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도교의 심신상관적 마음이해와 치유법 : 『용호비결』에 나타난 도교 내단의 성명쌍수론을 중심으로

        최수빈 강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3 인문과학논집 Vol.26 No.-

        흔히 도교(道敎)는 여러 가지 신체수련을 통해 장생불사를 추구하고 부적이나 주문, 의례를 통해 세속적 구복을 추구하는 종교로서, 노장사상과 같은 도가(道家)와 구별하여야 하는 것으로 인식되는 경우가 많다. 물론 도교 안에는 벽곡(辟穀)과 같은 식이요법, 도인(導引)과 같은 체조, 화학연금술, 약초학, 부적 등 다양한 종교 문화적 요소가 존재한다. 그것만이라면 도교는 의학이나 체육학, 혹은 대중적 주술행위에 지나지 않을 것이다. 그러나 제대로 살펴보면 도교 안에는 깊은 사색과 명상이 있고, 그들의 심신 훈련의 기술의 바탕에는 매우 심오하고 체계적인 철학이 자리하고 있다. 노장사상으로부터 출발된 도교의 다양한 사상과 수행법은 당말 오대 이후로부터 시작되어 송원 시대에 가장 흥성했던 내단 사상에 이르러 가장 완성도 있게 체계화된다. 도교 내단(內丹)의 가장 독특한 수행법의 특징은 몸과 마음의 균형 있는 연마, 곧 ‘성명쌍수(性命雙修)’라고 할 수 있다. 유교나 불교와 구별되는 도교수행의 독특성은 마음수련을 위해 몸 수련이 반드시 동반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도교에서는 인간을 심신상관적(psycho-somatic)인 존재로 인식하는 바, 도교의 구원, 곧 득도를 통해 신선적 경지에 오르기 위해서는 육체와 정신, 양면의 수행이 필요하다고 본다.도교의 내단 사상과 수행법은 한국에서도 성행하였다. 조선시대의 여러 선비들은 단학수행에 몰두하고 다양한 저술을 통해 그들의 수행법을 소개하고 있다. 그 대표적인 인물이 김시습(金時習)․권극중(權克仲)․정염(鄭磏) 등이다. 조선중기의 정염(鄭磏: 1506~1549)에 의해 작성된『용호비결(龍虎秘訣)』은 조선시대의 내단內丹)사상의 핵심을 잘 보여주는 저서이다『용호비결』은 도교의 심신수련서 가운데에서도 그 내용이 간단하면서도 한국도교의 내단 수행(修行)의 본질과 핵심을 잘 드러내주고 있다.『용호비결』에서는 도교의 수행법을 폐기(閉氣), 주천화후(周天火侯), 태식(胎息)의 세 단계로 나누어 설명하고 있다. 이 가운데에서도 폐기의 과정이 가장 중요하며 따라서 이를 올바로 이해하고 바르게 수련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한다. 『용호비결』과 같은 단학 수행서를 통해서 알 수 있듯이 도교의 수행법은 정신완성을 위해 신체의 상태를 온전하게 보전하고 그 순환상태가 원활하게 함으로써 지속적으로 정신에너지를 공급하고자 한다. 그리고 이러한 심신상관적 인간이해와 종교적 실천은 현대의학이나 심리학에서 말하는 인간의 정신이해와도 상통한다고 할 수 있다. This thesis aims at studying the Taoistic view of mind and body, and the cultivation theories and methods of them, established on the understanding of human being as a psycho-somatic being and a physiological system related with cosmic environments. Especially Inner Alchemy, or Neidan tradition has an emphasis on both and balanced cultivation of mind and body, that is inner nature and vital force (xing and ming). In Neidan tradition, techniques of cultivating the mind and body are based on Chinese philosophy, especially Taoistic thoughts (Laozi, Zhuangzi), Iching (Book of Change) apocrypha, Five agents, Buddhism, traditional practices relating to breath of energy(qi), outer alchemy etc. It is in a way a completely Taoistic reaction to Buddhism. And it establishes an order of different from the standard system of the Iching.The most important characteristic of Neidan meditation is shown in the process of acquittance of tranquility and the stages of cultivation, namely the first from qing to qi, the second from qi to shen, the three from shen to Emptiness. Inner alchemy is a method of finding illumination by returning to the fundamental order of the cosmos. In order to attain the highest stage, xing and ming must be cultivated together. Zen Buddhists neglect the cultivation of ming, early taoists weaken the cultivation of xing, and confucianists are unconcerned with the training of the Life(mind-body). Without xing, ming will never attain perfect non-action. Cultivation of ming is controlled under cultivation of xing.The essence of Taoism in Chosun dynasty centers around the thought of nourishing and prolonging life which greatly hinges on Neidan (Inner alchemy). The thought of Taoism in Chosun dynasty put an emphasis not only on accomplishing spiritual freedom with a view of attaining longevity and immortality, but also on maintaining bodily vitality inside the body. Jeong Ryeom was a representative figure of Chosun Taoism who put more emphasis on specific practices than on theoretical foundations for Taoist practices. Jeong Ryeom's book titled ‘Secret Formulas for Dragon and Tiger’ describes more of Taoist practices based on nurturing of inner alchemy as opposed to external alchemy. The philosophical Taoist practices advocated and espoused by another Taoist such as Kim Siseup appeared to be transformed to become what may be termed ‘prophylactic medicine’ by Jeong Ryeom.

      • KCI등재후보

        수상/해상 태양광발전 시스템의 패키징 기술개발 동향

        최수빈,김명훈,김광석,Choi, Su Bin,Kim, Myounghun,Kim, Kwang-Seok 한국마이크로전자및패키징학회 2020 마이크로전자 및 패키징학회지 Vol.27 No.3

        The importance of floating photovoltaic systems has recently been emerging to address some issues arising from the installation of conventional ground-mounted photovoltaics. Floating photovoltaics have a few advantages such as cutting down land usage, reducing water evaporation or creating algae. Though there is still necessity to supplement with technical issues: mechanical stability, reliability and long-term durability of floaters and modules. In this paper, we focus the current level of packaging development and introduce research trends that could be applied to next-generation floating photovoltaics.

      • KCI등재

        중국도교의 관점에서 살펴본 동학의 사상과 수행 : 도교 내단(內丹) 및 부주(符呪) 수행과의 연관성을 중심으로

        최수빈 동학학회 2010 동학학보 Vol.20 No.-

        This paper is for re-examining the elements of Daoism in Donghak of Korea. Especially, focuses of this paper are on two essential ways of self-cultivation of Donghak, Cultivating Mind and Moderating Qi(Sushim-Jeongki, 修心正氣), and the talisman(符) and invocation(呪) practices. The basic ideas and principles of Sushim-Jeonki(修心正氣) cultivation are similar to those of the Joint Cultivation of Inner nature and Vital Energy(Xingming Shangxiu), the pivotal self-cultivating technique of Inner Alchemy of Daoism in the aspect that the focuses of them are in balanced and harmonious cultivating mind and body, or spirit and qi energy for obtaining the Ultimate Qi(Jiki, 至氣), or the nature of Hanullim of the entire cosmos, leading the adept to realize the principle of the universe and encounter with Hanullim in his own self as the micro-cosmos The practices of invocation or talisman of Donghak also have a common characteristics with that of Daoism. The practice of talisman and invocation in Donghak is not merely magical skill for popular religious activity but a pivotal way through which adepts interiorize the cosmic principles and realize the union with the ultimate reality of Donghak, Hanulnim. The functions and principle of invocation or talisman practice of Donghak are much like those of Daoism. From the ancient times, Daoists has used the talisman and invocation in their religious practice as one of ways to attain Dao, that can not be perceived by sensory organ and be explained by words or logical thinking. The talisman and invocation of Daoism are very important elements of mystical practices in Daoism, using the various symbolic signs, syllables, or words for attaining Dao, ineffable, unperceivable and inexplainable reality. The religious characteristics of Donghak have many things in commom with Daoism including its syncretical and thoughts of three religions and its popular religious forms 본 논고에서는 동학의 ‘수심정기(修心正氣)’, 그리고 주문(呪文)이나 부적 수행법을 중심으로 동학의 종교관을 살펴보았다. 그리고 그것을 고찰하는 방법으로서 중국의 도교(특별히 중국 근세도교)의 내단, 곧 성명쌍수(性命雙修)의 수행법, 그리고 부주(符呪)의 수행법과의 비교를 시도하였다. ‘수심정기(修心正氣)’는 심성과 기(氣)의 완전한 회복과 조화를 통해 인내천(忍耐天)을 경험하고 실현하는 가장 핵심적인 동학의 수양법으로서, 본래 한울님과 하나인 인간의 완전한 본래성을 회복하여 천지, 곧 우주와 하나 되는 기술이다. 수심정기를 중심으로 한 동학의 수양은 심-기(心-氣), 신-기(神-氣)양방면의 수행을 도모한다는 면에서, 도교 내단(內丹)의 성명쌍수(性命雙修) 원리와 유사한 구조와 내용을 가지고 있다. 성명쌍수(性命雙修)는 간단히 말해서 정신과 육체의 균형 있는 수양을 통해 득도를 이룩하는 방법으로서, 소우주인 인간의 정기신(精氣神)의 연마를 통해 우주의 근원적 원기(元氣), 혹은 선천지기(先天之氣)를 회복하고 나아가 도(道)와 하나가 되는 법이다. 다시 말해, 성명쌍수의 수행과정은 심신의 소통과 통일로부터 시작하여 대우주와 인간의 통일, 즉 천인(天人)의 통일로 완성된다. 이상과 같은 내단수행의 특성은 수심정기 수행에서도 발견할 수 있다. 수심정기의 수행은 마음과 기의 균형 있는 공부를 통해 우주에 충만한 지기(至氣)로서의 한울님, 그리고 자신 안에 내재되어 있는 인격적 존재로서의 한울님을 동시에 만나는 수행이라는 점에서 도교의 내단과 동일한 수행의 메커니즘을 소유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동학과 도교의 수행의 공통적 특성은 주문과 부적을 이용한 수행법에서도 발견된다. 동학에서 부와 주의 수행, 특히 주문수행은 동학 수행의 핵심부분이다. 일반적으로 주문이나 부적에 대해서 단순히 주술적 힘에 의존하는, 미신적인 종교행위라고 평가하는 경우도 많다. 그러나 동학을 비롯한 동아시아 종교의 부주수행 안에는 심오하고 다양한 종교적 상징과 의미를 내포하고 있으며 그것이 담당하고 있는 종교적 기능 역시 간과해서는 안 될 것이다. 동학에서 주문은 시천주(侍天主)의 중요 수단이며 수심정기를 위한 구체적인 수단이 된다. 동학의 주문은 대우주의 이치를 담고 있는 천서(天書)로서, 주문수행은 우주적 이치를 궁구하고 내면화하는 수단이다. 영부(靈符)역시 주술적인 치료수단이 아니라 마음과 기운을 조화롭게 하며 시천주의 뜻을 가르치는 수단이 된다. 즉 동학의 부적과 주문은 단순한 주술적 도구들이 아니라 동학의 사상과 교리를 내면화하고 체득하는 중요한 수단인 것이다. 도교에서도 부와 주는 천서(天書)요 천음(天音)으로서 그 안에 천상계와 우주의 비밀을 담고 있다고 여겨진다. 따라서 부와 주는 그것에 담긴 우주의 질서와 원리, 그리고 힘을 내면화함으로써 득도에 이르는 중요한 성선(成仙)의 수단이다. 부와 주에 담긴 언어와 표상들은 비의적(秘義的)인 의미를 담고 있는 새로운 언어이다. 이러한 비의적이고 비언어적 의미를 통해 도교인들은 언어를 통한 사변을 통해서 도달할 수 없는 무언(無言)의 도에 접근하고자 하였던 것이다. 수행법 뿐 아니라 도교와 동학은 여러 가지 측면에서 공통점을 보인다. 동학에서 보여주는 삼교합일적 성격과 대중종교적 성격, 그리고 유토피아 이상향 제시나 사회변혁적 성격 등은 명청 ...

      • KCI등재

        New record of the genus Toxares Haliday (Hymenoptera: Braconidae: Aphidiinae) from Korea

        최수빈,구덕서,김효중 국립중앙과학관 2017 Journal of Asia-Pacific Biodiversity Vol.10 No.4

        The genus Toxares (Braconidae: Aphidiinae) is reported for the first time in Korea. Toxares deltiger (Haliday, 1833) is found as new to Korea. It has a wide host range causing it to be useful as a natural enemy for 31 aphid species within Aphididae. Diagnosis, host information, and illustrations are includ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