈로그는 고려청자를 실견하면서 형태, 문양, 유색 등의 조형성과 제작 기술에서 발전된 모습이 중국이나 일본 도자와는 완전히 다르다는 사실을 인식한 결과물이었다. 이 시기는 미국 내에서 고려청자를 중심으로 컬렉션, 전시, 연구 등에서 가장 절정기였다. 1920년대 말부터 고려청자를 소장하고 있던 개인 컬렉터들이 사망하면서 1930년대 이후에는 새로운 컬렉션이 거의 형성되지 않았다. 이는 고려청자의 경제적 가치, 즉 가격의 수직 상승과 고려청자에 대한 기대치가 이미 높아진 상황에 맞는 좋은 질의 고려청자를 찾는 것이 점점 힘들어지는 상황이 지속되었던 것이 주요 원인이었을 것으로 보았다. 새로운 자료의 부재는 당연히 새로운 전시나 연구 자료의 고갈로 이어지면서 미국 내에서 고려청자에 대한 관심이 점차 사라지고 있는 상황을 볼 수 있었다.

      • 국가R&D정보의 글로벌 서비스 구축 필요성

        김윤정(Yunjeong Kim),최광남(Kwangnam Choi),김재수(Jaesoo Kim) 한국정보과학회 2011 한국정보과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38 No.2C

        최근 국내 협동연구 비중은 지속적으로 증가하여 협력연구에 대한 인식이 점진적으로 확산되는 추세이고 국제 공동연구 협력건수 및 투자금액도 모두 증가하는 추세이다. 기업은 물론 정부 연구기관 등 모든 분야에 있어서 개방과 협력을 통해 비용을 절감하고 혁신의 속도를 높이는 방향으로 패러다임이 변화하고 있기 때문이다. 국가R&D사업에서 산출된 정보·자원과 관련 과학기술정보를 공동활용하여 R&D생산성 향상을 도모하기 위하여 구축·운영 중인 국가과학기술지식정보서비스(NTIS)도 국제 협업·공동연구 활성화를 촉진하고자 국가R&D정보 국제화를 위한 기반을 구축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해외 과학기술정보 서비스 현황과 국가R&D정보 글로벌 서비스 구축 필요성을 소개하고 글로벌 서비스의 기반이 되는 데이터 품질 및 서비스 활성화를 위한 개선점에 대해 제안하고자 한다.

      • KCI등재

        고창 복분자의 기능성원료 표준화를 위한 지표성분으로서 Ellagic Acid의 분석법 개발

        김윤정(Yunjeong Kim),한송희(Song-Hee Han),전지영(Ji-Yeong Jeon),황민호(Minho Hwang),임용진(Yong-Jin Im),채수완(Soo-Wan Chae),김민걸(Min-Gul Kim)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12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41 No.11

        고창 복분자의 개별인정형 건강기능식품 기능성 원료로 개발하기 위하여 지표성분 표준화를 위한 ellagic acid의 분석법 설정과 분석법에 대한 밸리데이션을 실시하였다. 1% formic acid가 첨가된 water와 acetonitrile을 이동상으로 하고 Symmetry®(C18, 4.6×250 ㎜, 5.0 ㎛) 칼럼을 사용하여 기울기용리(gradient elution)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분석법을 확립하고 분석법에 대하여 특이성, 직선성, 정확성과 정밀성 그리고 회수율에 대하여 확인하였다. Ellagic acid의 검량선은 R2=0.9996으로 좋은 선형성을 보였으며 LLOQ와 LOD는 각각 1 ㎍/mL와 0.3 ㎍/mL였다. 일내와 일간 분석에서 상대표준편차(RSD)는 각각 2.28%와 2.84% 미만으로 나왔다. 회수율 측정결과에서는 89.17~97.92%로 나왔고, RSD는 0.05~0.14%였다. 그러므로 HPLC를 이용한 ellagic acid의 분석법이 고창 복분자 추출물의 기능성원료 표준화를 위한 지표성분 분석을 위한 적합한 시험법임이 검증되었다. 본 시험법에 따라 분석한 고창 미숙과 복분자 추출물 내의 ellagic acid의 함량은 세 lot를 3번씩 분석하였을 때 약 1.92 ㎍/㎎(0.192%)이 나왔으며 RSD값은 2.36% 이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하여 확립된 ellagic acid의 분석법이 고창 복분자의 개별인정형 건강기능식품 기능성 원료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본다. Method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ellagic acid for the standardization of Gochang Bokbunja as a functional ingredient and health food were accomplished. A Symmetry® (C18, 4.6×250 ㎜, 5.0 ㎛) column was used with a gradient elution system of 1% formic acid in water and acetonitrile. This method was validated according to specificity, linearity, accuracy, precision test, and recovery test. Specificity was confirmed with identical retention time, and calibration curves of ellagic acid showed good linear regression (R2>0.9996). Relative standard deviations (RSD) of data from the intra- and inter-day experiments were less than 2.28% and 2.84%, except in the low limit of quality control (LLOQ, 1 ㎍/mL) sample. The results of the recovery test were from 89.17% to 97.92% with RSD values from 0.05 to 0.14%. Therefore, we performed analysis of ellagic acid as a marker compound in Gochang Bokbunja extracts. The amount of ellagic acid in Gochang Bukbunja was about 1.918 ㎍/㎎ (0.192%) in the three times analysis, and RSD was less than 2.36% by the validated method.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developed HPLC method is simple, efficient, and could contribute to the quality control of Gochang Bokbunja extract as a functional ingredi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