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KCI등재

        캘러스 유기와 식물체 재분화를 이용한 무의 기내 대량증식

        김유경,모숙연,최수빈,박한용,You Kyoung Kim,Sug Youn Mo,Su Bin Choi,Han Yong Park 한국식물생명공학회 2023 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 Vol.50 No.1

        무(Raphanus sativus L.)는 전세계적으로 재배되고 있는 뿌리 채소 중 하나로, 다양한 방법으로 소비되고 있다. 무의 F1종자 생산을 위한 원종 계통의 교배 과정에서는 화분 혼입으로 인해 순도가 떨어지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무의 기내 대량증식을 위해 캘러스 재분화를 통한 대량증식 조건을 확립함으로써 기내배양 식물체를 증식시키고 원종 증식에 이용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무의 하배축을 이용한 캘러스 유기에서 다양한 농도의 2,4-D와 TDZ, kinetin 조합 중 가장 효과적인 조합을 선정하고, 유기된 캘러스를 두 종류의 배지(5H+1B, 1 mg/L NAA + 0.1 mg/L 2,4-D + 1 mg/L IPA + 0.02 mg/L GA3 + 2 mg/L zeatin + 1 mg/L BA; 5H+0.1T, 1 mg/L NAA + 0.1 mg/L 2,4-D + 1 mg/L IPA + 0.02 mg/L GA3 + 2 mg/L zeatin + 0.1 mg/L TDZ)에 치상함으로써shoot 재분화에 적합한 호르몬 조건을 탐색하였다. 무의 캘러스 배양 결과, RA2 계통과 RA10 계통은 1 mg/L 2,4-D + 0.05 mg/L kin 조합에서, RA4 계통은 1 mg/L 2,4-D + 0.1 mg/L kin + 0.025 mg/L TDZ 조합에서, RA30 계통은 1 mg/L 2,4-D + 0.2 mg/L kin 조합에서 캘러스의 형성이 효과적이었다. RA4 계통에서 유기된 캘러스의 shoot 재분화는 두 종류의 shoot 재분화 배지에서 모두 일어났지만, 그 빈도는 5H+1B 배지에서 훨씬 더 높았으며 재분화된 shoot를 발근배지에 계대배양하여 뿌리를 유도하고 기내 순화 과정을 거쳐 재분화된 소식물체를 얻을 수 있었다. 이 연구에서 확립한 조건들을 무의 기내 대량번식에 활용한다면, F1 종자 생산을 위한 원종 증식에 도움이 될 것으로 판단된다. Radish (Raphanus sativus L.), a root vegetable grown worldwide, is consumed in several ways. In the cross between parental lines to produce F1 seeds of radish, the problem of low purity may arise because of pollen contamination. Therefore, we aimed to establish conditions for callus induction and regeneration so that in vitro cultured plants could be used for the propagation of stock seeds. The most effective hormone combination containing various concentrations of 2,4-D, TDZ, and kinetin was selected for callus induction using radish hypocotyl, and the induced calli were transferred to two types of hormone media to investigate the optimal conditions for shoot regeneration of the callus. The combination of 1 mg/L 2,4-D + 0.05 mg/L kin was the most effective for callus induction of RA2 and RA10, 1 mg/L 2,4-D + 0.1 mg/L kin + 0.025 mg/L TDZ of RA4, and 1 mg/L 2,4-D + 0.2 mg/L kin of RA30. Shoot regeneration of the RA4 callus occurred in both shoot regeneration media, but the frequency was much higher in the 5H+1B medium (1 mg/L NAA + 0.1 mg/L 2,4-D + 1 mg/L IPA + 0.02 mg/L GA3 + 2 mg/L zeatin + 1 mg/L BA). For the in vitro micropropagation of radish, the conditions selected in this study can assist in the propagation and maintenance of stock seeds to produce F1 seeds.

      • 페루의 이중적 부패 구조와 반부패정책의 한계

        김유경 ( You Kyoung Kim ) 한국외국어대학교 글로벌정치연구소 2017 글로벌정치연구 Vol.10 No.2

        이 논문은 페루의 사례를 통해서 반부패정책이 실효성을 갖기 위해서는 부패문제가 발생하는 구조의 특성을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문제의식에서 출발한다. 페루는 일상적으로 소위 꼬이마(coima)로 불리는 뒷돈이나 선물과 뇌물의 경계가 모호한 부패 행위가 개인적 차원에서 당연하게 행해지고 이것이 부패 행위임을 심각하게 인식하지 않는 형태의 ‘일상적인 부패’, ‘작은 부패’가 고착화된 경향을 보여 왔다. 물론 고위 공직자 또는 정치인의 부패 스캔들이 폭로되는 경우도 있었지만 이에 대한 엄격한 처벌이 이루어지기보다는 말 그대로의 스캔들 또는 루머로 유야무야되는 경우가 다반사였다. 최근의 사례들을 보면 페루의 부패 유형과 부패행위의 구조가 점차 다차원적으로 변화하고 있음을 볼 수 있다. 이 논문에서는 1990년 후지모리 정부에서부터 나타난 공적 영역에서의 부패 행위들을 살펴봄으로써 한편으로는 일상적·규범일탈적인 성격의 부패구조가, 다른 한편으로는 구조적·체계적인 부패네트워크가 이중으로 작동하고 고착화되고 있는 페루의 부패문제를 검토하려 한다. 이를 위해 먼저 후지모리와 가르시아 정부에서의 부패 스캔들을 중심으로 부패네트워크가 형성, 제도화되는 과정을 살펴볼 것이다. 3장에서는 페루 부패 유형의 특징을 살펴보고 이의 구조적 특징과 문제점을 살펴볼 것이다. 또한 페루 반부패정책의 내용이 부패구조의 문제를 해결하기에는 미흡한 부분이 있음을 검토할 것이다. 나아가 일상적 부패와 체계적 부패의 이중적 구조가 개별적으로 때로는 중첩적으로 작동함으로써 페루의 부패문제를 악화시키고 있으며 반부패정책의 실효성 또한 기대하기 어려움을 밝힐 것이다. 4장에서는 페루의 사례가 시사하는 실효성있는 반부패정책의 조건은 무엇인지를 결론내릴 것이다. This paper explains that it is important to identify the nature of the corruption problem in order for the anti-corruption policy to be effective through the Peruvian case. It examines peruvian corruption structure that on the one hand ordinary and deviant corruption, on the other hand systematic corruption network is become permanent and operated. This paper is organized as follow. In Chapter 2, the corruption scandals in Fujimori and Garcia's government are examined, and the formation and institutionalization of corruption networks are examined. Chapter 3 examines the characteristics of Peruvian corruption types and their structural features. It also examines the limitations of the Peruvian anti-corruption policy. In chapter 4, it will conclude what the conditions of effective anti-corruption policies suggested by Peru's case.

      • KCI등재

        초국가적 조직범죄의 연계성과 다차원적 안보 위협

        김유경 ( Kim You Kyoung ) 한국외국어대학교 국제지역연구센터 2020 국제지역연구 Vol.24 No.4

        이 논문은 라틴아메리카 국가들에서 발생하는 초국가적 범죄(TOC) 사례들을 통해 TOC의 상호연계성이 강화되고 다차원적 안보 위협이 급격하게 확대되고 있음을 지적하고 있다. 또한 TOC가 국제적 차원에서뿐만 아니라 개인적, 국가적 차원에서도 중첩적인 위협요인으로 작용한다는 것을 인식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제시한다. 나아가 현재의 TOC는 범죄조직간, 그리고 범죄 유형간 상호연계성이 강화되고 있으며 보다 전문적이고 복합적인 초국가적 범죄네트워크의 형태로 진화하고 있음을 주장한다. 현재 보편적으로 수용되는 TOC의 개념에는 TOC에 대한 국제사회의 논의를 주도하고 있는 미국 및 유럽의 ‘외부로부터의 위협’이라는 관점이 내재되어 있어 실질적인 국제규제레짐을 만드는데 한계가 있다. 따라서 이 논문은 TOC의 생산국-대상국의 관점에서 벗어나 공간적, 이슈적 확장성에 대한 인식과 대응이 필요함을 제시하고 있다. This paper points out that the interlinkage of transnational organized crime(TOC) is strengthened and multi-dimensional security threats are rapidly expanding through TOC cases occurring in Latin American countries. This paper proposes that it is necessary to recognize that transnational organized crime(TOC) works as an overlapping threats not only at the international level, but also at the individual and national level. Furthermore, it argues that the present TOC’s interconnection between criminal organizations and crime types is strengthening and is evolving into a more specialized and complex transnational crime network. In addition, the concept of TOC that is currently accepted has been converged as the treat from outsider by the United States and Europe, which are leading the international discussion on TOC. Therefore, in order to more effectively carry out the international response to TOC, it is necessary to free from the perspective of the producing country-target country.

      • KCI등재

        세계화와 페루 신자유주의적 국가의 공고화: 비판이론적 관점에서

        김유경(Kim, You Kyoung) 한국외국어대학교 중남미연구소 2021 중남미연구 Vol.40 No.3

        이 연구는 비판이론의 시각에서 초국가적 생산관계에 기초한 신자유주의 세계화와 이에 조응하는 ‘국가의 국제화’에 따른 페루 국가형태의 성격을 분석하고자 했다. 이를 위해 후지모리(1990-2000), 톨레도(2001-2006), 가르시아(2006-2011), 우말라(2011-2016) 정부를 중심으로 주요 정책, 정치이념 및 수사, 정치전략을 검토했다. 1990년 이후, 페루는 신자유주의 세계화의 주변부에서 권위적이고 배타적인 정치전략과 워싱턴 컨센서스로 대표되는 안정화 및 구조조정 정책을 추진했다. 그러나 온전한 헤게모니를 구축하지 못한 신자유주의는 많은 비판에 직면하게 되고 1990년대 중반 이후 좀 더 보편적인 동의를 획득하고자 ‘포섭적 신자유주의’로의 변화를 보였다. 이는 포스트 워싱턴 컨센서스로 구체화되었고 개별 국가 주도적 빈곤 감축 및 사회정책을 강조하는 정치적 전략의 결합으로 나타났다. 이 논문에서 살펴본 정부들의 정책적, 정치수사적 차별성은 이러한 변화에 조응하는 외양일 뿐이라 할 수 있다. 또한 페루의 사례는 배타적 신자유주의 국가에서 포섭적 신자유주의 국가로 전환되었을 때 오히려 경제주의적 신자유주의가 정치적, 사회적 영역까지 확장되고 제도화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 This study attempts to explain the feature of Peruvian state that responds the neoliberal globalization and the ‘internationalization of state’, which they determined by transnational power relations from the critical theory approach. To this end, this study examined the major policies, political ideology and rhetoric, political strategies of the Peruvian governments focusing on the Fujimori(1990-2000), Toledo(2001-2006), Garcia(2006-2011), and Umala(2011-2016). The character of respective government have reflected changes in the nature of globalization and policy failures of previous governments. It can be explained as an exclusive neoliberal state in the Fujimori and Garcia governments and a inclusive neoliberal state in the Toledo and Umala governments. This shows that despite the political rhetoric of each government, the characteristics of each government are merely an outward change of a neoliberal state in response to the shift from neoliberalism to inclusive neoliberalism with peruvian accumulation regime that depends on extractional economy.

      • KCI등재

        미국-콜롬비아 반(反) 마약 정책의 이중적 성격: ‘플랜 콜롬비아’에서 나타난 마약 테러리즘의 안보화를 중심으로

        김유경(Kim, You Kyoung) 한국외국어대학교 중남미연구소 2020 중남미연구 Vol.39 No.4

        이 논문은 콜롬비아의 마약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미국의 지원과 콜롬비아 정부의 노력에도 불구하고 근본적인 해결이 제시되지 않은 이유를 마약 문제에 접근하는 정책프레임에서 찾고 있다. 이를 위해 마약 이슈가 어떻게 ‘안보화’되었는지를 검토하고 안보화의 내용이 플랜 콜롬비아로 대표되는 미국의 반(反) 마약 정책의 성격을 보여주고 있음을 지적한다. 플랜 콜롬비아는 불법 코카 작물의 재배를 대체하고 농촌 지역의 균형적인 경제성장을 지원하는 것을 통해 마약 생산을 근절하고 민주주의를 진일보시킨다는 본래의 목적과 달리, 사실상 마약 이슈를 안보화함으로써 마약과 연계된 테러조직을 해체하고 신자유주의적 개발정책을 원활히 수행하기 위해 활용되었다. 결과적으로 플랜 콜롬비아를 통해 콜롬비아의 군사화가 급격히 이루어졌고 마약 생산과 테러조직 근절 또한 실패했다. 뿐만 아니라 이후 비안보화로의 전환에도 불구하고 2016년 콜롬비아 무장혁명군과의 평화협정 체결 이후에도 콜롬비아의 마약 문제가 반복되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This paper seeks out the reason why a fundamental solution has not been presented despite the efforts of the Colombian government and the US support to solve the illegal drug problem in Colombia, in the policy frame approaching the drug problem. To this end, it examines how the drug issue has been “securitizated” and points out that the content of securitization is showing the nature of the US anti-drug policy, represented by Plan Colombia. Unlike its original purpose of eradicating drug production and advancing democracy by replacing the illegal cultivation of coca crops and supporting balanced economic growth in rural areas, the Plan Colombia is, in fact, securitized the drug issue, thereby rid of terrorism linked to drugs. It was used to dismantle the terrorist organization and smoothly implement the neoliberal development policy. As a result, Colombia"s militarization took place rapidly, and drug production and eradication of terrorist organizations were also unsuccessful, and Colombia"s drug problem has been repeated.

      • KCI등재
      • KCI우수등재
      • 일반논문 : 반부패 국제 규범의 발전과 지식 네트워크

        김유경 ( You Kyoung Kim ) 한국외국어대학교 글로벌정치연구소 2008 글로벌정치연구 Vol.1 No.2

        이 글은 하나의 이슈 특히, 반부패에 대한 국제 레짐의 형성에 있어 공통의 인식 및 지배적 담론이 국제 규범으로 확산, 발전되는 과정에 주목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서 새로운 규범의 내용을 제기하고 내면화하는 단계에서의 지식 네트워크의 역할을 살펴본다. 또한 이들의 지배적 담론에 나타난 글로벌 의제로서의 부패에 대한 인식을 검토한다. 1970년대에는 성공하지 못했던 반부패 국제 규범의 형성과 이의 수용이 1990년대 성공할 수 있었던 것은, 부패의 부정적 효과를 시장의 효율적 작동에 대한 장애의 극복, 효율적 경제성장이라는 글로벌 의제에 연계함으로써 부패 이슈를 부각시키고 이를 경제적 지구화 및 자유민주주의의 확산과 결합하여 정책 의제화한 지식 네트워크의 활동에 힘입은바 크다고 볼 수 있다. 결국 부패 이슈가 글로벌 의제로 설정되고 반부패에 대한 국제 규범이 제도화, 내면화되어 레짐까지 발전할 수 있었던 것은 지구화라는 환경적 조건에 특정한 방향으로 부패문제를 접합시키려 한 지배적 담론의 형성 및 작동과 무관하지 않다. 이러한 맥락에서 반부패 국제 규범은 대학, 연구기관, 씽크 탱크, 정부 및 국제기구, 그리고 주도적 행위자로서의 TI를 포함하는 반부패 지식 네트워크에 의해 형성된 지배적 담론에 의해 특정한 내용이 강조되면서 ‘생산’된 것이라 볼 수 있다. This paper examined the formation and proliferation of international anti-corruption norms focusing on the role of international knowledge networks. Even though the international discourses on anti-corruption has been existed intermittently from time to time since the 1990s, the fact that anti-corruption norms is developing and accepted internationally show the importance of knowledge networks and their dominant discourse and actions connecting anti-corruption with economic globalization and liberal democracy. Anti-corruption knowledge networks include universities and research institutes, think tanks, professional associations, consultancy firms as well as NGO, especially Transparency International, and experts of international organization. They represent producers of knowledge, knowledge communicators and policy entrepreneurs, funders of knowledge creation and commercial applicators of knowledge in corruption issue. They regard corruption as the obstruction of economic growth, efficiency of market, so suggest that international anti-corruption norms must be oriented economic liberalization, deregulation. In this context, current international anti-corruption norms must be recognized what is produced by dominant discourses and specific contents shaping by anti-corruption knowledge network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